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0 Custom IPL Installer

판도라의 배터리, 타임머신IPL 등과 관련된 기본 지식이 없다면 이해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또 PSP-100X와 판도라의 배터리가 작동하지 않는 TA-088 v3 기판의 PSP-200X, 그리고 PSP-300X, PSP go와는 전혀 상관없는 내용이니 그냥 무시하세요.
-------------------------------------------------------

bbtgp가 6.30 Custom IPL Installer'라는 프로그램을 발표했습니다. [출처가기]

일반적으로 지그킥배터리로는 서비스모드 부팅만 가능할 뿐 보통의 낸드 부팅(XMB 부팅)은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메모리스틱의 부트섹터 영역에 타임머신IPL을 설치하거나 유니버셜 언브리커 v5~v8을 설치하는 경우 지그킥배터리로도 낸드 부팅이 가능하게 되면서 일반배터리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단축키를 통해 서비스모드 부팅도 여전히 가능하므로, 만약의 사태(벽돌)가 발생해도 쉽게 복구가 가능하죠.

하지만 타임머신IPL에도 단점이 하나 있는데, 바로 PSP-200X일 경우 커펌 3.90 M33-2 이상에서만 타임머신IPL을 통한 낸드 부팅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즉, PSP-200X에 정펌이 설치되어 있거나 커펌 3.90 M33-2 미만의 커펌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그킥배터리+타임머신IPL 조합으로도 일반 낸드 부팅은 불가능합니다. (PSP-100X는 상관없음.)

서론이 길었는데, 바로 이것이 이번에 설명할 '6.30 Custom IPL Installer'가 발표된 이유입니다.

정펌 6.30이 설치된 PSP-200X의 낸드플래시에 6.30 Custom IPL Installer를 이용해 커스텀IPL을 설치하면, 정펌 6.30에서도 지그킥배터리+타임머신IPL을 통한 낸드 부팅이 가능합니다. 당연히 필요한 경우에는 단축키를 통한 서비스모드 부팅도 가능하죠.

평소에는 지그킥배터리로 정펌 6.30이 설치된채 사용하다가 홈브류를 구동하고 싶을 때만 유니버셜 언브리커의 Test M33 메뉴를 사용하고자 하는 분, 혹은 정펌 6.30과 커펌을 번갈아가며 사용하고 싶은데 배터리가 하나뿐이라 불가능했던 분들을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 설치법 ]
1. 반드시 TA-088 v3 기판이 아닌 PSP-200X에서만 사용해주세요. (그 외의 기판/기종에서 사용시 벽돌될 수 있음.)

2. 배터리를 지그킥배터리로 변환하고, 메모리스틱에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v8을 설치합니다. 설치후에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v8의 Test M33 메뉴가 정상 동작하는지 꼭 확인해주세요. (플러그인 충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vsh.txt에 등록된 플러그인은 모두 비활성화.)

3.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IplInstaller_630'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4. 정펌 6.30의 EBOOT.PBP 파일을 따로 구해 파일명을 '630.PBP'로 변경하고 ms0:/PSP/GAME/IplInstaller_630/ 폴더로 복사합니다.

5. 이제 PSP를 정펌 6.30으로 업데이트합니다.

6. 정펌 6.30에서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해 유니버셜 언브리커 v8로 부팅한 후 Test M33 메뉴를 통해 메모리스틱에 저장되어 있는 커펌 5.00 M33-4를 불러옵니다.

7.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6.30 Custom IPL'을 실행합니다.

8.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엑스버튼을 누르고 잠시 기다립니다. 630.PBP에서 IPL을 찾은 뒤 또 다른 메세지가 나오는데, 여기서 네모버튼을 누르면 원래의 IPL을, 동그라미버튼을 누르면 커스텀IPL을 설치하게 됩니다. 여기서는 동그라미버튼을 눌러 커스텀IPL을 설치해야겠죠. 설치가 끝나면 다시 엑스버튼을 눌러 종료합니다.
(정리하자면 커스텀 IPL 설치시 엑스버튼 -> 동그라미버튼 -> 엑스버튼 순서입니다.)

9. 이제 PSP를 종료하고 지그킥배터리를 삽입합니다. 만약 정상적으로 정펌 6.30으로 부팅된다면 설치 성공입니다. 이렇게 해서 정펌 6.30인 PSP-200X에서도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한 낸드 부팅이 가능해졌습니다. 다시 커펌을 설치하고 싶거나 서비스모드로 부팅하려면 유니버셜 언브리커 설치시 입력한 단축키를 누른채 PSP를 부팅하면 됩니다.

10. 원래의 정펌 6.30 IPL로 복구하고 싶다면 위 6, 7, 8번 과정을 반복하되 동그라미버튼 대신 네모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엑스버튼 -> 네모버튼 -> 엑스버튼 순서.)
-------------------------------------------------------

# 위 설치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TA-088 v3 기판용 매직메모리스틱 유출?


lan.st에서 한 유저가 손휘의 서비스센터에서 공식 사용하는 TA-088 v3 기판용 매직 메모리스틱을 구해 관련 스크린샷(위 스크린샷 참고)을 올렸습니다. [출처가기]

이 스크린샷을 올린 RichY라는 유저의 설명에 따르면,
TA-088 v3 기판용 지그킥 메모리스틱(매직 메모리스틱)을 구해 WinHex로 덤프했다. 원래 저장되어 있던 512MB 메모리스틱은 잘 동작하지만 다른 메모리스틱으로 옮겼더니 작동하지 않았다. 내가 어떻게 해야 할까? 아마 PSP-300X용 매직 메모리스틱 역시 덤프할 수 있을 것 같다. 이것이 최신 PSP를 해킹할 수 있는 첫 번째 과정이 될 것이다.

해당 스레드 아래에 달린 댓글을 보니, 아마도 손휘 서비스센터에서 사용하는 매직 메모리스틱은 메모리스틱 고유의 ID와 연관되어 암호화 되어있기 때문에 다른 메모리스틱으로 옮기면 사용할 수 없는 거라고 하네요.
------------------------------------------------------------------------------------------

애초에 판도라의 배터리라는 것은 '손휘의 서비스센터에서 벽돌을 복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식 자료들이 유출'되어 이를 기반으로 여러 해커/개발자가 수정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하지만 TA-088 v3 기판의 PSP-200X나 PSP-300X에서는 그 동안 사용되던 판도라의 배터리가 작동하지 않았죠.

그렇다고 손휘에서 판도라의 배터리 방법을 완전히 막아버린 것은 아닙니다. 손휘의 서비스센터에서는 벽돌 복구를 계속 할 수 있어야 하니까요. 따라서 서비스센터에서 새로운 매직 메모리스틱을 개발해 사용하리라는 건 충분히 예상 가능한 일입니다.

만약 위 유저의 말대로 TA-088 v3 기판이나 PSP-300X용 매직 메모리스틱이 손휘의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유출된 거라면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무언가가 나올 수도 있겠죠. 뭐 너무 낙관적으로 생각하는 건 좋지 않겠지만...

'포포츠 백업 + NEW > 판도라's 밧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6.30 Custom IPL Installer  (0) 2010.12.30
PSP Tool 1.00  (0) 2010.12.30
타임머신IPL이란 무엇인가  (0) 2010.12.30
PSP Tool 0.8  (0) 2010.12.30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설치법 / 사용법  (0) 2010.12.30

PSP Tool 1.00


PSP Tool이 1.00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PSP Tool은 커펌된 PSP상에서 메모리스틱의 IPL만을 쉽게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고, 각종 배터리 변환 기능, 매직 메모리스틱 만들기 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는 홈브류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들은 대부분 판도라의 배터리와 관련된 것이므로, TA-088 v3 기판인 PSP-200X, 또는 PSP-300X에서는 별로 사용할 일이 없습니다. 또한 배터리 변환 기능은 PSP-100X나 TA-085 v1 기판인 PSP-200X에서만 작동하며, 그 외의 기판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조금 더 자세한 건 이 그림을 참고해주세요.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PSP Tool' 폴더를 ms0:/PSP/GAME/ 폴더에 복사한 뒤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PSP Tool'을 실행하면 됩니다. 커펌 2.71 SE-A 이상의 커펌에서는 대부분 실행이 가능합니다.

PSP Tool의 기본적인 조작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동그라미버튼(또는 엑스버튼) : 메뉴 선택, 선택한 메뉴 실행 등
엑스버튼(또는 동그라미버튼) : 취소, 이전 메뉴로 복귀
네모버튼 : 배경색상을 랜덤하게 변경
네모버튼+L트리거 : 펌웨어 자체의 배경색상과 내부적으로 저장된 배경색상 사이를 서로 전환
네모버튼+R트리거 : 현재 XMB에 설정되어 있는 배경색상으로 변경

그리고 각 메뉴의 기능이나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대한 간단하게만 설명하겠습니다.
(첨부파일 내의 Documentation.pdf 파일을 참고하면 더욱 자세하게 나와있으니 그 쪽을 참고해주세요. 영어입니다만...)

PSP Tool 메뉴 설명 열기


* 관련글 보기 *
PSP Tool 0.8

타임머신IPL이란 무엇인가

여러 유명한 개발자가 모여 만들어낸 판도라의 배터리(지그킥배터리+매직메모리스틱) 발표에 의해 그 동안의 PSP 세계에 혁명이라고 할만한 큰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벽돌이 되어도, 정펌 PSP라도 자신이 원한다면 이를 복구하거나 커펌 설치가 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이죠. 그 만큼 대단한 발견이었기 때문에 판도라의 배터리는 지난 1년 반 동안 계속 발전하여 처음보다 더욱 향상된 기능까지 선보이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가끔씩 '지그킥배터리를 넣으면 PSP가 부팅이 안 됩니다.'라던가 '지그킥배터리를 일반배터리로 복구했는데 나중에 벽돌이 되면 어떻게 하나요?'같은 질문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 그럴때마다 '타임머신IPL을 메모리스틱에 설치해서 사용하면 지그킥배터리도 일반배터리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라는 답을 하고는 하는데 막상 타임머신IPL이 무엇인지, 또 어떤식으로 작동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설명이 없어 이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1. IPL이란 무엇인가?
IPL이란 Initial Program Loader의 줄임말로 하드웨어의 초기화 순서나 프로그램의 구동 순서 등을 담고 있습니다.
PSP에도 당연히 IPL이란 부분이 있는데 PSP의 부트롬 내부에 저장되어 있으며, PSP의 전원을 올리면 제일 먼저 IPL 영역을 불러오게 되고 이 IPL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낸드플래시(Lflash)의 펌웨어 관련 파일을 불러오게 되어 XMB로 부팅이 되는 것입니다. (덧붙이자면, 현재 TA-088 v3기판의 PSP-200X나 그 외 PSP-300X의 PSP에 커펌 설치가 불가능한 이유는 이 IPL 영역의 해킹이 현재로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2. 지그킥배터리의 역할은 무엇인가?
지그킥배터리란 PSP 배터리의 eeprom 정보를 변형시킨 특수한 배터리를 말하며,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 위에도 말했듯이 PSP의 전원을 올리면 제일 먼저 PSP의 부트롬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IPL을 불러오게 되는데, 일반배터리가 아닌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해 PSP의 전원을 올리게 되는 경우에는 PSP의 부트롬이 아닌 메모리스틱의 부트섹터 영역에 저장된 IPL을 제일 먼저 불러오게 됩니다. 즉, PSP 부트롬의 정식 IPL 대신에 사용자가 변형시킨 특수한 IPL(커스텀 IPL)을 메모리스틱으로부터 불러올 수 있다는 뜻이며, 이로 인해 벽돌 복구나 커펌 설치 등이 가능하게 되는 것입니다.

3. 매직메모리스틱이란 무엇인가?
지그킥배터리는 메모리스틱의 IPL을 불러오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는데, 막상 메모리스틱의 IPL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IPL을 제대로 불러오지 못하게 되므로 PSP 내부의 하드웨어 및 펌웨어를 전혀 불러오지 못하고 결국 PSP는 검정 화면만 나오고 제대로 부팅이 되지 않게 됩니다. 이것이 지그킥배터리만 넣으면 PSP가 부팅이 안되는 이유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메모리스틱에 커스텀IPL을 추가 설치하고 이 커스텀IPL이 불러오게 되는 관련 필수 파일을 설치한 메모리스틱을 매직메모리스틱이라고 총칭해서 부르고 있습니다. 커스텀IPL은 현재 여러 종류가 나와있기 때문에 이러한 IPL의 종류에 따라 매직메모리스틱 역시 몇 종류로 나뉘어지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초기 msipl.bin이나 Booster의 Multi MS Loader, Dark_AleX의 타임머신IPL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몇 종류가 더 있습니다.

(mspformat : 가끔 메모리스틱을 mspformat 해야한다는 말을 하는데, mspformat이란 일반적으로 논리포맷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정품 메모리스틱이 아닌 비품 메모리스틱의 경우 부트섹터 영역의 용량이 작아서 커스텀IPL의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이 부트섹터 영역의 용량을 확보하는 과정이 바로 mspformat입니다. 비품 메모리스틱이라고 모두 다 mspformat 과정이 필요한 것은 아니고 일부의 비품 메모리스틱을 이용해 매직메모리스틱을 만들 들 경우 이 논리포맷 과정이 반드시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메모리스틱에 커스텀IPL이 설치되어 있다면 지그킥배터리로 이 메모리스틱의 커스텀IPL을 불러오게 되어 PSP가 정식으로 지원하지 않는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이 기능 역시 커스텀 IPL의 종류에 따라 커펌 인스톨러나 ELF 로더, 메모리스틱의 가상 펌웨어 불러오기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4.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의 관계는?
지금까지의 글을 제대로 이해했다면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중 어느 한 가지만 있어서는 PSP가 정상적인 작동이 안되고 어째서 항상 같이 조합되어 사용해야 하는지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지그킥배터리는 메모리스틱의 IPL을 불러오는 역할을 하고 메모리스틱의 IPL은 지그킥배터리의 신호를 받아 실제 PSP가 특수한 프로그램을 불러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므로 마치 북채(지그킥배터리)와 북(매직메모리스틱) 같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북이나 북채 어느 것중 하나가 없다면 북이 울리지 않는 것과 똑같은거죠.

