Ultimate Recovery Menu rev.233


기존의 단순한 텍스트 형식이 아니라 위 스크린샷처럼 리커버리 메뉴를 변경해주는 Ultimate Recovery Menu rev.233입니다. [출처가기]

단순히 겉모습만 변한 건 아니고, 낸드이미지 백업/복구나 기판 정보 확인 등 기존에는 없는 몇 가지 새로운 기능도 추가되어 있습니다. 설치 여부는 취향따라...

어쨌든 지난번에 rev.150을 소개한 후로 오랜만이네요.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Rev.233
- vsh gui의 버그 수정.

Rev.232.5
- 판도라 배터리 변환 지원 기능 수정.

Rev.231.5
- 배경 물결무늬 커스텀 가능. (*.gmo 파일)
- 메세지 박스 버그 수정.
- 새로운 시스템 정보 메뉴.
- 플러그인 로드가 빨라짐.
- 코드 최적화로 퍼포먼스 향상.
- CPU 클럭 설정 최적화.
- 낸드이미지 복구 "reboot lable" 수정.
- 리커버리 파일 사이즈 13,7% 감소.


이 프로그램은 커펌 5.00 시리즈와 커펌 5.50 시리즈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임시커펌에서는 사용하지 마세요.)

또한 설치법 / 사용법은 rev.150과 완전히 동일하므로 이전 http://popotz.textcube.com/1686 글을 참고해주세요.

* 관련글 보기 *
Ultimate Recovery Menu rev.150
Alternate Recovery Menu rev.140
커펌을 사용하려면 이 정도는 알아둡시다
커펌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포포츠 백업 + NEW > CFW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Ultimate Recovery Menu rev.150  (0) 2010.12.30
Alternate Recovery Menu rev.140  (0) 2010.12.30
VSH Menu+ v1.2  (0) 2010.12.30
[추가] VSH Menu+ v1.1  (0) 2010.12.30
LEDA Beta 0.2  (0) 2010.12.30

Ultimate Recovery Menu rev.150


기존 커펌 리커버리 메뉴의 그래픽을 변경하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해주는 Ultimate(Alternate) Recovery Menu가 rev.150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일단 이번 rev.150의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멀티랭귀지 지원.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 백업 기능과 복구 기능 개선.
- 코드 최적화로 prx 용량을 줄임.

얼마 전 rev.140을 소개한 적이 있는데, 이번 rev.150은 몇 가지 변경 사항이 있어 새로 글을 작성합니다. 특히 복구 메뉴가 새로 추가되어 제거하는 것이 간단해졌네요.

[ 설치전 주의사항 ] 낸드플래시를 건드리는 작업이므로 언제나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그러니 아래 설치방법을 주의깊게 잘 읽고 설치 여부를 결정해주세요. 설치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설치방법 ]
1. 자세한 설명이 없어서 설치 가능한 커펌 버전이 어떻게 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저는 커펌 5.50 GEN-D3에서만 테스트했으며, 프로그램 원리를 보면 커펌 5.00 M33에서도 사용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 외 임시 커펌 사용자들은 그냥 패스하는 게 좋을 듯...)

2.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URM'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3.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URM V2.0을 실행합니다.


4. 위와 같은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일단 만약을 위해 제일 먼저 세 번째 'Make backup' 메뉴를 엑스버튼으로 선택해서 원본파일을 반드시 백업해주세요. (이번 rev.150에서는 새롭게 복구 메뉴가 추가되었는데, 자세한 건 아래에서 따로...)

그리고나서 설치를 하면 되는데, 설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Ressourcen to Flash0 (Flash0에 설치하기)
recovery.prx를 비롯해 관련 파일을 전부 flash0:/에 설치합니다. (flash0:/syRec/ 폴더)
단 flash0:/의 남은 용량이 847KB 이상이어야 합니다. PSP-200X는 상관없지만, PSP-100X는 flash0:/의 기본 용량이 부족해 벽돌이 될 수 있으므로 절대 이 방법으로 설치하지 마세요. 다만 flash0:/에 설치하는 경우 메모리스틱이 없어도 Ultimate Recovery Menu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Ressourcen to MemoryStick (메모리스틱에 설치하기)
recovery.prx를 제외하고 관련 파일을 전부 메모리스틱에 설치합니다. (ms0:/syRec/ 폴더)
따라서 메모리스틱에 syRec 폴더가 없는 경우 리커버리 메뉴의 진입이 아예 불가능해집니다. 하지만 flash0:/의 용량은 126KB 정도만 차지하기 때문에 PSP-100X의 경우에도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5. flash0:/ 혹은 메모리스틱으로의 설치를 선택하면 관련 파일을 설치하게 됩니다. (위 스크린샷은 메모리스틱의 경우.)
설치가 끝나면 엑스버튼을 눌러 XMB로 돌아갑니다.
(만약 flash0:/ 설치시 에러가 오류나 뜬다면 플러그인 문제일 수도 있으니 game.txt에 등록된 플러그인을 모두 끄고 나서 재설치 해보세요. 설치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그 후에는 플러그인을 다시 활성화해도 됩니다.)

6. 설치가 끝났다고 해서 ms0:/PSP/GAME/URM/ 폴더를 삭제하면, 나중에 자동 복구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니 복구할 때를 대비해서 이 폴더는 삭제하지 말고 남겨두세요.

[ 사용방법 ]
설치가 끝나면 기존대로 PSP를 완전히 종료한 뒤 R트리거를 누른채 PSP의 전원을 올립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새로운 리커버리 메뉴가 등장합니다. 선택은 엑스버튼, 취소는 동그라미버튼입니다.


Ultimate Recovery Menu의 기본 메뉴이며, 각 메뉴의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기본 메뉴에서 동그라미버튼을 누르면 리커버리 모드를 종료하고 XMB로 부팅할 수 있습니다.)
* USB Connection : 메모리스틱 / Flash0 / Flash1 / Flash2 / Flash3 / UMD의 USB 연결 접속.

* Recovery Flsher : ms0:/PSP/GAME/RECOVERY/ 폴더에 리커버리 플래셔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바로 실행.

* CPU-Speed : XMB 모드와 GAME 모드에서의 CPU 클럭 설정. (Default/222/266/300/333MHz)

* System Tools : 기종/기판 정보 보기, 낸드이미지 백업/복구, 사용자 설정(Registry) 백업/복구.

* Battery Options : 배터리 씨리얼 확인 및 서비스모드(지그킥)/일반/자동부팅 배터리 변환, 배터리 EEPROM 백업/복구. (단, 기판이 배터리 변환을 지원해야 하므로, PSP-100X 또는 TA-085 v1 기판인 PSP-200X만 사용 가능.)

* Registry Hacks : WMA 활성화, Flash Player 활성화, Flash1 포맷.

기존의 리커버리 모드에 없는 유용한 기능이 몇 가지 추가되었네요.


그리고 기본 메뉴에서 방향키 왼쪽 버튼을 누르면 위처럼 시스템 설정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이 메뉴는 원래의 리커버리 모드에 있던 것과 거의 동일하니 따로 설명하지는 않겠습니다. http://popotz.textcube.com/1219 에 있는 설명글을 참고해주세요. 여기서 동그라미버튼을 누르면 PSP를 종료할 수 있습니다.


또 기본 메뉴에서 방향키 오른쪽 버튼을 반복해서 누르면 VSH 플러그인 / GAME 플러그인 / POPS 플러그인의 활성화/비활성화가 가능한 메뉴로 전환됩니다. 역시 따로 설명할 필요는 없겠네요.


이번 rev.150에 추가된 새로운 기능입니다. 기본 메뉴에서 셀렉트버튼을 누르면 위처럼 언어(영어, 독일어, 프랑스어)와 배경 색상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방향키 좌/우로 언어 변경, 방향키 위/아래로 색상 변경입니다.

[ 제거방법 ]
설치 후 맘에 안 들어 제거하고 싶다면 아래처럼 해주면 됩니다. (설치 과정에서 먼저 백업했다는 가정하에...)

