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얄쉘 3.6 - 자주 묻는 질문


아얄쉘 v3.6 배포시 포함되어 있는 FAQ.PDF의 번역 내용입니다.

양이 너무 많아서 대충 몇 개만 읽고 말았는데, 다시 한 번 살펴보니 도움되는 유용한 내용이 많더군요.
그래서 부족한 영어 실력이나마 간단하고 허접하게 번역해 보았습니다.
아얄쉘에 관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일단 아래 내용에서 찾아보시면 될 듯 싶습니다.

모든 내용을 다 번역하려면 시간이 엄청 오래 걸릴 것 같아서 몇몇 항목은 생략하거나 간단하게만 언급하겠습니다. 언제나처럼 오타/오역이 많으니 양해해 주시고 의역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립니다.

아얄쉘 3.6 - 자주 묻는 질문 열기


# 질문하기 전에 위의 내용을 한 번씩 살펴보는 센스가 필요할 때입니다.
# 아래로 갈수록 생략한 부분이 많군요. 이 글 쓴 사람도 힘들었겠지만 번역하는 저도 힘드네요. ㅜㅜ

아얄쉘 3.6 - 비디오 UMD 구동 / Launch XMB


이번에는 아얄쉘에서 비디오 UMD를 구동하는 방법과 "Launch XMB"를 이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위의 2가지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펌웨어 1.50의 덤프 파일이 필요합니다.
아래의 방법대로 우선 덤프 파일을 설치해 주세요.

펌웨어 1.50 덤프 파일 설치법 열기


그럼 실제로 비디오 UMD 파일을 구동해보겠습니다.

비디오 UMD ISO 파일 구동법 열기


다음은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MP4 파일을 USB / 무선 연결을 이용해 메모리스틱으로 옮기지 않고도 XMB의 기본재생기로 재생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하드디스크의 MP4 파일 재생법 열기


# 어제 오늘 아얄쉘 관련 글만 써대니 엄청나게 지겹군요. 이것으로 대충 마무리하고 끝내야 겠습니다. USB Host / Net Host를 이용해 PC의 키보드나 조이스틱으로 PSP를 조작하는 방법은 나중에 추가하겠습니다.
# 어느샌가 아얄쉘 관련 글들을 삭제할지도 몰라요.

아얄쉘 3.6 - USBHost / NetHost



이제 PSP에서 PC의 하드디스크에 접속 가능하도록 해주는 USB Host와 Net Host의 설치법과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USB Host와 Net Host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얄쉘의 설정 메뉴의 Non Media Access 항목이 기본값인 Enable로 설정되어 있어야 하므로 실행하기 전에 확인해 주세요.
(1.50용 아얄쉘과 3.52용 아얄쉘을 각각 따로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아얄쉘 v3.6 USB Host 연결법 열기


아얄쉘 v3.6 Net Host 연결법 열기


# USB/Net Host와 USB/NET Host Redirection의 차이점
아얄쉘의 HOST연결에는 2가지가 있는데 보통의 Host 연결과 Host Redirection 연결입니다. 보통의 Host 연결은 USB 또는 무선을 통해 연결된 PC의 하드디스크를 외부장치로 인식하는 반면 Host Redirection은 하드디스크를 또 하나의 메모리스틱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그런데 몇몇 홈브류에서는 실행파일이 메모리스틱에 있어야만 실행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보통의 Host 연결로는 하드디스크의 홈브류를 실행하지 못하고 Host Redirection 연결을 통해서만 실행 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얄쉘 3.6 - 비디오 UMD 구동 / Launch XMB



이번에는 아얄쉘에서 비디오 UMD를 구동하는 방법과 "Launch XMB"를 이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위의 2가지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펌웨어 1.50의 덤프 파일이 필요합니다.
아래의 방법대로 우선 덤프 파일을 설치해 주세요.

펌웨어 1.50 덤프 파일 설치법 열기


그럼 실제로 비디오 UMD 파일을 구동해보겠습니다.

비디오 UMD ISO 파일 구동법 열기


다음은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MP4 파일을 USB / 무선 연결을 이용해 메모리스틱으로 옮기지 않고도 XMB의 기본재생기로 재생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하드디스크의 MP4 파일 재생법 열기


# 어제 오늘 아얄쉘 관련 글만 써대니 엄청나게 지겹군요. 이것으로 대충 마무리하고 끝내야 겠습니다. USB Host / Net Host를 이용해 PC의 키보드나 조이스틱으로 PSP를 조작하는 방법은 나중에 추가하겠습니다.
# 어느샌가 아얄쉘 관련 글들을 삭제할지도 몰라요.