참고로 지그킥배터리로 변환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알려져있는데, 제일 기본이 되는 것은 홈브류를 통해서 PSP 자체의 eeprom 변환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홈브류 역시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하지만 TA-085 v2 이상의 기판에서는 하드웨어적으로 이 기능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그 외 매직차져라는 특수한 기계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배터리를 물리적으로 개조하는 방법도 알려져있는데 이런 방법은 제 블로그에서는 일체 다루지 않습니다. (홈브류를 통한 방법이 북채라면, 매직차져나 물리개조는 드럼스틱이나 막대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북채나 드럼스틱이나 막대기나 북을 울리게 할 수는 있으니까요.)

5. 타임머신IPL이란 무엇인가?
위에서 커스텀IPL이 무엇인지 잠깐 설명했는데 타임머신IPL 역시 메모리스틱에 설치되는 특수한 커스텀 IPL의 한 종류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커스텀IPL은 메모리스틱의 부트섹터 영역에 설치되므로 일반적으로 메모리스틱을 PC에 연결해서 열어본다고 해서 보이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몇몇 홈브류나 PC용 프로그램을 통해서만 부트섹터 내부에 IPL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타임머신IPL은 기존의 커스텀IPL과는 약간 다른 기능을 하게되는데, 다른 커스텀IPL이 메모리스틱의 특수한 모듈 파일을 불러와서 커펌 인스톨러나 ELF Menu, Nand Tool 등의 프로그램을 바로 실행하는 것에 비해 타임머신IPL은 다른 IPL을 불러오는 IPL 로더로서의 기능을 합니다. 이 기능으로 인해서 PSP 부팅시 버튼 입력에 따라서 여러가지 종류의 커스텀IPL을 선택적으로 불러올 수 있으며, 당연히 PSP 부트롬 내부의 정식IPL도 불러올 수가 있게 됩니다. (PSP 부트롬 내부의 정식IPL을 불러오게 되면, 일반배터리로 PSP를 부팅한 것과 동일하게 XMB로 부팅이 가능합니다. 지그킥배터리를 일반배터리와 똑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6. 타임머신IPL의 설치와 설정방법은?
메모리스틱에 커스텀IPL을 설치하려면 단순한 파일 복사로는 불가능하고 PSP용 홈브류나 PC용 특수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제일 먼저 나온 것은 타임머신 v0.1 발표시 포함되어 있는 타임머신 홈브류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제일 첫 번째 메뉴가 타임머신IPL을 메모리스틱의 부트섹터 영역에 설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외에도 PSP Tool이나 판도라 인스톨러, 판도라 디럭스 등 일일히 열거할 수 없을만큼 다양한 종류가 나와있습니다.
하지만 결국 설치되는 것은 타임머신IPL로 모두 동일하므로 사용방법 역시 똑같습니다.

지그킥배터리와 타임머신IPL이 설치된 메모리스틱을 조합해서 PSP를 부팅하게 되는 경우 지그킥배터리에 의해 타임머신IPL을 불러오게 되고, 타임머신IPL은 메모리스틱내의 설정파일(ms0:/tm/config.txt)에 따라서 별도의 커스텀IPL을 불러오게 됩니다. 즉, 타임머신IPL의 설정파일을 수정해서 자동으로 불러오게 되는 별도 커스텀IPL의 경로와 단축키를 설정해주면 자신이 원하는대로 PSP를 부팅할 수 있습니다.

7. 타임머신IPL로 불러올 수 있는 별도의 IPL은 무엇이 있나요?
제일 먼저 PSP의 부트롬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식IPL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당연히 일반배터리와 똑같이 XMB로 부팅이 되겠죠. 단, 약간의 제한 사항이 있는데 구형 PSP는 상관이 없지만 신형 PSP에서는 커펌 3.90 M33-2 이상에서만 정식IPL을 불러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커펌 3.90 M33-2 미만의 커펌이나 완전히 정펌인 신형 PSP에서는 지그킥배터리와 타임머신IPL을 통한 XMB 부팅이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이 아래에서 설명할 유니버셜 언브리커나 가상펌웨어 부팅 등은 여전히 지원합니다.) 또 메모리스틱을 여러 개 교체하며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메모리스틱에 모두 타임머신IPL을 설치해야 지그킥배터리를 일반배터리와 동일하게 사용이 가능하겠죠.
그 다음으로 유니버셜 언브리커 v1 - v4까지 사용된 커스텀IPL이 있습니다. (msipl.bin) 이 경우 유니버셜 언브리커 v1 - v4 메인 메뉴를 불러와서 커펌/정펌을 새로 설치하거나 낸드이미지의 백업/복구가 가능하며 매직메모리스틱 변형을 통해 ELF Menu나 Nand Tool을 대신 실행할 수도 있게 됩니다.
그리고 메모리스틱에 저장된 가상펌웨어를 이용해 PSP를 부팅하는 커스텀IPL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타임머신 v0.1 홈브류에 이러한 메뉴가 포함되어 있는데 현재는 정식 펌웨어 1.50 / 1.50+3.40과 커펌 3.40 OE / 3.60 M33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유니버셜 언브리커 v5 - v8의 커스텀IPL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유니버셜 언브리커 v5부터 최근 v8까지는 기존 v1 - v4에서 사용된 커스텀IPL(msipl.bin)이 아니라 타임머신IPL과 통합되어 좀 더 편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단순한 커펌/정식 펌웨어뿐만 아니라 메모리스틱의 가상 커펌을 불러올 수 있는 메뉴도 추가되어 있죠.

유니버셜 언브리커 v1 - v8은 각각 설치되는 커펌/정펌 버전에 차이가 있고 몇몇 기능이 추가된 점 외에 기본 기능은 모두 동일합니다.

8. 타임머신IPL을 설치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관련 질문을 받을때마다 타임머신IPL 설치를 추천하고 있는데 어째서 타임머신IPL이 유용한지 알아보겠습니다.
PSP를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하다 보면 PSP가 벽돌이 되는 경우도 있고 다른 커펌 버전을 설치하거나 예전 상태로 복구하고 싶을 때가 생기기 마련입니다.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을 보관하고 있다면 별 문제가 없겠지만, 만약 배터리가 하나밖에 없어서 지그킥배터리를 일반배터리로 복구해서 사용하고 있을 경우에는 난감한 문제가 됩니다. 벽돌이나 정펌이 된 후에는 지그킥배터리로 다시 변환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만약 타임머신IPL을 설치해서 사용하게 된다면 지그킥배터리도 일반배터리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는 든든한 보험이 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연회비나 가입비도 필요없는 무료 보험!)

평소에는 타임머신IPL을 이용해서 지그킥배터리를 일반배터리처럼 사용하다가 만약의 경우가 발생하면 단순한 버튼 조합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유니버셜 언브리커나 기타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웬만하면 타임머신IPL을 설치한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계속 유지한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는 것입니다. 또한 메모리스틱에 타임머신IPL을 설치했다고 하더라도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일반메모리스틱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로 불편하거나 손해를 보는 일도 없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추후 추가될 수 있음)
- 지그킥배터리 충전은 어떻게 하나요? -> 지그킥배터리는 PSP 부팅시에만 특수한 역할을 할 뿐 일단 PSP가 XMB로 부팅하고 난 뒤에는 일반배터리와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즉, 지그킥배터리 충전을 하려면 AC아답터만을 이용해 PSP를 부팅하고 그 후에 지그킥배터리를 삽입해서 충전하거나, 지그킥배터리를 넣고 (제대로 부팅이 안되더라도) PSP를 완전히 종료한 뒤에 AC아답터를 꽂아 충전하면 됩니다.

- 매직메모리스틱을 복구하고 싶어요 -> 매직메모리스틱은 지그킥배터리를 통해 신호를 보내지 않는 한 일반 메모리스틱과 똑같이 작동합니다. 그냥 포맷 한 번 해주고 사용하면 됩니다.

- 타임머신IPL을 통해 가상 커펌을 불러오려는데 제대로 부팅이 안됩니다. -> 커펌 버전에 따라 플러그인의 호환성이 다르기 때문에 부팅이 안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가상 커펌을 불러오는 단축키와 R트리거를 같이 눌러 가상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가 플러그인을 모두 끄고 부팅해보세요.

- 정식A/S를 받고 싶어요. -> 커펌이 설치된 경우 A/S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따라서 관련 질문도 받지 않습니다.
-----------------------------------------------------------------------------------------------------------------------

위의 글에서는 단순한 개념만을 설명했기에 실제로 타임머신IPL을 어떻게 설치하는지, 설정은 어떤 식으로 해야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관련글을 꼭 읽어보시기를 바랍니다.

- 타임머신 v0.1 -> http://popotz.textcube.com/767
- 타임머신 단축키 설정법 -> http://popotz.textcube.com/772
- 타임머신 + 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 v2 -> http://popotz.textcube.com/963
- PSP Tool v8 -> http://popotz.textcube.com/75
-----------------------------------------------------------------------------------------------------------------------

글솜씨가 없어서 제대로 설명했는지는 자신이 없네요. 저로서는 단순히 커펌을 게임을 공짜로 즐기기위해 설치하는 것이 아니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으며, 또 그 때문에 이렇게 작은 블로그를 계속하면서 이런 글을 쓰고 있는 겁니다. 그 외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댓글 또는 popotz Q&A를 통해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PSP Tool 0.8

PSP Tool 0.8입니다. [출처가기]

메모리스틱에 다양한 IPL을 설치하거나 설치된 IPL을 제거할 수 있고,
DC 3 / 4 / 5 / 7 / 8을 메모리스틱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그킥 배터리 변환/복구 (구형은 모든 기판, 신형은 TA-085 v1기판만 가능),
idstorage 백업/복구 등의 부가기능을 지원합니다.


커펌 3.40부터 커펌 5.00까지 대부분의 커펌에서 사용가능하며, 첨부파일을 받아 나오는 'PSP' 폴더를 메모리스틱 상위에 복사한 뒤 실행하면 됩니다.

단, 매직메모리스틱을 만들 경우 아래처럼 설치하려는 각 버전에 맞는 펌웨어 파일이 메모리스틱 상위에 추가로 필요합니다.
- 오리지날 판도라(구형 전용) : UDATE.PBP (정펌 1.50 파일)
- DC3 : 150.PBP / 340.PBP / 371.PBP
- DC4 : 150.PBP / 340.PBP / 380.PBP
- DC5 : 150.PBP / 340.PBP / 390.PBP
- DC7 : 401.PBP
- DC8 : 500.PBP

실제 메뉴 모습은 아래의 동영상을 참고하시고 자세한 사항은 Documentation.pdf를 읽어보세요.
별로 의욕이 없어 대충 마무리하겠습니다. =ㅅ=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설치법 / 사용법


Dark_AleX가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DC v8)을 발표했습니다. [출처가기]
유니버셜 언브리커 v8이란 흔히 말하는 매직메모리스틱의 한 종류로서, 지그킥배터리와 같이 사용하면 커펌/정펌 5.00을 설치하거나 벽돌 복구, 그 외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우선 번경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커펌 5.00 M33-4가 바로 설치되도록 업데이트

ㅡㅡ;
사실 이전 DC v7은 귀찮아서 그냥 넘어갔기때문에 좀 더 설명할 필요가 있겠네요. 아래 사용법에서 다루기로 하겠습니다.


* Download : 공식 펌웨어 5.00    (mirror)

[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설치법 ]
1. 커펌 3.10 OE 이상의 커펌이 설치되어 있다면 유니버셜 언브리커 v8의 설치가 가능합니다. 이 과정은 메모리스틱에 필요한 파일들을 생성하는 과정이므로 PSP 시스템 자체는 건드리지 않습니다.

2. 위의 유니버셜 언브리커 v8를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DC8'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3. 공식 펌웨어 5.00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의 이름을 '500.PBP'로 변경해 메모리스틱 최상위에 복사합니다. (ms0:/, 'PSP' 폴더와 같은 위치에 복사.)

4. 설치를 진행하기 전에 만약 PTF 테마가 설정되어 있다면 반드시 테마 메뉴에서 오리지널 테마로 복구합니다.
또한 되도록이면 커펌을 설치한 이후 아무것도 건드리지 않은 순정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이제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Despertar del Cementerio v8'을 실행합니다.

6. 화면에 나오는 설명에 따라 설치를 진행합니다.

7-1. 만약 현재 메모리스틱에 타임머신 IPL이 설치되어 있다면 설치 과정에서 유니버셜 언브리커 v8를 구동하기 위한 단축키를 묻게 됩니다. 사용하고 싶은 버튼을 몇 초간 눌러주면 됩니다.

7-2. 만약 설치 도중 99%에서 오류가 나온다면, 우선 PSP의 설정 - 시스템 설정으로 들어가 메모리스틱 초기화를 해준 뒤 다시 시도해 보시고, 그래도 안될 경우에는 http://popotz.textcube.com/689의 8번과정까지만 진행해서 메모리스틱을 mspformat 해준뒤 다시 시도합니다.

8. 설치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XMB로 복귀합니다.

[ 지그킥배터리 만들기 ]
유니버셜 언브리커 시리즈는 반드시 지그킥배터리라는 특수한 배터리가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미 지그킥배터리를 가지고 계신 분들은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만약 일반배터리밖에 없는 사용자는 커펌이 설치된 PSP에서 http://popotz.textcube.com/726에 있는 홈브류를 통해 지그킥배터리의 변환이 가능합니다.
단, 신형 PSP중에서 TA-085 v2 / TA-088 v1 / TA-088 v2 / TA-088 v3 기판 등은 커펌이 설치되어 있어도 하드웨어적으로 변환이 불가능하니 다른 곳에서 구하거나 빌려야 합니다.

