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펌에서 정펌으로 업데이트하는 방법


요즘 발매되는 최신 게임 UMD는 커펌에서 구동되지 않도록 되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DJMAX 시리즈처럼 게임 자체에 락이 걸려있거나, 몬헌 포터블 3rd처럼 아예 게임 전용의 상위 펌웨어를 탑재하는 경우도 있죠.

예전에도 이런 게임들은 많았습니다만 결국 시간이 지나면, UMD에서 ISO 추출 후 ISO 자체를 수정하는 패치(이 블로그에서는 다루지 않습니다.)나 커펌 업데이트, 또는 Prometheus같은 커펌 MOD 등이 나와 해결되었지요.

현재 커펌상에서 구동되지 않는 게임들 역시 시간이 해결해주리라 생각합니다만, 지금 당장 게임 UMD를 구입하고도 커펌을 포기할 수 없어 손만 빨고 있는 분들도 계시고, 그러다 결국 커펌을 포기하고 정펌으로 올라가 게임을 구동하고 싶은 분들도 분명 계실거라 생각합니다. 이와 관련된 질문도 예전부터 가끔 들어오고 있구요.

서론이 길었는데, 어쨌든 이런저런 이유로 커펌에서 정펌으로 업데이트 하고 싶은 분들을 위한 글을 작성합니다.

커펌 = 커스텀 펌웨어
정펌 = 정식 펌웨어 = 공식 펌웨어

::: 커펌에서 정펌으로 업데이트 :::

주의 : 커펌에서 정펌으로 업데이트하는 경우, 기종/기판에 따라 다시 커펌을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또 커펌 설치가 가능한 기종/기판이라도 '판도라의 배터리'가 별도로 반드시 필요합니다.

사실 '커펌->정펌 업데이트'라고 해도 '정펌->정펌 업데이트' 방법과 별 다른 차이가 없습니다. 아니, 아예 똑같죠.

[ 커펌에서 정펌으로 업데이트 하는 방법 ]

1.
업데이트하고 싶은 펌웨어 버전의 EBOOT.PBP 파일을 따로 구해서 다운로드합니다. (단, 현재의 커펌 버전보다 높은 버전의 정펌만 이 방법으로 업데이트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커펌 5.50에서 정펌 5.03 설치는 불가능하고, 정펌 6.20의 설치는 가능함.)

2. 다운로드한 EBOOT.PBP 파일을 메모리스틱의 PSP 폴더 -> GAME 폴더 -> UPDATE 폴더 안으로 복사합니다.
(ms0:/PSP/GAME/UPDATE/EBOOT.PBP 경로가 되며, UPDATE 폴더가 없다면 직접 새로 만드세요.)


3.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으로 들어가 'PSP 업데이트 버전 X.XX'를 실행합니다. (실행하기 전 AC아답터는 미리 연결하고 업데이트 도중 PSP가 꺼지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4. 업데이터가 실행되면 화면의 지시에 따라 약관 동의 후 펌웨어를 업데이트합니다. 업데이트 완료 후 재부팅하면 정펌 설치 끝.

5. 단, 배터리를 지그킥배터리 상태인 채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 (PSP-100X는 상관없지만) PSP-200X에서는 정펌 설치 완료 후 제대로 부팅되지 않는 문제가 생깁니다. 배터리를 빼고 AC아답터만 연결하면 일단 부팅은 되지만 임시처방일 뿐. 따라서 별도의 일반 배터리를 하나 더 준비하거나, 정펌 업데이트 전에 미리 지그킥배터리를 일반 배터리로 변환할 필요(추천 X)가 있습니다. (자신이 PSP에 대한 지식이 있다고 생각되면 여기에 있는 Custom IPL Installer를 이용해도 됩니다.)

[ 업데이트 실행 시 9.90 오류 ]


1. 가끔가다 위 스크린샷처럼 현재의 펌웨어가 9.90이라면서 업데이터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건 커펌의 version.txt 기능 때문인데,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version.txt 기능이 무엇인지는 이쪽 글을 참고. 현재는 통하지 않음.)

2.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가 'Advanced -> Toggle USB (flash0)' 메뉴를 통해 PSP의 flash0 영역을 PC와 USB로 연결합니다. 그리고 그 안의 vsh 폴더 -> etc 폴더 안으로 들어가면 'version.txt'라는 파일이 보이게 됩니다.


3. 이 'version.txt'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면 위와 같이 몇 개의 문장이 나오는데, 그 중 맨 윗줄의 '9.90'이라는 부분을 적당히 바꿔서 저장하면 됩니다. 단, 반드시 업데이트 하고 싶은 정펌의 버전보다 낮게 수정해야 합니다. 정펌 6.20으로 업데이트하고 싶다면 5.50이나 6.10 등 그 이하의 숫자를 적어주면 되겠죠.

4. 이렇게 수정 / 저장하고 난 후 위의 방법대로 다시 정펌 업데이트를 해주면 됩니다.


::: 보너스 ::: 정펌에서 다시 커펌으로 돌아오기 :::

이렇게 게임을 즐기기 위해 정펌으로 업데이트했는데, 다시 커펌으로 돌아오고 싶은 경우의 방법입니다. 이건 반드시 판도라의 배터리가 작동하는 기종/기판의 PSP, 다시 말해 PSP-100X와 (TA-088 v3 기판을 제외한) PSP-200X에서만 가능한 방법입니다. 그 외 TA-088 v3 기판인 PSP-200X, 또는 PSP-300X / PSP go의 경우 한 번 정펌으로 업데이트하면 커펌으로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이 현재로선 전혀 없습니다.

* 조건 : 판도라의 배터리가 작동하는 PSP일 것. (모든 PSP-100X, 일부 PSP-200X (TA-088 v3 기판 제외))
* 준비물 : 지그킥배터리, 유니버셜 언브리커 v8이 설치된 매직메모리스틱 (기종이나 각자 상황에 따라 별도의 일반 배터리가 하나 더 필요할 수도 있음.)

[ 정펌에서 다시 커펌으로 돌아오기 ]
1. 커펌에서 위의 방법대로 정펌으로 업데이트해서 사용합니다.
2. 정펌에서 지그킥배터리와 유니버셜 언브리커 v8을 이용해 커펌을 새로 설치합니다. (필요한 경우 커펌 업데이트.)
3. 끝. (응?)

[ 정펌에서 다시 커펌으로 간단하게 돌아오기 ]
1. 커펌에서 지그킥배터리+유니버셜 언브리커 v8을 이용해 현재 커펌의 낸드이미지를 백업합니다.
2. 커펌에서 위의 방법대로 정펌으로 업데이트해서 사용합니다.
3. 정펌에서 지그킥배터리+유니버셜 언브리커 v8을 이용해 미리 백업했던 낸드이미지로 복구합니다.
4. 끝. (커펌 설정을 다시 할 필요가 없어 더 간단합니다.)

[ 정펌에서 다시 커펌으로 더 간단하게 돌아오기 ]
1. 지그킥배터리+유니버셜 언브리커 v8을 이용해 커펌의 낸드이미지와 정펌의 낸드이미지를 각각 따로 백업합니다.
2. Nand Manager라는 홈브류를 설치(http://popotz.textcube.com/1208)하고, 백업한 낸드이미지의 이름을 알기 쉽게 변경해서 ms0:/nanddump/ 폴더로 복사합니다.
3. 커펌에서 정펌으로 업데이트하고 싶다면 XMB에서 바로 Nand Manager를 구동해 정펌의 낸드이미지로 복구합니다.
4. 반대로 정펌에서 커펌으로 돌아오고 싶다면 지그킥배터리+유니버셜 언브리커 v8의 'Test M33' 메뉴를 통해 커펌 5.00 M33-4로 부팅한 뒤, Nand Manager를 구동해서 커펌의 낸드이미지로 복구합니다.
5. 끝. (정펌/커펌 설정을 다시 할 필요가 없어 더 간단합니다.)

# 뭐, 아래로 갈수록 간단한게 아니라 더 복잡해보이네요. ㅡㅡ;; 하지만 귀찮더라도 낸드이미지를 한 번 만들어두면 그 이후로는 정펌 <-> 커펌 설치 시간이 많이 단축됩니다. 커펌과 정펌을 자주 왔다갔다 하시는 분들께 특히 좋겠죠. 마지막 Nand Manager를 이용하는 방법의 경우 '커펌 -> 정펌 -> 커펌' 과정이 5분 안에 완료됩니다.

# 위 설치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커펌 재설치, 버전 내리는 방법 정리
커펌을 사용하려면 이 정도는 알아둡시다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4
커펌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낸드이미지 백업 / 복구하기
커펌의 대표 기능 사용법 정리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설치법 / 사용법

커펌 재설치, 버전 내리는 방법 정리

블로그에 자주 올라오는 질문 중 몇 가지가 바로 다음과 같은 것들입니다. 특히 새로운 커펌 버전이 발표될 때 말이죠.

"커펌을 새로 설치했는데, 맘에 안들어서 원래 커펌으로 돌아가고 싶어요. 어떻게 해요?"
"이 커펌 설치했더니 이상해요, 원래대로 어떻게 돌아가요?"
"(낸드플래시에서) 뭘 건드렸더니 이상해졌어요. 어떻게 해요?"
"리커버리 모드로는 들어가지는데 제대로 부팅이 안되요...(=반벽돌)"

이 외에도 이와 비슷한 질문이 정말 많습니다. 그런데 이런 문제의 해결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그냥 커펌을 새로 설치하면 됩니다. ㅡㅡ;; (물론 일부 반벽돌 문제는 flash1을 초기화해주기만 해도 해결되는 등 커펌 재설치가 100% 최선의 해결법은 아니고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르겠죠.)

하지만 커펌 재설치가 답인데도, 막상 커펌을 재설치하는 방법 그 자체를 몰라 해결하지 못하는 분들도 계시겠죠. 블로그를 뒤져보면 이미 설명해둔 몇 개의 관련글이 있지만 제대로 찾아보지는 않는 듯 싶네요. 그래서 이 글을 통해 커펌을 재설치하거나 예전 커펌으로 돌아가는 방법을 다시 한 번 정리해보겠습니다. 사실 따로 정리라고 하기도 민망한데, 왜냐면 딱 두 가지 홈브류에 대해서만 소개하고 넘어갈 거니까요. 뭐, 그 두 가지만 알면 충분합니다. ^^

바로 리커버리 플래셔 (Recovery Flasher)와 낸드 매니저 (Nand Manager)라는 홈브류입니다. 자세한 설치법이나 사용법은 링크로 대체하고 대신 각 방법을 어떤 경우에 쓰는지, 장점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만 알아보겠습니다.

[ 아래 내용을 읽기 전에 ]
- 이 글은 이미 영구 커펌이 설치되어 있는 PSP에만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정펌이거나 PSP-300X/PSP go 등 영구 커펌을 설치할 수 없는 PSP 사용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예외적으로 정펌 5.03 이하인 일부 PSP에서는 아래 방법의 사용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건 밑에서 따로...)

- 커펌을 설치한다는 건 PSP의 낸드플래시를 거의 완전히 새로 쓰는 작업입니다. 당연히 작업 중 예기치 못한 문제로 인해 PSP가 벽돌이 될 위험성은 언제나 존재합니다. 아래 과정 중 일어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 명심해주세요.

[ 리커버리 플래셔란? ]
리커버리 플래셔란 홈브류는 HellCat이란 개발자가 만든 커펌 설치용 홈브류입니다. 커펌 발표시 배포되는 커펌 인스톨러의 경우 현재 커펌 버전보다 낮은 버전의 설치는 불가능한게 대부분입니다. (커펌 5.50 GEN 시리즈 제외) 쉽게 말해 커펌 5.00 M33에서는 커펌 4.01 M33 인스톨러를 실행해서 설치할 수가 없다는 것이죠. 하지만 리커버리 플래셔는 이런 제약이 없어서 현재 커펌 버전이 무엇인든 상관없이 원하는 커펌 버전의 설치가 가능합니다. 현재 리커버리 플래셔는 v1.60이 최신 버전이며, 추가로 펌웨어 팩이 하나 발표된 상태입니다.

[ 리커버리 플래셔의 장점 ]
- 하나의 홈브류만으로 커펌 3.71 M33-4 / 3.80 M3-5 / 3.90 M33-3 / 4.01 M33-2 / 5.00 M33-6 중에서 원하는 커펌을 선택해 설치할 수 있다. (리커버리 플래셔 v1.60 기준이며, 펌웨어 팩을 추가 설치한 경우 커펌 5.50 GEN-D3 선택도 가능)

- 현재의 커펌 버전보다 낮은 버전의 커펌 설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커펌 5.50 상태에서 커펌 5.00을 새로 설치하려면 (판도라의 배터리를 제외하고) 리커버리 플래셔를 이용하는 방법이 거의 유일합니다.

- 단 한 번에 최신 버전의 커펌 설치가 가능하다. 아주 오래 전에 나온 커펌 SE나 OE 시리즈에서도 중간 단계의 커펌을 거치치 않고 최신 커펌을 바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심지어 정펌 1.50에서도 가능합니다.

- PSP가 반벽돌(리커버리 모드로는 들어가지만 XMB로는 부팅되지 않는 경우)이라도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커펌 설치가 가능하다. (단, 커펌 3.71 M33 이상인 PSP만 해당.)

[ 리커버리 플래셔 활용예 ]
- 커펌 5.50 GEN-D3를 설치했는데, 맘에 들지 않아 원래의 커펌 5.00 M33-6으로 돌아가고 싶을 때.
- 어떤 파일을 받아서 직접 flash0에 덮어썼는데, 백업을 하지 않아 다시 복구하고 싶을 때.
- 무슨 프로그램을 PSP에 설치했는데 PSP 상태가 이상해진 것 같아 커펌을 재설치하고 싶을 때.
- 몇 년 전부터 쓰지 않던 오래된 커펌 PSP인데 최신 커펌을 한 번에 간단하게 설치하고 싶을 때.

[ 리커버리 플래셔 설치법 및 사용법 ]
* 리커버리 플래셔 v1.50 사용방법 -> http://popotz.textcube.com/1071
* 리커버리 플래셔 v1.60 다운로드 -> http://popotz.textcube.com/1172
* 리커버리 플래셔 펌웨어팩 사용방법 -> http://popotz.textcube.com/1577

뭐, 리커버리 플래셔에는 커펌 설치 기능 말고도 다른 부가적인 기능이 많이 있지만 솔직히 말해 그다지 쓸모 있는 기능은 아니니 신경쓸 필요는 없습니다. 위에 링크된 세 개의 글만 꼼꼼히 읽어보면 사용하고 활용하는데 크게 어려움은 없을 것 같군요.

[ 정펌 5.03에서 리커버리 플래셔의 활용 ]
리커버리 플래셔는 원래 커펌인 상태에서만 사용할 수 있지만, 위에서 잠깐 언급했듯이 정펌 5.03인 경우에만 특별하게 리커버리 플래셔의 사용이 가능합니다. (정펌 5.03 미만일 경우 정펌 5.03으로 업데이트하면 OK!) 바로 펌웨어 5.03의 취약점을 이용한 ChickHEN이 있기 때문이죠.

펌웨어 5.03인 PSP라면 일단 ChickHEN 환경으로 만들어준 후에 리커버리 플래셔를 설치하고 구동합니다. 그 후 자신이 원하는 영구 커펌을 설치하면 됩니다. 물론 영구 커펌을 설치할 수 없는 TA-088 v3 기판의 PSP-200X나 PSP-300X/PSP go는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없으며, 반드시 PSP-100X나 TA-085 v1/v2, TA-088 v1/v2 기판의 PSP-200X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기판 확인은 ChickHEN 상태에서 PSPident로 확인 가능함.)

쉽게 말해 펌웨어 5.03인 PSP-100X/PSP-200X(TA-088 v3 기판 제외)라면 판도라의 배터리같은 준비물 없이도 영구 커펌 설치가 쉽게 가능하다는 얘기입니다.