아얄쉘 3.6 - USBHost / NetHost


이제 PSP에서 PC의 하드디스크에 접속 가능하도록 해주는 USB Host와 Net Host의 설치법과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USB Host와 Net Host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얄쉘의 설정 메뉴의 Non Media Access 항목이 기본값인 Enable로 설정되어 있어야 하므로 실행하기 전에 확인해 주세요.
(1.50용 아얄쉘과 3.52용 아얄쉘을 각각 따로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아얄쉘 v3.6 USB Host 연결법 열기


아얄쉘 v3.6 Net Host 연결법 열기


# USB/Net Host와 USB/NET Host Redirection의 차이점
아얄쉘의 HOST연결에는 2가지가 있는데 보통의 Host 연결과 Host Redirection 연결입니다. 보통의 Host 연결은 USB 또는 무선을 통해 연결된 PC의 하드디스크를 외부장치로 인식하는 반면 Host Redirection은 하드디스크를 또 하나의 메모리스틱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그런데 몇몇 홈브류에서는 실행파일이 메모리스틱에 있어야만 실행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보통의 Host 연결로는 하드디스크의 홈브류를 실행하지 못하고 Host Redirection 연결을 통해서만 실행 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얄쉘 3.6 - 설정메뉴 / 플러그인


이제 3부입니다. 3부에서는 아얄쉘의 설정 메뉴에 관한 설명과 아얄쉘 플러그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역시 이전 아얄쉘 v3.1 가이드에 추가/수정하여 작성한 것이며 커펌 3.52 M33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아얄쉘 v3.6 설정메뉴 설명 열기


간단히만 적어서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하지만 하나하나 자세히 설명하다 보면 양이 너무 많아서 이정도로 마무리합니다.
다음은 아얄쉘의 기능을 더욱 확장시켜 주는 플러그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얄쉘 v3.6 플러그인 설명 열기


# 3부를 끝으로 아얄쉘의 기본 기능이나 사용법에 대한 것은 완료되었습니다. 사실 읽기 상당히 귀찮으므로 직접 사용하면서 알아가시는 것이 더 좋을 듯 싶습니다. 지금까지는 몰라도 되는 부분이었고 앞으로 USBhostFS와 NethostFS 연결 방법과 키보드/조이스틱 제어 기능 등의 활용법과 아얄쉘을 이용한 응용법에 대한 글을 올리겠습니다. 이 부분은 조금 시간이 걸릴 듯 싶네요. ^^ 오늘은 여기까지~

아얄쉘 3.6 - 기본기능 / 단축키


1부 설치벙법에 이어서 아얄쉘의 기본적인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존 아얄쉘 v3.1 가이드를 기본으로 해서 이번 아얄쉘 v3.6에서 변경된 사항만 수정하여 작성한 것으로서, 스크린샷 재탕도 많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다시 찍기 귀찮아요. ㅜㅜ)
이전 아얄쉘 v3.6 가이드 1부를 읽으셨다는 가정하에 설명하며, 커펌 3.52 M33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아얄쉘 v3.6 기본 기능 열기


위에서도 잠깐 언급한대로 아얄쉘이 기본으로 지원하는 파일들은 선택해서 실행하기만 하면 바로 구동 가능합니다. 또한 L트리거 + 셀렉트버튼으로 실행된 프로그램과 아얄쉘간의 자유로운 전환도 가능합니다.
그중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홈브류나 ISO/CSO 파일 등의 실행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얄쉘 v3.6 주요 파일 실행법 열기


아얄쉘은 이처럼 상당히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어 복잡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얄쉘의 거의 모든 기능은 단축키를 지원하기 때문에 익숙해지면 상당히 편리하고 빠른 사용이 가능하게 됩니다.
이제부터는 몰라도 되지만, 알면 유용하게 쓰이는 몇몇 단축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얄쉘 v3.6 단축키 사용법 열기


# 사실 제 글솜씨가 부족하고 메뉴가 너무 많아서 어렵다고 생각될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글로만 보니까 어려워 보일 뿐이고 막상 직접 사용해보면 직관적인 메뉴와 편리한 단축키 지원으로 상당히 쉽고 간단하다고 느껴지실 겁니다. 익숙해지기만 하면 왜 아얄쉘을 최고의 홈브류라고 하는지 알 수 있을테니 이것저것 해보면서 아얄쉘의 매력에 빠져보아요~
# 2부는 이것으로 마무리하고 3부에서는 아얄쉘 설정 메뉴와 아얄쉘 플러그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얄쉘 3.6 - 설치방법


아는 것도 없는 제가 주제넘게 가이드라는 제목을 붙여도 될런지는 잘 모르겠지만, 어쨋거나 시작하겠습니다.