[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사용법 ]
1. 이제 위에서 만든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메모리스틱을 PSP에 넣고, 지그킥배터리를 삽입합니다.
(단, 이전 타임머신 사용자는 설치과정에서 입력한 단축키를 배터리 삽입 전에 함께 눌러주어야 합니다.)

2. 잠시 후 아래와 같은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메뉴가 나오게 되니, 원하는 작업을 실행하면 됩니다.
Install 5.00 M33 : 현재 PSP에 커펌 5.00 M33-4를 설치한다.
Install 5.00 OFW : 현재 PSP에 정펌 5.00을 설치한다.
NAND operations : PSP의 낸드 백업을 작성하거나 복구하며, Lflash를 포맷하거나 IDStorage 툴을 실행한다.
Hardware Info
: PSP의 기종, 기판 정보 등을 확인한다.
Test M33 : 아래에서 따로 설명함.
Shutdown : PSP를 종료한다.
Reboot Device : PSP를 재부팅한다.
(다른 PSP에서 만든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메모리스틱을 커펌/정펌 설치시 사용하려면, 사용하기 전에 메모리스틱의 ms0:/TM/DC8/act.dat 파일을 먼저 삭제해주어야 PSN 이용에 문제가 생기지 않습니다.)

3. 다른 메뉴야 쉽게 알 수 있는 것이니 넘어가고 설명이 필요한 Nand operations 메뉴와 Test M33 메뉴에 대해서만 알아보겠습니다.

[ NAND operations 메뉴에 대하여 ]
NAND operations 메뉴로 들어가면 아래처럼 4가지의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Dump NAND : 현재 PSP의 낸드이미지를 ms0:/nand-dump.bin 파일로 백업합니다.

Restore NAND : 백업한 낸드이미지를 통해 현재의 PSP를 복구합니다. (이 메뉴를 통해 다른 PSP의 낸드 덤프를 복구에 사용할 경우 벽돌이 되므로 주의하세요.)

Format Lflash : Lflash 영역(flash0~3)을 포맷합니다. 커펌 설치 메뉴를 통해 커펌을 설치해도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이 Lflash 영역을 포맷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포맷하기 전에 각 영역의 용량을 변경할 수도 있어 flash0의 용량이 부족한 구형 PSP의 경우 용량을 더 확보할 수 있습니다. 단, Lflash 포맷을 한 후에는 PSP가 벽돌 상태이므로 반드시 커펌/정펌을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IDStorage tools : PSP의 IDStorage 영역이 손상되었을 때 이를 복구하거나 생성하는 메뉴입니다. 아래 3가지 메뉴가 있습니다.
Create New idStorage : 새로운 IDStorage를 생성합니다. PSP의 지역코드(유럽/북미/일본), 맥 어드레스 등을 정해서 새롭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다른 지역의 UMD 비디오/음악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UMD 구동에 문제가 있거나 맥어드레스가 나오지 않는다면 IDStorage가 손상된 것이므로 이를 통해 새롭게 생성해주어야 합니다.
Change region : IDStorage의 지역코드만을 변경합니다. 동그라미/엑스버튼의 역할을 변경하거나, 다른 지역코드의 UMD 비디오/음악 재생이 가능하게 됩니다.
Fix MAC address : 무선랜 기판을 변경했을 경우나 IDStorage 문제로 맥어드레스가 잘못 인식될 경우 이 메뉴를 통해 PSP의 진짜 맥어드레스를 찾아서 복구할 수 있습니다.

[ Test M33 메뉴에 대하여 ]
기존의 유니버셜 언브리커와는 다르게 이번 v8에서는 복구메뉴에 필요한 파일뿐만 아니라 커펌 자체 구동을 위한 모든 파일을 메모리스틱에 설치하게 됩니다. 그래서 PSP의 낸드 영역과는 상관없이 메모리스틱에서 바로 커펌 5.00 M33-4를 불러올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전 타임머신으로 펌웨어 1.50이나 커펌 3.40 등을 불러오는 것과 동일한 원리.)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메뉴를 불러온 뒤 'Test M33' 메뉴를 선택하면 PSP가 자동으로 커펌 5.00 M33-4로 부팅되며, 평소와 동일하게 사용가능합니다. 그리고 메모리스틱에서 불러오는 커펌 5.00 M33-4의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가려면 지그킥배터리를 삽입하기 전에 R트리거를 같이 눌러주면 됩니다. (타임머신 사용자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단축키 + R트리거)
이 기능을 사용하면 커펌 5.00이 아닌 PSP나 정펌이 설치된 PSP에서도 커펌 5.00 M33-4를 임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메모리스틱에서 불러온 커펌 5.00 M33-4 사용 중에 메모리스틱을 빼거나 하면 충돌이 일어나니 등 주의점이 많으니 유의하세요.

[ 기타 사항 ]
하지만 유니버셜 언브리커 v8은 타임머신 IPL을 동일하게 사용하므로 단축키 변경을 통해 낸드 부팅이나 다른 버전의 유니버셜 언브리커, 다른 펌웨어 등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http://popotz.textcube.com/772를 보고 단축키를 담당하는 config.txt 파일을 수정하면 됩니다.
단, 신형 PSP에서 타임머신 IPL(=유니버셜 언브리커 v8 IPL)을 통한 낸드 부팅은 정펌에서는 불가능하고 커펌 3.90 M33-2 이상에서만 가능하다는 점을 꼭 명심하세요.

'포포츠 백업 + NEW > 판도라's 밧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임머신IPL이란 무엇인가  (0) 2010.12.30
PSP Tool 0.8  (0) 2010.12.30
타임머신 + 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 v2  (0) 2010.12.30
NandTool 0.4 a10  (0) 2010.12.30
유니버셜 언브리커 v6  (0) 2010.12.30

타임머신 + 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 v2

아~주 예전에 블로그 중단 전에 타임머신을 이용해서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 v4 + v5를 하나의 메모리스틱에 구동할 수 있는 글과 자료를 올린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후 커펌 4.01 M33과 5.00 M33이 발표되어 업데이트할 필요성이 있기에 다시 한번 통합해서 올립니다.

뭐, 시즌2 기념이라고나 할까요? 하지만, 정작 블로그에는 올리지 못하는 글이 되어버렸군요. ㅜㅜ;;

우선 이전 통합 버전에서 변경된 점이나 새로 추가된 점을 알아보겠습니다.
* 유니버셜 언브리커 v7 추가 (커펌 4.01 M33-2 설치와 메모리스틱에서 커펌 구동, idstorage 재생성 기능 등)

* 유니버셜 언브리커 v7 MOD 4.01 to 5.00 추가 (유니버셜 언브리커 v7에 커펌 5.01 M33-3을 설치하는 메뉴)

* Recovery Flasher v1.41 추가 (3.71 M33-4 / 4.01 M33-2 / 5.00 M33-3 설치)

* nandTool을 기존 v0.3 Beta1에서 v0.4 Final NEO로 변경


그럼 이 통합 v2를 설치한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 구형/신형 PSP 상관없이 벽돌이 된 PSP에서도 커펌 3.71 M33-2 / 3.80 M33-5 / 3.90 M33-3 / 4.01 M33-2 / 5.00 M33-3 설치 가능. (단 신형 PSP중 TA-088 v3 메인보드는 현재 커펌 설치가 불가능합니다.)

* nandTool을 이용해 낸드와 idstorage 영역의 백업 및 복구 가능, 낸드 영역 포맷 및 배드 블럭 체크 등의 부가 기능 사용 가능.

* 아래대로 만든 메모리스틱과 같이 사용하면 지그킥배터리로 일반 XMB 부팅 가능 . (단, 신형 PSP의 경우에는 커펌 3.90 M33-2 이상일 경우에만 지원합니다.)

* Recovery Flasher를 이용해 지그킥배터리가 없어도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커펌 3.71 M33-4 / 4.01 M33-2/   5.00 M33-3 설치 가능. (단, 반벽돌인 경우에만 사용 가능하며, 완전 벽돌인 경우 사용할 수 없습니다.)

미리 양해를 구하자면 이 글에서는 설치법만을 설명하며, 여기에 포함된 각 프로그램의 자세한 사용법은 생략합니다.
이 자료는 이미 발표된 프로그램만을 단순히 모아놓은 것이므로 기존의 사용법과 다른 점은 없습니다. 또 써본적이 없다고 해도 간단한 영어 메뉴로만 이루어져 있으니 쉽게 알아보실 수 있을겁니다.

또한 Recovery Flasher를 제외한 모든 기능 사용시에는 반드시 지그킥배터리가 필요합니다.
지그킥배터리는 자료에 포함된 변환 홈브류를 통해 변환이 가능하며, 이 경우 커펌된 PSP를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또한 신형 PSP 중 TA-085 v2 / TA-088 v1 / TA-088 v2 / TA-088 v3 기판에서는 하드웨어적으로 변환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커펌인 상태에서도 변환할 수 없습니다. 다른 PSP를 통해 변환하거나 따로 구해야만합니다.

또한 성급히 해보지 말고 반드시 이 글의 끝까지 모두 읽고 충분히 이해한 뒤에 진행하세요.

그럼 이제 본격적인 설치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통합 v2 매직메모리스틱을 만들 메모리스틱 프로 듀오 하나와 커펌된 PSP를 준비합니다.

메모리스틱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메모리스틱이면 대부분 가능합니다. 하지만 자료의 총 용량이 약 242MB 정도 되므로 낸드 백업 파일까지 생각한다면 512 MB 이상의 용량을 가지고 있는 편이 좋습니다.

또 안전을 위해 되도록이면 정품 메모리스틱을 이용하고, 설치 전 반드시 포맷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8GB 이상의 메모리스틱인 경우 반드시 포맷을 하고 진행해야 합니다.

추천하는 방법은 용량이 작은 여분의 메모리스틱을 따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입니다.
물론 매직메모리스틱으로 만들었다 해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만, 폴더 구성이 약간 복잡하기 때문에 사용중 실수로 필요한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할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상 PSP를 주의해서 사용한다면 매직메모리스틱을 사용할 일은 거의 없기때문에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 세트는 따로 만들어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굴러다니는 1GB 메모리스틱으로 만들어 사용중입니다.


2. 다음에는 필요한 자료를 모두 다운로드해서 메모리스틱으로 복사합니다.

용량 문제와 기타 여러가지 문제가 있어 직접 업로드는 불가능하고, 해외 링크만을 걸어두겠습니다. 느리더라도 참아주세요. 또 커펌 설치에 필요한 펌웨어 파일 역시 따로 링크를 걸어두겠습니다.

* 타임머신 + 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 v2 다운로드 링크 (암호는 popopo 입니다.)

위의 압축파일을 다운로드한 뒤 압축을 해제합니다. (알집은 사용하지 마세요.)
그리고 MS_ROOT 폴더 안의 모든 폴더와 파일을 메모리스틱 최상위에 그대로 복사합니다.

* 펌웨어 파일 다운로드 링크
3.71 Firmware (Mirror)
3.80 Firmware (Mirror)
3.90 Firmware (Mirror)
4.01 Firmware (Mirror)
5.00 Firmware (Mirror)

위의 5개 펌웨어 파일을 모두 다운로드 합니다. 이미 알맞은 파일명으로 되어 있으므로,
다운로드 받은 371.PBP / 380.PBP / 390.PBP / 401.PBP / 500.PBP 그대로 메모리스틱 최상위로 복사합니다.
추가로 500.PBP 파일은 ms0:/PSP/GAME/UPDATE/ 폴더에도 똑같히 복사해서 2번 넣어야 합니다.

이 과정이 완료되면 메모리스틱은 아래의 폴더 구조를 가지고 있게 됩니다.
간단한 설명을 달아놓았으니, 자신에게 필요없다 싶으면 삭제해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잘 모르겠으면 그냥 두세요.
ms0:/
       |- ELF/   (낸드툴 관련 모듈과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v4, v5 실행 파일)
       |       |- prx/
       |       |- Universal_Unbricker_v3.elf 등 3개 파일
       |
       |- KD/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v4에서 사용되는 모듈 파일)
       |
       |- PSP/
       |      |- GAME/
       |              |- ospbt_060   (지그킥 배터리 변환/복구 홈브류)
       |              |- RECOVERY   (Recovery Flasher v1.41 실행 파일)
       |              |- TIMEMACHINE   (타임머신 IPL 설치 홈브류)
       |              |- UPDATE   (유니버셜 언브리커 v7에서 커펌 5.00 M33 설치시 필요한 파일)
       |                      |- 500.PBP, EBOOT.PBP 파일
       |
       |- registry/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v4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
       |
       |- TM/
       |      |- DC5/ (유니버셜 언브리커 v5에서 사용되는 모듈 파일, 사용자 설정 정보 등)
       |      |- DC7/   (유니버셜 언브리커 v7에서 사용되는 모듈 파일, 사용자 설정 정보 등)
       |      |- config.txt   (지그킥배터리 부팅시 적용되는 타임머신 단축키 지정 파일)
       |      |- 500-M33.prx,EBOOT.PBP (유니버셜 언브리커 v7에서 커펌 5.00 설치 메뉴로 전환해주는 파일)
       |
       |- 371.PBP   (유니버셜 언브리커 v3과 Recovery Flasher에서 커펌 3.71 설치시 사용되는 펌웨어 파일)
       |- 380.PBP   (유니버셜 언브리커 v4에서 커펌 3.80 설치시 사용되는 펌웨어 파일)
       |- 390.PBP   (유니버셜 언브리커 v5에서 커펌 3.90 설치시 사용되는 펌웨어 파일)
       |- 401.PBP   (유니버셜 언브리커 v7과 Recovery Flasher에서 커펌 4.01 설치시 사용되는 펌웨어 파일)
       |- 500.PBP   (Recovery Flasher에서 커펌 5.00 설치시 사용되는 펌웨어 파일)


3. 복사가 완료되면 PSP에서 일단 한 번 메모리스틱을 뺐다가 다시 삽입하고,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Time Machine'을 실행합니다.