[ 전문가용? - 낸드이미지 활용 ]
판도라의 배터리 등장 이후 낸드이미지(NandImage)라는 개념이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낸드이미지란 PSP 내부에 있는 낸드플래시메모리의 모든 내용을 단일 파일로 뽑아낸 것을 말합니다. flash0~3뿐 아니라 IPL이나 IDStorage까지 모든 영역의 데이터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낸드이미지의 용량은 낸드플래시메모리 총용량과 동일합니다. (PSP-100X의 경우 32MB , PSP-200X 이후에는 64MB 정도)

이러한 낸드이미지는 관련 프로그램을 통해 새로 생성(백업)할 수도 있고, 이미 백업한 낸드이미지를 이용해 PSP를 복구할 수도 있습니다. 어려워 보이지만 개념만 알면 아주 쉽습니다.

[ 커펌 재설치 vs 낸드이미지 백업/복구 ]
컴퓨터의 OS에 비유하자면... 리커버리 플래셔를 통한 커펌 재설치는 윈도우 CD/DVD를 이용해 새로 설치하는 것이고, 낸드이미지를 이용한 백업/복구는 고스트를 통해 이전 윈도우를 백업하고 복구하는 것입니다.

당연히 커펌 재설치의 경우 사용자 설정 등을 매번 새로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낸드이미지를 이용하는 경우 백업할 때의 상태 그대로 복구가 되므로 따로 해야 할 일이 없어 편리합니다. 또한 복구 속도 역시 낸드이미지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빠릅니다. (낸드이미지 복구는 약 2~3분이면 끝.)

다만, 낸드이미지 복구 방법의 경우 반드시 미리 백업한 낸드이미지가 있어야 합니다. 다시 말해 한 번도 설치해본 적 없는 커펌의 경우에는 이 방법을 활용할 수 없다는 것이죠. 하지만 새로운 커펌 설치 전이나 혹은 설치 후 항상 낸드이미지를 백업하는 습관을 들인다면, 무엇보다 더욱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겁니다. (저로서는 모든 커펌 PSP 사용자가 이렇게 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ㅜㅜ)

가장 신경쓰이는 부분은 위험성인데, 사실 커펌 재설치나 낸드이미지 복구나 위험하기는 매한가지입니다. 주의사항만 잘 지킨다면 양쪽 방법 모두 크게 문제될 것은 없으며, 저 역시 수 십번 낸드이미지 복구를 해봤지만 벽돌이 된 적은 단 한 번도 없습니다. 다만 낸드이미지 복구시 무엇보다 주의할 점은 다른 PSP의 낸드이미지를 받아서 사용하면 안 된다는 것. 왜냐하면 낸드이미지에는 PSP마다 고유값을 가지는 IDStorage까지 포함되어 있어, 이 경우 100% PSP가 정상 동작하지 않게 됩니다.

[ 낸드 매니저 (Nand Manager)란? ]
낸드이미지 백업/복구 툴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지그킥배터리와 함께 사용되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시리즈와 낸드툴이 있고, 위에서 설명한 리커버리 플래셔에도 이 기능이 들어있습니다. 하지만 그 중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추천하는 건 Minerva가 개발한 낸드 매니저라는 홈브류입니다. (참고로 어느 툴을 사용하든 백업한 낸드이미지는 서로 호환됩니다.)

낸드 매니저는 단순 홈브류 형식으로 작동하므로 별도의 지그킥배터리가 필요없습니다. 또 메모리스틱에 여러 개의 낸드이미지를 저장해두고 그 중에서 원하는 것을 선택해 복구할 수 있으며, 낸드이미지의 파일명을 자신이 알아볼 수 있도록 변경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낸드 매니저 사용방법 ]
* NAND Manager v0.51 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1208

사용방법은 매우 직관적이니 이 글만 읽어도 충분할 것 같네요.


참고로 제가 하드디스크에 백업해둔 낸드이미지들입니다. 더 있었는데 용량 관계상 많이 삭제했네요. 이렇게 낸드이미지를 활용하면 커펌 5.00 M33-6과 커펌 5.50 GEN-D3를 몇 분만에 왔다갔다할 수 있습니다. (정펌과 커펌을 왔다갔다하려면 지그킥배터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 지그킥배터리와 낸드 매니저 ]
만약 PSP가 벽돌이 되었거나 정펌인 상태라도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만 있으면 쉽게 복구가 가능합니다. (물론 지그킥배터리가 작동하는 기판/기종의 경우에 한함.)

하지만 유니버셜 언브리커에 있는 낸드이미지 백업/복구 기능은 파일명이 제한적(nand-dump.bin)이고, 한 번에 하나의 낸드이미지만 저장해둘 수 있어 불편합니다. 그럴 때는 유니버셜 언브리커의 Test M33 메뉴를 통해 메모리스틱의 가상 커펌으로 부팅합니다. 그 후에 기존대로 낸드 매니저를 실행하면, 낸드 매니저의 장점들을 그대로 활용 가능합니다. 정펌의 낸드이미지 백업도 가능하며, 정펌에서 다른 정펌으로 갈아탈 수도 있고, 이전에 설치했던 커펌으로의 복구도 당연히 가능합니다.

지그킥배터리 + 타임머신IPL + 매직메모리스틱 + 낸드 매니저 조합이라면 무서울 것이 없죠.

[ 작업시 주의사항 ] 이 주의사항은 리커버리 플래셔나 낸드 매니저에만 해당되는 건 아니고, 커펌 설치를 비롯해 낸드메모리를 건드리는 모든 작업에 해당됩니다.
- 현재 설치하려는 프로그램이 자신의 PSP에서도 사용 가능한지 확실히 확인한다.
- PSP의 배터리는 충분히 충전하고, 만약을 위해 AC아답터(충전기)도 연결한다.
-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에는 PSP의 전원이 꺼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 오랜만에 쓰는 긴 글이라 제대로 쓴건지, 빠뜨린 건 없는지 걱정되네요. 이 놈의 글솜씨는 죽어도 안 늘어나니... 잘못된 점, 추가할 점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추가] Recovery Flasher 펌웨어팩 v1.10 (5.50 GEN-D3)


Hellcat이 만든 Recovery Flasher는 커펌 3.71 / 3.80 / 3.90 / 4.01 / 5.00을 선택해서 설치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커펌을 재설치하거나 커펌 버전을 내리고 싶을 때, 아니면 반벽돌을 고치고 싶을 때 자주 사용하는 홈브류입니다. 그 외의 부가기능도 다양한 편이죠.

그런데 작년 나온 Recovery Flasher v1.60 변경점 중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었습니다.
[*] "Firmware Packs"을 지원한다. - 일종의 애드온 개념으로 새로운 커펌이 나왔을 때 리커버리 플래셔를 새로 발표해야 하는 필요성을 없애준다. 즉, 리커버리 플래셔를 새로 발표하는 대신에 이러한 팩을 이용해서 리커버리 플래셔가 새로 발표된 커펌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리커버리 플래셔가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커펌 GEN 등을 설치할 경우에도 유용하다.

이에 대해 어떻게 사용하냐고 질문하는 분이 꽤 많았는데, 펌웨어 팩은 Hellcat이 만들어주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는 기능이었습니다. 그런데 약 1년이 지나고, 드디어 Hellcat이 Recovery Flasher에서 커펌 5.50 GEN-D3를 설치할 수 있는 펌웨어 팩을 발표했습니다. [출처가기]

이 펌웨어 팩을 메모리스틱에 넣어주기만 하면, 기존의 Recovery Flasher v1.60으로도 커펌 5.50 GEN-D3를 바로 설치할 수 있게 됩니다. 기능 추가의 개념이죠.

[ 추가사항 ] 커펌 5.50 GEN-D3 펌웨어 팩이 v1.10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가기]
- 가장 최신의 D3 버전이 설치되도록 함. (5.50 GEN-D3 final(최종판))
- 커펌 3.52 M33-4 미만의 커펌(3.40 OE 등)에서 업데이트할 경우 VSH menu나 리커버리 모드를 사용할 수 없던 문제 수정.

사용법은 동일합니다.


Recovery Flasher의 기본적인 설치법 / 사용법은 이전에 작성한 http://popotz.textcube.com/1071를 참고해주세요. 제발요~

여기서는 Recovery Flasher에서 커펌 5.50 GEN-D3 펌웨어 팩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하겠습니다.

Recovery Flasher에서 펌웨어 팩 이용하는 방법 열기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다시 한 번 당부드립니다만, 제발 위에 링크된 사용법 글을 꼭 먼저 읽어주세요.
# 펌웨어 팩 파일을 메모리스틱 최상위에 넣어야 해서 조금 지저분해보이네요. ms0:/PSP/GAME/RECOVERY/ 폴더에 넣는 거였으면 좋았을텐데...

* 관련글 보기 *
Recovery Flasher v1.6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Recovery Flasher v1.5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Recovery Flasher v1.21 - 반벽돌 복구, 커펌 다운그레이더

커펌 플러그인 기본 설치법

에.. 사실 오랫동안 '플러그인'에 관한 글을 쓰려고 몇 번이나 시도했었는데, 막상 쓰다보니 정리도 제대로 안되고 너무 양이 많아져 포기했었습니다. 그래도 마무리는 지어야할 것 같아 시간이 난 김에 대충 간추려 적어보겠습니다. (간추린다고 해도 내용이 길어지는 건 어쩔 수가 없네요.)
---------------------------------------------------------------------------------------

[ (커펌용) 플러그인이란? ]
커스텀펌웨어(이하 커펌)의 장점중 하나는 바로 플러그인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플러그인이란 커펌이 설치된 PSP에 별도의 기능을 추가시켜주는 일종의 애드온(addon)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커펌에 원래부터 내장된 기능이 아니라 사용자가 임의로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것이 바로 플러그인입니다. 예를 들어 PSP에 스크린샷 기능을 추가한다든지, 치트 기능을 추가한다든지 하는 것들은 모두 플러그인을 이용한 것입니다.

등장한지 오래된만큼 지금까지 발표된 플러그인 수도 수 백개에 달하며, 그 기능 역시 엄청나게 다양합니다. 각각의 플러그인이 가진 기능을 잘 살펴보고, 자신이 사용하고 싶은 플러그인을 PSP에 설치하면 PSP를 좀 더 편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즐길 수 있습니다.

[ 플러그인의 작동 원리 ]
PSP를 켜거나 게임/홈브류를 실행하게 되면 flash0:/에 저장된 각종 모듈(module)이 PSP의 RAM상(上)으로 로드(load)됩니다. 이러한 모듈은 대부분 PRX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무슨 모듈을 언제 불러올 것인지는 flash0:/에 있는 특정 파일에 의해 미리 지정되어 있습니다. 스크린 버튼을 누르면 화면 밝기가 변하고, 볼륨 버튼을 누르면 볼륨이 변하는 등 기본적인 기능 역시 해당 모듈에 의해 작동이 되는 것이고, 그 외 음악재생, 사진 보기, 세이브 등 PSP의 모든 기능은 RAM상에 로드된 모듈에 의해 작동됩니다.

플러그인 역시 특수한 기능을 가진 모듈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으며, 메모리스틱에 저장되어 있는 플러그인의 PRX 모듈을 RAM상으로 불러옴으로써 해당 플러그인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말한 '플러그인의 PRX 모듈을 RAM으로 불러오는 과정'을 좀 더 풀어서 설명한 것이 바로 아래에서 다룰 플러그인의 설치/등록/활성화 과정입니다. 메모리스틱에 플러그인의 PRX 파일을 복사해 넣고(플러그인의 설치), RAM으로 불러올 플러그인의 목록을 작성한 뒤(플러그인의 등록), 해당 목록에서 실제로 RAM에 불러올 플러그인만을 활성화(플러그인의 활성화)해야 비로소 플러그인이 작동하게 됩니다.

[ 플러그인의 설치 ]
플러그인은 일반적으로 메모리스틱에 설치됩니다. 특히 메모리스틱의 seplugins/ 폴더를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꼭 플러그인을 ms0:/seplugins/ 폴더에 설치할 필요는 없습니다. 메모리스틱 어느 곳에 있든 플러그인을 등록할 때 제대로 된 경로만 입력해주면 되니까요. 다만, ms0:/seplugins/ 폴더에 플러그인을 모아두면 플러그인 관리가 좀 더 용이하고, 또 일부 플러그인의 경우 ms0:/seplugins/ 폴더가 아니라면 제대로 동작하지 않기때문에 그냥 플러그인은 ms0:/seplugins/ 폴더에 설치하는 것이라고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반대로 CXMB 플러그인처럼 전혀 다른 폴더에 설치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건 각 플러그인 관련 글을 잘 읽어보고 설치하면 됩니다.)

플러그인은 PRX 파일을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플러그인 배포 자료를 보면 PRX 파일이 반드시 들어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PRX 파일을 RAM상으로 불러와 사용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PRX 파일 하나로 이루어진 플러그인의 경우애는 이 PRX 파일을 ms0:/seplugins/ 폴더에 복사만 해주면 설치가 끝납니다.

하지만 좀 더 다양한 기능을 가진 플러그인은 PRX 파일 외에 다른 부가적인 파일이나 폴더가 함께 배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부가적인 파일이나 폴더는 PRX 파일이 작동할 때 필요한 것들이며, 플러그인의 설정이나 언어 등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플러그인이라고 해서 특별한 설치법이 필요한 것은 아니고 그냥 PRX 파일과 함께 관련 파일과 폴더도 메모리스틱의 ms0:/seplugins/ 폴더에 복사해주면 됩니다. 플러그인의 배포 자료 내용 그대로 메모리스틱에 붙여넣는다고 생각하면 쉽겠죠.

이렇게 플러그인의 PRX 파일과 기타 관련 파일/폴더를 메모리스틱에 복사하면 플러그인의 설치는 완료됩니다.

[ 플러그인의 등록 ]
플러그인을 메모리스틱에 설치했다고 해서 자동으로 불러오는 것은 아닙니다. 메모리스틱에 설치된 플러그인이 무엇인지, 또 플러그인의 PRX 파일이 메모리스틱 어느 위치에 어떤 이름으로 저장되어 있는지 등을 따로 목록으로 작성해주어야 하는데, 이 과정을 편의상 '플러그인의 등록'이라고 하겠습니다.

플러그인의 등록은 메모리스틱의 ms0:/seplugins/ 폴더에 있는 정해진 텍스트 파일(*.txt)에 해주면 됩니다. 이 정해진 텍스트 파일이란 vsh.txt / game.txt / pops.txt / game150.txt 총 4개를 말하는데, 이렇게 여러 개로 나뉘어진 이유는 플러그인이 PSP의 작동 모드에 따라 각각 별도로 관리되기 때문입니다.
vsh.txt : XMB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플러그인의 경로를 등록하는 파일
game.txt : 게임이나 홈브류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플러그인의 경로를 등록하는 파일
pops.txt : PS1 에뮬 게임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플러그인의 경로를 등록하는 파일
game150.txt  : 1.50커널용 홈브류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플러그인의 경로를 등록하는 파일

(이 파일들이 메모리스틱에 없다면 메모장을 이용해서 직접 만든 뒤 ms0:/seplugins/ 폴더에 넣으면 됩니다.)

만약 XMB에서 사용하고 싶은(또는 XMB에서만 작동하는) 플러그인을 등록하려면 vsh.txt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서 그 안에 플러그인의 PRX 파일 경로와 이름(예 : 'ms0:/seplugins/aaa.prx' 등)을 적어주면 등록이 완료됩니다. 마찬가지로 게임에서만 사용하고 싶다면 game.txt 파일 안에 경로와 이름을 적어주면 되겠죠. 그러면 XMB와 게임 양쪽에서 모두 플러그인을 사용하고 싶을 경우에는...? 당연히 vsh.txt와 game.txt 파일을 모두 열어 각각 따로 추가해주어야 합니다.

위 스크린샷은 vsh.txt와 game.txt 파일의 작성예입니다. 플러그인을 여러 개 등록하는 경우에는 엔터를 이용해 서로 다른 줄로 구분을 해주면 됩니다. 아주 오래 전의 커펌 버전에서는 등록 가능한 플러그인의 수와 경로 길이에 제한이 있었지만, 요즘의 커펌에서는 이러한 제한을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이렇게 vsh.txt / game.txt / pops.txt / game150.txt 파일 안에 각각 사용하고 싶은 플러그인의 경로와 이름을 적어주고 저장하면 플러그인의 등록이 완료됩니다.