설치에 들어가기 앞서 아얄쉘을 사용하려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개념부터 설명하겠습니다.
아얄쉘은 커펌을 지원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실행파일이 2개로 나누어지게 되었습니다.
커펌이 펌웨어 1.50과 최신 펌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것 처럼 아얄쉘 역시 1.50커널을 사용하는 실행파일과 이번 v3.6에서 3.52커널까지 지원하는 실행파일로 나누어지게 된 것이죠. 이 2개의 실행파일은 각각 동작하는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기본적인 기능은 동일하지만 세부적인 기능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1.50커널을 사용하는 아얄쉘은 1.50커널에서 동작하므로 각종 홈브류들을 실행할 수 있고, 3.52커널을 사용하는 아얄쉘은 홈브류는 실행할 수 없지만 데모게임이나 ISO/CSO, PS1 게임 등을 구동할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 1.50용 아얄쉘3.52용 아얄쉘로 구분해서 설명할 예정이니 혼동하지 않도록 해주세요.

이 설치법은 커펌 3.52 M33을 기준으로 작성된 것이며, 다른 커펌상에서의 동작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제작자가 밝힌 아얄쉘 설치 가능 펌웨어는 커펌 3.51 M33 / 커펌 3.51 M33-2 / 커펌 3.52 M33입니다. 또한 커펌 OE 시리즈(커펌 3.30 OE는 제외)도 부분적으로 사용가능하지만, 커펌 3.51 M33-3 부터 M33-7 까지의 커펌은 지원하지 않는다고 하니 설치하지 마세요.)

아얄쉘 v3.6 설치법 열기


# 계속 만져보고 있는데 추가 기능 이외에는 이전 버전과 크게 다른 점은 없네요. 2부에서는 아얄쉘 설정 방법과 기본적인 사용법에 대해서 작성하겠습니다. (이전꺼 가져다 쓰면 되는지라 금방 끝날듯 싶네요. ^^)

[경축] iR Shell v3.6 발표


어제는 친구들과 어울려 새벽까지 술 퍼먹으면서 놀다가 지금에서야 집에 들어왔습니다. 그런데 술기운에 컴터 켜서 돌아다니다보니 이런 희소식이 나와있네요.  LOL (따끈따끈한 소식입니다. ^^)

이번에 새롭게 발표된 아얄쉘은 3.6버전입니다. [출처가기]

[ 지난 공식 버전에서 달라진 부분 ]
* M33팀의 새로운 커스텀 펌웨어를 지원. (참고사항1.) 만약 커펌 M33으로 업데이트하기를 원하지 않는다면 예전 커펌 OE에서도 새로운 버전을 사용할 수 있음.
* 아얄쉘 내에서 PS1게임의 구동과 멀티태스킹 가능. (USBhostFS나 NetHostFS를 통해서도 가능.) (참고사항2.)
* ISO 플러그인이 1.50용 아얄쉘과 3.5X용 아얄쉘에 통합. (USBhostFS나 NetHostFS를 통해서도 가능.)
* UMD 비디오 ISO를 지원. (USBhostFS나 NetHostFS를 통해서도 가능.)
* 새로운 단축키를 통해 1.50용 아얄쉘과 3.5X용 아얄쉘간의 직접적인 전환이 가능.
* 게임이나 홈브류를 빠르게 종료하고 아얄쉘로 복귀하기 위해서 시스템 전체에  "Quick Exit" 기능 추가.
* 아얄쉘 자동실행을 위한 플러그인 향상.
* CBZ, CBR 파일을 위해 PSPComic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만화책 리더 플러그인이 추가.
* 반짝이고 깜빡거리는 메뉴 선택 커서가 가능하도록 추가.
* 커펌 3.XX에서 PC의 nethostfs 연결을 통한 애드훅이 지원. (추가적인 펌웨어 파일 필요.)
* 설정 메뉴에서 스크린샷 캡쳐를 위한 노트버튼의 사용 유무를 설정할 수 있는 항목 추가.
* 다른 버그 수정 및 작은 향상.