1.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URM V2.0을 다시 실행합니다.


2. 위와 같은 메뉴가 나오면 이번에는 'Restore backup' 메뉴를 선택합니다.

3. 그러면 자동으로 설치 전 백업했던 원본 파일을 복구하게 됩니다. (메모리스틱에 설치한 경우 ms0:/syREC/ 폴더는 수동으로 삭제해주어야 합니다.)
---------------------------------------------------------------------------------

# 새로운 recovery.prx 모듈이 원본보다 약 100KB 정도 크기때문에 flash0:/의 남은 용량을 반드시 확인해주세요.
# 위 설치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Alternate Recovery Menu rev.140
커펌을 사용하려면 이 정도는 알아둡시다
커펌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포포츠 백업 + NEW > CFW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Ultimate Recovery Menu rev.233  (0) 2010.12.30
Alternate Recovery Menu rev.140  (0) 2010.12.30
VSH Menu+ v1.2  (0) 2010.12.30
[추가] VSH Menu+ v1.1  (0) 2010.12.30
LEDA Beta 0.2  (0) 2010.12.30

Alternate Recovery Menu rev.140


기존 커펌 리커버리 메뉴의 그래픽을 변경하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해주는 Alternate Recovery Menu가 발표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사실 이전에 개발중인 Alternate Recovery Menu를 CoD3r-D가 멋대로 유출한 적이 있었는데, 그 유출 버전은 정말 제대로 사용하지 못할 정도로 엉망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발표된 버전은 원래의 개발자들이 정식으로 공개한거라 별 문제없이 작동하는 것 같네요.

하지만 이 역시 낸드플래시를 건드리는 작업이므로 언제나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그러니 아래 설치방법을 주의깊게 잘 읽고 설치 여부를 결정해주세요. 설치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추가사항 ] 찾아보니 rev.140까지 나와있군요. [출처가기]
자료를 rev.140으로 교체해두겠습니다. 그 외 설치법 / 사용법은 rev.135와 동일합니다.


[ 설치방법 ]
1. 자세한 설명이 없어서 설치 가능한 커펌 버전이 어떻게 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저는 커펌 5.50 GEN-D3에서만 테스트했으며, 프로그램 원리를 보면 커펌 5.00 M33에서도 사용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 외 임시 커펌 사용자들은 그냥 패스하는 게 좋을 듯...)

2.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URM'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3.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URM V2.0을 실행합니다.


4. 위와 같은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일단 만약을 위해 제일 먼저 세 번째 'Make backup' 메뉴를 엑스버튼으로 선택해서 원본파일을 반드시 백업해주세요.

그리고나서 설치를 하면 되는데, 설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Ressourcen to Flash0 (Flash0에 설치하기)
recovery.prx를 비롯해 관련 파일을 전부 flash0:/에 설치합니다. (flash0:/syRec/ 폴더)
단 flash0:/의 남은 용량이 1,039KB 이상이어야 합니다. PSP-200X는 상관없지만, PSP-100X는 flash0:/의 기본 용량이 부족해 벽돌이 될 수 있으므로 절대 이 방법으로 설치하지 마세요. 다만 flash0:/에 설치하는 경우 메모리스틱이 없어도 Alternate Recovery Menu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Ressourcen to MemoryStick (메모리스틱에 설치하기)
recovery.prx를 제외하고 관련 파일을 전부 메모리스틱에 설치합니다. (ms0:/syRec/ 폴더)
따라서 메모리스틱에 syRec 폴더가 없는 경우 리커버리 메뉴의 진입이 아예 불가능해집니다. 하지만 flash0:/의 용량은 120KB 정도만 차지하기 때문에 PSP-100X의 경우에도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5. flash0:/ 혹은 메모리스틱으로의 설치를 선택하면 관련 파일을 설치하게 됩니다. (위 스크린샷은 flash0:/에 설치한 모습.)
설치가 끝나면 엑스버튼을 눌러 XMB로 돌아갑니다.
(만약 flash0:/ 설치시 에러가 오류나 뜬다면 플러그인 문제일 수도 있으니 game.txt에 등록된 플러그인을 모두 끄고 나서 재설치 해보세요. 설치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그 후에는 플러그인을 다시 활성화해도 됩니다.)

[ 사용방법 ]
설치가 끝나면 기존대로 PSP를 완전히 종료한 뒤 R트리거를 누른채 PSP의 전원을 올립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새로운 리커버리 메뉴가 등장합니다. 선택은 엑스버튼, 취소는 동그라미버튼입니다. 또 리커버리 모드를 종료하고 XMB로 부팅하려면 기본 메뉴에서 동그라미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리커버리 메뉴에서는 원래 스크린샷을 못찍는데, 꼼수를 부려 찍다보니 화질이 이상하게 나오네요. 양해를...)


Alternate Recovery Menu의 기본 메뉴이며, 각 메뉴의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USB Connection : 메모리스틱 / Flash0 / Flash1 / Flash2 / Flash3 / UMD의 USB 연결 접속.

* Recovery Flsher : ms0:/PSP/GAME/RECOVERY/ 폴더에 리커버리 플래셔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바로 실행.

* CPU-Speed : XMB 모드와 GAME 모드에서의 CPU 클럭 설정. (Default/222/266/300/333MHz)

* System Tools : 기종/기판 정보 보기, 낸드이미지 백업/복구, 사용자 설정(Registry) 백업/복구.

* Battery Options : 배터리 씨리얼 확인 및 서비스모드(지그킥)/일반/자동부팅 배터리 변환, 배터리 EEPROM 백업/복구. (단, 기판이 배터리 변환을 지원해야 하므로, PSP-100X 또는 TA-085 v1 기판인 PSP-200X만 사용 가능.)

* Registry Hacks : WMA 활성화, Flash Player 활성화, Flash1 포맷.

기존의 리커버리 모드에 없는 유용한 기능이 몇 가지 추가되었네요.


그리고 기본 메뉴에서 방향키 왼쪽 버튼을 누르면 위처럼 시스템 설정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이 메뉴는 원래의 리커버리 모드에 있던 것과 거의 동일하니 따로 설명하지는 않겠습니다. http://popotz.textcube.com/1219 에 있는 설명글을 참고해주세요.


또 기본 메뉴에서 방향키 오른쪽 버튼을 반복해서 누르면 VSH 플러그인 / GAME 플러그인 / POPS 플러그인의 활성화/비활성화가 가능한 메뉴로 전환됩니다. 역시 따로 설명할 필요는 없겠네요.

[ 제거방법 ]
설치 후 맘에 안 들어 제거하고 싶다면 아래처럼 해주면 됩니다. (설치 과정에서 먼저 백업했다는 가정하에...)
Ressourcen to Flash0 : Flash0에 설치한 경우
1. ms0:/PSP/GAME/URM/ 폴더에 백업된 'recovery_backup.prx' 파일을 PC로 복사하고 파일명을 'recovery.prx'로 변경합니다.
2. PSP의 Flash0:/ 영역을 USB로 연결하고 위의 'recovery.prx' 파일을 Flash0:/vsh/module/ 폴더 안으로 덮어씁니다.
3. 마지막으로 Flash0:/의 syREC/ 폴더를 완전히 삭제합니다.

Ressourcen to MemoryStick : 메모리스틱에 설치한 경우
1. ms0:/PSP/GAME/URM/ 폴더에 백업된 'recovery_backup.prx' 파일을 PC로 복사하고 파일명을 'recovery.prx'로 변경합니다.
2. PSP의 Flash0:/ 영역을 USB로 연결하고 위의 'recovery.prx' 파일을 Flash0:/vsh/module/ 폴더 안으로 덮어씁니다.
3. 마지막으로 메모리스틱 최상위의 syRec/ 폴더를 완전히 삭제합니다.