참고 - game150.txt 파일에 대해 : game150.txt 파일은 위에 적은 것처럼 1.50커널용 홈브류 구동시 사용할 플러그인을 등록하는 파일입니다. 하지만 1.50커널은 구형 PSP(PSP-100X)에서만 작동하며, 현재는 1.50커널용 홈브류가 거의 없기 때문에 사용할 일은 거의 없을 겁니다. 잘 이해가 안된다면 game150.txt에 관련된 건 그냥 잊어버리세요.

[ 플러그인 활성화/비활성화 ]
이제 플러그인의 설치와 등록이 모두 끝났습니다. 마지막으로 등록된 플러그인을 진짜로 사용할 것인지(활성화) 아니면 그냥 등록만 해두고 사용하지는 않을 것인지(비활성화)만 설정해주면 됩니다. 그냥 플러그인을 등록하면 그 등록된대로 불러오면 되지 왜 따로 활성화/비활성화를 설정해야 하는지 의문이 생길 수도 있는데, 결론만 말하자면 사용자의 편의때문입니다. 만약 등록된 플러그인을 구분없이 모두 불러오는 방식이라면 PC사용이 불가능한 야외에서 어떤 플러그인을 더 이상 사용하고 싶지 않을 경우 txt 파일을 편집하지 못해 곤란해집니다. 하지만 활성화/비활성화를 따로 설정하는 지금 방식이라면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간단히 원하는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하거나 다시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죠.

기본적으로 플러그인의 활성화/비활성화는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 -> Plugins 메뉴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리커버리 모드에 관한 다른 사항은 http://popotz.textcube.com/1219 참고해주세요.)


리커버리 모드 -> Plugins 메뉴에 들어가면 위처럼 vsh.txt/game.txt/pops.txt/game150.txt에 등록된 플러그인이 모두 보이게 됩니다. 원하는 플러그인으로 이동해서 엑스버튼을 누르면 활성화(Enabled)와 비활성화(Disabled) 설정이 가능합니다. 그 후에 리커버리 모드에서 빠져나오면 되겠죠.

하지만 귀찮게 리커버리 모드 -> Plugins 메뉴에 들어가지 않고도 플러그인의 활성화/비활성화가 가능한 방법도 있습니다. 바로 플러그인이 등록된 vsh.txt/game.txt/pops.txt/game150.txt 파일에 직접 활성화/비활성화 여부를 적어넣는 것이죠. (이 방법은 초기 커펌 ~ 커펌 5.00 M33-1까지는 불가능하며, 커펌 5.00 M33-2 이상의 커펌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리커버리 모드의 Plugins 메뉴에 한 번 들어갔다 나오면 vsh.txt/game.txt/pops.txt/game150.txt 파일이 자동으로 위와 같은 형식으로 변경됩니다. 각 플러그인 경로 끝에서 한 칸 떨어진 곳에 '0'이나 '1'이라는 숫자가 추가로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죠. 바로 이 숫자가 해당 플러그인이 활성화 상태인지 비활성화 상태인지를 표시해주는 것이며, '0'인 경우에는 비활성화, '1인 경우에는 활성화를 의미합니다.

이 숫자를 직접 수정하면,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가지 않고도 플러그인의 활성화/비활성화 변경이 가능하며, 아예 처음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등록할 때 자동으로 활성화하도록 할 수도 있어 유용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ms0:/seplugins/aaa.prx' 대신 'ms0:/seplugins/aaa.prx 1'이라고 등록하면 리커버리 모드에서 따로 활성화할 필요가 없어 편하겠죠.)
---------------------------------------------------------------------------------------

이제 플러그인의 기본적인 설치/등록/활성화 방법을 모두 설명했습니다. 이 내용만 봐도 플러그인 사용에는 문제가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이제는 플러그인 사용시 알아둘 점이나 기타 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플러그인의 호환성 ]
플러그인을 사용할 때에는 호환성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호환성은 크게 기종과의 호환성, 커펌 버전과의 호환성, 그리고 다른 플러그인과의 호환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기종과의 호환성 : PSP-100X/200X/300X는 약간씩 기능상의 차이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RAM의 크기가 차이나죠.) 따라서 이러한 기능 차이로 인해 특정한 기종에서만 작동하는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강제세이브 플러그인의 경우 RAM 용량이 부족한 PSP-100X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죠. 플러그인 관련글이나 readme.txt에 이러한 사항이 자세히 나오니 잘 읽어보고 자신의 기종에서 작동하는 플러그인인지 확인하고 설치하세요.

커펌 버전과의 호환성 : 플러그인이란 처음에 설명했다시피 커펌의 내장된 기능이 아닙니다. 따라서 충분한 테스트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커펌 버전에 따라 작동할 수도 있고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플러그인 관련글이나 readme.txt를 보면 호환 가능한 커펌 버전이 설명되어 있어 쉽게 구분 가능하지만, 만약 구분이 안될 경우에는 직접 테스트해보는 것이 제일 빠른 방법입니다. 실제로 설치해서 확인해본 후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호환되지 않는 것이니, 현재 다른 플러그인을 찾아보거나 해당 플러그인이 업데이트되기를 기다려야 합니다.
가끔씩 커펌을 새로운 버전으로 업데이트한 뒤 PSP가 부팅이 안된다는 분이 있는데, 대부분은 이전에 사용하던 플러그인이 새로운 커펌 버전에서 호환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럴 경우 모든 플러그인을 비활성화하거나 메모리스틱을 아예 빼고 PSP를 부팅해보면 정상적으로 부팅될 때가 많습니다. 그 후에 호환되지 않는 플러그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해당 플러그인을 삭제하면 되겠죠.

다른 플러그인과의 호환성 : 가끔씩 플러그인을 여러개 설치해서 사용하다 보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하나만 활성화해서 사용하면 별 문제가 없는데, 다른 플러그인과 같이 사용하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는 그 플러그인들끼리 충돌이 일어나 호환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비슷한 기능을 가진 플러그인의 경우 이런 문제가 자주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로 호환되도록 플러그인 자체가 업데이트되기를 기다려야만 합니다. 그 전까지는 어느 한 쪽의 플러그인을 포기해야 하겠죠.

플러그인 등록 순서에 의한 호환성 : 극히 일부의 플러그인의 경우에는 vsh.txt/game.txt/pops.txt/game150.tx에 등록할 때의 순서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등록된 순서대로 해당 PRX 모듈을 불러오기 때문인데, 대표적으로 커펌 5.50 GEN 전용 강제세이브 플러그인이나, 리모트조이 플러그인 등이 있습니다. 이런 플러그인은 해당 글을 자세히 읽어보고 설치하면 되는데, 그 수가 그렇게 많지는 않으니 크게 신경쓸 필요는 없습니다.

[ PSP만으로 플러그인 관리 ]
플러그인의 활성화/비활성화 과정이야 PSP만으로도 충분히 가능하지만 플러그인 설치/등록시에는 꼭 PC와 연결된 상태에서 해야만 합니다. (PSP Filer를 이용하는 등 방법이 아예 없는 건 아니지만 굉장히 귀찮죠.)

하지만 PC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불편한 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PSP용 홈브류가 몇 가지 나와있습니다. 그 중에서 제일 추천하는 건 타케시가 개발한 plugins config editor입니다.


plugins config editor를 사용하면 플러그인의 등록/활성화 과정을 PC 없이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PSP의 무선인터넷으로 플러그인 다운로드, PSP Filer로 플러그인 설치, plugins config editor로 플러그인 등록 및 활성화를 하면 PC 없이 PSP만으로도 플러그인의 추가/삭제 등이 가능해지는 것이죠.

* plugins config editor 관련글 보러 가기

[ flash0:/에 플러그인 설치 ]
위에서 말했듯이 플러그인은 원래 메모리스틱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이를 반대로 말하면 메모리스틱이 없다면 플러그인의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뜻이 되죠. 따라서 만약 메모리스틱을 여러 개 교체하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든 메모리스틱에 플러그인을 따로 설치해야 하는 등 귀찮은 점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런 불편한 점을 막기 위해 플러그인을 메모리스틱이 아닌 flash0:/에 설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flash0:/이란 PSP 내부에 있는 저장공간이므로, 메모리스틱을 교체하거나 아예 메모리스틱이 없는 경우에도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플러그인을 flash0:/에 설치하는 건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그나마 제일 안전하고 쉬운 것은 manatails007님이 발표한 Plugin2Flash v1이라는 홈브류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 Plugin2Flash v1 관련글 보러 가기

단, flash0:/에 플러그인을 설치할 경우 주의할 점이 몇 가지 있으니 신중히 판단해주세요.
* 낸드플래시와 관련된 작업이므로 잘못할 경우 PSP가 벽돌이 될 수 있음.
* flash0:/에 설치한 플러그인은 활성화/비활성화를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삭제하기도 번거로움.
* 정식으로 지원하는 설치법이 아니므로 flash0:/에 설치하면 정상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음.
---------------------------------------------------------------------------------------

# 제가 플러그인에 대해 알고 있는 기본적인 사항은 대부분 다 적은 것 같네요. 제 글 솜씨가 부족해서 글이 너무 어렵다고 생각될 수도 있는데, 제가 어떻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없군요.

# 그 동안 발표된 플러그인은 http://popotz.textcube.com/category/커펌용 플러그인 에서 확인해주세요.

* 관련글 보기 *
플러그인 목록 편집 - plugins config editor
flash0에 플러그인 설치 : Plugin2Flash v1
popotz 기본 플러그인 세트 #1

커펌을 사용하려면 이 정도는 알아둡시다

요 몇 일 댓글로 달린 질문을 보다보니, 많은 분들이 커펌의 기본적인 설정법조차도 제대로 모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저 게임만 돌아가면 된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건지, 아니면 어렵다고 생각해서 알려고 하지도 않는 건지...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은 질문들이 있겠네요.
- 커펌을 업데이트했는데 이전에 돌아가던 게임이 안되요. -> NO-UMD 모드 미설정, 파일명 오류.
- 커펌을 업데이트했는데 O, X 버튼이 서로 바뀌었어요. -> 리커버리 모드에서 변경 가능.
- 화면이 떨리고, 메뉴 이동 속도가 굉장히 느려졌어요. -> 리커버리 모드 또는 VSH Menu에서 CPU 클럭 확인.
- 셀렉트버튼을 눌러도 메뉴가 안 떠요. -> 리커버리 모드에서 VSH Menu 항목 활성화, 또는 설정값 초기화

등등등.. 이런 질문들은 커펌의 기본 사용법과 리커버리 모드에 대해서만 알고 있다면 따로 질문할 필요조차 없는 간단하고 기본적인 것들입니다.

우선 읽어봐야 할 글은 커펌의 대표 기능 사용법 입니다.
당시 필요에 의해서 급조한 글이라 지금 봐도 부족한 부분이 많이 보이지만, 일단 읽어서 나쁠 건 없겠죠. 나중에 시간되면 좀 더 자세하게 수정할 생각인데 언제가 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이 글만 읽어도 게임 구동에 관한 문제는 거의 다 해결 가능합니다.

또 커펌을 사용하면서 제일 중요한 것은 바로 리커버리 모드에 관한 알아 두는 것입니다. 리커버리 모드는 정펌에는 없는 커펌만의 고유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말하며, 반벽돌일 경우 이를 고치는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특히 커펌을 새로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하는 경우, 그 설치방법과 커펌 버전에 따라 리커버리 모드의 설정이 초기화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커펌 버전을 변경하거나 새로 설치한 경우 제일 먼저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가 자신에게 맞는 설정으로 변경할 것을 추천합니다. 또한 커펌 버전에 따라 플러그인 충돌 문제가 일어날 수도 있으므로 커펌 사용시 문제가 발생한다면 일단 모든 플러그인을 비활성화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우선 리커버리 모드에 들어가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커펌 5.00 M33 / 커펌 5.50 GEN 등의 기존 커펌 : 전원스위치를 5초 이상 올리거나 배터리를 분리해서 PSP의 전원을 완전히 종료한 후, R트리거를 누른 상태에서 다시 전원을 올리면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합니다.
* ChickHEN용 CFWEnabler (PSP-300X 등) : 커펌 상태에서 다시 CFW Loader를 실행하면 나오는 Settings 메뉴가 리커버리 모드에 해당합니다. 단, CFW Loader -> Settings의 플러그인 설정 메뉴에는 버그가 있으므로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ChickHEN용 커펌 5.03 GEN (PSP-300X 등) : XMB에서 셀렉트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VSH Menu에서 RECOVERY MENU를 선택하면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이  가능합니다. 단, PSP-300X의 경우 리커버리 모드의 메뉴가 하나씩 밀리는 버그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이렇게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갔다면 그 안의 각 메뉴가 무엇을 뜻하는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야겠죠.
각 메뉴의 사용법은 커펌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글을 읽으면 됩니다. 커펌 5.00 M33-6 기준이라 다른 커펌 버전에서는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간단한 영어니 쉽게 알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이 정도만 알아둬도 커펌을 사용하는데 큰 문제는 없을 겁니다.

마지막으로 리커버리 모드의 설정값을 초기화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가끔씩 커펌 5.03 GEN-A for HEN 사용자중에서 VSH Menu를 통해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한 뒤, 실수로 VSH Menu 항목을 꺼버리는 분이 있습니다. 이 경우 VSH Menu를 불러올 수 없기때문에 더 이상은 리커버리 모드 진입이 불가능해지죠. 또 가끔식 flash1 오류로 인해 제대로 부팅되지 않거나 물결 화면에서 멈추는 PSP가 있기도 합니다. (반벽돌의 일종.)

이런 경우 모두 리커버리 모드의 설정값을 초기화하거나 flash1을 포맷하면 대부분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 방법은 아래처럼 여러가지가 있으니 편한 방법을 사용하세요.
- flash1:/config.se 파일 삭제 -> VSH Menu 또는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flash1을 USB로 연결합니다. 그 후 리커버리 모드의 설정값을 담고 있는 config.se 파일만 삭제하면 리커버리 모드의 설정값이 초기화됩니다.
-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flash1 포맷 ->리커버리 모드의 Advanced 항목으로 들어가면 flash1을 포맷하는 메뉴가 있습니다. 이 메뉴를 엑스버튼으로 선택하면 자동으로 flash1이 완전히 포맷됩니다. 당연히 config.se 파일도 삭제되므로 리커버리 모드의 설정값도 초기화되며, XMB의 설정도 함께 초기화됩니다.
- 강제 사용자 설정 초기화 방법 ->PSP의 전원을 완전히 종료한 뒤에, 네모+세모+셀렉트+스타트버튼을 동시에 누른 상태로 PSP의 전원을 다시 올리면 잠시 후 강제로 flash1이 포맷되며, 그 효과는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flash1을 포맷한 것과 동일합니다. 위에서 말한 커펌 5.03 GEN-A 사용자가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갈 수 없게 되었을 때 이 방법을 사용하면 됩니다.

(XMB의 설정 -> 시스템 설정의 '설정 초기화' 메뉴는 flash1이 포맷되는 것이 아니므로 리커버리 설정값이 초기화되지 않습니다.)

# 시간이 지나면 이 글도 묻혀서 다시 비슷한 질문이 올라올 것 같지만, 그래도 읽어보길 바라는 마음에서... 글재주가 없는터라 쉽게 설명하지 못해 죄송합니다.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4


주기적으로 작성하고 있는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네번째 글입니다.
사실 그 동안 ChickHEN의 발표와 그에 대응하는 커펌이 나오면서 이전 글을 업데이트할 필요를 느끼고는 있었는데, 예전 방식대로 글을 쓰면 복잡해서 알아보기도 힘들고, 끝도 없이 길어질 것 같아서 어떤 식으로 써야할지 도무지 감이 안잡히더군요. 그래서 표로 한 번 정리해봤는데, 더 복잡한 것도 같고 그렇네요.