위의 스크린샷처럼 타임머신이 실행되었다면 첫 번째 메뉴에서 엑스버튼을 눌러 실행합니다.
(만약 이 과정에서 오류가 난다면 메모리스틱을 mspformat 해주고 다시 2번부터 진행해야 합니다. mspformat 방법을 모른다면... 나중에 따로 올려드리죠.)

타임머신 IPL 설치가 정상적으로 완료(OK라는 메세지가 뜨면 성공)되면 해당 홈브류를 종료합니다.


4. 이제 배터리를 지그킥배터리로 변환해야합니다. 이미 지그킥배터리를 가지고 있다면 이 과정을 건너뛰어도 됩니다. 그리고 위에서 말한대로 신형 PSP 중에는 지그킥 변환이 불가능한 기판이 있으므로 실행하기 전에 반드시 자신의 기판에 대해 알아두어야합니다. (PSP의 기판 확인하는 홈브류 설명 바로가기)

PSP의 기판이 지그킥 변환을 지원한다면, 정품배터리를 삽입하고,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OSPBT'를 실행합니다. 실행되면 두 번째 메뉴에서 엑스버튼을 눌러 배터리를 서비스 모드로 변환합니다.


5. 이제 모든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설치 완료 후에 ms0:/PSP/GAME/ 폴더의 'TIMEMACHINE'과 'ospbt_060' 폴더는 삭제해도 되지만, 그 외의 폴더 및 파일은 커펌 설치 등에서 사용하므로 잘 모른다면 삭제하지 마세요.


그럼 사용법입니다. 뭐, 간단하게만 설명하겠습니다.

PSP의 배터리까지 분리해서 완전히 종료한 뒤 위에서 만든 매직메모리스틱을 PSP에 삽입합니다.

이 때 PSP의 무슨 버튼을 누르고 있느냐에 따라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달라지게 됩니다.
(만약 아무 버튼도 누르지 않는다면 일반배터리와 동일하게 XMB로 부팅하죠.)

L트리거 : nandTool이 실행됩니다. nandTool 내에서 ELF 메뉴로 들어가면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v4, v5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v3은 커펌 3.71 M33-2, v4는 커펌 3.80 M33-5, v5는 커펌 3.90 M33-3 설치 가능)

방향키 위쪽버튼 : 유니버셜 언브리커 v7이 실행됩니다. 이를 통해 커펌 4.01 M33-2를 설치하거나 Test M33 메뉴를 통해 메모리스틱에서 커펌 4.01 M33-2를 가상으로 불러올 수 있습니다. 그 외의 메뉴는 생략.

또한 이 상태에서 맨 아래 '2nd M33 Menu'를 선택하면 커펌 5.00 M33-3을 설치할 수 있는 메뉴로 전환됩니다. 단, 이 메뉴에서는 커펌 5.00 M33-3 설치 외에 다른 메뉴의 사용은 자제해주세요.


만약 지그킥배터리가 없는 상태에서는 리커버리 모드의 3번째 메뉴인 'Run program at...'을 선택하면 Recovery Flasher가 실행되어 커펌 3.71 M33-4 / 4.01 M33-2/   5.00 M33-3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다만, 리커버리 모드에는 진입 가능한 반벽돌 상태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어 그다지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자신의 책임하에 사용해주세요.


이제 추가적으로 알아둘 점만 몇가지 설명하고 끝내겠습니다. (너무 글이 길어졌네요.)

* 위 자료를 통해 커펌 설치 등의 작업을 하기 전에 반드시 낸드이미지를 먼저 백업해두세요. 미리 백업하면 나중에 원래 상태로 복구하기도 쉽고, 만약의 경우 큰 도움이 됩니다. 유비무환이죠.

* 어떤 방법을 사용하던지 일단 한 번 커펌 설치가 끝나면 PSP를 완전히 종료하고, 네모+세모+셀렉트+스타트버튼을 동시에 누른채 PSP의 전원을 켜서 사용자 설정 초기화를 실행합니다.
유니버셜 언브리커 사용시나 같은 커펌 버전을 재설치할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만약 커펌 버전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설정이 호환되지 않아 블루스크린이 나타나게됩니다. 특히 Recovery Flasher나 유니버셜 언브리커 v7에 추가된 커펌 5.00 M33-3 설치 메뉴를 통해 커펌을 설치했다면 제일 먼저 사용자 설정 초기화를 해주세요.

* 위에서 설명한 부팅 단축키는 ms0:/TM/config.txt 파일을 편집하면 자신에 맞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변경법은 아래 따로 있는 타임머신 단축키 설명에 관한 글을 읽어주세요.

* 위 자료는 PSP의 낸드플래시를 건드리는 프로그램입니다. 벽돌이 되도 복구가 가능하지만 이것도 사용법을 충분히 알아야 가능한 법! 섣부르게 해보지 말고 관련 지식을 습득한 뒤 이해가 충분히 된 후에 사용해주세요.

* 이 자료들은 해외에서 발표된 자료를 좀 더 사용하기 편하게 모아놓은 것으로, 저에게는 어떠한 권리도 없습니다. 각 프로그램 개발자에게 권리가 있죠. 하지만, 예전 통합 버전처럼 상업적으로 이용하거나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행위는 자제해 주세요. 제~~~발!!

# 글에 적혀있지 않은 세세한 내용은 그냥 댓글을 통해 해결하는 것으로 하죠. 더 이상 쓰다가는 글이 너무 길어지네요.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포포츠 백업 + NEW > 판도라's 밧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P Tool 0.8  (0) 2010.12.30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설치법 / 사용법  (0) 2010.12.30
NandTool 0.4 a10  (0) 2010.12.30
유니버셜 언브리커 v6  (0) 2010.12.30
일부 TA-088 기판 판도라 사용 불가  (0) 2010.12.30

NandTool 0.4 a10


제가 좋아라하고 또 자주 사용하고 있는 NandTool이 0.4 a10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NandTool은 기본적으로 ELF 파일 구동, 낸드이미지 백업 및 부분복구 등을 지원하며 그 외 배드블럭 확인, 리파티션 기능 등 부가 기능 역시 가지고 있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니버셜 언브리커로 커펌 설치시의 오류는 대부분 NandTool을 통해 해결할 수 있죠.
제가 예전에 올린 타임머신+유니버셜언브리커 통합 버전도 NandTool을 이용한 것이였죠.

이번 0.4 a10은 GUI가 약간 변경되었고 이런저런 버그가 수정되었습니다. 자세한 건 'changelog.txt'를 참고하세요.


NandTool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동 가능한데, 그래서 설치법도 여러가지입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로해서 자신이 현재 보유중인 매직 메모리스틱에 맞게 설치합니다.

NandTool 0.4 a10 설치법 열기


위 방법대로 NandTool 0.4 a10 를 설치해서 실행했다면 이제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간단한 영어로만 이루어져있어 그리 설명할 필요도 없겠지만...

NandTool 0.4 a10 사용법 열기


NandTool은 추가적으로 USB 연결도 지원하는데, 이번 버전에서는 설치방법이 약간 달라졌으며, 새롭게 USBhostfs도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USB / USBhost 기능 추가하기


# 위 프로그램과 관련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2008/08/06 - [커스텀펌웨어/커펌 공통] - Recovery Flasher v1.21 - 반벽돌 복구, 커펌 다운그레이더
2008/05/28 - [판도라의 배터리] - 타임머신+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설치
2008/01/05 - [판도라의 배터리] - Pandora ELF Menu 0.3
2007/12/26 - [판도라의 배터리] - Tool Box v3 - ELF 모음
2007/12/09 - [판도라의 배터리] - NandTool v0.3 Beta1

유니버셜 언브리커 v6


Dark_AleX가 유니버셜 언브리커 v6을 발표했습니다. [출처가기]

우선 번경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이제 커펌 4.01 M33-2와 정펌 4.01 등을 설치할 수 있음.
- 이제 커펌 4.01 M33의 코어를 사용하도록 코어를 변경. 이로 인해서 1.50/3.40 혼합 커널때문에 유니버셜 언브리커가 구동되지 않던 일부의 TA-088기판의 문제가 수정됨. 하지만 아직까지 유니버셜 언브리커가 전혀 구동되지 않는 다른 종류의 최신 TA-088기판이 존재함.
- 인스톨러와 유니버셜 언브리커 메뉴의 그래픽이 XMB의 그래픽으로 변경.
- 메모리스틱으로부터 커펌 4.01 M33-2를 불러와 부팅할 수 있는 "Test M33" 옵션 추가.

일단 기판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겠네요. 알려진 바에 따르면 신형 PSP중 TA-088 기판은 모두 3가지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TA-088 v1 : 유니버셜 언브리커가 모두 작동하며 아무 버전이나 사용해도 커펌 설치 가능.
TA-088 v2 (가칭) : 기존의 유니버셜 언브리커는 작동하지 않고 오로지 이번 v6만을 이용해 커펌 설치 가능.
TA-088 v3 (가칭) : 기존의 유니버셜 언브리커뿐만 아니라 이번 v6도 작동하지 않아 현재는 커펌 설치 불가능.
(당연히 위의 TA-088 기판은 모두 일반배터리를 지그킥배터리로 변환할 수 없어 지그킥배터리는 따로 구해야합니다.)

이번 유니버셜 언브리커는 바로 문제가 되던 TA-088 v2 기판을 위한 것이라고 봐도 되겠네요. 이전 1.50/3.40 혼합 커널이 아닌 4.01 커널만을 사용해서 문제를 해결한 것 같습니다.

이제 설치법인데, 사실 그래픽이 조금 변경된 것 외에는 기존 유니버셜 언브리커 v5와 다른 점이 없습니다.
짧게만 생략해서 설명할테니, 잘 이해가 안되거나 모르겠으면....음.... 공부하세욧!

* Download : 공식 펌웨어 4.01

[ 유니버셜 언브리커 v6 설치법 ]

1. 커펌 3.10 OE 이상의 커펌이 설치되어 있다면 유니버셜 언브리커 v6의 설치가 가능합니다. 이 과정은 메모리스틱에 필요한 파일들을 생성하는 과정이므로 PSP 자체는 건드리지 않습니다.

2. 위의 유니버셜 언브리커 v6를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DC6'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3. 공식 펌웨어 4.01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의 이름을 '401.PBP'로 변경해 메모리스틱 최상위에 복사합니다. (ms0:/, 'PSP' 폴더가 있는 곳에 복사.)

4. 설치를 진행하기 전에 만약 PTF 테마가 설정되어 있다면 반드시 테마 메뉴에서 오리지널 테마로 복구합니다.
또한 되도록이면 커펌을 설치한 이후 아무것도 건드리지 않은 순정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호환되지 않는 낸드플래시용 테마때문인지 중간에 멈춰서 고생했습니다.)

5. 이제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Despertar del Cementerio v6'을 실행합니다.

6. 화면에 나오는 설명에 따라 설치를 진행합니다.

7-1. 만약 현재 메모리스틱에 타임머신 IPL이 설치되어 있다면 설치 과정에서 유니버셜 언브리커 v6를 구동하기 위한 단축키를 묻게 됩니다. 사용하고 싶은 버튼을 몇 초간 눌러주면 됩니다.

7-2. 만약 설치 도중 99%에서 오류가 나온다면, 우선 PSP의 설정 - 시스템 설정으로 들어가 메모리스틱 초기화를 해준 뒤 다시 시도해 보시고, 그래도 안될 경우에는 http://popotz.textcube.com/689의 8번과정까지만 진행해서 메모리스틱을 mspformat 해준뒤 다시 시도합니다.

8. 설치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XMB로 복귀합니다.

[ 지그킥배터리 만들기 ]
유니버셜 언브리커 시리즈는 반드시 지그킥배터리라는 특수한 배터리가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미 지그킥배터리를 가지고 계신 분들은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만약 일반배터리밖에 없는 사용자는 커펌이 설치된 PSP에서 http://popotz.textcube.com/726에 있는 홈브류를 통해 지그킥배터리의 변환이 가능합니다.
단, 신형 PSP중에서 TA-085 v2 / TA-088 v1 / TA-088 v2 / TA-088 v3 기판은 커펌이 설치되어 있어도 하드웨어적으로 변환이 불가능하니 다른 곳에서 구하거나 빌리거나 해야합니다.

[ 유니버셜 언브리커 v6 사용법 ]
1. 이제 위에서 만든 유니버셜 언브리커 v6 메모리스틱을 PSP에 넣고, 지그킥배터리를 삽입합니다.
(단, 이전 타임머신 사용자는 설치과정에서 입력한 단축키를 배터리 삽입 전에 함께 눌러주어야 합니다.)

2. 잠시 후 아래와 같은 유니버셜 언브리커 v6 메뉴가 나오게 되니, 원하는 작업을 실행하면 됩니다.
Install 4.01 M33 : 현재 PSP에 커펌 4.01 M33-2를 설치한다.
Install 4.01 OFW : 현재 PSP에 정펌 4.01을 설치한다.
NAND operations : PSP의 낸드 백업을 작성하거나 복구한다. (ms0:/nand-dump.bin 파일)
(이 메뉴를 통해 다른 PSP의 낸드 덤프를 복구에 사용할 경우 벽돌이 되므로 주의하세요.)
Hardware Info : PSP의 기종, 기판 정보 등을 확인한다.
Test M33 : 아래에서 따로 설명함.
Shutdown : PSP를 종료한다.
Reboot Device : PSP를 재부팅한다.
(다른 PSP에서 만든 유니버셜 언브리커 v6 메모리스틱을 커펌/정펌 설치시 사용하려면, 사용하기 전에 메모리스틱의 ms0:/TM/DC6/act.dat 파일을 먼저 삭제해주어야 PSN 이용에 문제가 생기지 않습니다.)