# 새로운 recovery.prx 모듈이 원본보다 약 100KB 정도 크기때문에 flash0:/의 남은 용량을 반드시 확인해주세요.
# 위 설치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커펌을 사용하려면 이 정도는 알아둡시다
커펌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포포츠 백업 + NEW > CFW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Ultimate Recovery Menu rev.233  (0) 2010.12.30
Ultimate Recovery Menu rev.150  (0) 2010.12.30
VSH Menu+ v1.2  (0) 2010.12.30
[추가] VSH Menu+ v1.1  (0) 2010.12.30
LEDA Beta 0.2  (0) 2010.12.30

VSH Menu+ v1.2


기존의 VSH Menu에 플러그인과 관련된 옵션을 새로 추가해주는 VSH Menu+가  v1.2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VSH Menu+를 설치하면 VSH Menu 상에서 플러그인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쉽게 변경할 수 있어 기존의 귀찮음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번 v1.2는 커펌 5.00 M33과 5.50 GEN뿐만 아니라 커펌 5.03 Prometheus for HEN을 추가 지원하는 것이 주요 변경점입니다.

그 동안의 자세한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v1.2
* 커펌 5.03 Prometheus for HEN 추가 지원.
* XMB 아이콘을 밝게 함.
* 커펌 5.50 Gen-D3에서는 문제가 있어 플러그인의 최대 표시 수가 26개에서 25개가 되도록 레이아웃 변경.
* 플러그인이 27개가 넘는 경우 무시하던 문제 수정. (단, 표시되는 건 25개까지.)

v1.1
* 각 텍스트파일(vsh.txt/game.txt/pops.txt) 하나당 10개, 총 26개의 플러그인을 VSH Menu에 표시하도록 함.
* SAL씨가 올려준 XMB 아이콘 적용.

v1.0
* 첫 발표


[ 설치 방법 ]
1. 커펌 5.00 M33 / 커펌 5.50 GEN / 커펌 5.03 Prometheus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추가로 커펌 5.50 Prometheus에서는 동작 확인했으나, 그 외 다른 커펌 버전에서의 동작 여부는 모릅니다.)

2.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VSHMenuInstaller'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3.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Satelite Flasher v1.2'를 실행합니다.


4.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엑스버튼 -> 커펌 5.00 M33 / 커펌 5.50 GEN에 VSH Menu+를 설치합니다.
방향키 위 -> 커펌 5.03 Prometheus에 VSH Menu+를 설치합니다.

세모버튼 -> 커펌 550 GEN의 원래 VSH Menu로 복구합니다.
네모버튼 -> 커펌 5.00 M33의 원래 VSH Menu로 복구합니다.
방향키 아래 -> 커펌 5.03 Prometheus의 원래 VSH Menu로 복구합니다.

R트리거 ->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종료합니다.

VSH Menu+의 설치를 위해 커펌 5.00 M33/5.50 GEN 사용자는 엑스버튼, 커펌 5.03 Prometheus 사용자는 방향키 위버튼을 누릅니다. 설치가 끝나면 5초 후 자동으로 XMB로 복귀합니다.

[ 사용 방법 ]

이제 XMB에서 셀렉트버튼을 눌러 VSH Menu를 불러옵니다. 그러면 기존과는 다르게 타이틀이 VSH Menu +로 변경되어 있고, 몇 가지 옵션이 새로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XMB PLUGINS : XMB에서 플러그인 기능을 사용할지 안할지 설정.
* GAME PLUGINS : 홈브류/게임에서 플러그인 기능을 사용할지 안할지 설정.
* POPS PLUGINS : PS1에뮬에서 플러그인 기능을 사용할지 안할지 설정.

<위 세가지 옵션은 vsh.txt/game.txt/pops.txt와는 관계없이 플러그인 기능 자체를 사용할 것인지 사용하지 않을 것인지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리커버리 모드 -> Advanced configuration 안의 옵션과 동일.)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그냥 Enable로 두세요.>

* PLUGINS MANAGER : 각 개별 플러그인의 활성화/비활성화 설정.


그 중에서 'PLUGINS MANAGER' 옵션으로 들어가보면 리커버리 모드와 똑같이 vsh.txt / game.txt / pops.txt에 등록된 플러그인 목록이 보이게 되며 여기서 활성화(Enable) 또는 비활성화(Disable)를 변경할 수 있게 됩니다. 주의할 점은 VSH용 플러그인의 경우 PSP를 재부팅하거나 아무 홈브류/게임을 한 번 실행했다 종료해야만 변경사항이 적용된다는 점입니다.

[ 제거 방법 ]
위 설치시 사용했던 'Satelite Flasher'를 재실행하고 PSP의 커펌 버전에 맞게 세모버튼, 네모버튼, 방향키 아래버튼을 각각 눌러 원래의 VSH Menu로 복구하면 됩니다.

* 관련글 보기 *
[추가] VSH Menu+ v1.1
커펌 플러그인 기본 설치법
Ultimate VSH Menu Revised
플러그인 목록 편집 - plugins config editor

'포포츠 백업 + NEW > CFW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Ultimate Recovery Menu rev.150  (0) 2010.12.30
Alternate Recovery Menu rev.140  (0) 2010.12.30
[추가] VSH Menu+ v1.1  (0) 2010.12.30
LEDA Beta 0.2  (0) 2010.12.30
1.50 커널 부분 구동 : LEDA Beta 0.1  (0) 2010.12.30

[추가] VSH Menu+ v1.1


기존 커펌의 VSH Menu에 유용한 기능을 추가시켜주는 VSH Menu+ v1.0이 공개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여기서 말하는 유용한 기능이란, 바로 플러그인의 활성화/비활성화를 VSH Menu에서 바로 설정할 수 있다는 것. 원래 플러그인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설정하려면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가거나, ms0;/seplugins/ 폴더의 텍스트 파일을 직접 수정하는 등 귀찮은 과정을 거쳐야 했는데, VSH Menu+를 설치하면 XMB에서 간단히 설정 가능하게 됩니다.

[ 추가사항 ] 제작자가 위 출처의 피드백을 통해 몇 가지 부분을 수정한 VSH Menu+ v1.1을 발표했습니다. [출처 상동]

v1.1의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각 텍스트파일(vsh.txt/game.txt/pops.txt) 하나당 10개, 총 26개의 플러그인을 VSH Menu에 표시하도록 함.
* SAL씨가 올려준 XMB에서 보여지는 홈브류 아이콘 적용.

어제 VSH Menu+ v1.0을 설치한 사용자도 아래 자료를 통해 v1.1을 재설치하면 업데이트됩니다.
(VSH Menu+의 PLUGINS MANAGER 옵션으로 들어가보면 버전 확인이 가능합니다.)


[ 설치 방법 ]
1. 커펌 5.00 M33 / 커펌 5.50 GEN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2.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VSHMenuInstaller'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3.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Satelite Flasher'를 실행합니다. (v1.1에서는 홈브류 아이콘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4.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엑스버튼 -> 수정된 VSH Menu를 설치합니다.
세모버튼 -> 커펌 550 GEN의 원래 VSH Menu로 복구합니다.
네모버튼 -> 커펌 5.00 M33의 원래 VSH Menu로 복구합니다.
R트리거 ->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종료합니다.
설치를 위해 엑스버튼을 누르면 설치가 끝나고 5초 후 자동으로 XMB로 복귀합니다.

[ 사용 방법 ]

이제 XMB에서 셀렉트버튼을 눌러 VSH Menu를 불러옵니다. 그러면 기존과는 다르게 타이틀이 VSH Menu +로 변경되어 있고, 몇 가지 옵션이 새로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XMB PLUGINS : XMB에서 플러그인 기능을 사용할지 안할지 설정.
* GAME PLUGINS : 홈브류/게임에서 플러그인 기능을 사용할지 안할지 설정.
* POPS PLUGINS : PS1에뮬에서 플러그인 기능을 사용할지 안할지 설정.