* 이 글은 2009년 7월 7일 기준입니다. *
--------------------------------------------------------------------------------

# 정식펌웨어(이하 정펌)에서 커스텀펌웨어(이하 커펌)를 처음 설치하는 방법 #

1단계 : PSP의 기종 확인하기
- 자신의 PSP가 PSP-100X 시리즈인지, 200X 시리즈인지, 300X 시리즈인지 먼저 확인합니다. 설마 구분을 못하시는 분은 없겠죠? 이후에는 PSP-100X을 구형 PSP, PSP-200X를 신형 PSP, PSP-300X를 최신형 PSP라고 하겠습니다.

2단계 : PSP의 기판 확인하기
- PSP에 탑재되어 있는 메인보드는 그 종류가 나뉘어져 있는데, PSP-200X의 경우 이 기판 종류가 상당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그러니 PSP-200X의 경우 PSP-200X의 박스코드로 기판 확인하기 글을 참고해서 최소한 자신의 PSP가 TA-088 v3 기판인지 아닌지 정도는 알아두어야 합니다.
- 하지만 만약 홈브류가 구동 가능한 상태(커펌 또는 ChickHEN 이용)라면 PSPident라는 홈브류를 통해 PSP의 기판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3단계 : PSP의 현재 펌웨어 버전 확인하기
- XMB(PSP의 기본 화면)에서 설정 -> 시스템 설정 -> 시스템 정보 메뉴로 들어가면 '시스템소프트웨어' 항목에 현재 PSP에 설치되어 있는 펌웨어 버전이 표시됩니다. '버전 5.XX', ' 버전 4.XX' 등으로만 표시된다면 정펌을 의미하며, 그 외 다른 문자가 추가되어 있다면 이미 커펌이 설치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5.00 M33-6, 5.03 GEN-A 등등)

4단계 : 현재 자신의 PSP에 맞는 커펌 설치법 알아보기
- 자신의 기종 / 기판 / 펌웨어 버전(정펌)을 확인했다면 아래 표를 통해서 현재 PSP에 알맞은 커펌 설치 방법을 선택합니다. 현재 PSP의 펌웨어 버전보다 높은 펌웨어에서의 설치 방법은 PSP를 해당 정식 펌웨어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면 사용 가능하지만, 현재 PSP의 펌웨어 버전보다 낮은 펌웨어에서의 방법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정펌 4.01이라면 정펌 5.03으로 업데이트후 정펌 5.03에서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반대로 정펌 5.50의 경우에는 정펌 5.03의 방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빨간색 : 다운그레이더 이용, 파란색 : ChickHEN 이용, 녹색 : 판도라의 배터리 이용)              
구형 PSP
(PSP-100X)
펌웨어
1.50
 펌웨어
2.00
펌웨어
2.71
펌웨어
2.80
펌웨어
3.03
펌웨어
3.50
펌웨어
5.03
펌웨어
5.50 이상
 TA-079 / 081
A, P
B, P B, P B, P C, P D, P R, P P
 TA-082 / 086
A, P P P B, P C, P D, P R, P  P

신형 PSP
(PSP-200X)
펌웨어
3.60 - 5.03 미만
펌웨어
5.03
펌웨어
5.50
펌웨어
5.51 이상 
 TA-085 v1 / v2
TA-088 v1 / v2
TA-090 v1
P R, E, G, P P P

TA-088 v3

 - E, G - -

최신형 PSP
(PSP-300X)
펌웨어
5.00 - 5.03 미만
펌웨어
5.03
펌웨어
5.50
펌웨어
5.51 이상
TA-090 v2
-
E, G -
-

5단계 : 정펌인 PSP에 실제로 커펌 설치하기
# A : 커펌 인스톨러 이용 : 정펌 1.50인 구형 PSP라면 아무런 작업 없이 바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바로 최신 커펌 버전 설치는 불가능하고 반드시 커펌 3.52 M33 설치 -> 커펌 3.52 M33-4 업데이트를 거쳐야 커펌 5.00 M33이나 커펌5.50 GEN 등의 최신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 B : 초기 다운그레이더 : 별다른 준비물 없이 PSP의 펌웨어를 강제로 1.50으로 내려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펌웨어 2.00 / 2.71 / 2.80일 경우에만 가능하며 http://popotz.textcube.com/23에서 자세한 사항을 확인하세요. 정펌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한 뒤에는 위의 #A 방법대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 C : 3.03 GTA 다운그레이더 : GTA : LCS라는 게임을 이용해 PSP의 펌웨어를 강제로 1.50으로 내려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GTA : LCS라는 게임의 UMD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정펌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한 뒤에는 위의 #A 방법대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 D : 3.50 루미네스 다운그레이더 : 루미네스라는 게임을 이용해 PSP의 펌웨어를 강제로 1.50으로 내려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루미네스라는 게임의 UMD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정펌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한 뒤에는 위의 #A 방법대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 R : 리커버리 플래셔 : ChickHEN을 구동한 뒤 '리커버리 플래셔'라는 홈브류를 통해 곧바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단, 이는 영구적인 커펌을 설치하는 것이므로 PSP의 기판이 TA-088 v3인 PSP-200X이나 TA-090 v2인 PSP-300X의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벽돌됨.)

# E : CFWEnabler : ChickHEN을 구동한 뒤 일시적으로 커펌의 기능을 사용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영구적인 것이 아닌 일시적인 것이므로 PSP를 재부팅하면 커펌 상태가 해제되고 다시 정펌 상태로 돌아가게 됩니다. 하지만 커펌 상태에서는 기존 커펌의 기능을 거의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커펌 5.03 GEN for HEN과 비슷함.)

# G : 커펌 5.03 GEN-A for HEN : ChickHEN을 구동한 뒤 일시적으로 커펌의 기능을 사용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영구적인 것이 아닌 일시적인 것이므로 PSP를 재부팅하면 커펌 상태가 해제되고 다시 정펌 상태로 돌아가게 됩니다. 하지만 커펌 상태에서는 기존 커펌의 기능을 거의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CFWEnabler와 비슷함.)

# P : 판도라의 배터리 : 특수 변환된 지그킥배터리와 특수하게 만든 매직메모리스틱을 조합해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하드웨어적인 방식이므로 PSP의 펌웨어 버전이 무엇이든 상관없이 바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게다가 벽돌의 복구도 가능. 하지만 그 종류도 많고 개념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충분히 공부할 필요가 있습니다. 매직 메모리스틱 종류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 커펌 버전이 달라지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커펌된 PSP없이 DC v4 만들기, 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 또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DC v8) 등이 있습니다. 단,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을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커펌이 설치된 PSP가 따로 필요하며, 특히 지그킥배터리 변환을 위해서는 PSP의 기판이 이를 지원해야 하는데, 이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사항은 이 그림를 참고해주세요.
--------------------------------------------------------------------------------

# 커스텀식펌웨어(이하 커펌)에서 커스텀펌웨어를 재설치하는 방법 #

정펌이 아니라 이미 기존에 커펌이 설치되어 있는 PSP에서 상위 커펌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거나, 더 낮은 커펌 버전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 또는 커펌이 불안정해서 재설치하고 싶은 경우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 이 아래의 방법들은 기존의 영구적인 커펌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ChickHEN을 통해 CFWEnabler나 커펌 5.03 GEN-A for HEN 등의 임시적인 커펌을 설치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1. 커펌 인스톨러 이용 : 제일 기본이 되는 방법으로서, 새로운 커펌 버전 발표와 동시에 배포되는 설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이에 대한 것은 각 커펌 설치법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니 자신이 설치하고 싶은 커펌 버전의 발표/설치방법 글을 참고하면 됩니다. 단, 알아둘 점이 2가지 정도 있습니다.
- 커펌 3.71 이상의 커펌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커펌 3.52 M33-3 이상이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약 PSP의 커펌 버전이 3.52 M33-3 미만이라면 커펌 3.52 M33 설치 -> 커펌 3.52 M33-4 업데이트를 먼저 해주어야 합니다.
- 커펌 인스톨러는 항상 현재 커펌 버전보다 높은 버전의 커펌만 설치할 수 있으며 그보다 낮은 버전의 커펌은 설치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커펌 3.90 M33이라면 커펌 3.71 M33의 설치는 불가능하고, 그 이상의 버전인 커펌 4.01 M33이나 커펌 5.00 M33 등의 커펌만 설치가 가능합니다.)

2. 리커버리 플래셔 이용 : Hellcat이라는 개발자가 만든 리커버리 플래셔(Recovery Flasher)라는 홈브류를 사용하면 다양한 커펌 버전중에서 원하는 커펌을 선택해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커펌 인스톨러와는 다르게 현재 설치되어 있는 커펌 버전보다 낮은 버전의 커펌 설치도 가능하며, 오래 전에 나온 초기 커펌(커펌 3.XX OE 등)에서도 커펌 3.52 M33-3 이상으로 업데이트할 필요없이 바로 최신 커펌의 설치가 가능합니다. 또한 PSP가 반벽돌이거나 불안정한 경우 현재 버전의 커펌을 재설치하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합니다. 예를 들면, 현재 커펌 버전이 3.10 OE인데 최신 커펌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나 커펌 5.00 M33인데 그 보다 낮은 커펌 3.71 M33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 PSP가 이상한 것 같아 현재 커펌을 재설치하고 싶은 경우에는 리커버리 플래셔를 사용하면 됩니다.

3. 판도라의 배터리 : 특수 변환된 지그킥배터리와 특수하게 만든 매직메모리스틱을 조합해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하드웨어적인 방식이므로 PSP의 현재 커펌 버전이 무엇이든 상관없이 바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게다가 벽돌의 복구도 가능. 하지만 그 종류도 많고 개념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충분히 공부할 필요가 있습니다. 매직 메모리스틱 종류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 커펌 버전이 달라지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 또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DC v8) 등이 있습니다. 단, 지그킥배터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PSP의 기판이 이를 지원해야 하는데, 이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사항은 이 그림를 참고해주세요.
--------------------------------------------------------------------------------

# 마지막으로 커펌을 설치한 이후 알아두면 좋은 글들만 몇 개 링크 걸어두겠습니다.
강제 사용자 설정 초기화 방법 / Flash0 숨김 폴더 보기 및 남은용량 확보 / 커펌의 대표 기능 사용법 정리 / 커펌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 위 설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요즘 여름이라 그런지 다시 슬럼프입니다. 당분간(나흘에서 일주일 정도?) 잠수 좀 타겠습니다. ㅜㅜ

커펌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이전에도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에 대해 설명한 글이 있었지만 그 글이 워낙 오래된지라 재작성합니다.
(이전 글은 2006년 12월, 커펌 3.03 OE-C 기준으로 작성한 글이더군요. ㅡㅡ)
------------------------------------------------------------------------

현재까지 발표된 모든 PSP용 커펌에는 정펌과는 달리 리커버리 모드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리커버리 모드의 역할은 커펌 자체의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고, 만약의 경우 PSP를 복구하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현재는 PSP 복구의 기능은 거의 쓰이지 않으며, 커펌 자체의 기능 설정 용도로만 쓰이고 있습니다.

커펌이 설치된 PSP에서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하려면, 전원스위치를 3초 이상 올리거나 배터리를 완전히 분리해서 PSP를 종료(슬립모드가 아님)한 뒤 R트리거를 누른 채로 다시 PSP의 전원을 올리면 됩니다. 하지만 커펌 버전에 따라 VSH Menu를 통해서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고, 특정 홈브류나 플러그인을 이용하면 XMB에서 바로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기존의 커펌이 아닌 ChickHEN용 커펌에서는 진입방법이 약간 달라지는데, 커펌 5.03 GEN for HEN의 경우 VSH Menu를 통해서만 리커버리 모드 진입이 가능하고, CFWEnabler의 경우에는 CFWEnabler 로더내에 리커버리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가 따로 들어있습니다.

이렇게 리커버리 모드에서 설정한 설정값들은 flash1:/config.se라는 파일에 저장되는데, 이 파일을 삭제하거나 flash1을 포맷하면 리커버리 모드의 설정값은 모두 초기화됩니다.

그럼 리커버리 모드에 있는 각 기능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커펌 5.00 M33-6을 기준으로 하며 PSP 종류나 커펌 버전, 커펌 종류에 따라 그 메뉴가 약간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리커버리 모드 설명 열기



# 이전 커펌 3.03 OE 시절과 비교해봤더니 몇 가지 메뉴만 새로 추가되었을 뿐 기본적인 구조는 거의 변함이 없군요. 애초에 리커버리 모드가 너무 잘만들어져서 그런 것일 수도 있겠고, 아니면 커펌 자체의 발전이 거의 없다는 뜻이 될 수도 있겠지만, 아무래도 전자겠죠??

* 관련글 보기 *
Recovery Flasher v1.5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강제 사용자 설정 초기화 방법
커펌 반벽돌 복구법
커스텀펌웨어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예전 글)

낸드이미지 백업 / 복구하기

이번 글에서는 PSP의 낸드 플래시 메모리(IPL, idStorage, Lflash) 전체를 단일 이미지 파일 형태로 백업하고 복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치 PC에서 고스트 등의 프로그램으로 OS 자체를 백업하고 원할 경우 언제든지 쉽게 복구할 수 있는 것처럼 PSP의 낸드이미지를 백업해두면 필요할 경우 언제든지 이전 상태로 PSP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커펌 버전은 물론이고 사용자 설정이나 커펌 설정 등도 모두 백업할 때와 동일하게 복구됩니다. 커펌 버전을 자주 변경하는 분들은 각 커펌 버전별로 낸드이미지를 백업해두고 편하게 커펌 버전을 변경할 수도 있겠죠.

이러한 낸드이미지 백업/복구 과정은 위험성이 있기때문에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한 서비스 모드에서 실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번에는 지그킥배터리가 필요없는 일반 홈브류를 이용해 낸드이미지를 백업하고 복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따라서 지그킥배터리가 작동하지 않는 TA-088 v3 기판의 PSP-2000이나 PSP-3000에서도 홈브류를 구동할 수 있는 상태(ChcikHEN, CFWEnabler, 커펌 5.03 GEN-A)라면 아래 방법을 통해 낸드이미지를 백업하거나 복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경우 현재는 어떠한 복구 방법도 없으므로 충분히 주의하시고, 자기 책임하에 사용해주시길 바랍니다.

거듭 말씀드리지만 이 아래 방법은 어떠한 안정장치도 없으며, 복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PSP가 더 이상 부팅되지 않는 벽돌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 아래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낸드이미지를 백업하고 복구할 수 있는 홈브류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NAND Manager와 nandTool이죠. 이 홈브류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아래 글을 잘 읽고 마음에 드는 것으로 선택해주세요. 만약 아래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1. NAND Manager v0.51 [출처가기]

NAND Manager v0.51 사용법 열기



2. nandTool 0.4 final NEO [출처가기]

nandTool 0.4 final NEO 사용법 열기



[ 그 외 주의사항 ]

- 낸드매니저와 낸드툴을 이용해 백업한 낸드이미지 파일은 형식이 완전히 같으므로 서로 공유 가능합니다. 또한 유니버셜 언브리커 등으로 백업한 낸드이미지와도 공유 가능합니다.
- 낸드이미지 백업/복구 프로그램을 사용하기에 앞서 제일 먼저 해당 PSP의 낸드이미지를 백업하고, 다른 곳에도 보관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을 위해 복구하기 위함입니다.
- 낸드이미지 파일이 손상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거나 복구가 되더라도 PSP가 정상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되도록이면 정품 메모리스틱을 사용해주세요.
- 다른 PSP의 낸드이미지 파일을 복구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idStorage가 손상되어 PSP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복구시 해당 PSP에서 백업한 낸드이미지만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불가피한 경우에는 idSotorage를 제외하고 복구해야 합니다.
----------------------

# 글 수정하다가 다 날라가서 재작성... 잊지않겠다... ㅜㅜ

커펌의 대표 기능 사용법 정리

이번 ChickHEN용 커펌 5.03 GEN-A for HEN의 발표로 인해 그 동안 발매된 펌웨어 5.03 이하의 PSP-2000과 PSP-3000에서 완벽하지는 않지만 커펌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커펌이나 커펌 비스무레한 것을 처음 사용하는 분들을 위해 커펌의 주요 기능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자세하게 쓰면 끝도 없으므로 요점만 최대한 간략하게!!