[ Test M33 메뉴에 대하여 ]
기존의 유니버셜 언브리커와는 다르게 이번 v6에서는 복구메뉴에 필요한 파일뿐만 아니라 커펌 자체 구동을 위한 모든 파일을 메모리스틱에 설치하게 됩니다. 그래서 PSP의 낸드 영역과는 상관없이 메모리스틱에서 바로 커펌 4.01 M33-2를 불러올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전 타임머신으로 펌웨어 1.50이나 커펌 3.40 등을 불러오는 것과 동일한 원리.)
유니버셜 언브리커 v6 메뉴를 불러온 뒤 'Test M33' 메뉴를 선택하면 PSP가 자동으로 커펌 4.01 M33-2로 부팅되며, 평소와 동일하게 사용가능합니다. 그리고 메모리스틱에서 불러오는 커펌 4.01 M33-2의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가려면 지그킥배터리를 삽입하기 전에 R트리거를 같이 눌러주면 됩니다. (타임머신 사용자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v6 단축키 + R트리거)
이 기능을 사용하면 커펌 4.01이 아닌 PSP나 정펌이 설치된 PSP에서도 커펌 4.01 M33-2를 임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커펌 3.71 M33을 선호하시는 분들은 평소에는 커펌 3.71을 쓰다가 가끔씩 커펌 4.01 M33으로 가서 놀 수도 있지요. 하지만 이렇게 메모리스틱에서 불러온 커펌 4.01 M33-2 사용 중에 메모리스틱을 빼거나 하면 충돌이 일어나니 등 주의점이 많으니 유의하세요.

[ 기타 사항 ]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이번 유니버셜 언브리커 v6는 기존의 ELF Menu나 NandTool을 통해 불러올 수가 없다고 합니다. 해당 프로그램이 업데이트되거나 해야 해결되겠지요.
하지만 유니버셜 언브리커 v6도 타임머신 IPL을 동일하게 사용하므로 단축키 변경을 통해 낸드 부팅이나 다른 버전의 유니버셜 언브리커, 다른 펌웨어 등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http://popotz.textcube.com/772를 보고 단축키를 담당하는 config.txt 파일을 수정하면 됩니다.
단, 신형 PSP에서 타임머신 IPL(=유니버셜 언브리커 v6 IPL)을 통한 낸드 부팅은 커펌 3.90 M33-2 이상에서만 가능하다는 점을 꼭 명심하세요.

아래 동영상은 커펌 3.90 M33에서 유니버셜 언브리커 v6를 설치한 뒤, 유니버셜 언브리커 v6 부팅, 메모리스틱에서 커펌 4.01 M33 불러오기, 다시 원래 낸드의 커펌 3.90 M33으로 부팅하기 등을 담고 있습니다.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2008/05/28 - [판도라의 배터리] - 타임머신+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설치
2008/02/20 - [판도라의 배터리] - 타임머신 - 단축키 설정법
2008/02/16 - [판도라의 배터리] - 타임머신(TimeMachine) v0.1 - 멀티 IPL

일부 TA-088 기판 판도라 사용 불가

아~ 정말 오랜만에 뵙습니다.
그 동안 너무 바빠서 블로그는 커녕 개인시간 내기도 힘들었네요. 정말 죄송스럽습니다. ㅜㅜ
요즘 휴가철이다 보니 일손이 부족해서 업무량 약 2배, 제일 막내다 보니 온갖 잡일은 다 떠넘겨주시더군요. ㅡㅡ;
그래도 오늘은 즐거운(?) 예비군 5년차 훈련날이었습니다. 그래서 시간이 많이 남네요. ^^;;;
------------------------------------------------------------------------------------------------------------------------------

그 동안 일부 TA-088 기판의 신형 PSP에서 지그킥배터리는 작동하지만 매직메모리스틱(유니버셜 언브리커, 타임머신, ELF Menu, NandTool 등)이 작동하지 않는다는  보고가 계속해서 올라오고 있습니다.
대부분 출시 펌웨어가 4.05인 최근 발매된 PSP에서 발생한다고 하죠.

idstorage 상에서는 배터리의 EEPROM이 0xffffffff일 경우 서비스 모드로 들어가는 코드가 여전히 존재한다고 하니, 지그킥배터리는 여전히 작동하지만, 매직메모리스틱이 작동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Dark_AleX의 홈페이지 관리자인 Alek의 블로그에 이에 대한 내용이 조금 더 자세히 올라왔습니다. [출처가기]
As you might have already seen, there are some mobos (TA-088 ones, slim models) in where the IPL used for Despertar del Cementerio, Pandora and Time Machine therefore, doesn't work.
벌써 알고있듯이, 유니버셜 언브리커나 판도라, 타임머신 등에서 사용하는 IPL이 작동하지 않는 일부의 메인보드(TA-088 기판, 신형 PSP)가 있다.

IPL can be still run from the Memory Stick, but just those that are signed by Sony, and not the ones that contain a different signature; a problem that will probably block the actual way of running your cfw's, as you couldn't even load on this NANDs the custom IPLs with different signature.
아직까지 메모리스틱으로부터 IPL을 불러올 수 있긴 하지만, 손휘에 의해 승인된 IPL만이 작동하고, 다른 구조를 포함한 IPL은 작동하지 않는다. : 다른 구조를 가진 낸드의 커스텀 IPL을 불러올 수 없는 것처럼 이 기판에서 실제로 커펌을 설치해서 구동할 수 있는 방법은 아마도 막혀버린 것 같다.

Even though, IPL is not the problem, but probably the mixed kernel of 1.50&&3.40, and it will be the best option to use a new kernel on Despertar del Cementerio future versions.
그렇다 해도 IPL은 문제가 아니고 아마도 (유니버셜 언브리커에서 사용하는) 혼합된 1.50과 3.40 커널이 문제가 되는 것 같다. 그리고 추후에 나올 유니버셜 언브리커에서는 새로운 커널을 사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 될 것이다.

So, to sum up, new Dc version will not be released till the new Core and interface is finished. Please be patient :)
요약하자면, 유니버셜 언브리커의 새로운 버전은 새로운 코어와 인터페이스가 완료되기 전까지 발표되지 않을 것이다. 참고 기다려라 :)
(번역이 제대로 안되네요. 대충 했습니다. 그냥 저냥 참고 읽어주세요.)

뭐, 정리하자면 최근 발매되는 일부의 신형 PSP(TA-088기판)에서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등이 작동하지 않으므로, 커펌 설치는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새로운 유니버셜 언브리커가 나오면 이 문제가 해결될 것이고 예전처럼 여전히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한 커펌 설치 및 벽돌 복구 등이 가능하다는 소리. 언제 발표될 것인지는 항상 그렇듯이 나와봐야 알겠죠. 참고 기다립시다~

# 혹시 국내에도 이 기판이 풀렸을까요?

# 이와는 별개로 보이지만 요즘 다시 PSP-3000에 대한 루머가 돌고 있더군요. 예전 손휘의 웹사이트에 'PSP-3000'이라는 그림파일이 업로드된 것이 알려지기도 했고, 작년 펌웨어 3.80의 내부에 'pspbtcnf_03g.bin'라는 코드가 발견된 적도 있어 언젠가는 나올 것 같았지요. 하지만 지금 돌고 있는 이미지가 진짜인지 가짜인지는 아직 알 수 없습니다. 손휘의 공식발표를 기다리는 것이 최선인 것 같습니다. (근데 올해 안에 나오기는 너무 빠른 감이 있어서...)

타임머신+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설치


시간이 난김에 하나의 메모리스틱에서 그 동안 발표된 유니버셜 언브리커 v3+v4+v5를 모두 구동할 수 있는 방법과 꽤 유용하게 쓰이는 타임머신 IPL을 메모리스틱에 통합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방법대로 설치한 메모리스틱과 서비스 모드로 변환한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하면...
구형은 모든 PSP, 신형은 커펌 3.90 M33-2 이상에서만 가능한 기능으로,
* 지그킥배터리를 유지한채 평소대로 PSP 부팅 후 모든 기능 사용 가능. (단, 반드시 타임머신 IPL이 설치된 메모리스틱과 함께 사용해야 함.)

구형/신형 상관없이, 커펌/정펌 상관없이, 펌웨어 버전 상관없이 모든 PSP에 동작하는 기능으로,
* PSP가 벽돌이 된 경우 다른 작업없이 곧바로 서비스 모드로 진입해 벽돌 복구 가능.
* 유니버셜 언브리커를 이용해 커펌 및 정펌 3.71 / 3.80 / 3.90을 자유롭게 재설치하거나 변경 가능.
* 낸트툴을 이용하여 lflash 포맷 및 파티션 재설정 가능. 또한 idstorage를 제외한 낸드이미지 복구 가능.
* 기타 여러가지로 용도로 활용...

그럼 설치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따로 거창하게 설치법이라 할 것도 없습니다. 링크된 자료를 받아 메모리스틱에 넣고 PSP에서 2가지 작업만 해주면 되니까요. 아래 과정은 반드시 커펌이 설치된 PSP를 이용해야 합니다. (구형 / 신형 관계없음.)
1. 타임머신 IPL을 설치할 '메모리스틱 프로 듀오'를 커펌된 PSP에 넣고 포맷합니다. XMB의 메모리스틱 초기화로 해도 좋고, PC와 연결한 뒤 포맷해도 됩니다. FAT이든 FAT32든 포맷형식 역시 상관없습니다.

2. 아래 링크된 자료를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5개 폴더와 3개 파일을 모두 메모리스틱 상위에 복사합니다.
(한 가지 실수를... /TM/DC5/registry 폴더에 있는 act.dat 파일은 복사하기 전에 미리 삭제해주세요. ㅜㅜ)

* Download : 타임머신+유니버셜 언브리커v3+v4+v5 통합설치 파일 - 단순한 해외 링크일뿐!!! 캬오~
(암호는 'popopo'이며, 용량이 큰 반면 다운로드 속도가 매우 느려서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외국 서버라 속도가 들쭉날쭉하므로 빠르면 10분, 늦으면 1시간 정도 걸릴 수 있으니 느긋하게 기다리세요.)

3. 복사가 완료되면 PSP에서 타임머신을 실행하고 첫번째 메뉴에서 엑스버튼을 눌러 실행합니다.
(만약 이 과정에서 오류가 난다면 메모리스틱을 mspformat 해주어야 합니다. http://popotz.textcube.com/689에 있는 8번과정까지만 진행하고 메모리스틱을 뺐다가 재삽입한 후 다시 시도해보세요.)

4. 타임머신을 종료하고 이번에는 OSPBT를 실행해 두번째 메뉴에서 엑스버튼을 눌러 배터리를 서비스 모드로 변환합니다. (단, 신형 PSP의 TA-085 v2,TA-088기판에서는 변환이 불가능하므로, 이 경우 다른 PSP를 이용해 배터리를 변환해야만 합니다. 자신의 기판 확인하러 가기)

5. 이제 모든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설치 완료 후에 ms0:/PSP/GAME/ 폴더의 'TIMEMACHINE'과 'ospbt_060' 폴더는 삭제해도 되지만, 그 외의 폴더 및 파일은 삭제하면 안됩니다.

자, 그럼 어떻게 사용하느냐!
서비스 모드를 사용할 일이 없다면 그냥 평소처럼 PSP를 사용하면 됩니다. 타임머신을 설치하고 배터리를 변환했더라도 이전과 동일하게 자료를 새로 넣어도 되고, 홈브류를 넣어서 구동해도 됩니다. 배터리 충전 역시 보통대로 하면 되지요.

그러다 벽돌이 되었거나, 커펌을 변경하고 싶다면 PSP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한 뒤에 L트리거를 누른채로 PSP를 부팅합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낸드툴이 실행되며 백업한 낸드이미지로 복구하거나 유니버셜 언브리커를 실행해 커펌 및 정펌을 재설치할 수 있습니다.

당부드리고 싶은 건 반드시 설치 완료 후 제일 먼저 낸드툴을 실행해서 PSP의 낸드이미지를 백업해 두어야 한다는 겁니다. 그래야 추후 만약의 사태에 대비할 수 있으니 잊지마세요.
더 나아가서 커펌 버전별로 따로 낸드이미지를 백업해두면 나중에 커펌 버전을 변경할 때도 편하겠죠.

그 외 낸드툴은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자세한 건 http://popotz.textcube.com/651 참고하세요.
실제 사용하기 전에 무슨 기능인지는 알아야 실수를 최대한 막을 수 있겠죠.

< 토막 Q&A >
Q양. 유니버셜 언브리커로 커펌 설치 도중 flash0 또는 flash1 포맷에서 멈추고 더 이상 진행이 안됩니다.
A씨. (창피해서 그런거니 PSP의 액정을 깨끗하게 닦아주세요.) lflash 영역의 오류입니다. 이전에 덤프한 낸드이미지를 통해 복구하거나 낸드툴에서 lflash를 리파티션해준 후에 재설치하세요.  http://popotz.textcube.com/651

Q양. 유니버셜 언브리커로 커펌 설치를 완료했는데 부팅하면 물결무늬만 나오고 멈추네요.
A씨.(여름이 다가오니 바다에 가고 싶어서 그렇습니다. PSP를 바다에 풍덩...) PSP의 전원을 차단하고 네모+세모+셀렉트+스타트버튼을 누른채 PSP의 전원을 올립니다. 잠시후 초기화 화면이 나오면 자신에 맞게 설정 후 사용하면 됩니다. http://popotz.textcube.com/854

Q양. 유니버셜 언브리커로 커펌을 설치했는데 부팅시 검은 화면만 나옵니다.
A씨. (밤이라 PSP가 자고 있습니다. 해가 뜨면 다시 해보세요.) 커펌 버전마다 호환되는 플러그인이 다릅니다. 리커버리 모드 진입 후 모든 플러그인을 비활성화한 뒤에 부팅해보세요.