<위 세가지 옵션은 vsh.txt/game.txt/pops.txt와는 관계없이 플러그인 기능 자체를 사용할 것인지 사용하지 않을 것인지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리커버리 모드 -> Advanced configuration 안의 옵션과 동일.)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그냥 Enable로 두세요.>

* PLUGINS MANAGER : 각 개별 플러그인의 활성화/비활성화 설정.


그 중에서 'PLUGINS MANAGER' 옵션으로 들어가보면 리커버리 모드와 똑같이 vsh.txt / game.txt / pops.txt에 등록된 플러그인 목록이 보이게 되며 여기서 활성화(Enable) 또는 비활성화(Disable)를 변경할 수 있게 됩니다. 주의할 점은 VSH용 플러그인의 경우 PSP를 재부팅하거나 아무 홈브류/게임을 한 번 실행했다 종료해야만 변경사항이 적용된다는 점입니다.

[ 제거 방법 ]
위 설치시 사용했던 'Satelite Flasher'를 재실행하고 PSP의 커펌 버전에 맞게 세모버튼 혹은 네모버튼을 눌러 원래의 VSH Menu로 복구하면 됩니다.

# 기존에는 플러그인 활성화 /비활성화하는게 은근히 귀찮았는데 이제 훨씬 편해졌네요. 참 맘에 듭니다.

* 관련글 보기 *
커펌 플러그인 기본 설치법
Ultimate VSH Menu Revised
플러그인 목록 편집 - plugins config editor

'포포츠 백업 + NEW > CFW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ternate Recovery Menu rev.140  (0) 2010.12.30
VSH Menu+ v1.2  (0) 2010.12.30
LEDA Beta 0.2  (0) 2010.12.30
1.50 커널 부분 구동 : LEDA Beta 0.1  (0) 2010.12.30
XMB 스타일 리커버리 모드  (0) 2010.12.30

LEDA Beta 0.2

신형/구형 PSP에서 1.00/1.50 홈브류를 구동할 수 있게 해주는 LEDA가 베타 0.2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기본적인 내용은 이전과 변함이 없으므로 베타 0.1 관련글을 읽어보시면 될 듯 하고...

이번 베타 0.2의 변경점은 오직 하나뿐입니다. 포럼 쓰레드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업데이트한 것 같네요.
An update to improve compatibility. Still no perfect but this should run quite more homebrews than 0.1

호환성 향상을 위한 업데이트다. 아직 완벽하지는 않지만 이전 0.1에 비해 상당히 많은 홈브류를 구동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부터는 이전글 복사 & 붙여넣기. ㅡㅡ;
(이전 LEDA beta 0.1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삭제할 필요는 없고 그냥 아래 방법대로 새로 설치하면 됩니다.)

[ 설치법 ]
1. 위의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LEDA'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 만약 나중에 LEDA 설치 전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분들은 아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flash0:/kd/pspbtjnf.bin (구형일 경우) 또는 flash0:/kd/pspbtjnf_02g.bin (신형일 경우) 파일을 백업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3. 복사가 끝나면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LEDA - Legacy...'을 실행합니다.


4.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자동으로 필요한 파일이 flash0:/에 설치되고 잠시후 XMB로 복귀합니다.
이제 ms0:/PSP/GAME/LEDA/ 폴더는 필요가 없으므로 원할 경우 삭제해도 됩니다.


5. 설치가 끝나면 이제 예전 1.00/1.50 커널 홈브류를 기존대로 ms0:/PSP/GAME/ 폴더 또는 GAME150/ 폴더에 설치하고 XMB에서 바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위의 스크린샷은 테스트 삼아 구동한 1.50 커널용 홈브류 게임의 구동 모습입니다.

[ 알아둘 점 ]
1. 리드미에도 적혀있듯이 아직까지는 1.50 커널 애드온에 비해 호환성이 떨어집니다. 모든 1.00/1.50 커널용 홈브류를 구동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하세요.

2. 1.50 커널용 홈브류의 경우 XXX, XXX%같은 2개의 폴더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LEDA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런 형식의 홈브류는 구동될 수도 구동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구동이 되지 않는 경우 2개의 폴더로 구성된 1.50 커널용 홈브류를 하나의 폴더로 구성된 1.00 커널용 홈브류로 변환해야 하는데 http://popotz.textcube.com/373을 참고하세요.

3. 플러그인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만약 1.00/1.50 커널 홈브류가 실행이 안된다면 GAME.txt에 등록된 모든 플러그인을 비활성화하고 테스트해보세요. 또 홈브류 로딩중 R트리거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LEDA의 스페셜 모드로 실행이 된다고합니다.

4. 현재 호환 가능한 홈브류 목록은 http://dark-alex.org/forum/viewtopic.php?f=44&t=8943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1.50 커널 애드온의 경우 구형 PSP에서만 사용가능하고, flash0:/의 용량을 많이 차지하는데 비해 LEDA는 간편하면서도 좋은 점이 많네요. 이제 호환성만 조금 나아진다면 더 좋겠습니다.
# 이번 0.1 베타버전의 주목적은 호환되지 않는 홈브류가 무엇인지 알아내는데 있다고 합니다. 궁극적인 목표는 당연히 1.50 커널 애드온의 대체가 되겠죠.

1.50 커널 부분 구동 : LEDA Beta 0.1

Dark_AleX가 LEDA - Legacy Software Loader beta 0.1이라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발표했습니다. [출처가기]

기존의 구형 PSP 전용 1.50 커널 애드온과 비슷하게 예전 1.00/1.50 커널용 홈브류를 구형/신형 PSP에서 구동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아래는 리드미 번역입니다.
LEDA - Legacy Software Loader, beta 0.1
 
설명 :
LEDA는 커펌 M33에 1.00/1.50 커널용 홈브류중 일부를 구동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시켜 주는 프로그램이다.
메모리의 낭비를 피하기 위해 LEDA는 필요한 경우에만 로드된다.
현재 LEDA의 호환성은 베타버전이므로 알려진 바가 없다.
LEDA는 아마 이전 커펌 M33에서도 구동되리라 생각하지만, 현재는 커펌 5.00 M33에서만 테스트되었다.

LEDA가 개발되었다고 해서 이전 1.50 커널 애드온의 개발이 중지되지는 않을 것이다. 1.50 커널 애드온은 만들기도 쉽고, 거의 완벽한 1.50 커널 호환성을 보여주기 때문에 계속 개발할 것이다. 하지만 LEDA는 1.50 커널 애드온과는 다른 장점을 몇 가지 가지고 있다.

장점 :
- 구형 PSP뿐만 아니라 신형 PSP에서도 구동이 가능하다.
- 낸드플래시에 많은 용량을 차지하지 않는다.
- 홈브류를 어느 폴더에 설치할지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LEDA는 처음에 보통의 3.xx 커널처럼 홈브류를 구동하려고 한다. 그래서 구동된다면 해당 홈브류를 3.xx 커널용으로 인식하고 램의 낭비를 막기 위해 LEDA는 자체적으로 종료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LEDA는 1.0/1.50 커널용 홈브류를 구동하기 위해 몇 가지 패치를 하게 된다.
- 1.50 커널 애드온과는 다르게, LEDA는 펌웨어 버전과 상관없이 독자적으로 구동된다. 즉, 새로운 커펌 M33이 발표되더라도 LEDA 자체는 업데이트하지 않아도 동일하게 구동될 것이다.

단점 :
- 아직까지는 호환성이 낮다. 어쨌든, 현재까지 유용하게 사용되는 예전 홈브류들이 업데이트되지 않거나, 업데이트되더라도 예전 버전이 더 좋은 경우가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LEDA의 호환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설치방법 : 아래에서 따로 설명.


[ 설치법 ]
1. 위의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LEDA'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 만약 나중에 LEDA 설치 전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분들은 아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flash0:/kd/pspbtjnf.bin (구형일 경우) 또는 flash0:/kd/pspbtjnf_02g.bin (신형일 경우) 파일을 백업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3. 복사가 끝나면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LEDA - Legacy...'을 실행합니다.