[ 정식 펌웨어의 모든 기능 ]
커펌이라고 해도 정펌의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현재 PSP의 커펌이란 게 어디까지나 정펌을 기반으로 변형된 것이니까요. 커펌에서도 UMD의 구동은 물론이고, 커펌 버전과 동일한 버전의 정펌 기능을 대부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 PS Store 이용시에는 펌웨어 버전때문에 문제가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 VSH menu 사용 ]
XMB(PSP의 기본 메뉴 화면)에서 셀렉트버튼을 누르면 VSH menu가 나타납니다. VSH menu에서는 정펌에서는 불가능한 다양한 설정 변경이 가능한데, CPU 클럭 변경이나 USB 연결 장치 변경, PSP 전원 관리 기능 등이 대표적이죠. (커펌 5.03 GEN-A for HEN에서는 VSH menu를 통해서만 리커버리 모드 진입이 가능합니다.)

 [ 리커버리 모드 ]
원래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는 커펌이 설치된 PSP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복구하기 위한 용도였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그런 것보다 커펌의 각종 기능을 설정하는 용도로 더 많이 쓰입니다.
간단한 영어로만 되어있으니 무슨 기능인지는 쉽게 알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리커버리 모드의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CPU 클럭 변경, 플러그인 관리, O/X버튼 역할 변경, 커펌에 내장된 기능 설정 변경 등인데 몇 가지는 위의 VSHmenu와 중복되기도 합니다.
조금 더 자세한 설명은 http://popotz.textcube.com/1219 참고하세요.

 [ 홈브류 구동 ]
개인 개발자가 PSP용으로 만든 홈브류의 구동이 가능합니다. (굳이 커펌이 아니라도 ChickHEN 상태라면 홈브류 구동이 가능합니다.) 홈브류는 대부분 ms0:/PSP/GAME/ 폴더에 설치되며,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실행이 가능합니다. 홈브류는 그 기능에 따라 종류가 많으므로, 무슨 홈브류를 사용할 것인지는 블로그내의 각 홈브류 소개글을 참고하시면 되고, 자세한 설치법 및 사용법 역시 소개글을 참고하세요.
ChickHEN 발표 당시 쓴 홈브류 모음 글을 봐도 도움이 될 듯 싶습니다. (http://popotz.textcube.com/1156, http://popotz.textcube.com/1157) 단, 커펌 버전에 따라 홈브류의 구동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 플러그인 사용 ]
커펌에서는 추가적인 기능을 위한 플러그인의 사용이 가능합니다. 홈브류가 일종의 프로그램이라고 한다면 플러그인은 그 홈브류안이나 게임 / XMB상에서 항상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애드온 기능을 말하는 것이죠. 대표적으로 스크린샷 플러그인이나 치트 플러그인이 있겠네요. 플러그인 역시 그 기능에 따라 종류가 나뉘어지므로 각 플러그인 소개글을 참고해서 자신이 원하는 플러그인을 선택해서 설치하세요.
참고로 ms0:/seplugins/ 폴더의 VSH.txt 파일은 XMB에서 사용할 플러그인의 목록, GAME.txt 파일은 게임/홈브류에서 사용할 플러그인의 목록, Pops.txt 파일은 PS1 게임에서 사용할 플러그인의 목록이 저장되어 있는 파일이며, 이처럼 각 txt 파일에 등록된 플러그인의 활성화 / 비활성화 설정 변경은 리커버리 모드 -> Plugins 메뉴에서 가능합니다. 플러그인 역시 커펌 버전에 따라 구동 여부가 달라지며, 호환되지 않는 플러그인 활성화시 PSP가 부팅되지 않을 수도 있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 ISO/CSO 구동 ]
경고 : 이 기능은 자신이 소유한 UMD의 백업만을 구동하기 위한 목적이며, 다른 사람에게 ISO 파일을 받거나 ISO 파일 자체를 공유하는 행위는 불법입니다.

UMD 게임의 로딩 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UMD 자체가 손상되는 것이 싫은 경우 UMD를 ISO 형식으로 변환해서 메모리스틱에 저장 후 구동할 수 있습니다. 우선 http://popotz.textcube.com/793글을 참고해서 자신이 보유한 UMD를 ISO 형식으로 덤프합니다. 그 후 이 ISO 파일을 ms0:/ISO/ 폴더에 복사한뒤 홈브류와 동일하게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실행하면 됩니다.
[CSO 포맷이란? : CSO 포맷은 ISO 파일을 압축해서 용량을 줄인 파일입니다. 게임에 따라 압축률은 상당한 차이가 나며, CSO로 압축되어 있을 경우 게임 내에서 로딩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CISO Utility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ISO를 CSO로 변환 가능(압축률 지정도 가능)하며, CSO를 다시 ISO로 재변환할 수도 있습니다. 메모리스틱의 용량이 부족하거나 하는 경우에 사용하면 됩니다.]

단, ISO/CSO 구동시 주의할 점이 대표적으로 두 가지 있습니다.
1. ISO/CSO 파일의 이름이 알파벳이나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을 것 -> 예를 들어 '재밌는게임.ISO'의 경우 구동이 불가능하며 'funnygame124.ISO' 등의 파일명으로 변경해야 구동이 가능합니다. (예전엔 안 그랬는데... ㅜㅜ) 또 파일명이 54글자 이상이라면 인식이 안되므로 이 점도 주의해주세요.
2. No-UMD 모드의 확인 -> ISO/CSO 구동은 UMD 드라이브를 에뮬레이션 하는 방식입니다. 즉, UMD 슬롯에 아무 UMD나 실제로 들어있어야만 ISO/CSO의 구동이 가능하죠. 하지만 이런 방식은 상당히 불편하기에 No-UMD 모드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No-UMD 모드란 실제 UMD가 없어도 ISO/CSO 구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능이며, VSH menu나 리커버리 모드에서 'UMD ISO Mode' 메뉴 변경을 통해 설정 가능합니다. 이 값을 'M33 Driver'나 'Sony 9660'으로 설정해야만 실제 UMD 없이도 ISO/CSO가 구동됩니다.

[ 비디오 UMD에서 추출한 ISO 재생 ]
위에서 설명한 게임 ISO/CSO뿐만 아니라 비디오 UMD에서 추출한 ISO 파일 역시 PSP에 가상으로 마운트해서 감상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스틱의 ms0:/ISO/VIDEO 폴더에 비디오 UMD에서 추출한 ISO 파일을 복사하고 VSH Menu의 'ISO VIDEO MOUNT' 옵션에서 방향키를 이용해 비디오 ISO 파일을 선택하면 잠시 후 비디오 메뉴에 UMD 표시가 나타나며 재생이 가능합니다. 단, 이 경우 NO-UMD 모드는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PSP의 UMD 슬롯에는 반드시 실제 UMD가 들어있어야 합니다. (지역코드 제한이 없는 게임 UMD라면 아무 것이나 가능.)

[ PS1 게임 구동 ]
PS Store에서 PS1 게임의 구입이 가능하지만, 커펌을 이용하면 구입하지 않더라도 자신이 직접 변환한 PS1 게임의 구동이 가능합니다. PS1 게임 변환은 PSX2PSP 등의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EBOOT.PBP 형식으로 변환이 가능하며 이렇게 변환된 EBOOT.PBP 파일을 ms0:/PSP/GAME/XXX/ 폴더를 만들어 그 안에 복사해 넣으면 됩니다. (여기서 XXX란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임의의 폴더)
하지만 펌웨어 버전에 따라 PS1 에뮬레이터(Pops)와 PS1 게임의 호환성이 달라지므로, 특정 게임에서는 Popsloader 플러그인을 이용해야할지도 모릅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나 그 외 멀티디스크 변환법, PS1 게임용 매뉴얼 제작 방법 등은 생략합니다. (블로그 뒤져보면 있을지도... ㅡㅡ;)

Recovery Flasher v1.6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Hellcat의 Recovery Flasher가 오랜만에 v1.60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리커버리 플래셔는 지그킥배터리가 없이도 실행 가능한 일반 홈브류 프로그램으로서, 커펌 및 정펌 설치가 가능하며 그 외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특히 PSP가 반벽돌 상태이거나 커펌 버전을 내릴 때 주로 사용됩니다.

또 최근 ChickHEN이 발표됨에 따라 정펌 5.03에서 커펌을 설치하는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자세히 설명하려면 끝도 없으므로 자세한 설치법 및 사용법은 http://popotz.textcube.com/1071를 참고해주세요. 여기서는 이번 버전의 변경점만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v 1.60의 변경점

[*] 커펌 5.00 M33 설치시 커펌 5.00 M33-6이 설치되도록 업데이트 되었다. (기존에는 커펌 5.00 M33-4였음.)
[*] 새로운 백업폴더 생성시 일자, 펌웨어, PSP 모델을 폴더 이름에 포함해서 생성한다.
[*] 유니버셜 언브리커 v6 이후 버전에서 모두 작동하도록 하는 resurrecion.prx 파일을 만들었다.
[*] PSP 3000과 TA-088v3 이상 기판의 PSP 2000을 탐색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PSP에서는 커펌 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낸드메모리 쓰기 기능(커펌 설치 등)을 사용할 수 없다.
[*] "Firmware Packs"을 지원한다. - 일종의 애드온 개념으로 새로운 커펌이 나왔을 때 리커버리 플래셔를 새로 발표해야 하는 필요성을 없애준다. 즉, 리커버리 플래셔를 새로 발표하는 대신에 이러한 팩을 이용해서 리커버리 플래셔가 새로 발표된 커펌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리커버리 플래셔가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커펌 GEN 등을 설치할 경우에도 유용하다.
[*] 업데이트 PBP 파일의 손상으로 PSP가 벽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업데이트 PBP의 안정성을 확인한다.
[*] 낸드 덤프를 확인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 HEN 모드의 탐지 기능이 추가되었다.
[*] 백업 파일이 커펌이 아닌 정펌일 경우 이를 탐지하고 취급한다. (HEN에서 만들어진 경우 등)
[*] 낸드 덤프 기능이 향상되었다. 새로운 덤프 자료는 PSP의 ID를 포함해서 백업 슬롯 이름과 비슷한 이름으로 생성된다. 낸드 복구 과정에서는 현재 PSP의 ID와 일치하는 덤프 자료만을 목록으로 보여주며, 그 중에서만 선택이 가능하다. (ID 확인 과정은 실수로 다른 덤프자료를 선택하는 문제를 예방해준다.
[*] 백업 생성/복원 과정에서의 취소 기능이 추가되었다.
[*] HEN 모드에서 만들어진 백업 자료는 원래의 펌웨어를 포함해서 분류된다.

오랜만에 나온만큼 변경사항이 많네요. 특히 커펌 설치 불가능한 기판에서는 아예 파일 쓰기 기능을 작동 안되도록 하는 등 안정성에 중점을 둔 것 같습니다. 리커버리 플래셔는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하는 방식이 아니라 조금은 불안했는데 이제는 그런 걱정은 안 해도 될까요?
또 리커버리 플래셔의 업데이트 없이도 새로운 커펌이 발표되면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Firmware Packs" 기능도 마음에 드네요.


설치법 및 사용법은 http://popotz.textcube.com/1071에 있는 v1.50를 참고해주세요.
뭐, 시간이 나면 이번 v1.60 기준으로 다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PSP 커스텀 펌웨어 변경점 모음


이전 공식 펌웨어 변경점 모음에 이어서 이번에는 Dark_AleX가 발표한 커스텀 펌웨어의 변경점만을 모아봤습니다.

현재 PSP의 커스텀 펌웨어란 공식 펌웨어 + 추가 기능의 형식으로 이루어졌기에, 커펌이라도 정펌의 기능을 100%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커펌의 기능 역시 정펌 업데이트에 의해 계속 달라지게 되므로 커펌 버전이 PSP 사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와는 별도로 커펌 자체의 기능이 수정/변경되기도 하는데, 바로 아래의 변경점들이 커펌 자체의 기능 변경점이며,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모든 변경점은 다음 버전에 누적되는 형식입니다. (이전 변경점이 추후 버전에 모두 포함된다는 뜻.)

아래는 Dark_AleX가 발표한 커펌의 변경점만을 모아둔 것으로 Dark_AleX 외 다른 사람이 만든 커펌도 있지만 별로 중요하지도 않고 많이 사용되지도 않으므로 제외합니다. 또 중요한 커펌 버전에는 간단한 코멘트를 달아놓았으므로, 그 동안 커펌이 어떤 식으로 발전해서 현재의 모습이 되었는지 재미삼아 읽어봐도 좋을 듯 싶습니다. (사실 이전 정펌 변경점 글과 이번 커펌 변경점 글을 쓴 진짜 목적은 요즘 제가 나이가 들어서 그런지 혼동하는 일이 많아서라죠.)

변경점 및 자료의 출처는 모두 http://alek.dark-alex.org/filez/dax/이며, 커펌 발표 날짜만 http://alek.dark-alex.org/pspwiki/index.php/Custom_Firmwares를 참고했습니다. (발표 날짜는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PSP 커스텀 펌웨어 변경점 열기


커펌 발표 시기를 보면 이전에는 정펌이 새로 발표되자마자 얼마 안 있어 새로운 커펌이 발표되곤 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Dark_AleX도 지쳤는지 큰 변경점이 없는 한 새로운 커펌을 내놓지않겠다고 했으며, 실제로 커펌 5.00 M33-6 발표 후 아직까지 새로운 업데이트나 커펌이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이번 커펌 5.50도 불투명하죠.)

사실 저 위의 변경사항을 보면 알겠지만 더 이상 추가할 기능이 없어보이기도 합니다. 저 역시 앞으로 꼭 추가되었으면 하는 기능은 딱히 떠오르지 않네요. PSP의 커펌은 어디까지나 정펌에 그 기반을 두고 있기때문에 앞으로 정펌이 어떻게 변경되는지가 커펌에도 큰 영향을 주게 됩니다. 한 때 손휘의 정펌을 벗어난 진정한 커스텀 펌웨어를 만들자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현재는 잠잠하네요.

마지막으로 현재까지 발표된 Dark_AleX의 커펌 설치 파일을 모두 받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너무 많아서 모으는데도 한참 걸렸네요.)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3

이전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2.5를 작성한 뒤로 벌써 1년 이상 시간이 지났고, 또 요즘 들어 관련된 질문이 많은 것 같아 PSP에 커스텀펌웨어를 설치하는 방법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 이 글은 2009년 3월 9일 기준입니다. *

[ 추가사항 ] 2009년 5월 초 ChickHEN의 발표로 인해 커펌 설치 방법이 더 다양해졌습니다. 자신의 PSP 펌웨어 버전이 5.03 이하이고, 커펌 설치가 가능한 기판이라면 ChickHEN을 이용한 커펌 설치 방법을 http://popotz.textcube.com/1156에서 참고해주세요.

이 글은 기본적인 사항만 나열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치법, 사용법, 주의사항 등은 링크된 해당 글의 내용을 반드시 자세히, 꼼꼼하게, 빠짐없이, 세세히, 주의 깊게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정식펌웨어에서 커스텀펌웨어를 처음 설치하는 방법 :::
구형 PSP (PSP-100X)
현재 PSP가 정식펌웨어 상태라면 특수한 방법을 통해 커스텀펌웨어를 설치해야 합니다. 예전에는 다운그레이더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 방법이므로 판도라의 배터리(지그킥배터리+매직메모리스틱)를 이용하는 방법만 알아보겠습니다.
판도라의 배터리란?
판도라의 배터리는 특수하게 변환한 배터리(지그킥배터리)와 특수하게 만든 메모리스틱(매직메모리스틱)을 합쳐서 부르는 용어입니다. 이 판도라의 배터리를 이용하면 구형 PSP는 정식펌웨어 버전과 상관없이, 기판과 상관없이 모든 PSP에 커스텀펌웨어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http://popotz.textcube.com/574, http://popotz.textcube.com/1108 글을 참고하세요.