[ 참고사항 ]
1. 커펌 3.51 M33 오리지날 버전, 커펌 3.51 M33-2 (무선랜 버그를 수정한 두번째 버전) 그리고 커펌 3.52 M33을 지원한다. 커펌 3.51 M33-3부터 M33-7까지는 3.52 M33이 되서야 수정된 sceKernelLoadExecVSH 버그로 인해 지원되지 않는다.
2. USBhostFS나 NetHostFS를 통한 PS1게임의 구동은 모든 커펌 OE 시리즈와 커펌 3.51 M33, 커펌 3.51 M33-2 (두번째 버전)까지만 가능하다. 최신인 커펌 3.52 M33에서는 USBhostFS나 NetHostFS를 통해서 직접 변환한 PS1게임을 구동할 때는 문제가 생기지만, PSN을 통해 구입한 정식 PS1게임은 제대로 구동된다. M33팀이 현재 이 문제를 연구중이다.

# Special thanks는 생략...
(지금 제정신이 아니라 잘못 번역한 부분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해를.. ㅡㅡ;)

* Download : iR Shell v3.6

* 아얄쉘의 USBhostFS나 NetHostFS 연결을 위해 필요한 기타자료
USBhostFS for Linux
USBhostFS (Windows) with XBOX gamepad support for key redirection
USBhostFS (Windows) with generic gamepad and joystick support
NetHostFS for Linux
NetHostFS (Windows) with XBOX gamepad support for key redirection
NetHostFS (Windows) with generic gamepad and joystick support

# 자세한 사항은 술 깨고 해장까지 하고 나서 올리겠습니다. 그런데 예전 iR Shell v3.1 가이드로 때울까, 아니면 v3.6 가이드를 새로 작성할까 고민중입니다. 어떻게 할까요??

[추가] 아얄쉘 새로운 버전 공개 예정


Ahman의 최강의 홈브류인 iR Shell의 새로운 버전이 곧 공개 예정이라는 글이 올라왔습니다. [출처가기]

현재 새로운 아얄쉘의 베타테스터인 맥스콘솔 F34R의 원문글입니다.
For all those who've waited, and wanted, Ahman has decided to make your dreams come true ! He announced to all us beta testers that he will be readying a new public release of his awesome homebrew iR Shell.
기다리고 원하는 모든 사람들을 위해 Ahman이 너의 꿈을 실현시켜주기로 결정했다! 그는 우리 베타테스터들에게 그가 곧 그의 놀라운 홈브류인 iR Shell의 새로운 공식 발표를 준비할 것이라고 알렸다.

It will have all the features that we've been using for a while now. It should come shortly after the next M33 firmware update.
새로운 iR Shell에는 우리가 그동안 사용했던 모든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다음 커펌 M33 업데이트 이후에 곧 발표될 것이다.

Are you ready ?
준비됐나요~~~?

예전에 아얄쉘 v3.41se라는 새로운 버전이 준비중(http://popotz.textcube.com/279)이라는 글을 올린 적이 있었는데, 그것이 루머가 아니라 사실인 것 같습니다.로 밝혀졌습니다. 또한 그 비디오 영상도 예전 베타 버전의 실제 구동 테스트였다고 합니다.

[ 추가사항 ]