4.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자동으로 필요한 파일이 flash0:/에 설치되고 잠시후 XMB로 복귀합니다.
이제 ms0:/PSP/GAME/LEDA/ 폴더는 필요가 없으므로 원할 경우 삭제해도 됩니다.


5. 설치가 끝나면 이제 예전 1.00/1.50 커널 홈브류를 기존대로 ms0:/PSP/GAME/ 폴더 또는 GAME150/ 폴더에 설치하고 XMB에서 바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위의 스크린샷은 테스트 삼아 구동한 1.50 커널용 홈브류 게임의 구동 모습입니다.

[ 알아둘 점 ]
1. 리드미에도 적혀있듯이 아직까지는 1.50 커널 애드온에 비해 호환성이 떨어집니다. 모든 1.00/1.50 커널용 홈브류를 구동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하세요.

2. 1.50 커널용 홈브류의 경우 XXX, XXX%같은 2개의 폴더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LEDA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런 형식의 홈브류는 구동될 수도 구동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구동이 되지 않는 경우 2개의 폴더로 구성된 1.50 커널용 홈브류를 하나의 폴더로 구성된 1.00 커널용 홈브류로 변환해야 하는데 http://popotz.textcube.com/373을 참고하세요.

3. 플러그인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만약 1.00/1.50 커널 홈브류가 실행이 안된다면 GAME.txt에 등록된 모든 플러그인을 비활성화하고 테스트해보세요. 또 홈브류 로딩중 R트리거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LEDA의 스페셜 모드로 실행이 된다고합니다.

4. 현재 호환 가능한 홈브류 목록은 http://dark-alex.org/forum/viewtopic.php?f=44&t=8943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1.50 커널 애드온의 경우 구형 PSP에서만 사용가능하고, flash0:/의 용량을 많이 차지하는데 비해 LEDA는 간편하면서도 좋은 점이 많네요. 이제 호환성만 조금 나아진다면 더 좋겠습니다.
# 이번 0.1 베타버전의 주목적은 호환되지 않는 홈브류가 무엇인지 알아내는데 있다고 합니다. 궁극적인 목표는 당연히 1.50 커널 애드온의 대체가 되겠죠.

XMB 스타일 리커버리 모드

얼마 전에 Dark_AleX가 VLF 라이브러리를 정식으로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관련글 보기)
DC 시리즈나 커펌 인스톨러에 적용된 것처럼 홈브류에서 XMB 스타일을 사용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죠.

그리고 PSPGen에서 이 VLF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커펌 M33의 리커버리 모드를 변경해주는 프로그램이 발표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설치 전에 알아둘 점이 몇 가지 있습니다. 잘 읽어보시고 설치 여부를 결정해주세요.
- 낸드플래시 영역에 직접 설치하므로 벽돌의 위험이 있으며,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이 있는 분만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설치시 flash0은 224KB, flash1은 384 KB의 용량을 차지하므로 남은 용량에 주의해주세요.
- 현재는 커펌 M33에서만 호환되며, 커펌 GEN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아직 기존 리커버리 모드의 모든 기능이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Plugins' 메뉴와 'Format flash1 and reset settings 메뉴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진입시 멈춤)
- 설치시 M33의 VSH menu 사용 설정이 반대가 되는 등 몇 가지 버그가 있습니다.


1. 커펌 M33용이라고만 되어 있고 정확한 설치 가능 커펌 버전이 나와있지 않은데, 저는 커펌 5.00 M33-6에서만 테스트했습니다. 그리고 만약을 위해 낸드플래시 백업 등 충분한 대책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2.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Zer01ne_Recovery'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3.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Zer01ne'을 실행하고 맨 위의 메뉴를 선택하면 복구를 위해 원본 'recovery.prx' 파일을 메모리스틱에 백업한 뒤, 낸드플래시에 필요한 파일을 자동으로 설치하게 됩니다.


4. 설치가 끝난 뒤 기존처럼 PSP를 완전히 종료하고 R트리거를 누른채 부팅하면 기존의 리커버리 모드가 아닌 위처럼 XMB 스타일의 리커버리 모드가 실행됩니다. 위에서 적었다시피 Plugins 메뉴와 Advanced -> 'Format flash1 and reset... 메뉴는 작동하지 않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5. 기능 자체는 기존 M33의 리커버리 모드와 완전히 동일하나 새롭게 리커버리 모드의 배경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추가되어 있습니다.


6. 만약 이 새로운 리커버리 모드를 제거하려면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Zer01ne'을 실행하고 두번째 메뉴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설치된 파일을 제거하고 원래대로 복구합니다.

아직은 조금 부족한 모습이지만  추후 버전에서는...
- 버그 수정.
- 현재 작동하지 않는 메뉴 추가.
- VLF 라이브러리를 새로운 버전으로 교체.
- 커펌 GEN용의 Zer01ne 리커버리 모드 개발.
- Zer01ne 리커버리 모드를 꾸밀 수 있는 새로운 옵션 추가.

# 설치시 일어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4.01 M33에 4.05의 비주얼 플레이어 추가하기


어제 발표된 펌웨어 4.05의 공식적인 '국내' 변경점은 음악 재생시의 비주얼 플레이어가 추가된 것입니다.
그래서 펌웨어 4.05에서 추가된 비주얼 플레이어를 커펌 4.01 M33에 삽입하는 방법이 공개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사실 간단히 파일 몇 개만 바꿔주면 되는 거라 별로 어렵거나 힘든 작업은 아닙니다.

[ 단순히 방법만을 다룰뿐, 저작권에 위배되는 어떠한 자료도 첨부하지 않습니다. ]

1. 우선 http://popotz.textcube.com/816를 참고해서 커펌 4.01 M33이 설치된  flash0의 숨김 속성을 모두 해제하고 충분한 용량을 확보합니다.

2. http://popotz.textcube.com/918를 참고해서 공식 펌웨어 4.05를 개별 파일로 덤프합니다. 덤프할 때의 버튼은 상관이 없어보입니다만, 용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동그라미버튼이나 엑스버튼으로 덤프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덤프가 완료되면 새로 생성된 'DUMP' 폴더로 들어가 아래 3개의 파일을 따로 보관해둡니다.
vsh\module\music_player.prx
vsh\module\visualizer_plugin.prx
vsh\resource\visualizer_plugin.rco

4. 이제 PSP와 PC를 USB로 연결한 뒤 커펌 4.01 M33의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가 Advanced - Toggle USB (flash0) 항목을 선택합니다.

5. PC로 PSP의 flash0 영역이 이동식 디스크로 잡히면 위 3번에서 말한 3개의 파일을 해당 위치에 덮어씁니다. (단, 덮어쓰기 전에 만약을 위해 원본 파일을 꼭 백업합시다.) -> 이 과정을 쉽게 해주는 홈브류도 나왔습니다만, 수작업도 그다지 어렵지 않기에 패스합니다.

6. 이제 USB 연결을 해제하고 PSP를 부팅하면 펌웨어 4.05에서 추가된 비주얼 플레이어를 사용할 수 있게됩니다.

[ 추가사항 ] 몇몇 분이 질문하셨는데, 커펌 4.01 M33이 아닌 그 미만의 커펌에서 위의 방법대로 설치한 경우 음악 메뉴에 들어가면 PSP가 멈추게 됩니다. 그러니, 커펌 4.01 M33에서만 사용하세요.

# 위 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Dark_AleX가 Alek의 코멘트를 인용하면서, 사실상 커펌 4.05 M33은 개발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출처가기]
비주얼 플레이어 하나 추가하려고 개발하는 건 시간 낭비라네요.