지그킥배터리 만들기
지그킥배터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커펌이 설치된 다른 PSP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또 커펌이 설치되어 있다고 아무 PSP에서나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고 구형 PSP(PSP-100X)나 초기에 발매된 일부의 신형 PSP(PSP-200X)에서만 변환 가능합니다. (조금 더 자세히 말하면 구형 PSP는 모든 기판에서, 신형 PSP는 TA-085 v1 기판에서만 지그킥배터리 변환이 가능합니다.)
* PSP의 기판 확인하기 -> http://popotz.textcube.com/860
* 지그킥 변환 프로그램 모음 -> http://popotz.textcube.com/726

매직메모리스틱 만들기
예전에는 커펌이 설치된 PSP에서만 만들 수 있지만 현재는 PC에 메모리스틱을 연결해서 쉽고 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매직메모리스틱 자체는 커펌된 PSP가 없어도 정펌된 PSP만으로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그킥배터리가 없다면 매직메모리스틱을 만들어도 아무 소용이 없겠죠.
* 커펌된 PSP 없이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메모리스틱 만들기 -> http://popotz.textcube.com/689
* 커펌된 PSP 없이 유니버셜 언브리커 v4 메모리스틱 만들기 -> http://popotz.textcube.com/721
* 커펌된 PSP에서 유니버셜 언브리커 v6 메모리스틱 만들기 -> http://popotz.textcube.com/951
* 커펌된 PSP에서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메모리스틱 만들기 -> http://popotz.textcube.com/1155

만약 커펌이 설치되어 있고 지그킥 변환이 가능한 PSP가 따로 있을 경우 http://popotz.textcube.com/963 글을 그대로 따라하면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을 만들 수 있으며 커펌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커펌이 설치된 PSP가 없다면 정펌 상태인 PSP에 커펌을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 외 세세한 사용법 등은 각 해당 글을 읽어보세요.

신형 PSP (PSP-200X)
신형 PSP 역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은 구형 PSP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위의 구형 PSP 내용을 참고하면 됩니다.
단, 제일 나중에 발매되어 TA-088 v3 기판이 탑재된 신형 PSP는 위의 방법으로 커펌 설치가 불가능하며, 아직까지는 커펌을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최신형 PSP (PSP-300X)

최신형 PSP 역시 아직까지는 커펌을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 커스텀펌웨어에서 커스텀펌웨어를 새로 설치하는 방법 :::
현재 커펌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커펌 버전이 너무 낮아서 최신 커펌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싶거나 아니면 커펌을 완전히 새로 설치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ark_AleX의 커펌 인스톨러 이용
제일 기본이 되는 방법으로서, Dark_AleX가 새로운 커펌을 발표할 때 배포하는 커펌 인스톨러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커펌 인스톨러 사용시 약간의 제약사항이 있는데, 커펌 3.52 M33-2 이하(커펌 SE, 커펌 OE 등도 포함)에서는 최신 커펌을 바로 설치할 수 없고 반드시 커펌 3.52 M33-3 이상으로 먼저 업데이트를 해주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또 한 가지는, 커펌 인스톨러는 항상 현재 커펌 버전보다 높은 버전의 커펌만 설치할 수 있으며 그보다 낮은 버전의 커펌은 설치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커펌 인스톨러는 누적되어 적용되므로, 만약 현재의 PSP가 커펌 3.52 M33-3 이상이라면 최신 커펌인 커펌 5.00 M33-6을 한 번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판도라의 배터리 이용
위의 '정펌에서 커펌 설치하는 방법'에서 설명한 판도라의 배터리를 이용하면 정펌뿐만 아니라 커펌에서도 쉽게 커펌을 새로 설치하거나 커펌 버전의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또한 만약 커펌 설치 도중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쉽게 복구할 수 있어 위험성은 거의 없다고 봐도 됩니다. 판도라의 배터리를 만드는 방법은 http://popotz.textcube.com/963글을 참고하시고, 그 외 자세한 사항은 판도라의 배터리 카테고리 글들을 읽어보세요.

리커버리 플래셔 이용
Hellcat이라는 개발자가 만든 Recovery Flasher(리커버리 플래셔)라는 홈브류를 사용하면 다양한 커펌 버전을 선택해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의 커펌 버전보다 낮은 버전의 커펌 설치도 가능하며, 오래 전에 나온 초기 커펌(커펌 3.XX OE 등)에서도 귀찮은 과정 없이 바로 최신 커펌의 설치가 가능합니다.

현재 커펌 버전이 3.10 OE인데 최신 커펌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 커펌 5.00 M33인데 커펌 3.71 M33을 다시 설치하고 싶은 경우, PSP가 이상한 것 같아 커펌을 새로 설치하고 싶은 경우 등에는 리커버리 플래셔를 사용하면 됩니다.

단, 커펌 설치시는 언제나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므로 항상 자기 책임하에 사용해주세요.

* 리커버리 플래서 v1.50 설치법/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1071

위의 내용은 커스텀펌웨어 설치법을 최대한 간단하게 요약해놓은 글이라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을 것 같습니다. 이 경우 블로그 우측의 커스텀펌웨어 카테고리판도라의 배터리 카테고리를 참고해주세요.

# 위 실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Recovery Flasher v1.5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그다지 글로 쓸만한 새로운 소식이 없어서, 한참 블로그를 쉴 때 빼먹었던 홈브류에 대해 씁니다.
----------------------------------------------------------------------------------------------

Recovery Flasher v1.50은 쉽게 말해 커펌 인스톨러입니다. 물론 리커버리 플래셔 역시 홈브류이므로 이미 커펌이 설치되어 있어야 실행 가능하며, 정펌(펌웨어 1.50 제외)에서는 구동이 불가능합니다.

Dark_AleX가 발표하는 커펌 인스톨러의 경우 커펌 버전별로 인스톨러가 달라지는데 비해서 리커버리 플래셔는 프로그램 하나에서 커펌 3.71 / 3.80 / 3.90 / 4.01 / 5.00 M33을 선택해서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D_A의 커펌 인스톨러의 경우 다운그레이드 설치(커펌 5.00에서 커펌 3.71 설치 등)가 불가능하지만 리커버리 플래셔는 현재의 커펌 버전에 상관없이 거의 대부분의 커펌에서 다른 버전의 커펌 설치가 가능하며, 정식 펌웨어 1.50에서도 커펌 3.52 M33-3을 먼저 설치할 필요없이 최신의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커펌 3.71 M33 이상에서 XMB로 부팅이 안되고 리커버리 모드로만 접속이 가능한 반벽돌이 되었을 경우 리커버리 플래셔를 이용하면 리커버리 모드에서 바로 복구를 하거나 커펌을 새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그 외 지그킥배터리 변환/ 백업 및 복구 기능, 홈브류 구동 등 여러 가지 부가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물론 리커버리 모드에도 들어가지 않는 완전 벽돌인 경우 리커버리 플래셔는 구동할 수 없으며, 또 안전을 위해 커펌 설치나 복구는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하지만, 리커버리 플래셔는 지그킥배터리의 변환이 불가능한 기판일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겠죠. 하지만 언제나 벽돌이 되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으므로 자기 책임하에 사용해주세요.

*** 아래의 과정 진행중 발생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Recovery Flasher v1.50 설치법/실행법 열기


그럼 커펌의 XMB 또는 리커버리 모드에서 리커버리 플래셔를 구동했을 경우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비스 모드에서 실행했을 경우나 구형/신형에서 실행했을 경우 메뉴 구성이 약간 달라질 수 있습니다.

Recovery Flasher v1.50 사용법 열기


리커버리 플래셔에는 어드밴스드 모드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일반 모드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몇 가지 추가 메뉴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드입니다.

Recovery Flasher v1.50 어드밴스드 모드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Recovery Flasher v1.21 - 반벽돌 복구, 커펌 다운그레이더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의 개발자 Hellcat이 Recovery Flasher라는 홈브류를 발표했습니다. [출처가기]

이전 커펌 3.52까지는 리커버리 모드의 Run program at... 기능을 통해 쉽게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하거나 커펌 재설치가 가능했습니다. 그래서 부팅이 안되도 리커버리 모드만 들어갈 수 있으면 복구가 쉽게 가능했죠.
하지만 커펌 3.71 M33 이후 구형/신형 공통 커펌이 되고, 리커버리 모드가 3.xx 커널용이 되면서 이 기능은 더 이상 사용이 불가능했습니다. 그래서 반벽돌이 되도 복구가 쉽지 않았으며, 커펌을 한 번 올리면 내리는 것도 쉽지 않았죠.
(물론 판도라 관련 프로그램이 나오면서 현재는 반벽돌뿐만 아니라 벽돌까지도 복구가 가능하게 되었지만, 아직까지도 판도라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게다가 배터리 변환이 안되는 기판까지 등장했으니...)

하지만 이번에 나온 Recovery Flasher는 지그킥배터리나 매직 메모리스틱 등은 일체 필요없이, 커펌 자체의 기능만으로 반벽돌(부팅은 안되고 리커버리 모드에만 접속 가능한 상태)의 복구나 상위 버전의 커펌에서 커펌 3.71로 다운그레이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추가사항 ] Recovery Flasher가 v1.20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 커펌 3.71과 마찬가지로 커펌 4.01 M33-2도 설치할 수 있게 됨.
* 커펌 3.71 M33-1 대신에 커펌 3.71 M33-4가 바로 설치됨.
* 매직메모리스틱에서 사용되는 ELF 형식이 새로 추가됨.
* ms0:/
PSP/GAME/ 폴더에 있는 홈브류를 실행할 수 있는 간단한 파일 브라우저 추가됨.
* 배터리 충전율이 낮아도 설치를 진행할 수 있는 옵션 추가됨.
* 공식펌웨어 파일(.PBP)의 버전을 확인하는 기능 추가됨.
상당히 유용한 기능들이 추가되었군요.

[ 추가사항 ] v1.21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이번 버전은 펌웨어 파일(371.PBP, 401.PBP)을 기존처럼 /RECOVERY/ 폴더가 아닌 메모리스틱 상위에 넣어도 동작하도록 변경된 것 외에 다른 변경점은 없습니다.

이 홈브류의 특징을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면...(업데이트)
- 지그킥배터리나 매직 메모리스틱(유니버셜 언브리커 등)이 일체 필요없음.
- 반벽돌의 복구나 커펌의 다운그레이드를 위해 커펌 3.71 M33-4 또는 커펌 4.01 M33-2의 재설치 가능.
- 커펌 3.52 M33-3 미만의 커펌에서도 XMB를 통해 바로 커펌 3.71 / 4.01 설치 가능. (원래 커펌 3.71 M33 이상을 설치하려면 반드시 커펌 3.52 M33-3 이상을 먼저 설치해야만 가능했죠.)
- 커펌 3.71 이상에서는 XMB와 리커버리 모드에서 모두 구동 가능, 그 이하의 커펌에서는 XMB에서만 가능.
- 타임머신을 통해 불러온 커펌 3.40 OE나 커펌 3.60 M33에서도 구동 가능.
- 유니버셜 언브리커 v6의 'Test M33' 메뉴를 이용한 커펌 4.01 M33에서 구동 가능.
- 손휘의 펌웨어 업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음.
- 커펌과 관련된 파일들의 백업 작성 가능. (펌웨어, 설정, PSN 인증 파일 등, 낸드 덤프와는 다름.)
- 커펌의 다양한 부분들 복구 가능 (XMB 테마, 설정, PSN 인증 파일 등)

* Download : 공식 펌웨어 3.71
* Download : 공식 펌웨어 4.01

[ 설치법 ] - 리커버리 모드 / XMB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1. 위의 Recovery Flasher를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RECOVERY'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1. 커펌 3.71 M33-4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3.7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37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PSP/GAME/RECOVERY/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2-2. 커펌 4.01 M33-2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4.0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40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PSP/GAME/RECOVERY/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3. 설치 끝~

[ 사용법 ] - 리커버리 모드 / XMB에서 실행한 경우

사용법 열기

--------------------------------------------------------------------------------------------------

[ 설치법 / 사용법 ] - ELF MENU / NAND TOOL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1. 위의 Recovery Flasher를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 'PANDORA' 폴더에 있는 'rflash.elf' 파일을 ELF MENU나 NANDTOOL이 설치되어 있는 메모리스틱의 ms0:/ELF/ 폴더로 복사합니다.
2. 첨부파일의 'RECOVERY' 폴더에 있는 'EBOOT.PBP' 파일도 메모리스틱의 ms0:/ELF/ 폴더로 복사합니다.
3-1. 커펌 3.71 M33-4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3.7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37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ELF/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3-2. 커펌 4.01 M33-2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4.0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40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ELF/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4.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해 ELF MENU나 NANDTOOL을 실행하고 해당 ELF를 선택해 실행하면 Recovery Flasher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5. 사용법은 위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단, 이 경우 백업과 복구 기능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설치법 / 사용법 ] - 유니버셜 언브리커 v1~v4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1. 위의 Recovery Flasher를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 'PANDORA' 폴더에 있는 'rflash.elf' 파일을 ressurection.elf'로 이름을 변경한 뒤 ms0:/KD/ 폴더에 덮어씁니다.
2. 첨부파일의 'RECOVERY' 폴더에 있는 'EBOOT.PBP' 파일도 메모리스틱의 ms0:/KD/ 폴더로 복사합니다.
3-1. 커펌 3.71 M33-4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3.7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37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KD/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3-2. 커펌 4.01 M33-2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4.0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40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KD/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4.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해 부팅하면 기존의 유니버셜 언브리커 메뉴 대신에 Recovery Flasher가 실행됩니다.
5. 사용법은 위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단, 이 경우 백업과 복구 기능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유니버셜 언브리커 v5에서는 ms0:/kd/ 폴더 대신에 ms0:/TM/DC5/KD/ 폴더를 사용해야 하며, 유니버셜 언브리커 v6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아래 동영상은 실제로 커펌 4.01 M33-2에서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커펌 3.71 M33-1로 내려가는 모습입니다.
--------------------------------------------------------------------------------------------------

이제야 모든 커펌에서 판도라 관련 툴없이도 반벽돌 복구와 커펌의 다운그레이드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초기 커펌 ~ 커펌 3.52 M33-4 까지는 기존의 방법으로 -> http://popotz.textcube.com/426
커펌 3.71 M33-1 이후부터는 위의 Recovery Flasher를 통해 가능하게 된 것이죠.

물론 리커버리 모드조차 들어가지 않는 벽돌이라면 기존처럼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 반벽돌 복구 글도 변경해야겠네요. 징징...
#  '커펌 3.71로 어떻게 돌아가죠?'라는 질문이 하도 많아 타임머신 + 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 설치글을 올렸었는데... 조금만 더 빨리나오지... 또 징징..
# 그래도 위의 프로그램보다는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하는 방법이 더 안전하고 좋습니다. 커펌 설치 중에 전원이 꺼지거나 하면 벽돌이 되므로 충분히 주의하시고, 자기 책임하에 사용해주세요.
# 위 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2008/05/28 - [판도라의 배터리] - 타임머신+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설치
2008/05/12 - [뉴스 / 루머] - 강제 사용자 설정 초기화 방법
2008/01/28 - [커스텀펌웨어/커펌 공통] - 커펌 반벽돌 복구법
2007/12/30 - [홈브류 - 일반] - Config Cleaner 2.0 - 커펌 3.71용 플래시1 포맷터
2007/08/01 - [커스텀펌웨어/커펌 공통] - 커펌의 1.50 복구 / 재설치 방법 정리

강제 사용자 설정 초기화 방법

여기저기 돌아다니다가 보니 꽤 흥미로운 방법이 소개되어 있네요. (지난 3월에 나온 소식.)
바로 PSP 부팅시 특정한 버튼조합을 누르면 사용자 설정을 초기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출처가기]

Mathieulh의 원문글 내용입니다.
It looks like vshmain checks for the following button combination at startup :
시작할 때 아래의 버튼 조합을 누르면 vshmain이 이를 체크하는 것처럼 보인다. :
SQUARE + TRIANGLE + SELECT + START
네모버튼 + 세모버튼 + 셀렉트버튼 + 스타트버튼
When this combination is issued (you need to hold the buttons before the Sony Computer Entertainment screen shows up) it will restore all the settings to default (so you will need to select the language, timezone etc etc again)
이 조합이 발생하면 (SCE 화면이 보일때까지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함.) 모든 설정을 기본으로 복구할 것이다. (그 후 언어나 시간 등을 다시 설정할 필요가 있다.)
This hidden feature works from 1.00 to 3.90 so far (and probably ongoing firmwares)
펌웨어 1.00에서 3.90 이상까지 작동하는 숨겨진 기능이다.  (아마 추후에 나올 펌웨어도 작동할 것.)
I believe this must be used in service centers to deal with psps that somehow have settings issues and cannot boot otherwise (without the need to reflash them)
왜인지 설정 문제가 발생해서 다른 방법으로는 부팅되지 않는 PSP를 서비스센터에서 수리할때 이 방법을 사용한다고 나는 믿고 있다. (flash1을 reflash할 필요 없이.)
It is really suprising that this trick wasn't found out that far, looks like no one really looked into vshmain before.
이 트릭이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은 건 정말 놀라운 일이며, 이전에는 아무도 vshmain에 대해서 연구하지 않은 것 같다.