역시 새로운 아얄쉘의 베타테스터인 StoneCut에 의해 이번 아얄쉘의 자세한 추가기능들이 알려졌습니다.
* M33팀의 최신 커펌을 지원. 만약 커펌 M33을 설치하고 싶지 않다면 커펌 OE 시리즈에서도 사용 가능.
* 아얄쉘 내에서 PS1 게임 구동 및 아얄쉘과의 전환 가능. (USBhostFS / NetHostFS 동작)
* ISO 구동 플러그인이 1.5용 아얄쉘과 3.5X용 아얄쉘에 통합. (USBhostFS / NetHostFS 동작)
* UMD 비디오 ISO 파일 지원. (추가적인 펌웨어 1.50의 파일 필요)
* 새로운 단축키를 사용해 1.5용 아얄쉘과 3.5X용 아얄쉘간의 전환 가능.
* 게임, 홈브류 등을 빠르게 종료하고 아얄쉘로 복귀하기 위한 "Quick Exit" 기능 추가.
* 오토부트 플러그인 향상.
* CBZ, CBR 등의 파일을 위해 PSPComic에 기반을 둔 새로운 만화책 리더 플러그인 추가.
* 반짝이고 깜빡이는 메뉴 선택 커서 기능 추가.
* 3.51용 아얄쉘내에서 애드훅을 위한 PC의 nethostfs 연결 지원. (?) (추가적인 펌웨어 파일 필요)
* 스크란샷을 찍기위한 음표버튼 단축키의 사용 유무 설정 지원.
* 이 외 버그 수정 및 작은 부분 향상.

현재는 최종 테스트 및 설치 패키지를 준비중이라고 합니다. 곧 발표한다는 것 외에 정확히 언제 발표될지는 모르겠다고 하네요.

# 이거이거 커펌 러쉬에 이어 아얄쉘까지 새로 발표된다면 PSP 사용자에게는 이래저래 행복한 일이겠군요.

3.40 OE-A 지원 iR Shell 개발중!?


아! 정말 희소식입니다.
커펌 3.40 OE-A 에서 구동 가능한 iR Shell(이하 아얄쉘)의 실행 동영상이 올라왔습니다. [출처가기]

위 동영상을 참고해서 이전의 아얄쉘 3.1에서 변경된 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아얄쉘의 버전이 3.41SE로 변경
* 3.40 커널 지원 (USB/Net host 호환)
* 아얄쉘 내에서 ISO/CSO와 PS1 게임 구동 지원 (당연히 게임과 아얄쉘과의 전환도 가능)
* XMB로 나가지 않고도 아얄쉘 내에서 3.40 커널과 1.50 커널 전환 가능
* 비디오 UMD 자체 구동 지원 (ISO/CSO가 아닌 다른 확장자를 사용하는 듯)
하나 하나가 너무너무 끌리는 기능입니다.

동영상이 올라온 맥스포럼에서도 '아얄쉘의 개발자인 Ahman이 베타테스트 중이고 곧 발표할 것이다', '위 동영상은 편집에 의해 만들어진 가짜일 것이다' 등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동영상이 가짜같지는 않고 동영상처럼 거의 완벽하게 동작할 정도로 개발되어 있다면 곧 발표될 것이라는게 제 의견이자 소망입니다.
(아얄쉘 홈페이지에 아무런 언급이 없다는 것이 조금 걸리는군요.)

# 기다리는 즐거움이 하나 더 늘어났습니다. ^^ 하지만 만약 가짜로 밝혀진다면...... 저주해줄테다~~

iR Shell 가이드 6부 - NetHost 설정


오랜만에 쓰는 아얄쉘 가이드군요.
이번엔 NetHost와 NetHost Redirection을 사용하기 위한 설정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etHost는 USBHost에서 쓰는 USB연결선 대신 무선으로 연결된다는 점만 차이가 있고 기능은 거의 동일합니다. 그러므로 아래내용부터는 이전에 USBHost 연결을 해보았거나
USBHost관련글(http://popotz.textcube.com/125)을 읽어보았다는 가정하에 작성합니다.

아얄쉘 3.1 - NETHost 설정법 열기


# 무선 연결에 관한 것은 정말 아무것도 모르는터라 자세한 설명보다는 단순한 연결법만 나열했습니다.
# 어제 하루종일 컴터랑 씨름했더니 피곤해요~ 하드도 다 날리구... ㅠㅠ 그래도 오늘은 수업 없는 날이라 잠만 퍼질러 잘겁니다.

iR Shell 가이드 4부 - 플러그인



어느덧 4부에 접어든 아얄쉘 가이드입니다.
이번에는 아얄쉘의 플러그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바라던 아얄쉘에서 ISO/CSO를 구동하는 방법이죠.

아얄쉘 3.1 플러그인 설명 열기

# 점점 날림으로 치닫는 아얄쉘 가이드입니다. ㅡㅡ; 다음은 USB/Net Host 관련 설명입니다.
# 충분한 테스트를 못해본지라 혹시라도 위 글에서 잘못된 정보가 있으면 꼭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그나저나 오늘 방문객이 왜 이리 많아진걸까요?? 불안합니다.

iR Shell 가이드 3부 - 기본기능


3부에 와서야 본격적인 사용법에 들어가는군요.
이번에는 아얄쉘의 가장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 그전에 아얄쉘의 단축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죠.