Q양. 낸드툴로 배드블럭 체크했더니 배드블럭이 너무 많이 나와요. ㅜㅜ 어떻게 해요?
A씨. (개과천선 시켜야죠. 사랑의 매가 직빵입니다.) 낸드툴의 리드미에 따르면 어느 정도의 배드블럭은 흔히 생길 수 있으며, 생기더라도 큰 문제는 없다고 합니다. 낸드툴로 lflash 포맷을 해주면 배드블럭을 제외하고 새롭게 재구성해준다고 합니다. 따로 복구하는 방법은 모릅니다. ㅡㅡ;

Q양. 메모리스틱 없이 PSP를 부팅하면 부팅이 안되네요. 왜 그런거죠?
A씨. (배터리랑 메모리스틱이랑 그렇고 그런사이라는 소문이 있습니다. 난 이 결혼 반대일세!) 원래 지그킥배터리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부팅이 안됩니다. 반드시 타임머신 IPL이 설치된 메모리스틱이 PSP에 들어있어야만 지그킥배터리로도 일반 부팅을 할 수 있죠. (신형은 커펌 3.90 M33-2 이상에서만!) 타임머신 IPL을 설치한 메모리스틱을 넣어서 부팅하던지, 배터리는 빼고 AC아답터만 연결한 상태에서 부팅하세요.

Q양. 타임머신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아서 삭제하고, 지그킥배터리를 다시 원래대로 만들고 싶어요.
A씨. (그럼 왜 설치했습니까? 원나잇 스탠드?) 타임머신은 굳이 삭제하지 않아도 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는 보통의 메모리스틱과 동일하니까요. 지그킥배터리를 복구하려면 위에서 실행한 'OSPBT'를 다시 실행하고 두번째 메뉴를 이용해 노멀 모드로 복구하면 됩니다.

Q군. A/S를 받아야 하는데 어떻게 정펌으로 완벽하게 돌아갈 수 있죠?
A님. (새로운 PSP를 구입하면 됩니다.) 손휘 코리아 曰 '커펌이 설치된 PSP는 A/S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그러므로 관련 질문 사절!!!

PS1. 아, 민망해라. ()안의 내용은 무시해주세요.
PS2. Q&A는 계속 업데이트됩니다. maybe...? -

타임머신 설치부터 배터리 변환, 유니버셜 언브리커를 이용한 커펌 설치, 낸드툴을 이용한 낸드이미지 복구 과정 등을 동영상으로 찍었습니다. 열악한 화질이라도 조금은 사용에 참고가 되길 바랍니다.
(10분만에 펌웨어 4번 변경,,, 그런데 찍고나니까 너무 어둡게 나왔네요. 옆에 스탠드라도 켜둘 걸 그랬습니다.)

# 기타 세세한 사용법 등은 이전 유니버셜 언브리커 관련글이나 낸드툴 관련글을 한 번쯤 읽어보면 쉽게 이해가 되므로 생략합니다. 모두 쓰려면 며칠이 걸려도 모자를 것 같네요.
# 제가 여러번 확인하긴 했지만 혹시라도 실행에 문제가 있다면 꼭 알려주세요. 그 외 피드백 환영합니다~~~

# 위 실행과정에서 자신의 잘못으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유니버셜 언브리커 멀티 업데이트


커펌 3.93 발표때문에 자주 가게 된 pspgen.com에 유니버셜 언브리커 v5를 더 다양한 기능으로 업데이트 해주는 프로그램이 있어 소개합니다. [출처가기]
Dark_AleX가 공개한 유니버셜 언브리커가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수정한 멀티 유니버셜 언브리커입니다.

이 업데이트를 설치하면 기존 유니버셜 언브리커 v5의 기능에 추가로 커펌/정펌 3.80 설치, 커펌/정펌 3.93 설치를 비롯한 기타 기능이 새로 추가됩니다. (아쉽게도 커펌/정펌 3.71 설치 기능은 빠져있습니다.)

[ 설치법 ]
1. 매직메모리스틱의 종류에는 낸드툴이나 ELF메뉴를 추가 설치하는 등 여러가지 변종(?)이 존재하므로 모든 경우의 설치법을 다 설명할 수는 없는 일이고, 아래 설치법은 유니버셜 언브리커 v5가 설치된 매직 메모리스틱만을 기본으로 설명합니다. 물론 커펌이 설치된 PSP는 필수입니다.

2. 아래의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PSPGEN' 폴더를 ms0:/PSP/GAME/ 폴더에 복사합니다.


3.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Cementerio Updater'를 실행합니다.

4.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엑스버튼을 눌러서 설치를 시작하고, 설치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XMB로 복귀합니다. 이것으로 유니버셜 언브리커 v5의 업데이트가 완료됩니다. (2번 과정에서 복사한 폴더는 이제 삭제해도 됩니다.)

5. 추가로 커펌/정펌을 실제로 설치할 때 필요한 정식 펌웨어 파일을 메모리스틱에 복사해야합니다.
아래 3개의 펌웨어를 받아 각각 이름을 '380.PBP' '390.PBP' '393.PBP'로 변경한 뒤 메모리스틱 상위에 복사합니다. (유니버셜 언브리커 v5를 정상적으로 설치했다면 390.PBP 파일을 이미 있겠죠. 또 자신이 설치하고자하는 커펌/정펌에 해당하는 정식 펌웨어 파일만 복사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커펌/정펌 3.80 설치를 하지 않겠다면 380.PBP 파일은 복사할 필요가 없습니다.)

     * 펌웨어 3.80 : http://www.psp-hacks.com/file/1377 -> 압축을 풀고 380.PBP로 이름을 변경
     * 펌웨어 3.90 : http://www.psp-hacks.com/file/1406 -> 압축을 풀고 390.PBP로 이름을 변경
     * 펌웨어 3.93 : http://www.psp-hacks.com/file/1435 -> 압축을 풀고 393.PBP로 이름을 변경

[ 사용법 ]
1. 위에서 만든 메모리스틱을 PSP에 삽입하고 따로 준비한 지그킥배터리를 PSP에 삽입합니다.
당연히 ms0:/TM/config.txt 파일에서 설정한 유니버셜 언브리커 v5 구동 단축키를 같이 눌러주어야합니다.
(ms0:/TM/config.txt 설정법은 http://popotz.textcube.com/772 참고하세요.)

2. 잠시 후 PSP 화면에 자동으로 아래와 같은 메뉴가 나타납니다.

3. 각각 버튼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엑스버튼을 누르면 커펌 3.90 M33-3을 설치합니다.
- 동그라미버튼을 누르면 정식 펌웨어 3.90을 설치합니다.
- 세모버튼을 누르면 커펌 3.80 M33-5를 설치합니다.
- 셀렉트버튼을 누르면 정식 펌웨어 3.80을 설치합니다.
- R트리거를 누르면 flash1을 포맷할지 안할지 설정합니다.
(한번식 누를때마다 ON / OFF로 변경되며 기본값은 ON입니다. 사용자 설정을 유지하고 싶을 경우 OFF로 설정.)
- 홈버튼을 누르면 커펌 3.93을 설치합니다.
- L트리거를 누르면 정식 펌웨어 3.93을 설치합니다.
- 네모버튼을 누르면 현재 PSP의 낸드이미지를 덤프합니다.
(ms0:/nand-dump.bin 파일로 저장됨.)
- 스타트버튼을 누르면 ms0:/nand-dump.bin 파일을 이용해 PSP를 복구합니다. (idstorage까지 복구하므로 다른 PSP의 낸드이미지는 절대 사용하면 안되며, 복구과정 중 문제가 생길 경우 완전히 복구 불가능한 벽돌이 되므로, 되도록 낸드툴 등을 따로 설치해 idstorage를 제외한 복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렇게 유니버셜 언브리커 v5의 업데이트가 완료된 후에는 이전과 동일하게 ELF Menu나 낸드툴을 재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낸드툴 정도는 추가 설치하기를 추천합니다. (http://popotz.textcube.com/651)

# 만약 신형 PSP에서 위의 메뉴를 통해 커펌 3.80 M33-5나 정펌 3.80/3.90/3.93을 설치한 경우에는 더 이상 타임머신을 통한 낸드 부팅이 되지 않습니다. 즉, 타임머신IPL이 설치된 위의 메모리스틱을 이용하더라도 지그킥배터리로는 XMB 부팅이 안되므로 다른 일반배터리를 사용하던지 배터리가 하나뿐일 경우 AC아답터를 이용해 XMB 부팅 후 지그킥배터리를 일반배터리로 재변환해야 합니다. (http://popotz.textcube.com/726)

타임머신 - 단축키 설정법

이전 타임머신 발표글에도 단축키 변경에 대해 간단하게 적었지만 꽤 중요한 사항이 있는 것 같아 따로 글을 씁니다. 물론 이전 타임머신 글(http://popotz.textcube.com/767)을 모두 읽고 이해했다는 가정하에 작성합니다.

타임머신 설치 후 PSP 부팅시 단축키에 관련된 내용으로, 타임머신을 설치하면 자동으로 생성되는 config_readme.txt의 번역내용입니다.
이 문서는 config.txt 파일의 사용법을 설명한 것입니다.
이 파일(config_read.txt) 자체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원한다면 삭제해도 됩니다.

config.txt의 제한사항 :
- 이 파일은 1024바이트의 제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이보다 더 큰 용량을 가지면, 오로지 처음 1024바이트 부분만 읽을 수 있습니다.
- 각 라인은 126글자가 넘어가서는 안됩니다.
- " "안의 문자열은 64글자가 넘어가서는 안됩니다.

각각의 라인은 "="로 구분된 2가지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왼쪽 부분은 버튼 또는 "+"로 구분된 버튼조합을 나타냅니다.
버튼조합의 경우 "+"로 구분된 각각의 버튼 사이에 공백이 들어가서는 안됩니다.

예시 )
L -> 정상
L+START -> 정상
L + START -> 비정상

사용할 수 있는 버튼은 아래와 같습니다. :
UP
-> 방향키 위
DOWN -> 방향키 아래
LEFT -> 방향키 왼쪽
RIGHT -> 방향키 오른쪽
TRIANGLE
CIRCLE
SQUARE
CROSS
SELECT
START
LTRIGGER
RTRIGGER
L
-> LTRIGGER와 동일
R -> RTRIGGER와 동일
HOME
WLAN -> 무선랜 스위치가 "ON" 위치에 있는 것을 표시
VOLDOWN -> 볼륨 다운
VOLUP -> 볼륨 업
NOTE -> 음표버튼
LCD -> 밝기버튼
HPREMOTE -> 이어폰 리모트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표시
NOTHING -> 아무런 키도 표시하지 않음. 이것은 "아무 버튼도 누르지 않았을 때"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버튼이 눌려져 있는 상태를 무시한다"는 뜻이다. 이 값은 낸드 부팅이 아닌 다른 기본적으로 실행될 동작을 따로 설정할 경우 유용하다. 이 값은 항상 실행되고 그 아래 라인들은 동작하지 않는 조건을 만들기 때문에, 파일의 마지막 라인에서만 사용되어야 한다.

모든 버튼 이름은 대문자와 소문자를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정확하지 않은 키 이름이 발견되면, 이전의 유효한 부분만 읽게 됩니다. 예를 들면,
TRIANGLE+WTF+CIRCLE 은 TRIANGLE과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오른쪽 부분은 ipl의 경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 경로는 반드시 " "로 둘러싸여있어야 합니다. "ms0" 같은 드라이브명은 사용하지 마세요. 타임머신 ipl에는 드라이브가 따로 없습니다.

단, 낸드 부팅(원래 펌웨어 부팅)을 표시하기 위해 "NAND"라는 경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NOTHING"이라는 키와 함께 사용하면 매우 유용할 겁니다.)

타임머신의 ipl 로더에 의해 실행되는 ipl의 포맷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처음 0x3000 (12288) 바이트는 address 0x040e0000로 로드됩니다.
파일의 나머지 부분은 address 0x040f00000로 로드됩니다.

이 포맷은 이전 판도라의 ipl이나 (판도라와 동일한) 유니버셜 언브리커의 ipl과 호환되지 않습니다.
이 ipl을 변환하기 위해서는 타임머신 인스톨러에 있는 옵션을 사용하면 됩니다.
추후에 나올 유니버셜 언브리커는 "타임머신 포맷"을 사용하게 될겁니다.

"#" 과 ";" 는 코멘트를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문자 뒤에 있는 모든 문자들은 무시됩니다. (안에 " "를 포함하는 경우는 제외.)

고려사항 :
iplloader는 현재 키상태와 맞는 것을 찾을 때까지 각각의 라인을 순서대로 읽게 됩니다.
만약 찾지 못한다면, 낸드 ipl이 부팅될 겁니다. 이 때문에 아래와 같은 라인은 주의해야합니다. :

L+R = "/TM/150/ipl.bin";
L+R+START = "/TM/340OE/ipl.bin";

만약 사용자가 L+R+START를 누르고 있을 경우에도, 첫번째 라인을 읽는 과정에서 L+R이 눌러져 있으므로 현재의 키 상태가 맞다고 확인하게 되고, 원하는 3.40 OE 대신에 1.50 ipl이 로드되게 됩니다.