즉, PSP를 완전히 종료하고 '네모버튼 + 세모버튼 + 셀렉트버튼 + 스타트버튼' 누른 채로 PSP의 전원을 올리면 SCE 화면이 나온 후 바로 위와 같은 초기 설정 화면이 나와 설정을 다시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XMB - 설정 - 시스템 설정 - 설정의 초기화'와 비슷하게 보이지만, 이와는 다르게 위의 강제 초기화 방법은 flash1 자체를 포맷하고 필요한 폴더만 재생성해주어 공장 초기화의 역할도 합니다. 즉, flash1 formatter나 리커버리 모드의 flash1 포맷과 비슷한(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커펌이 아닌 정펌에서도 flash1 포맷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단, PSP가 부팅조차 안되는 상황(전원을 올리면 검은 화면이 계속되거나 꺼짐)에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이 방법은 여러가지 경우에 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만약 사용자 설정이 잘못되어 부팅 도중에 멈추는 경우 (반벽돌의 일종) 위 방법을 통해 설정 초기화를 해주면 제대로 부팅이 됩니다. (리커버리 모드에서 flash1 포맷을 해주는 방법 대신 사용 가능. 단, 커펌의 설정 파일인 flash1:/config.se 파일도 삭제되므로 커펌 사용자는 리커버리 모드 설정이 초기화됨.)

또한 유니버셜 언브리커로 커펌 설치시 레지스트리 폴더의 테마 문제 등으로 물결 무늬에서 멈추는 PSP도 위 방법을 통해 설정을 초기화해주면 해결됩니다.

#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일반배터리나 AC아답터만으로도 위 기능이 작동합니다.
# 지그킥배터리를 통한 서비스 모드에 이어 이러한 방법까지 발견되네요. PSP에는 숨겨진 기능이 참 많은 듯...
# 다른 포터블기기의 리셋기능처럼 이 방법을 매뉴얼에 적어두었으면 좋았을 것 같네요. 왜 안한거지? A/S 수리비를 좀 더 벌려고? 아니면 이를 악용하는 문제때문에? ㅡㅡ;
# 신형 PSP에서도 작동한다고 합니다. (확인해주신 분들께 감사. ^^) 저는 구형 PSP 커펌 3.90 M33-3과 정펌 3.95에서 동작 확인했습니다.
# 잘못된 점을 알려주시고, 추가 정보를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관련글 보기 *
2008/01/28 - [커스텀펌웨어] - 커펌 반벽돌 복구법
2007/10/09 - [판도라의 배터리] - 유니버셜 언브리커-자주 묻는 질문

Flash0 숨김 폴더 보기 및 남은용량 확보

요즘 조금씩 컨디션이 좋아지는 것 같네요. 하루에 하나 정도는 글을 올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얼마다 더 갈지는 모르겠지만요. ㅜㅜ
---------------------------------------

이번 글은 커펌을 설치한 뒤의 flash0에 대한 내용입니다.
flash0의 몇몇 폴더가 안보인다던지 용량 확보를 하고 싶다던지 하는 질문이 많아서요.
초기 커펌 ~ 커펌 3.52 M33-4까지는 상관없고 커펌 3.71 M33 이상에서 적용되는 내용입니다.

[ flash0 영역의 숨김 폴더 및 파일 보기 ]
커펌 3.71 M33 이후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는데,
전통(?)적인 방법대로 하위 커펌에서 상위 커펌으로 업그레이드해서 설치하는 방법과
유니버셜 언브리커와 지그킥배터리로 펌웨어 상관없이 바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후자는 flash0 영역 연결시 모든 폴더와 파일을 그냥 볼 수 있지만, 전자의 경우 정펌 업데이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몇 개의 폴더와 파일이 숨김 파일로 되어있어 그냥은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아래 방법대로 윈도우 설정을 조금 건드려주어야 하죠.

예전 방법


위의 방법보다 조금 더 편한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우선 PSP와 PC를 USB로 연결하고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 - Advanced - Toggle USB (flash0)을 선택하면
PSP의 flash0 영역이 PC의 이동식 디스크로 인식됩니다.


그 안을 들여다 보면 dic, font, vsh 폴더만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km 폴더는 구형에 1.50 커널 애드온을 설치한 경우만 있는 폴더입니다.)


그러면 아래의 unlocker.bat 파일을 받아 이동식 디스크로 잡힌 flash0 영역에 복사합니다.

(출처 : http://redsquirrel.pspgen.com/Flash0Unlocker/F0Unlocker-Home.htm)


새로 복사한 unlocker.bat 파일을 더블클릭해서 실행하면 위처럼 도스창이 나오게 됩니다.
아무 키나 눌러주세요. (윈도우 비스타의 경우 관리자 계정에서만 가능합니다.)


잠시 후 성공(success)했다는 메세지가 나오며, 다시 아무 키나 누르면 창이 닫히게 됩니다.


그 후 다시 이동식 디스크로 잡힌 flash0 영역을 보면 위처럼 숨겨진 폴더와 파일의 속성이 해제되어 잘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unlocker.bat 파일은 삭제합니다.

# flash0은 될 수 있으면 건드리지 않는 것이 좋지만 혹시라도 건드려야 할 일이 있다면 최대한 주의해서 작업하세요.
---------------------------------------

[ flash0 영역의 남은 용량 확보하기 ]
신형 PSP는 flash0 영역의 남은 용량이 충분해서 아래 내용을 볼 필요가 없지만, 구형 PSP의 경우 flash0의 남은 용량이 부족할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1.50 커널 애드온을 설치한 경우에는 훨씬 더 부족하겠죠.

만약 flash0 영역의 공간이 부족해서 용량 초과가 되면 PSP는 부팅이 되지 않는 벽돌이 되며, 일반적으로 약 300KB 이상이 남아 있어야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예전에는 사용하지 않는 폰트 파일이나 각종 모듈 파일을 삭제해서 용량을 줄여왔습니다만, 이 과정에서 필수 폰트를 잘못 지우는 등 실수할 확률이 높고, 게임이나 홈브류 등에서 특정한 폰트 파일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현재는 거의 추천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그래서 새롭게 알려진 방법이 바로 dic 폴더의 삭제입니다.
(폰트나 다른 파일은 건드리지 말고, 되도록 1.50 커널 애드온 설치 전에 아래 내용에 따라 미리 용량 확보를 해두세요.)


우선 PSP와 PC를 USB로 연결하고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 - Advanced - Toggle USB (flash0)을 선택하면
PSP의 flash0 영역이 PC의 이동식 디스크로 인식됩니다.


그 중 dic 폴더 안으로 들어가 보면 위처럼 6개의 *.dic 파일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6개 파일은 PSP 사용시 크게 필요가 없는 파일이므로 삭제해도 무방하며, 삭제할 경우 약 2.21MB의 용량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제 위의 6개 파일을 삭제하거나, 또는 flash0:/dic 폴더 자체를 아예 삭제하세요.
(용량이 아주 작은 더미파일로 교체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냥 삭제해도 문제 없고, 더 간단하죠.)


dic 폴더를 삭제하고 1.50 커널 애드온까지 설치한 모습입니다. 거기에 테마까지 이것 저것 설치했는데도, 남은 용량이 약 1.85MB로 충분한 용량이 남아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저도 몇 개월째 dic 폴더를 삭제한 채로 계속 사용해왔는데, 아직까지 이로 인해 문제가 생긴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
---------------------------------------

# 이제 'flash0에 kd 폴더가 없는데요?'라던가 'flash0 용량이 너무 부족해요' 등등의 질문이 없기를 바라며...
# 글 처음에 컨디션이 좋아진다고는 했지만 PSP에서 이것저것 테스트해야하는 홈브류는 아직도 귀찮아서 글로 쓸 수가 없네요. 조금만 더 기다려주세요~

UMD를 ISO로 덤프하기

커펌에 기본 탑재되어 있는 ISO/CSO 구동 기능은 어디까지나 자신이 구입한 UMD를 메모리스틱에서 구동함으로써 로딩속도를 줄이거나 UMD 보호를 위한 목적입니다. 불법으로 다운로드한 게임을 구동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다시 한 번 유념해주세요. (참고글 : 2007/02/27 - [뉴스 / 루머] - 영국 BBC에서 Dark_AleX, Fanjita 인터뷰)

기존에도 UMD를 ISO로 덤프해주는 홈브류가 몇 개 있었지만 새롭게 UMDumper가 업데이트되었기에 기존의 방법을 포함해 정리합니다.

UMD에서 ISO로 덤프하는 방법은 크게 PSP에서 메모리스틱으로 바로 덤프하는 방법과 PC와 연결해 PC의 하드디스크로 바로 가져오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PSP에서 메모리스틱으로 바로 덤프하기
- PC와 연결할 수 없는 곳에서 덤프를 해야하거나 ISO 덤프 후 바로 게임을 즐기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

소개하는 프로그램은  UMDumper v0.1.1입니다. [출처가기]

UMDumper v0.2.0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v0.2.0의 가장 큰 변경점은 ISO뿐만 아니라 CSO로 바로 덤프하는 것이 가능해진 점입니다.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EBOOT.PBP 파일을 포함한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3.xx 커널용입니다.)

그 후 덤프하려는 UMD를 PSP에 삽입하고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UMDumper'를 실행합니다.


프로그램이 실행된 화면입니다. 프로그램 하단에 디스크 아이디와 게임 이름, 필요한 용량/빈 용량 등의 정보가 나타나므로 덤프 전에 빈 용량이 부족하지는 않은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총 5개의 메뉴가 있는데 각 메뉴는 각각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하며 선택은 엑스버튼입니다.
- Readme : 프로그램의 리드미 파일을 봅니다.
- Rename target file : 덤프될 ISO 파일의 이름을 변경합니다.
- ISO Mode : ISO로 덤프할 것인지 압축해서 CSO로 변환할 것인지 변경합니다. (9가 최대압축)
- Start Dumping : UMD의 덤프를 시작합니다. 저장되는 위치는 ms0:/ISO/ 폴더입니다.
- Exit UMDumper :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두 번째 메뉴로 ISO 파일의 이름을 변경하고 (필요한 경우만), 세 번째 메뉴에서 ISO/CSO를 선택한뒤 네 번째 메뉴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덤프가 진행됩니다. 덤프 진행 중 L+R+세모버튼을 누르면 덤프를 취소할 수 있고, 동그라미버튼을 누르면 디버그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덤프가 완료되면 UMD를 제거하고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으로 가서 방금 덤프한 게임을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2. PSP에서 PC의 하드디스크로 덤프하기
- 커펌 M33에 기본 탑재되어 있는 VSH Menu를 이용한 방법으로, PSP를 PC와 USB로 연결한 뒤 하드디스크로 바로 덤프하는 방식. 당장 게임 실행은 하지 않고 그냥 백업만을 위한 용도라거나 메모리스틱의 빈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위의 방법보다 유용.


덤프하려는 UMD를 PSP에 삽입하고, 커펌 3.52 M33-3 이상에서는 홈버튼, 커펌 3.71 M33 이상에서는 셀렉트버튼을 눌러 M33 VSH MENU를 호출합니다. (커펌 3.52 M33-3 이전의 커펌에서는 이 기능이 없기에 사용할 수 없음.)

그리고 세 번째 USB DEVICE 항목을 UMD Disc로 변경하고 다시 홈버튼 또는 셀렉트버튼을 눌러 M33 VSH MENU를 닫습니다.


이제 설정 메뉴로 가서 USB 연결을 활성화합니다. 물론 PC와는 USB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겠죠.


잠시 후 PC에서 이동식디스크로 UMD 영역이 잡히게 됩니다. 이동식 디스크의 이름은 현재 삽입되어 있는 UMD의 디스크 아이디이며, 그 안에 UMD9660.ISO 라는 파일이 보이게 됩니다. 이 파일이 바로 UMD의 ISO 파일이므로 이 UMD9660.ISO 파일을 PC의 하드디스크로 복사하면 간단하게 덤프가 완료됩니다. UMD9660.ISO 파일은 적당히 이름을 변경해 사용하세요.

UMD의 덤프가 끝난 뒤에는 반드시 M33 VSH MENU를 다시 열어 USB DEVICE 항목을 Memory Stick으로 변경해 주어야 다음 USB 연결때부터 원래대로 메모리스틱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참고사항] ISO를 CSO로 변환하기, CSO를 ISO로 변환하기
- ISO를 CSO 포맷으로 압축해서 변환하면 용량을 더 줄일 수 있습니다. (각 게임에 따라 줄어드는 양은 모두 다름) 하지만 CSO 포맷 사용시 게임 로딩이 늘어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ISO <-> CSO간의 변환은 고전자료인 CISO Utility v0.7이 아직까지도 제일 쉽고 간단한 것 같습니다. 자료의 다운로드는 http://popotz.textcube.com/253 참고하세요.

# 별 내용도 아닌데 글이 길어져버렸네요. '난 이미 다 알고 있다규~'하면서 돌 던지지만 말아주세요.
# 오늘 전반기 향방작계(6시간) 갔다왔습니다. 작년까지는 학교에서 받았고, 올해부터는 5년차라 동원훈련은 더 이상 안 받는군요. ^^

커펌 반벽돌 복구법

원래는 댓글로 달려고 했는데 내용이 길어질 것 같고, 정리하는 차원에서 글을 씁니다.


커펌을 설치해서 사용하다보면 가끔 실수로 인해서 반벽돌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벽돌이란 XMB로 부팅이 아예 안되거나 블루스크린이 무한 반복되어 제대로 사용할 수 없지만, 다행이 리커버리 모드에는 진입 가능한 상태를 말합니다.

반벽돌이 되는 원인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flash0 영역의 파일을 잘못 건드려 XMB로 부팅하는데 필요한 파일을 삭제했거나 flash1 영역에 오류가 생긴 경우입니다. 현재의 커펌 버전과 각 상황에 맞는 복구법을 잘 선택해서 사용하세요.

[ flash1 영역에 오류가 생겨 꼬여버린 경우 ]

제일 먼저 http://popotz.textcube.com/854 글을 참고해서 강제로 사용자 설정을 초기화해보세요.
만약 이 방법이 안될 경우에만 아래 방법을 통해 flash1을 수동으로 포맷해줍니다.

1-1. 구형 PSP 전용 + 커펌 2.71 SE ~ 커펌 3.52 M33 전용
http://popotz.textcube.com/160 참고해서 flash1만 포맷해주면 됩니다.

1-2. 구형/신형 PSP 공용 + 커펌 3.71 M33 이상
http://popotz.textcube.com/688 참고해서 Config Cleaner 2.0 프로그램을 ms0:/PSP/GAME/RECOVERY/ 폴더에 설치후 리커버리 모드의 3번째 메뉴인 'Run program at /PSP/GAME/RECOVERY/EBOOT.PBP'를 실행해서 flash1을 포맷하면 됩니다.

1-3. 구형/신형 PSP 공용 + 커펌 3.80 M33 이상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가서 Advandced - Format flash1 and reset settings 메뉴를 실행하면 flash1 포맷후 자동으로 필수 폴더를 생성해주어 해결됩니다.

[ flash0 영역의 파일을 삭제하거나 잘못 건드린 경우 ]

2-1. 구형 PSP 전용 + 커펌 2.71 SE ~ 커펌 3.52 M33 전용
http://popotz.textcube.com/426 참고해서 flash1 포맷 후 펌웨어 1.50으로 복구하거나 커펌을 재설치하면 됩니다. 단 이 방법으로 복구하고 나면 커펌 3.52 M33까지만 바로 설치 가능합니다.