아얄쉘 3.1 단축키 열기


이제 진짜로 사용법에 들어갑니다. ㅡㅡ;;

아얄쉘 3.1 기본기능 열기


지겨우시죠?? 이제야 대충 틀이 잡히는 것 같네요.
위의 설명들은 직접 한 번씩만 실행해 보시면 더 쉽게 이해가 되리라 믿습니다.
이제 재미없는 설명은 그만 끝내고 다음부터는 고급기능과 활용법에 대해서 다루겠습니다.

iR Shell 가이드 2부 - 설정


이제 2부입니다. 이번에는 아얄쉘을 사용하기에 앞서 아얄쉘의 여러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격적인 사용법은 언제쯤 가능할지... ㅡㅡ;)

아얄쉘 3.1 설정법 열기


양이 너무 많아 간단히 설명하느라 부족한 부분이 보이는군요.
지금은 이해가 안가더라도 나중에 아얄쉘에 대해 더 많이 알게되면 자연스럽게 알게 되겠지요. ^^
그래도 위 설정에 관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을 달아주세요.

iR Shell 가이드 1부 - 설치



제가 좋아라 하는 iR Shell 3.1에 대한 글을 시작할까 합니다.
사실 양이 너무 많은지라 건드리고 싶지 않았지만 차근차근 해나갈 생각입니다.
(이번 달 내로 끝내고 싶긴 한데 언제 끝날지, 몇 개의 글로 나누어질지 아무도 모릅니다. ㅡㅡ; )

이번 1부에서는 설치에 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아얄쉘 3.1 설치법 열기

설치가 끝났으니 이제 다음부터 본격적인 사용법에 들어가겠습니다.
최대한 쉽게 쓰려고 노력하고 있으니 지루하더라도 응원해 주세요. ^^/

[fixed] PSP CFW 5.00 M33-6 용 프로메테우스3-4 스위칭 플러그인! (몬헌3 구동)


 


이제 5.00 M33-6 에서도 프로메테우스 3 OR 프로메테우스 4 (6.36) 상에서

구동 가능한 게임들을 구동할 수 있습니다. 정말 안정적이라고 알려진 

5.00 M33-6 CFW 버젼에 플러그인 형식으로 사용하는 것이라 위험성도 없지요. 

완전 강력 추천 합니다!


자세한 설명 곁들입니다.

PS. 확인한 기판은 PSP-1000, 2000 초기 버젼입니다.
5.00 외에도 5.03, 5.50 에서도 플러그인 사용 구동 가능하다 합니다만
전천후 안정 버전이자, 주인장이 구동 확인한 5.00 M33-6 버젼 추천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방법-


0. 가장 중요합니다^_^; CFW 버젼을 5.00 M33-6 으로 만드세요.
   이미 프로메테우스3 나 4이신 분들은 리커버리 플래셔를 이용하세요. 
   펌웨어는 정식 PSP 5.00 버전을 받으시면 됩니다.
[리커버리플래셔 : RECOVERY.zip / 5.00 정식펌 http://www.psp-hacks.com/file/1568]

  ☆ 리커버리는 PSP\GAME\ 폴더에 넣으시면 되겠고,
      정식펌 파일은 500.PBP 로 PSP 루트에 넣으시면 됩니다. ☆

1. 그 뒤 하단 압축 파일 속의 seplugins 폴더를 통째로 루트폴더에 넣으세요.(PSP 인식하면 나오는 폴더)
[프로메테우스 V3-V4 스위칭 플러그인 파일(수정) : (fix)Prometheus-v3-v4-swith-Plugin.zip]

2. 다음으로 확인하실 것은 PSP 켜실 때 R 버튼을 꾸욱 눌른 상태로 켜서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 후

3. Configuraton 에서 x 버튼 ->

4. umd Node 를 M33 driver 로 x 버튼 눌러서 바꿔줌

4. Use version.txt 에서 x 버튼 눌러 enabled 로 바꿔줌

5. Back 에서 X 버튼

6. Plugins 에서 X 버튼

7. 전부 X 버튼 눌러서 Disabled 로 바꿔준 뒤 pergame.prx 만 X버튼을 눌러 Enabled 로 바꿔줌.