이런 종류의 충돌을 해결하기 위해, 항상 제한사항을 맨 먼저 염두해야 합니다.
아래와 같이 작성한 라인들은 예상한대로 동작할 것입니다. :

L+R+START = "/TM/340OE/ipl.bin";
L+R = "/TM/150/ipl.bin";

만약 ipl 파일을 찾지 못한다면, 다음 파일을 읽는 과정이 계속 진행됩니다.
또, config.txt 파일을 찾지 못한다면, 낸드 ipl이 부팅됩니다.

파일 작성의 예시들 :

CROSS = "/TM/150/ipl.bin";
CIRCLE = "/TM/150_340/ipl.bin";
TRIANGLE = "/TM/340OE/ipl.bin";
SQUARE = "/TM/360M33/ipl.bin";
UP = "/TM/pandora.bin";


엑스버튼을 누르면 1.50 ipl, 동그라미버튼을 누르면 1.50+3.40hw ipl, 세모버튼을 누르면 3.40 OE ipl, 네모버튼을 누르면 3.60 M33 ipl, 방향키 위쪽버튼을 누르면 판도라 ipl이 로드됩니다. 이 외의 경우에는 항상 낸드 ipl이 로드됩니다.

CROSS = "/TM/150/ipl.bin";
CIRCLE = "/TM/150_340/ipl.bin";
TRIANGLE = "/TM/340OE/ipl.bin";
UP = "/TM/pandora.bin";
DOWN = "NAND";
NOTHING = "/TM/360M33/ipl.bin";
NOTHING은 마지막에 넣어야 한다는 것을 명심!

엑스버튼을 누르면 1.50 ipl, 동그라미버튼을 누르면 1.50+3.40hw ipl, 세모버튼을 누르면 3.40 OE ipl, 방향키 위쪽버튼을 누르면 판도라 ipl, 방향키 아래버튼을 누르면 낸드 ipl이 로드됩니다. 이 외의 경우에는 항상 3.60 M33 ipl이 로드됩니다.

왜인지는 몰라도 이번 문서는 번역하는 게 참 재미있었네요. 어쨌든 위 내용중 기술적인 사항은 몰라도 되고 우리가 알아둘 것은 단축키, 그 중에서도 특히 "NOTHING"에 대한 부분입니다.

기본 설정에서는 아무 버튼도 누르지 않는 경우 항상 낸드 ipl을 로드하게 됩니다. (원래 낸드에 설치된 펌웨어로 부팅) 하지만 이 설정을 변경하고 싶을 경우에 "NOTHING"이라는 값을 사용하면 됩니다. 즉, PSP를 재부팅하거나 지그킥배터리를 다시 삽입했을 때 항상 펌웨어 1.50으로 부팅하고 싶다면, config.txt의 마지막 줄에 "NOTHING = "/TM/150/ipl.bin";"이라는 문장을 넣어주면 된다는 것이죠. 원래 펌웨어로 부팅하고 싶을 경우는 "DOWN = "NAND";"라고 따로 단축키를 지정해주면 됩니다. 단, "NOTHING"은 버튼이 눌려져 있든 아니든 항상 실행되는 값이므로 맨 마지막 줄에 넣어야만 한다는 점만 명심하세요.

그 외에, 부분적으로 중복되는 단축키를 사용하는 경우 오작동을 막기 위해서는 그 작성 라인의 순서까지 염두해 두어야만 합니다. 또한 단축키는 단일 버튼 뿐만 아니라 3개까지의 버튼 조합으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해봤더니 4개 버튼 조합은 안 되는 것 같더군요.)

리커버리 모드가 있는 커펌을 타임머신을 통해 메모리스틱에서 불러올 경우 각 단축키와 R트리거를 같이 누르면 해당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로 바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러니 'RTRIGGER' 또는 'R'은 단축키로 설정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아직까지는 지원하는 펌웨어가 많지 않아 타임머신이 그리 효용성이 없을지도 모르지만, 추후 업데이트를 통해 커펌 3.52 M33이나 3.71 M33, 3.80 M33 등까지도 메모리스틱에서 불러올 수 있도록 추가된다면 타임머신의 진정한 능력이 발휘되겠죠.

그리고 이건 개인적인 바람입니다만, 앞으로 나올 새로운 커펌 역시 타임머신을 이용해 메모리스틱에 설치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그러면 잘못 커펌 업데이트를 해서 다시 돌아오고 싶을 경우에도, 메모리스틱에서 삭제하는 것만으로 쉽게 원래 펌웨어로 복귀할 수 있겠죠.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타임머신! 미리미리 그 단축키 설정법에 대해 알아두어서 나쁠 일은 없겠죠.~

* 관련글 보기 *
2008/02/16 - [판도라의 배터리] - 타임머신(TimeMachine) v0.1 - 멀티 IPL

타임머신(TimeMachine) v0.1 - 멀티 IPL


얼마 전 예고대로 Dark_AleX가 타임머신(timemachine)이라는 획기적인 프로그램을 발표했습니다. [출처가기]

첨부된 리드미의 내용입니다. (내용이 너무 많군요. 귀찮아요. ㅜㅜ)

타임머신 v0.1 리드미 번역 열기


리드미 파일에 아주 자세하게 적혀있기는 하지만 뭐가 뭔지 이해가 안되는 분들도 계실거라 생각됩니다. (저도 이론적인 건 자세히 몰라요.)

간단하게 말하면 이번 타임머신은 기존 Booster의 멀티 IPL 로더 + 데브훅의 확장판격이라 할 수 있습니다.

멀티 IPL 로더가 지그킥배터리를 가지고도 버튼에 의해 원래 펌웨어로 부팅할 것인지 서비스 모드로 진입하여, 판도라 메뉴나 유니버셜 언브리커 메뉴를 불러올 것인지 선택할 수 있었다면, 이번 타임머신은 원래 펌웨어로 부팅할 것인지 다른 펌웨어 자체를 메모리스틱에서 불러올 것인지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물론 기존처럼 유니버셜 언브리커 메뉴를 불러올 수도 있습니다. 단, 모든 것이 서비스 모드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기에 반드시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해야 합니다.

배터리가 하나뿐이더라도 타임머신 IPL 로더를 이용하면 지그킥배터리로도 얼마든지 일반 배터리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습니다. 지그킥배터리로 변환해서 사용하면 만약 벽돌이 되었을 경우에도 복구가 가능하기에 더욱 유용하겠죠.

이제 대충 무슨 프로그램인지 이해가 되었다면 설치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타임머신 v0.1 설치법 열기


아~ 정말 설명만 하는데도 엄청 내용이 길어졌네요. 좀 더 자세한 사항은 위에 번역한 리드미 내용을 반드시 읽어보세요. 주의사항이나 참고사항이 많네요.

신형 PSP도 이제 1.50+3.40hw를 이용해 1.50 커널 홈브류를 실행할 수 있게 되었지만 문제는 커펌 3.90 M33-2 이상에서만 원래 펌웨어로의 부팅을 지원하며, 반드시 360.PSAR 파일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이 파일이 없으면 다른 펌웨어의 설치 자체가 불가능하네요. 하지만 원래 펌웨어로 부팅 + 서비스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점은 장점이 아주 많으므로 위의 14번 설치까지라도 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이번 타임머신의 큰 장점이라면, 정펌이거나 벽돌인 상태에서도 타임머신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해서 서비스 모드를 불러오거나 다른 펌웨어로 부팅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평소에는 정식 펌웨어 상태로 사용하다가, 커펌이나 펌웨어 1.50이 필요할 경우에만 타임머신을 이용해서 부팅할 수 있다는 것이죠. A/S에 대한 걱정이 없겠죠? ^^ (물론 타임머신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는 커펌된 다른 PSP에서 만들어야 합니다.)
단, 신형 PSP의 경우, 정식 펌웨어 상태에서는 타임머신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통한 원래 펌웨어의 부팅이 안되고, 서비스 모드나 메모리스틱 펌웨어의 부팅만 가능하므로, 정식 펌웨어로 부팅하려면 타임머신이 설치되지 않은 메모리스틱과 보통의 배터리가 따로 필요합니다.

그 외에도 사용하기에 따라서 무궁무진하게 활용법이 많으며, 앞으로의 업데이트로 타임머신이 지원하는 펌웨어의 종류가 많아지면 그 활용성은 더욱 커지리라 생각됩니다.

# 설치해가면서 이 글 쓰는데만 3시간쯤 걸렸네요. 빠진 내용이나 부족한 부분이 추후 추가되거나 수정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오타가 많을 것 같은데 알려주시면 바로 수정하겠습니다.

지그킥 변환 프로그램 모음


커펌 설치를 위한 매직 메모리스틱은 커펌된 PSP 없이도 쉽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여러가지 공개되어 별 문제는 없지만, 서비스 모드로 부팅시켜주는 지그킥배터리는 여전히 커펌된 PSP에서만 변환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지그킥배터리 변환 프로그램도 굉장히 많은 종류가 발표되었는데, 그 중 대표적인 몇 개의 프로그램만 소개하겠습니다. 각 프로그램별로 구동 환경이 다르고, 지원하는 배터리에 차이가 있을 수도 있으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지그킥배터리는 되도록 정품 구형 배터리나 정품 신형 배터리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그 외 수 많은 다른 종류의 비품 배터리는 변환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정품 배터리 중에서도 지그킥 변환이 안되는 배터리가 존재한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2007/09/25  - 판도라를 방지한 새로운 배터리? 참고하세요.)

[ 1.50 커널용 C+D팀 판도라 배터리 크리에이터 ]

최초로  발표된 '판도라의 배터리'에 포함되어 있는 변환 프로그램입니다.
1.50 커널용 홈브류 형식으로, 펌웨어 1.50이거나 1.50 커널을 지원하는 커펌이 설치되어 있는 구형 PSP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사용할 일이 많지 않겠죠.
구형 배터리의 지그킥 변환 및 복구, eeprom의 백업 및 복원를 지원합니다. (신형 배터리 변환 여부는 확인불가)



[3.xx 커널용 Hellcat 판도라 인스톨러 Rev.3 ]


신형 배터리(1200mAh)도 변환이 가능하다고 알려진 3.xx 커널용 변환 프로그램입니다.
구형 / 신형 배터리 모두 변환 및 복구가 가능하며, 커펌 3.80과 3.90에서도 지그킥배터리의 변환과 복구가 잘 작동합니다. 또한 eeprom의 백업 및 복원도 지원합니다.

구형 PSP나 신형 PSP에 커펌이 설치되어 있다면 홈브류 형식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모든 커펌 지원 Open Source Pandora Battery Tool 0.6 ] - 추천!!!

아마 가장 자주 업데이트되고 있는 3.xx 커널용 지그킥 변환 전용 프로그램인 것 같습니다.
현재까지 나온 모든 커펌에서 정상 구동 되므로 커펌 3.80 M33 이상에서도 지그킥 배터리의 변환과 복구가 가능하며, 구형 배터리뿐만 아니라 신형 배터리도 잘 변환된다고 합니다. 또한 리커버리 모드에서도 실행 가능하며, 역시 eeprom의 백업과 복원도 지원합니다.

또한 OSPBT는 홈브류 형식뿐만 아니라 ELF 형식으로도 배포가 되고 있습니다. 매직 메모리스틱에 ELF Menu나 NandTool을 추가 설치해 사용하는 분들은 ELF 파일만 추가시켜 서비스 모드에서 구동이 가능합니다.


# 이 외에도 홈브류 형식이 아닌 플러그인 형식으로 나온 변환 프로그램 등 다른 변환 프로그램이 많이 있으니 자신이 쓰기에 편한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됩니다.
# 가끔가다 지그킥배터리 변환 및 복구를 반복하면 배터리가 제대로 인식이 안되거나 문제가 생길 수도 있으니 왠만하면 따로 배터리를 하나 구입해 한 번만 변환해서 보관해두시기를 바랍니다.
# 이전에도 말했지만 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배터리를 분해해서 지그킥 배터리를 만드는 하드웨어적인 개조 방법은 다루지 않습니다.

# 최근에 나오는 신형 PSP 중에서 TA-085 v2 / TA-088 기판은 하드웨어적으로 지그킥변환이 완전히 불가능하니 주의하세요. 신형 PSP 사용자분들은 http://popotz.textcube.com/860에서 기판 종류를 꼭 확인해보세요.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2008/01/23 - [판도라의 배터리] -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 v4
2008/01/22 - [판도라의 배터리] - 커펌 PSP 없이 유니버셜 언브리커 v4 메모리스틱 만들기
2007/12/31 - [판도라의 배터리] - 커펌된 PSP 없이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메모리스틱 만들기
2007/12/28 - [판도라의 배터리] -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 Rev.3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 v4


Pandora ELF Menu의 기능을 이용해서 유니버셜 언브리커 v3와 유니버셜 언브리커 v4를 하나의 메모리스틱에 동시에 설치한 뒤 선택해서 구동할 수 있는 방법이 올라왔습니다. [출처가기]

이렇게 해두면 커펌 3.71 M33이나 커펌 3.80 M33 중 한 가지만 설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커펌 버전을 바로 선택해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죠. 구형 / 신형 PSP에서 모두 사용가능합니다.

이 방법은 유니버셜 언브리커 v3와 유니버셜 언브리커 v4가 몇 개의 파일을 제외하고는 거의 구성이 동일한 점을 이용합니다. 조금 더 자세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 방법은 원리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로 만들 때에는 아랫부분의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편합니다.)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 v4 합치기 (수동)


생각보다는 아주 간단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헥스에디터 사용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그래서 잘 이해가 안되는 분들을 위해 간편히 만들 수 있는 외국 계정 링크를 하나 걸어두겠습니다.

1. 기존의 아무 매직 메모리스틱이나 하나 만듭니다. (mspformat과 msinst 과정 때문입니다.)

2. 그 후 매직 메모리스틱 안의 내용을 모두 삭제하고 아래 첨부파일을 받아 그 안의 4개 폴더를 메모리스틱 최상위로 복사합니다.