저도 동감입니다. 그냥 위 방법대로 비주얼 플레이어만 추가하면 그게 커펌 4.05 M33이랑 똑같은 거죠... ㅡㅡ;
외국쪽에서는 PSN의 몇몇 기능이 펌웨어 4.05를 요구하는지라 커펌 4.05를 원하는 듯 싶습니다만, 국내에서는 뭐,,,

Project4 POC Beta 1 - XMB 교체


Project4 - Proof of concept(개념증명 단계)의 Beta가 드디어 공개되었습니다. [출처가기]

Project4란 Auraomega가 진행중인 프로젝트로 손휘의 XMB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는 독창적인 메뉴를 만들어 내는 것이 목적입니다. 아얄쉘이나 기타 쉘 프로그램이 홈브류 형식으로 실행되어 PSP의 유저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서 Project4는 낸드플래시에 바로 설치되는 것이 차이점이며, 홈브류 구동 등을 XMB보다 더욱 편하게 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합니다.

아직은 개념 증명 단계이자 베타 버전이므로 XMB를 실제로 대체하기에는 부족하지만, 그 시도와 가능성만큼은 높게 생각해야 할 듯 싶습니다. Project4가 지금보다 더 발전하여 완벽한 기능과 편의성을 가지게 된다면 더 이상 손휘 펌웨어의 도움을 받지 않는 진정한 의미의 커스텀 펌웨어가 될 수도 있겠죠.

현재까지의 지원기능과 미지원 기능 등은 아래와 같습니다.
현재 동작하는 기능
ISO 로딩 / CSO 로딩 / ISOFs 노UMD 모드 / 편집한 GUI / 3.xx 커널용 EBOOT.PBP, PRX, ELF 로딩 / 1.50 커널용 EBOOT, PRX, ELF 로딩 / PNG 로더 / JPG 로더 / HEX 리더 / UMD 로더 / 내부 키보드 (곧 손희 키보드로 교체될 예정) / 파일 복사 / 설정 변경 및 플래시 쓰기 / 테마 플래싱

불완전한 기능
MP3 플레이어 / 텍스트 리더 / 파일 삭제 (내부에 파일과 폴더가 존재할 경우 폴더 삭제 불가) / 노UMD 호환성 (M33과 NP9660 미지원)
 
작동하지 않는 기능
M3U 로더 / USB 연결 / XMB 로더

미래에 예정된 기능
완벽한 이미지 뷰어 / 완벽한 뮤직 플레이어 / 비디오 플레이어 / PSP 설정 메뉴 / 무선 파일 교환 / PiKey 호환성 / 현재 폰트를 intraFont 스타일로 교체

flash0과 flash1 등 PSP에 직접 설치되므로 설치 및 제거시 벽돌 및 반벽돌이 될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하세요.


현재 외국에서 속속 벽돌이 되고 있다는 보고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제작자가 대처하고는 있는데, 힘들겠더군요.
저는 3번 정도 설치 / 제거를 반복했는데, 운이 좋았는지 다른 문제는 없었습니다.

판도라의 배터리/유니버셜 언브리커가 없는 분들은 절대 설치하지 마세요.

Project4 POC Beta1 설치법 및 삭제법 열기


# 설치 후 첫인상은 그냥 테마팩을 교체한 느낌 정도입니다. 하지만 구현되지 않은 기능이 많을 뿐더러, 사용하는데에도 기존의 XMB가 더욱 좋게 느껴지는군요. 홈브류 실행시에도 파일을 찾아 실행해야하므로 더욱 불편한 느낌입니다.
# Project4는 XMB만을 교체하는 프로그램으로, 설치하더라도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나 플러그인 등은 기존과 동일하게 사용가능합니다.
# 위 설치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PSPLock v5 - PSP 잠금

PSP에 암호를 설정하여 다른 사람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해주는 PSPLock v5가 발표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예전에 v2까지 소개하고 잊고 있었는데, 어느새 v5까지 업데이트되었군요.

이번 v5에서는 매번 부팅할 때마다 오프닝화면이 나오던 문제를 수정하고 이 외 다른 많은 버그를 수정했다고 합니다.
모든 커펌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보이며, 저는 커펌 3.71 M33-4에서 테스트했습니다.

* Download : PSPLock v5 Bugfix

[ 설치 방법 ]
1. PSP의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가 USB로 flash0:/에 접속합니다.
2. 커펌 3.71의 경우에는 flash0:/vsh/module/ 폴더로 들어가 'vshmain.prx' 파일의 이름을 'vshmain_real.prx'로 변경합니다. (커펌 3.52 이하의 버전에서는 flash0:/vsh/nodule/ 폴더입니다.)
3. 이제 위 첨부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vshmain.prx' 파일을 커펌 3.71의 경우에는 flash0:/vsh/module/ 폴더로 복사합니다. (커펌 3.52 이하의 버전에서는 flash0:/vsh/nodule/ 폴더입니다.)
4. 이번엔 flash1:/ 에 접속한 뒤 첨부된 'lock.lock' 파일을 flash1:/ 상위에 복사합니다.
(복사하기 전에 메모장으로 'lock.lock' 파일을 열어 자신이 사용할 5자리 숫자의 암호로 변경해주세요.)
6. 첨부된 'config.lock' 파일도 flash1:/의 상위에 복사합니다.
(복사하기 전에 config.lock 파일의 설정값은 반드시 아래의 설명을 참고해서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7. 설치가 완료되었으며, 이제부터 PSP는 config.lock 파일의 설정에 따라 동작하게 됩니다.

[ 삭제 방법 ]
1. flash1:/에 복사한 'lock.lock' 파일과 'config.lock' 파일을 삭제합니다.
2. flash0:/에 있는 'vshmain.prx' 파일을 삭제하고 'vshmain_real.prx' 파일의 이름을 'vshmain.prx'로 다시 변경합니다.

[ config.lock 설정 방법 ]
PSPLock은 config.lock에 따라 3가지 방식으로 동작하게 됩니다.
'config.lock' 파일은 0과 1로 조함된 세 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집니다. 설치하기 전에 메모장으로 'config.lock' 파일을 열고 아래의 설명을 참고하여 설정을 변경해주세요.
첫번째 숫자 : Text output  /  두번째 숫자 : Manual input  /  세번째 숫자 : Disable

100으로 설정할 경우 : flash1:/lock.lock 파일에 설정된 암호와 동일한 숫자를 가지는 'lock.lock' 파일이 메모리스틱 상위에 있어야만 정상적으로 부팅됩니다. 만약 메모리스틱에 'lock.lock' 파일이 없거나, 있더라도 flash1:/lock.lock와 암호가 다르면 부팅이 안되는 잠금상태가 됩니다. 즉, 메모리스틱을 빼면 잠금상태.

110 또는 010으로 설정할 경우 : PSP를 부팅할때마다 아래와 같이 암호를 묻는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방향키로 flash1:/에 저장되어 있는 5자리의 암호를 입력하고 엑스버튼을 누르면 정상적으로 부팅됩니다. 만약 암호가 틀리면 부팅이 안되는 잠금상태가 됩니다. (추천하는 설정입니다.)

001로 설정할 경우 : PSP는 항상 잠금상태가 됩니다. 이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가 flash1:/에 있는 'config.lock' 파일을 수정해 설정을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 PSPLock 이전 버전을 설치했다면 제거후 새로 설치해야 합니다.
# PSPLock을 적용하면 CXMB 플러그인은 동작하지 않습니다.
# 현재 게임을 종료하고 XMB로 나올때마다 암호를 다시 입력해야 하는 버그가 있습니다.
# 위 설치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2007/12/09 - [커펌용 플러그인] - Protect-me v2.0 - PSP 잠금 플러그인
2007/09/08 - [커펌용 플러그인] - PSP Locker - PSP 잠금
2007/07/19 - [커펌용 홈브류] - PSPLock v2 - PSP 잠금
2007/07/17 - [커펌용 홈브류] - PSPLock v1 - PSP 잠금

Eboot launching prx - XMB에서 홈브류 바로 실행하기


거의 사용할 일이 없는 네트워크 업데이트 아이콘을 홈브류 실행 기능으로 변경해주는 파일입니다. [출처가기]

커펌 3.71 M33 / M33-2가 설치된 구형 / 신형 PSP에서 모두 사용가능합니다.