8. Back 에서 X 버튼 Exit 에서 X 버튼


9. 마지막으로 PSP\ISO 폴더에 들어가서 몬헌 3 파일명을 MH3rd.iso 로 변경해 주세요.

★ 만약 몬헌 파일명을 다른 것으로 바꾸고 싶으시다면
    Seplugins 폴더의 Pergame 폴더 -> Pergame.txt를
    메모장으로 여신 후 맨 아랫줄 !ms0:/seplugins/prm/stargate.prx ms0:/ISO/MH3rd.iso 에서
    MH3rd.iso 를 다른 파일명으로 변경해 주시면 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실행해 보시면 몬헌3 를 비롯한 프로메테우스 3-4 상에서 돌아가던 게임들이 다 돌아갈 겁니다.

ISO 파일에 대한 문의는 받지 않으며 구동방법에 대한 문의는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CPS1에뮬 : 비공식 CPS1PSP 2.5D

지난 여름 한 개발자가 PSP의 화면을 적청 방식의 3D 입체화면으로 변환해주는 플러그인을 개발중이라는 소식을 전해드렸습니다. 그 후 다른 개발자가 Cube3D라는 이름으로 테크데모 홈브류를 발표하기도 했지만 결국 지금까지 감감 무소식이네요. (관련글 보러가기)

그런데 davex가 기존 CPS1PSP 에뮬레이터에 적청 방식의 3D 입체효과 기능을 추가한 비공식 CSP1PSP 2.5D를 발표했습니다. [출처가기]

개발자인 davex는 기존에도 여러가지 에뮬레이터의 개발/수정/패치 등의 작업을 자주 해왔는데, 이번에는 3D 효과를 추가하는 중이군요. 개발자 말로는 2D보다 뛰어나지만 진짜 3D는 아니므로 2.5D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개발 도중이며, 당연히 입체 효과를 느끼려면 적청 방식의 입체안경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설치방법 ] (간단하게만 설명하겠습니다.)

1.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PSP-100X라면 그 안의 'phat' 폴더를, 그 외의 기종이라면 'slim' 폴더를 각각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 에뮬레이터로 구동할 CPS1 기판용 롬파일을 따로 구해 에뮬레이터 폴더 내부의 roms/ 폴더로 복사합니다.

3.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UO CPS1PSP 2-5D WIP3'를 실행합니다.

4. 에뮬레이터가 실행되면 나오는 롬파일 선택 화면에서 원하는 게임을 선택해 실행합니다.


[ 2.5D 설정 방법 ]


게임이 실행된 후 홈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은 에뮬레이터 메인 메뉴가 나타납니다. 그 중 아래 부분을 보면 2.5D settings라는 메뉴가 새로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5D settings 메뉴로 들어가보면 2.5D 효과 사용 여부와 X축/Y축 오프셋 등의 세부 설정이 가능합니다.


2.5D 효과가 적용되지 않은 원래의 게임 화면입니다.


하지만 여기에 2.5D 효과를 적용하면 위처럼 캐릭터 부분에만 입체효과가 적용됩니다. 적청 방식의 안경을 쓰고 게임 화면을 보면 캐릭터들이 입체적으로 튀어나와 보이게 되는 것이죠.


# 위에서도 말했듯이 아직 개발중인 에뮬레이터입니다. 이번 에뮬레이터가 잘 되면 CPS2PSP나 MVSPSP 등 다른 종류의 에뮬레이터에도 입체 효과를 추가할 가능성이 높네요.

# 저는 입체안경이 없어서 실제로 어떻게 보이는지 확인하지 못했는데, 이 상태로 게임하면 눈이 꽤나 피곤해질 듯...

* 관련글 보기 *
3D 효과 체험 - Cube3D
PSP용 3D 플러그인 개발중
네오지오에뮬 : 비공식 MVSPSP - 치트기능 추가
CPS1/2에뮬 : 비공식 CPS1/2PSP - 치트 기능 추가
메가드라이브 에뮬 : 비공식 Picodrive 1.35b R
세가마스터시스템 에뮬 : SMS Plus PSP 1.2.55
GB/GBC 에뮬 : 비공식 RIN GB/GBC 1.32 RM
슈퍼패미콤 에뮬 : SNES9x TYL++ BETA 패치

슈패 에뮬 : Snes9X Euphoria R4


zack이라는 개발자가 개인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는 슈퍼패미콤 에뮬레이터 Snes9X Euphoria R4가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NeoFlash 콘테스트 출품용이군요. [출처가기]

zack이 예전에 밝힌 내용에 의하면 Snes9X Euphoria는 게임 속도를 최우선으로 생각해서 개발한다고 했죠. 블로그에 소개하는건 작년 R2.1 이후 처음입니다.