* Download : ELF Menu + DC v3 + DC v4 + etc. (암호는 'popopo'입니다.)
(외국계정이므로 임의로 삭제될 수 있습니다.)

3. 펌웨어 3.71 파일펌웨어 3.80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파일명을 371.pbp와 380.pbp로 변경해 역시 메모리스틱 최상위로 복사하면 복잡한 과정없이 설치가 완료됩니다.


4. 이제 이렇게 만든 매직 메모리스틱과 따로 변환해둔 지그킥배터리를 PSP에 삽입하면 위와 같은 ELF Menu가 나오게 됩니다.

5. 커펌 3.71 M33-2를 설치하려면 Universal Unbricker v3을 실행하면 되고, 커펌 3.80 M33-5를 설치하고 싶다면 Universal Unbricker v4를 실행하면 됩니다.

6. 추가로 유용하다 싶은 elf도 몇 개 포함시켜 두었습니다.
* Idstorage Manager : idstorage를 관리하거나 수정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Keycleaner v1-4 : idstorage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거나 덤프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NandTool v0.3b : http://popotz.textcube.com/651 참고
* format flash2 3 only : flash2와 flash3를 포맷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OS Pandora Battery Tool V5 : 지그킥배터리 변환 / 복구 프로그램입니다. (신형 배터리 지원)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2008/01/22 - [판도라의 배터리] - 커펌 PSP 없이 유니버셜 언브리커 v4 메모리스틱 만들기
2008/01/05 - [판도라의 배터리] - Pandora ELF Menu 0.3
2007/12/31 - [판도라의 배터리] - 커펌된 PSP 없이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메모리스틱 만들기
2007/12/26 - [판도라의 배터리] - Tool Box v3 - ELF 모음
2007/12/09 - [판도라의 배터리] - NandTool v0.3 Beta1

커펌 PSP 없이 유니버셜 언브리커 v4 메모리스틱 만들기


펌웨어 버전 상관없이 구형 / 신형 PSP에 커펌 3.80 M33-5를 설치할 수 있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v4 매직 메모리스틱을 좀 더 간편하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커펌된 PSP가 필요없으며, 정펌인 PSP 또는 메모리스틱 리더기만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당연히 실행에 필수인 지그킥배터리는 이전처럼 따로 커펌된 PSP에서 변환해야만 합니다. (정펌 PSP 한 대로는 커펌 설치 불가능)

* Download : 유니버셜 언브리커 v4용 설치파일 (암호는 'popopo'입니다.)
(링크 변경, 외국계정이므로 임의로 삭제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msm' 폴더를 c:\로 복사합니다.

커펌된 PSP 없이 유니버셜 언브리커 v4 메모리스틱 만들기


이제 매직 메모리스틱을 만들었으니 따로 지그킥배터리를 구해서 실제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유니버셜 언브리커 v4 사용법 열기


# 저작권이 걸린 문제라 만드는 방법을 복잡하게 적을 수밖에 없네요. 사실 매직 메모리스틱보다 지그킥배터리를 구하는 것이 힘들거라는 생각은 듭니다만, 그 문제는 제가 어떻게 할 수 없으므로 각자 알아서 하셔야 합니다.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2008/01/22 - [판도라의 배터리] - 유니버셜 언브리커 V4 - 커펌 3.80 M33-5 설치
2008/01/22 - [커스텀펌웨어] - 커펌 3.80 M33-3/4/5 업데이트
2008/01/15 - [커스텀펌웨어] - 커펌 3.80 M33-2 업데이트
2008/01/15 - [커스텀펌웨어] - 커펌 3.80 M33 발표 / 설치법

유니버셜 언브리커 V4 - 커펌 3.80 M33-5 설치


기존 유니버셜 언브리커 v3에 이어 유니버셜 언브리커 v4가 발표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이번 유니버셜 언브리커 v4의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용자가 커스텀 테마(PTF 테마)를 적용하고 있는지 인스톨러가 확인하여 프로그램 구동 시 테마를 먼저 해제하라는 메세지를 보여준다.
- flash2의 PSN DRM 파일(act.dat)이 매직 메모리스틱을 만드는 도중 백업되고, PSP 복구시 복원됨.
- Flash2 영역도 포맷됨.
- 커펌 3.71 M33-2 대신에 커펌 3.80 M33-5가 바로 설치됨.

PTF 테마가 설정된 상태에서 매직메모리스틱을 만들면 커펌 설치가 제대로 안되는 문제점을 해결했고 PS Store에서 구입한 게임을 구동할 수 있게 act.dat 파일의 자동 백업/복구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중요한 것은 구형 / 신형 PSP 상관없이, 펌웨어 버전 상관없이, 벽돌된 PSP에서도 커펌 3.80 M33-5를 바로 설치할 수 있다는 점이겠죠.

유니버셜 언브리커 V4용 매직 메모리스틱 만들기


위 방법은 매직 메모리스틱만을 만드는 방법으로 실행에 반드시 필요한 지그킥배터리는 이전에 많이 나온 프로그램을 통해 커펌된 PSP에서만 만들 수 있습니다. (때문에 정펌인 PSP 한대로는 커펌을 설치할 수 없습니다.)

유니버셜 언브리커 V4 사용법 열기


# act.dat 파일에 대하여...
- PS Store에서 구입한 게임은 flash2 영역에 자신의 PSP에 맞는 act.dat 파일이 있어야만 구동됩니다. 이는 불법 복제를 막기 위한 것으로 act.dat 파일은 각 PSP별 고유값을 가지고 있어 다른 PSP의 act.dat 파일을 넣어도 구동되지 않습니다. 만약 다른 PSP에 유니버셜 언브리커 v4를 이용해 커펌을 설치할 경우 잘못된 act.dat 파일까지 복구되어 PS Store 게임 구입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커펌 설치 전에 ms0:/registry/act.dat 파일을 삭제하거나 커펌 설치후 flash2에 접속해 act.dat 파일을 삭제해 주어야 PS Store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또한 같은 PSP에 사용하더라도 매직 메모리스틱을 만든 후 추가로 PS Store에서 게임을 구입한 경우에는 반드시 유니버셜 언브리커 v4 사용 전에 flash2 영역의 act.dat 파일을 백업해야 합니다. 그래야 커펌 설치 후 복구하여 이미 구매한 PS Store의 게임을 정상적으로 구동할 수 있습니다.

# 유니버셜 언브리커 v4에 기존의 ELF Menu나 낸드툴을 설치하면 먹통이 되는군요. 업데이트 되겠죠, 뭐.    잘 됩니다. ㅡㅡ;

# 위 실행 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2008/01/22 - [커스텀펌웨어] - 커펌 3.80 M33-3/4/5 업데이트
2008/01/15 - [커스텀펌웨어] - 커펌 3.80 M33-2 업데이트
2008/01/15 - [커스텀펌웨어] - 커펌 3.80 M33 발표 / 설치법
2007/12/31 - [판도라의 배터리] - 커펌된 PSP 없이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메모리스틱 만들기

Pandora ELF Menu 0.3

jas0nuk의 Pandora ELF Menu가 0.3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Pandora ELF Menu란 유니버셜 언브리커용 매직 메모리스틱에 추가로 설치해서 기존의 단순한 메뉴가 아닌 다양하고 유용한 홈브류를 서비스모드 상태에서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서비스 모드에서 실행되므로 당연히 벽돌된 PSP에서도 elf를 통한 홈브류의 구동이 가능하며, 기존대로 유니버셜 언브리커 메뉴를 불러오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번 v0.3의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Flash over USB menu가 삽입됨. 추가 설치법을 따라했다면 신형 PSP에서도 안전.
(Flash over USB menu란 서비스 모드 상태에서 메모리스틱이나 flash 영역을 USB로 연결할 수 있는 기능.)
- 텍스트 표시를 깔끔하게 변경.
- 배터리 정보 수정.


(Pandora ELF Menu 0.3과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ELF 메뉴를 몇 개 포함시켜놓았습니다.)

[ 설치법 ]
1. 일반 메모리스틱 프로 듀오를 유니버셜 언브리커 v3용 매직 메모리스틱으로 변환. (http://popotz.textcube.com/689)
(이미 보유하고 있다면 바로 2번으로~)
2. 위의 Pandora ELF Menu 0.3 파일을 받아 나오는 'ELF', 'KD' 2개의 폴더를 매직 메모리스틱에 덮어씀.
3. 펌웨어 1.50 파일을 동그라미버튼으로 덤프해서 나오는 usb.prx, usbstor.prx, usbstormgr.prx, usbstorms.prx 4개 파일을 메모리스틱의 KD 폴더에 덮어씀. (펌웨어 1.50 덤프 파일 구하는 법은 http://popotz.textcube.com/684 참고)
3. 메모리스틱의 KD 폴더에 있는 pspbtcnf.txt 파일과 pspbtcnf_game.txt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kd/power.prx'와 '/kd/mscm.prx' 문장 사이에 '/kd/usb.prx'라는 문장을 새로 입력하고 저장.
4. 설치 끝.
(참고사항 : 만약 위 설치법이 어려운 분들은 http://popotz.textcube.com/676에 있는 ELF Menu 0.2를 사용하세요. 단, 메모리스틱/flash영역의 USB 연결 기능은 기본지원하지 않습니다.)

[ 사용법 ]
기존대로 위에서 만든 매직 메모리스틱을 PSP에 삽입하고 지그킥배터리를 끼우면 Pandora ELF Menu 0.3이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위에 첨부한 추가 ELF 프로그램은 각각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 Battery Creator : 지그킥 배터리 변환 / 복구 / EEPROM 백업 및 복구 등
- Idstorage Manager : 현재 PSP의 idstorage 키를 수정하거나  idstorage 키의 덤프 / 편집
- keycleaner V1-4 :  현재 PSP의 idstorage 키를 분석하여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거나 덤프
- Universal unbricker v3 : 기존의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메뉴 실행 (참고 : http://popotz.textcube.com/559)
- Hellcat Pandora Installer V3 : 구형 전용의 오리지날 매직 메모리스틱 생성 또는 지그킥배터리 변환/복구 (참고 : http://popotz.textcube.com/538)
- NandTool v0.3b : cory1492의 NandTool v0.3b 실행 (참고 : http://popotz.textcube.com/651)


또한 Flash over USB menu를 위한 추가 설치를 했다면 USB 메뉴를 엑스버튼으로 선택해서 위처럼 메모리스틱과 flash0-3까지의 영역을 USB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단, 정펌 3.80인 PSP에서는 작동되지 않습니다. 정펌 3.80의 flash 영역을 연결하려면 reame.txt 파일을 참고하세요.)

[ ELF 추가하기 ]
실행하고자 하는 홈브류에서 elf 파일을 추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PSP Brew나 PSPContentManager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해당 홈브류의 EBOOT.PBP 파일로부터 DATA.PSP 파일을 추출합니다. 이제 추출한 DATA.PSP 파일의 이름을 ***.elf로 변경한 뒤 ms0:/ELF/ 폴더에 복사하면 됩니다. 모든 홈브류의 실행이 가능한 것은 아니며, 실행 불가능한 홈브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 NandTool v0.3b에도 Load ELF 메뉴가 있으므로 부가적인 기능면에서는 ELF Menu보다 NandTool이 더 편할지도 모릅니다. 취향대로 선택하세요.
# 아는 사람만 아는 프로그램이라 자세한 설명은 피하고 그냥 간단하게만 적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2007/12/31 - [판도라의 배터리] - 커펌된 PSP 없이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메모리스틱 만들기
2007/12/28 - [판도라의 배터리] -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 Rev.3
2007/12/26 - [판도라의 배터리] - Tool Box v3 - ELF 모음
2007/12/09 - [판도라의 배터리] - NandTool v0.3 Beta1

커펌된 PSP 없이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메모리스틱 만들기


이전에 커펌된 PSP 없이 매직메모리스틱 만들기(http://popotz.textcube.com/553)에서 TOTALNewbi easyInstaller를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유니버셜 언브리커 v2만 만들 수 있기때문에 여러가지 불편한 점이 많았습니다. (오리지날 판도라의 배터리용 매직 메모리스틱은 여전히 TOTALNewbi easyInstaller를 이용해 만들면 됩니다.)

그래서 외국 자료를 바탕으로 좀 더 추가해서 커펌된 PSP 없이 유니버셜 언브리커 v3용 매직 메모리스틱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유니버셜 언브리커 v3는 구형/신형 상관없이, 펌웨어 버전에 상관없이 현존하는 모든 PSP의 벽돌 복구 및 커펌 / 정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출처가기]

커펌된 PSP가 없더라도 정펌인 PSP 또는 메모리스틱 리더기만으로 매직 메모리스틱을 만드는 방법으로, 당연히 실행에 필수인 지그킥배터리는 이전처럼 따로 커펌된 PSP에서 변환해야만 합니다. (정펌 PSP 한 대로는 커펌 설치 불가능)

* Download : 유니버셜 언브리커 v3용 설치파일 (암호는 'popopo'입니다.)
(링크 변경, 외국계정이므로 임의로 삭제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msm' 폴더를 c:\로 복사합니다.

커펌된 PSP 없이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메모리스틱 만들기


이제 매직 메모리스틱을 만들었으니 따로 지그킥배터리를 구해서 실제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사용법 열기


# 위 방법을 통해 만든 메모리스틱으로 커펌을 설치한 경우 커펌 3.71 M33-4 업데이트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XMB에서 바로 커펌 3.71 M33-4로 업데이트하세요.
# 저작권이 걸린 문제라 만드는 방법을 복잡하게 적을 수밖에 없네요. 사실 매직 메모리스틱보다 지그킥배터리를 구하는 것이 힘들거라는 생각은 듭니다만, 그 문제는 제가 어떻게 할 수 없으므로 각자 알아서 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