위의 첨부파일 안에 있는 'update_plugin.prx' 파일을 flash0:/vsh/module/ 폴더의 원본 파일에 덮어씁니다.
(PSP Filer는 제대로 복사가 안되므로,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를 사용하세요.)

그리고 'ms0:/PSP/GAME/HOMEBREW/' 라는 폴더를 만들고 실행하고자 하는 홈브류를 그 안에 넣어두면 완료됩니다. (EBOOT.PBP 파일을 포함한 모든 관련 폴더, 파일을 넣어두세요.)

이제 XMB에서 네트워크 업데이트 아이콘을 선택하면 바로 지정한 홈브류가 실행됩니다.
자주 사용하는 홈브류로 해두면 더 편하게 실행할 수 있겠죠.

단, 신형 PSP의 경우 3.xx 커널용 홈브류만 구동 가능하며, 모든 홈브류가 구동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1.50 커널 애드온이 설치된 구형 PSP의 경우, 3.xx 커널용 홈브류뿐만 아니라 1.50 커널용 홈브류도 구동 가능합니다.

# 기존의 재부팅 모듈과 비슷한 원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하지만 재부팅 모듈은 PSP를 재부팅하는 기능이고, 위 파일은 홈브류를 실행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만약 위의 prx 파일을 vsh.txt에 플러그인으로 등록해서 활성화하면, PSP 부팅시 해당 홈브류가 바로 실행되는 기능을 하게 됩니다.

* 관련글 보기 *
2007/09/26 - [커펌용 홈브류] - 3.71 M33용 PSP 재부팅/종료 PRX

3.71 M33에서 3.40 OE / 3.52 M33 리커버리 사용하기


커펌 3.71 M33에는 이전 커펌과는 다르게 약간의 심각한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리커버리 모드에서 flash0/1에 접속하거나 XMB에서 VSH메뉴를 통해 flash0/1에 접속한 뒤에 그 안으로 파일을 복사해 넣을 경우 파일에 변형이 일어나게 되어 제대로 복사가 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폰트 등을 넣을 때 심한 경우에는 무한으로 블루스크린이 뜨며 결국에는 복구가 되지 않기도 하죠.
(그 블루스크린에서 동그라미버튼으로 복구하려 하면 바로 벽돌입니다.)

그래서 되도록이면 낸드플래시를 건드리지 말고 사용하거나, 커펌 3.71 M33에 1.50 커널 애드온을 설치한 경우 예전의 1.50 커널용 PSP Filer를 쓰는 것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chachakoala라는 사람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전 커펌 3.40 OE / 커펌 3.52 M33에서 쓰이는 리커버리 관련 파일인 recovery.elf을 홈브류 형식으로 변환해서 커펌 3.71 M33에서도 이전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를 실행할 수 있게 내놓았습니다. [출처가기]

커펌 3.40 OE / 커펌 3.52 M33에서는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flash0/1에 파일을 넣어도 별 문제가 없었기에 이를 이용한 것이지요.


이 프로그램은 커펌 3.71 M33에 1.50 커널 애드온이 설치된 구형 PSP에서만 사용가능합니다.
위에서 3.40 OE나 3.52 M33 중 하나를 선택해, 압축을 풀고 나오는 PSP 폴더를 메모리스틱 상위에 덮어씁니다.
이제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 들어가 '3.40 OE Recovery'나 '3.52 M33 Recovery'를 실행합니다.
그럼 예전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가 실행되는데, 기존처럼 Advanced 메뉴로 들어가 flash0/1에 접속한뒤 파일 복사 작업을 하면 됩니다. (폰트 설치나 테마관련 파일 설치 등...)
단, 이 기능 외에 다른 메뉴에 있는 커펌 설정은 건드리지 마세요.

테스트 삼아서 3.40 OE 리커버리를 통해 flash0:/font/ 폴더로 들어가 몬X 한글폰트를 설치했는데, 정상적으로 잘 나옵니다. (기본으로 들어 있는 커펌 3.71 M33의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넣으면 블루스크린이 떴었죠.)

# 사실 위에서 말한 커펌 3.71 M33의 문제는 1.50 커널 애드온이 발표되었기 때문에 PSP Filer를 이용하면 해결됩니다. 이 프로그램 역시 1.50 커널 애드온이 필수니 PSP Filer의 구동조건과 그다지 차이는 없지요. 단지 PSP Filer의 사용법보다 더 쉽고, PC - 메모리스틱 - 낸드플래시가 아닌 PC - 낸드플래시로 바로 복사가 가능하다는 점이 장점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 이 프로그램이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서도 구동된다면 낸드플래시 건드리다 반벽돌된 분들께도 희망이 있겠지만, 커펌 3.71 M33의 리커버리 모드는 3.xx 커널에서 동작하므로 구동이 불가능하네요.

# 커펌이 설치된 신형 PSP는 1.50 커널이 동작하지 않으므로 위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혹시라도 3.xx 커널용으로 개조되어 나온다면 가능해지겠죠.

# 위 실행 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펌웨어 버전명 바꾸기(3.52 M33-4 전용)


시스템 정보상에 나오는 펌웨어 버전명을 수정하는 Firmware Version Spoofer for 3.52 M33-4입니다. [출처가기]

예전 커펌 OE용으로 나오던 Version Changer와 기능은 동일하며, 커펌 3.52 M33-4 전용입니다.

* Download: PSP Firmware Version Spoofer for 3.52 M33-4

첨부파일을 받고 압축을 푼 뒤에, 그 안의 'Firmware Spoofer' 폴더를 ms0:/PSP/GAME150/ 폴더에 복사하고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실행합니다.

그럼 위와 같은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여기서 자신이 원하는 이름으로 펌웨어 버전명을 수정하면 됩니다.
* 방향키 좌/우 : 자리 변경
* 방향키 상/하 : 문자 변경
* 네모버튼 : 대문자/소문자 변경
* 엑스버튼 : 변경된 펌웨어 버전명을 낸드플래시에 덮어쓰기

총 12개의 문자를 지원하며, 다시 원래대로 돌아가고 싶다면 메모리스틱 상위에 백업된 'vshctrl.prx' 파일을 flash0:/kn/ 폴더에 덮어쓰면 됩니다. 실행하기 전에 원본 flash0:/kn/vshctrl.prx 파일을 백업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 실제로 펌웨어 버전이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화면에 보여지는 펌웨어 버전명만을 수정하는 프로그램이므로 그다지 필요는 없는데, 그냥 재미삼아 하실분만 사용하세요. ^^ (사실 헥스에디터로 직접 수정할 수도 있죠.)

커펌 3.51 M33용 부트리커버리


커펌 3.51 M33용 부트리커버리입니다. [출처가기]

PSP를 재부팅하지 않고, XMB상에서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하게 해주는 홈브류 프로그램인데, 이번에 커펌 3.51 M33용으로 아이콘이 변경되어 발표되었습니다.

* Download : Boot Recovery 3.51 M33

첨부파일을 받아 그 안의 'PSP' 폴더를 커펌 3.51 M33이 설치되어 있는 PSP의 메모리스틱 상위에 복사하면 설치는 완료됩니다.

단, 낸드플래시를 건드리는 등의 위험한 작업을 할 때는 만약을 위해 부트리커버리의 사용을 자제해주세요.

PSP 카메라 Mod v1


PSP 카메라의 셔터음을 삭제해주는 파일입니다. [출처가기]

PSP 카메라로 사진을 찍을때는 반드시 특정한 소리가 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요즘 출시되는 핸드폰 카메라에도 적용되어 있는 것으로 몰래카메라를 방지하기 위함이죠.
하지만 PSP 카메라의 사진 찍는 소리를 없애주는 에디트된 파일이 나왔습니다. ㅡㅡ;

커펌 3.XX OE 사용자만 설치하세요.
아래 첨부파일을 받은 뒤 그 안의 camera_plugin.rco 파일을 Filer나 리커버리모드의 플래시 접속을 이용하여 flash0:/vsh/resources/ 폴더의 원본 파일과 교체해주면 됩니다. (교체하기에 앞서 반드시 원본 파일을 백업해 놓으세요.)
그리고 PSP 카메라를 연결한 뒤 설정 메뉴에서 사운드를 '5'로 설정하면 사진 찍을 때 셔터음이 안 나옵니다.