이번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Snes9X Euphoria R4는 풀스피드로 대부분의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Snes(슈퍼패미콤) 에뮬레이터입니다. 대부분의 롬을 지원합니다.

이번 버전의 변경점 :
렌더링 반복 - 속도 향상.
기능 정리 - 미비한 속도 향상.
메모리스틱 읽기 에러 수정
여러가지 버그 수정.

알려진 문제
만약 뉴 게임을 불러왔을 때 검은 화면만 나온다면, 홈버튼을 다시 눌러 "reset snes"를 선택해 리셋해 주세요.

* Download : Snes9X Euphoria R4 (음악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 자료는 직접 첨부할 수가 없어 해외 링크로 대체.)

개인적으로 테스트는 커녕 구동해보지도 않았으니 Snes9X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직접 여러가지로 테스트해보세요.

설치법이나 사용법 등을 아예 모르는 분들은 아래 관련글 모음을 뒤져보시길 바랍니다.

* 관련글 보기 *
HBL : 슈패 에뮬 : uo Snes9x 0.02y33 Build 0032
[추가9] 슈패 에뮬 : Snes9xTYLmecm 091127
[추가] 슈패 에뮬 : Snes9X Euphoria R2.1
슈패 에뮬 : Snes9xTYLsmcm 23/05/08
슈패 에뮬 : Snes9xTYL 0.4.2 ME By 33
3.xx 커널용 슈패 에뮬 : Snes9xTYL 0.4.2 ME
슈퍼패미콤 에뮬 : SNES9x TYL++ BETA 패치
슈퍼패미콤 에뮬 : SNES9x TYL++ BETA

NDS에뮬 : DSonPSP Unofficial V0.1


DeSmUmE core 9를 기반으로 YoshiHiro가 개발중이던 NDS 에뮬레이터 DSonPSP의 비공식 버전입니다. [출처가기]

YoshiHiro는 저번의 그 일(http://popotz.textcube.com/1470) 이후로 사실상 PSP계에서 은퇴했기에, jonlimle라는 유저가 비공식이긴 하지만 DSonPSP 개발을 이어서 한다고 합니다.


[ 설치법 ]
1.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DSONPSP'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 확장자가 *.nds인 NDS용 게임 롬 또는 NDS용 홈브류 파일을 각자 구해서 ms0:/PSP/GAME/DSONPSP/ 폴더 안으로 복사합니다. (위 첨부파일에는 breakout.nds라는 테스트용 NDS 홈브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3. 이제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DSonPSP Unofficial V0.1'를 실행합니다.


4. 롬 파일 목록이 나오면 원하는 항목으로 이동 후 엑스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5. 잠시 후 해당 게임 (또는 홈브류)가 실행됩니다.

# 참고 : samples.zip 안에 들어있는 *.nds 파일들은 제작자가 테스트할 때 사용한 샘플 프로그램들입니다.

# YoshiHiro의 DSonPSP Beta에 비해 이번 비공식 버전은 프레임 속도가 엄청나게 향상되었습니다. 하지만 쾌적하게 게임을 즐기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네요. 게다가 아직 사운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앞으로 스크린샷 기능이나 강제세이브 기능 , 에뮬레이터 메뉴 등의 추가가 예정되어 있으니 관심있는 분들은 업데이트 버전을 기다려보세요.

# 터치스크린도 없는 PSP로 에뮬을 돌리기보다는, 역시 NDS 게임은 NDS로 하는게 좋겠죠.

# PSP 게임과 마찬가지로, NDS용 롬파일의 공유는 불법입니다.

* 관련글 보기 *
NDS에뮬 : DSonPSP beta 7
NDS에뮬 : DSonPSP beta 5/6
[추가] NDS에뮬 : DSonPSP beta 4
NDS에뮬 : DSonPSP v0.2C beta
PSP용 NDS 에뮬 개발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