2-2 구형/신형 PSP 공용 + 커펌 3.71 M33 이상
커펌 3.71 M33 / 커펌 3.80 M33인 경우에는 기존의 파일을 이용한 리커버리 복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Recovery Flasher라는 홈브류를 따로 이용해야 합니다.
http://popotz.textcube.com/948 참고해서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커펌 3.71 M33-1을 재설치합니다.

--------------------------------------------------------------------------------------------------------------
# 사실 flash0 영역을 건드리기 전에 원본 파일을 백업해 놓았다면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원본 파일을 덮어쓰는 것만으로도 간단히 복구가 가능합니다. flash0 영역을 건드릴때는 제발 백업부터 하세요. 백업을 제대로 해두고, 조심스럽게 작업한다면 반벽돌이나 벽돌이 될 일은 거의 없습니다.

# 위의 글은 복구하는 순서를 간단하게 설명한 것에 불과합니다. 잘 모르는 용어나 이해 안되는 부분은 다른 글들을 참고해주세요. 비싼 돈 주고 산 PSP인데 그 정도 노력은 해야겠죠.

# 리커버리 모드도 들어갈 수도 없는 벽돌인 경우에는 위의 방법으로 복구할 수 없습니다. 지그킥배터리를 이미 가지고 있거나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만 복구가 가능합니다.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2.5

커펌 설치법 정리 글은 아주 예전에 http://popotz.textcube.com/167에 쓴 적이 있지만 시간이 많이 흘러, 신형 PSP도 발매되고 판도라의 배터리를 시작으로 여러가지 프로그램이 나와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PSP를 처음 구입하신 분들이 커펌을 설치하려면 많이 혼동될 거라 생각됩니다. 그래서 PSP 구입 후 커펌을 어떻게 설치해야 하는지 다시 한 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 이 글은 12월 30일 기준입니다. 커펌 3.71 M33-4 까지 발표된 상황으로 그 이후의 커펌은 각 해당 글을 참고하세요. *

이 글은 기본적인 사항만 나열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치법, 사용법, 주의사항 등은 링크된 해당 글의 내용을 반드시 자세히, 꼼꼼하게, 빠짐없이, 세세히, 주의 깊게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구형 PSP (PSP-100x) 전용 - 현재 구형 PSP가 정펌인 상태에서 처음 커펌을 설치할 경우
* 커펌 설치를 위한 준비 사항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 *

구형 PSP의 경우, 커펌 설치는 기본적으로 펌웨어 1.50인 상태에서만 가능합니다. 그래서 그 이상의 정식 펌웨어에서는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할 필요가 있죠.

현재 구형 PSP를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잘 읽어보고 그 중 1가지를 선택해 다운그레이드하면 커펌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1. 다운그레이더 이용
(펌웨어 1.51~ 3.50까지만 가능)
이 방법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펌웨어 3.03, 3.50 다운그레이드의 경우 특정한 게임의 UMD가 반드시 필요하므로 이미 잊혀져가는 방법입니다. 게다가 펌웨어 3.50까지만 가능하므로, 현재 최신 펌웨어로 발매되는 PSP에는 사용할 수가 없고 신형 PSP 역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1. 판도라의 배터리 이용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앞으로 나올 펌웨어까지 포함한 모든 펌웨어 가능)
아래의 방법중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1가지 선택해 매직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만들면 펌웨어 버전에 상관없이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 가능합니다.
* 판도라의 배터리 (펌웨어 1.50인 구형 PSP에서 만들기)
또는 * 3.xx 커널용 울트라 판도라 인스톨러 (커펌 설치된 구형 / 신형 PSP에서 만들기)
또는 * 커펌된 PSP 없이 매직 메모리스틱 만들기 (지그킥배터리는 따로 커펌된 PSP에서 만들어야 함)
판도라의 배터리를 이용하면 펌웨어 버전에 상관없이 모든 구형 PSP를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하드웨어 손상이 없는 벽돌 PSP에 펌웨어 1.50을 설치해 복구할 수도 있습니다. 판도라의 배터리는 매직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매직 메모리스틱은 PC만을 이용해 혼자 만들 수 있지만 지그킥배터리는 반드시 커펌이 설치된 다른 PSP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2-2. 유니버셜 언브리커 이용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앞으로 나올 펌웨어까지 포함한 모든 펌웨어 가능)
유니버셜 언브리커는 위의 판도라의 배터리와 비슷하지만,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하는 기능은 없고, 단지 커펌 3.71 M33을 바로 설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유니버셜 언브리커 글을 참고하세요.

* 펌웨어 1.50에서 커펌 설치하기 *

위의 방법을 통해 구형 PSP를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했다면 이제 커펌을 바로 설치하면 됩니다.

펌웨어 1.50에서 바로 설치 가능한 최신 커펌은 커펌 3.52 M33-4입니다. 펌웨어 1.50에서 커펌 3.52 M33을 설치하려면 아래의 순서대로 해주면 됩니다.
* 커펌 3.52 M33 설치 --> 커펌 3.52 M33 설치 후 커펌 3.52 M33-4 업데이트
#  커펌 3.52 M33-4의 업데이트까지 완료된 후에 한글폰트(kr0.pgf)만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flash0:/font/ 폴더에 넣어주면 시스템언어, 문자집합을 모두 한글로 설정해 사용하면 됩니다.

커펌 3.52 M33-4에서 커펌 3.71 M33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하지만 이는 선택사항입니다. 글 아래에 써놓은 커펌 3.52와 3.71의 차이점에 대한 글을 잘 읽어보고 설치 여부를 결정하세요.
* 커펌 3.52 M33-4에서 커펌 3.71 M33 설치 --> 커펌 3.71 M33 설치 후 커펌 3.71 M33-4 업데이트

단, 구형 PSP에 커펌 3.71 M33을 설치한 경우 1.50 커널용 홈브류 구동을 위해서는 추가로 1.50 커널 애드온을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1.50 커널 홈브류를 사용하지 않으려면 설치 안해도 무방.)
* 구형 PSP 커펌 3.71 M33-4에서 1.50 커널 애드온 v2 설치하기 : http://popotz.textcube.com/552
(1.50 커널 애드온 설치 후에는 한글폰트(kr0.pgf)를 재설치해주어야 합니다.)

구형 PSP (PSP-100x) 전용 - 현재 구형 PSP에 커펌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최신 버전으로 재설치하기
* 현재 커펌을 삭제하고 펌웨어 1.50으로 복구하기 *

현재 커펌이 설치되어 있는 구형 PSP에서 다른 커펌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 아래의 방법을 통해 펌웨어 1.50으로 복구합니다. 단, 커펌 3.71 M33 이상에서는 아래 방법을 사용할 수 없으며, 커펌 3.52 M33-4까지만 아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방법은 flash0과 flash1이 모두 포맷되므로 현재 PSP에 한글패치가 설치되어 있거나 반벽돌인 경우 등 리커버리 모드만 동작한다면 사용 가능한 방법으로 순정상태의 펌웨어 1.50으로 복구됩니다.
* 커펌에서 펌웨어 1.50으로 복구하기
# 위의 방법은 커펌 3.71 M33에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 펌웨어 1.50에서 커펌 설치하기 *


위의 방법을 통해 커펌을 삭제하고 펌웨어 1.50으로 돌아왔다면 이제 설치하고자 하는 커펌을 바로 설치하면 됩니다.

펌웨어 1.50에서 바로 설치 가능한 최신 커펌은 커펌 3.52 M33-4입니다. 펌웨어 1.50에서 커펌 3.52 M33을 설치하려면 아래의 순서대로 해주면 됩니다.
*커펌 3.52 M33 설치 --> 커펌 3.52 M33 설치 후 커펌 3.52 M33-4 업데이트
#  커펌 3.52 M33-4의 업데이트까지 완료된 후에 한글폰트(kr0.pgf)만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flash0:/font/ 폴더에 넣어주면 시스템언어, 문자집합을 모두 한글로 설정해 사용하면 됩니다.

커펌 3.52 M33-4에서 커펌 3.71 M33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하지만 이는 선택사항입니다. 글 아래에 써놓은 커펌 3.52와 3.71의 차이점에 대한 글을 잘 읽어보고 설치 여부를 결정하세요.
* 커펌 3.52 M33-4에서 커펌 3.71 M33 설치 --> 커펌 3.71 M33 설치 후 커펌 3.71 M33-4 업데이트

단, 구형 PSP에 커펌 3.71 M33을 설치한 경우 1.50 커널용 홈브류 구동을 위해서는 추가로 1.50 커널 애드온을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1.50 커널 홈브류를 사용하지 않으려면 설치 안해도 무방.)
* 구형 PSP 커펌 3.71 M33-4에서 1.50 커널 애드온 v2 설치하기
(1.50 커널 애드온 설치 후에는 한글폰트(kr0.pgf)를 재설치해주어야 합니다.)

구형 PSP (PSP-100x) / 신형 PSP (PSP-200x) 공통
신형 PSP의 경우에는 구형 PSP와는 다르게 1.50 커널이 아예 지원되지 않습니다. 쉽게 말하면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할 수가 없다는 소리입니다. 때문에 커펌 2.71 se부터 커펌 3.52 M33까지는 신형 PSP에서 설치할 수 없고 오로지 유니버셜 언브리커를 이용해서 구형 / 신형 공통의 커펌인 커펌 3.71 M33만 설치할 수 있습니다. 구형 PSP의 경우에도 유니버셜 언브리커를 이용하면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할 필요없이 바로 커펌 3.71 M33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편한 방법을 선택하세요.

* 유니버셜 언브리커 *

위에서도 말했듯이 정식 펌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신형 PSP에 커펌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니버셜 언브리커가 필요합니다. 유니버셜 언브리커는 판도라의 배터리와 비슷하게 특수한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가 필요합니다. (지그킥배터리는 반드시 커펌이 설치된 다른 PSP의 도움이 필요하며 판도라의 배터리용 지그킥배터리가 벌써 있다면 그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앞으로 나올 펌웨어까지 포함한 모든 펌웨어 가능)
v3는 신형 PSP의 메뉴화면 출력을 지원하고, 커펌 3.71 M33이 아니라 버그가 수정된 커펌 3.71 M33-2가 바로 설치됩니다.

* 지그킥배터리 변환하기 (반드시 커펌된 PSP가 필요함)

*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메모리스틱 만들기 / 사용법 (커펌 설치된 PSP 필요없음)

유니버셜 언브리커 v3를 통해 커펌 3.71 M33-2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제일 먼저 커펌 3.71 M33-4로 업데이트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커펌 3.71 M33 설치 후 커펌 3.71 M33-4 업데이트

그리고 구형 PSP의 경우 1.50용 홈브류를 구동하려면 1.50 커널 애드온을 추가로 설치해야 합니다.
* 구형 PSP 커펌 3.71 M33-1 / 2 / 3에서 1.50커널 애드온 v2 설치하기

참고사항
* 판도라의 배터리, 유니버셜 언브리커 참고 *
판도라의 배터리, 유니버셜 언브리커, 매직 메모리스틱, 지그킥배터리 등 용어가 복잡하고 개념이 안잡힌다면 아래의 글들을 읽어보세요.
* 지그킥배터리? 매직 메모리스틱? : http://popotz.textcube.com/574
* 판도라의 배터리 분류 / 종합 : http://popotz.textcube.com/539
* 유니버셜 언브리커 자주 묻는 질문 : http://popotz.textcube.com/567

또한 판도라의 배터리와 유니버셜 언브리커를 서로 통합하거나 기능을 더욱 확장시켜주는 프로그램도 있습니다. 참고삼아 읽어보세요.
* Extended Pandora Bootmenu v0.84 : http://popotz.textcube.com/519
* 판도라배터리 노멀모드로 사용하기 : http://popotz.textcube.com/499
* PSP MS Multiloader IPL : http://popotz.textcube.com/520
* Ultra Recovery Pandora Mode Extender V1 : http://popotz.textcube.com/603
* NandTool v0.3b : http://popotz.textcube.com/651

* 커펌 3.52 M33과 커펌 3.71 M33의 차이점 *
계속 말했듯이 신형 PSP의 경우에는 선택사항이 없으므로 구형 PSP 사용자만 읽어보시면 됩니다.

커펌 3.52 M33은 이전의 커펌과 동일하게 펌웨어 1.50과 펌웨어 3.52의 조합으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커펌 설치시 1.50 커널도 함께 설치되므로 1.50용 홈브류와 3.xx용 홈브류를 모두 구동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리커버리 모드를 이용해 비교적 안전하게 펌웨어 1.50으로 복구하거나 커펌을 재설치할 수 있습니다.

반면, 커펌 3.71 M33은 구형 / 신형 공통의 커펌으로서, 커펌 3.52 M33-3 또는 커펌 3.52 M33-4인 상태에서 설치(펌웨어 1.50에서는 설치 불가)하거나 유니버셜 언브리커를 통해서만 설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커펌 3.71 M33은 펌웨어 1.50과 관련된 파일은 전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3.xx용 홈브류만 실행가능하며, 1.50용 홈브류는 따로 1.50커널 애드온을 설치해주어야만 구동할 수 있습니다.

커펌 3.71 M33의 리커버리 모드 역시 3.xx 커널로 실행되므로 기존의 펌웨어 1.50으로의 복구 기능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물론 따로 커펌 3.71 M33용으로 펌웨어 1.50 복구 프로그램이 발표되기는 했지만 기판에 따라 매우 불안정하고 복구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즉, 커펌 3.71 M33은 판도라의 배터리나 유니버셜 언브리커가 있어야만 안전하게 펌웨어 1.50으로의 복구나 반벽돌/벽돌의 복구가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다고 커펌 3.71 M33-3이 특별하게 문제가 있거나 지원하지 않는 기능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주의사항만 잘 지키고 불필요한 작업만 하지 않는다면 사용하는데 불편한 점은 없으므로 자신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세요.

# 제가 봐도 난잡한 글이네요. ㅜㅜ 제 능력은 여기까지!!!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시스템언어와 문자집합에 대해...

PSP의 언어 설정에는 두가지 메뉴가 있습니다.
바로 시스템 언어(System Language)문자집합(Character Set)이죠.
혼동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 두가지 설정은 전혀 다른 역할을 하게됩니다.

* 시스템 언어(System Language) - XMB의 메뉴이름의 언어를 선택합니다. 게임, 사진, 비디오 등의 메뉴이름을 무슨 언어로 설정할 것인지를 말합니다. 한글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한글패치라고 알고 있는 패치를 해야합니다. 중국쪽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낸드플래시에 가상의 registry폴더를 새로 생성하고 경로를 수정함으로써 시스템언어를 한글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문자집합(Character Set) - MP3, MP4 등의 컨텐츠의 제목이나 인터넷 사용시 보여지는 언어를 선택합니다. 실질적인 PSP의 언어설정이라고 할 수 있죠. 커펌에서는 한글폰트가 더미파일로 교체되었기에 문자집합을 한글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한글폰트만 새로 설치해 주면 해결됩니다.
설치법은 http://popotz.textcube.com/5

즉, 시스템언어는 PSP의 껍데기 언어, 문자집합은 PSP의 내용물 언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개인적으로는 한글패치를 추천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아직까지 패치 제거시 오류가 많고, 다른 낸드플래시 관련 프로그램과 충돌을 일으킬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flash1에 다른 폴더를 생성하는 것도 찜찜하죠. 게다가 시스템언어를 한글로 설정하면 중국어폰트까지 깔아야 하는데 이 중국어폰트 용량이 만만치가 않고 일본어 표현의 경우 일본어폰트 대신 중국어폰트를 사용함으로써 원래의 폰트보다 지저분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저는 이렇게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커펌 설치 - 3MB-ICU 실행 - 한글, 일본어 폰트 설치 - 시스템언어 영어, 문자집합 한글로 설정
# 왜 일본어 폰트까지 설치하냐면 3MB-ICU를 실행하면 일본어폰트도 더미로 교체되기 때문입니다.
# 만약 XMB메뉴를 굳이 한글로 보고 싶으신 분들은 RCO Icon Editor로 topmenu_plugin.rco를 한글로 편집해 사용하기를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