* Download : Go! Cam Mod v1

# 저는 PSP 카메라가 없어서 뭐라 할 말은 없네요. (사고는 싶지만...)
# 핸드폰 카메라는 반드시 소리가 나도록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지만 PSP 카메라는 범위에 포함되지 않겠죠?
# 단지 셔터음이 거슬리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지 불법적인 곳에 이용하라고 하는 것이 아닙니다. (정말?)

'포포츠 백업 + NEW > CFW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웨어 버전명 바꾸기(3.52 M33-4 전용)  (0) 2010.12.30
커펌 3.51 M33용 부트리커버리  (0) 2010.12.30
PSPDiag .2 : PSP 정보 확인  (0) 2010.12.30
PRX Launcher v0.4  (0) 2010.12.30
Homebrew Hider v1.0  (0) 2010.12.30

PSPDiag .2 : PSP 정보 확인


PSPDiag .2라는 커펌 전용 홈브류가 발표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위 화면에서 보듯이 PSP의 현재 정보를 알려주는 홈브류입니다.
액정 테스트 결과, CPU클럭, 배터리 정보, 각종 스위치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Download : PSPDiag .2

# 다음 버전에서는 커펌의 플러그인 형식으로 변환해서 내놓을 거라는군요.

'포포츠 백업 + NEW > CFW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펌 3.51 M33용 부트리커버리  (0) 2010.12.30
PSP 카메라 Mod v1  (0) 2010.12.30
PRX Launcher v0.4  (0) 2010.12.30
Homebrew Hider v1.0  (0) 2010.12.30
XMB Font Preview 1.00  (0) 2010.12.30

PRX Launcher v0.4

XMB의 메뉴를 홈브류 실행 모듈로 변경해주는 PRX Launcher v0.4가 발표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이전 버전인 v0.3f가 커펌 3.10 OE 까지만 지원했는데 이번 v0.4는 커펌 3.30 / 3.40 OE 까지 지원하는군요.

설치방식이 약간 바뀌었습니다. 첨부파일을 받으면 HB1.prx부터 HB5.prx까지의 파일이 들어있는데 각각의 prx파일은 ms0:/PSP/SYSTEM/HB1/ 부터 ms0:/PSP/SYSTEM/HB5/ 까지의 폴더로 경로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ms0:/PSP/SYSTEM/HB1/ 폴더에 실행하고자 하는 홈브류(EBOOT.PBP를 비롯한 모든 파일)를 넣어두고, HB1.prx파일을 변경하려 하는 메뉴의 이름과 동일하게 변경하여 flash0:/에 덮어쓰면 그 후부터는 XMB에서 해당 메뉴를 실행했을때 미리 저장해둔 홈브류가 실행되는 방식입니다.

* Download : PRX Launcher v0.4 for all 3.XX OE

XMB에서 사용하지 않는 대표적인 메뉴와 변경해야하는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 카메라  - flash0:/VSH/nodule/camera_plugin.prx
* 라이센스 관리 (Certificate Utility) - flash0:/VSH/nodule/license_plugin.prx
* 리모트 플레이 - flash0:/VSH/nodule/premo_plugin.prx
* 네트워크 업데이트 - flash0:/VSH/nodule/update_plugin.prx
(즉, HB1.prx를 카메라 메뉴 대신 설치하려면 HB1.prx파일의 이름을 camera_plugin.prx로 변경한 뒤 해당 경로에 덮어쓰면 됩니다.)

# 하나의 폴더로 이루어진 1.00용 홈브류만 가능합니다. (즉, XXX, XXX% 등 2개의 폴더로 이루어진 1.50용 홈브류는 구동불가입니다.)
# PSP Filer 등 낸드플래시에 접근하거나 커널 모드를 사용하는 홈브류는 구동불가입니다.
# 데모게임은 실행 가능합니다.
# 위의 방법을 통해 구동된 홈브류는 HOME키가 동작하지 않고 홈브류 종료시 PSP가 재부팅됩니다. ㅡㅡ;;

'포포츠 백업 + NEW > CFW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P 카메라 Mod v1  (0) 2010.12.30
PSPDiag .2 : PSP 정보 확인  (0) 2010.12.30
Homebrew Hider v1.0  (0) 2010.12.30
XMB Font Preview 1.00  (0) 2010.12.30
3.XX OE Recovery EBOOT  (0) 2010.12.30

Homebrew Hider v1.0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 보이는 홈브류 목록을 숨겨주는 프로그램인 Homebrew Hider v1.0입니다. [출처가기]

친구에게 PSP를 빌려주거나 할때 자신의 PSP를 맘대로 만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합니다.
첨부파일은 폴더구조가 잘못되어 있으므로 아래와 같은 구조로 메모리스틱에 복사하면 설치는 완료됩니다.
ms0:/PSP/DUMMY/
ms0:/PSP/GAME150/%__SCE__Calculator/
ms0:/PSP/GAME150/__SCE__Calculator/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게임 - 메모리스틱메뉴에서 'Homebrew Hider'를 실행한다.
2. 비밀번호를 엑스버튼을 이용해서 입력한 뒤 'enter'버튼을 누르면 'homebrew folder is edited'라는 메세지가 나온 뒤 자동으로 XMB로 복귀한다.
3. 이제 GAME폴더에 들어있는 홈브류 목록은 더이상 나오지 않는다.
(GAME폴더안의 내용물을 DUMMY 폴더안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입니다.)
4. 다시 홈브류를 보이게 하고 싶을때는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

* Download :
# 무조건 GAME폴더만 숨겨주기때문에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에서 커널 설정을 '1.50'으로 변경한 뒤 숨기고 싶은 홈브류는 ms0:/PSP/GAME 폴더에 넣어야만 제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커펌뿐만 아니라 펌웨어 1.50에서도 GAME폴더에 설치하면 동작하지만 해제 방법이 없으므로 비추천입니다.
# 초기의 비밀번호는 '15'입니다. ms0:/PSP/GAME150/__SCE__Calculator/script.lua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제일 윗줄의 'password' 항목을 수정하면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포포츠 백업 + NEW > CFW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PDiag .2 : PSP 정보 확인  (0) 2010.12.30
PRX Launcher v0.4  (0) 2010.12.30
XMB Font Preview 1.00  (0) 2010.12.30
3.XX OE Recovery EBOOT  (0) 2010.12.30
OE Homebrew Sorter Beta  (0) 2010.12.30

XMB Font Preview 1.00


XMB의 영어폰트인 ltn0.pgf를 설치하기 전에 미리보기를 할 수 있는 홈브류입니다. [출처가기]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font_preview폴더안의 font폴더와 PSP폴더를 메모리스틱 상위에 복사한 뒤 실행하면 됩니다. 9개의 폰트가 포함되어 있으며 마음에 드는 폰트를 선택해 flash0:/에 바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 Download : XMB Font Preview 1.00

# 커펌 3.XX OE 전용입니다. 안전을 위해서인지 배터리가 일정 이상 충전되어 있지않으면 실행되지 않습니다.
# 통계학 강의시간에 글 올리는 것도 나름 재미있군요. ^^

'포포츠 백업 + NEW > CFW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X Launcher v0.4  (0) 2010.12.30
Homebrew Hider v1.0  (0) 2010.12.30
3.XX OE Recovery EBOOT  (0) 2010.12.30
OE Homebrew Sorter Beta  (0) 2010.12.30
Functions-Remover Beta  (0) 2010.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