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Gen에 해당되는 글 3건
- 2011.01.02 iR Shell 가이드 2부 - 설정
- 2011.01.02 iR Shell 가이드 1부 - 설치
- 2011.01.01 GBA에뮬 : 비공식 gpSP kai (5.50 GEN + PSP1000 전용판)
글
iR Shell 가이드 2부 - 설정
포포츠 백업 + NEW/홈브류 - 아얄쉘
2011. 1. 2. 22:15
이제 2부입니다. 이번에는 아얄쉘을 사용하기에 앞서 아얄쉘의 여러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격적인 사용법은 언제쯤 가능할지... ㅡㅡ;)
아얄쉘 3.1 설정법 열기
위와 같이 아얄쉘을 실행한 후 맨 아래 중간의 'iR Shell Configurator'를 선택하면 아얄쉘 설정메뉴로 들어갑니다.
방향키 위/아래로 메뉴 이동, 방향키 좌/우 또는 엑스 버튼을 눌러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기본 설정
Devhook Launcher Ver : 현재 설치되어 있는 데브훅 버전을 설정
Devhook FW Dir for 0.4x : 데브훅0.4x버전의 펌웨어 디렉토리를 설정
Default CPU Speed : 아얄쉘 실행시의 기본 CPU클럭을 설정
Date Format : 아얄쉘에 표시되는 날짜 형식을 설정
Startup Splash : 아얄쉘 실행시 구동화면을 bmp, pmf, 사용안함 중에 설정
(ms0:/IRSHELL/CFGXX 폴더안에 LOGO.bmp 또는 Splash.pmf 라는 파일이 있어야 함)
Initial View : 아얄쉘 실행시 처음 보이는 메뉴 화면을 설정
Hide Save View : 네모버튼으로 메뉴간 이동시 세이브 파일 메뉴를 보이지 않도록 설정
Hide RDF View : 네모버튼으로 메뉴간 이동시 리모콘기능 메뉴를 보이지 않도록 설정
Hide RDF Sub-directory : 리모콘기능 메뉴에서 하위폴더를 보이지 않도록 설정
Slide Show Interval in Seconds (1-60) : 그림의 슬라이드쇼에서의 전환 시간 설정
Initial JPG Viewer Scaling : JPG그림파일의 초기 크기 설정
PMF Movie Scaling : PMF 재생시 화면 크기 설정
PSP Headphone Remote : 이어폰 리모콘의 사용 유무를 설정
Default Mute Game Audio : 아얄쉘을 통해 게임을 실행했을때 게임 사운드의 출력 여부 설정
Mute Game Audio Type : 아얄쉘에서 MP3 재생 중 게임 사운드의 출력 여부 설정
Eboot 1.0 format Support for fw1.5 : 1.00용 홈브류를 실행할 것인지 설정
__SCE__ Naming Support : __SCE__형식으로 되어있는 홈브류를 실행할 것인지 설정
Skip Help Files Installation : 스킨 변경시 도움말 파일은 설치하지 않을 것인지 설정
USB /NET Host 관련 설정
관련 내용이 많으므로 나중에 따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홈브류 단축키 실행 관련 설정
Homebrew Path : APP 메뉴에서 보여질 홈브류 폴더를 지정 (커펌은 ms0:PSP/GAME150/)
DIR Shortcut (L + △) : L + △를 눌렀을때 바로 이동할 폴더 지정
Homebrew #1 (→) : 아날로그 →입력시 실행할 홈브류의 이름 지정
Homebrew #2 (R + ←) : R + 아날로그←입력시 실행할 홈브류의 이름 지정
Homebrew #3 (R + ↑) : R + 아날로그↑입력시 실행할 홈브류의 이름 지정
Homebrew #4 (R + →) : R + 아날로그→입력시 실행할 홈브류의 이름 지정
Homebrew #5 (R + ↓) : R + 아날로그↓입력시 실행할 홈브류의 이름 지정
* 이 기능을 위해서는 ms0:/IRSHELL/HOMEBREW15 폴더의 각 단축키에 맞는 폴더 내에
실행하고자 하는 홈브류의 EBOOT.PBP파일을 비롯한 실행 파일을 먼저 복사해 주어야합니다.
(2.71용 아얄쉘은 ms0:/IRSHELL/HOMEBREW2X 폴더입니다.)
알람기능 관련 설정
Default Alarm State : 아얄쉘에 포함된 알람 기능 사용 여부 설정
Default Alarm Clock (HHMM) : 알람 시간 설정 (아침 09시 30분이면 0930으로 설정)
Alarm Repeat : 알람 반복 여부 설정
Alarm Under Sleep Mode : PSP가 슬립모드일때 알람기능 작동 여부 설정
Alarm MP3 File : 알람음으로 사용할 MP3파일 선택
배터리 경고 알람 관련 설정
Low Battery Warning Alarm : 배터리가 몇% 남았을때 알람이 울릴 것인지 설정
Low Battery Warning Repeat : 배터리 경고 알람 반복 여부 설정
홈브류/UMD 실행시 실행확인창 관련 설정
Launching App Confirmation : 홈브류 실행시 실행확인창 여부 설정
Launching UMD Confirmation : UMD 실행시 실행확인창 여부 설정
Launching Shortcut Homebrew Confirmation : 실행확인창에 미리보기 그림 표시 여부 설정
홈브류 / 세이브파일의 미리보기용 아이콘 위치 설정
App/Save Icon Position : 아이콘의 위치를 스킨에 따를 것인지 아래 메뉴에서 따로 설정할 것인지 선택
App Icon State : 홈브류아이콘의 표시 여부와 목록텍스트간의 상호위치 설정
App Icon X Position (0-336) : 홈브류아이콘의 가로 위치 설정
App Icon X Position (0-192) : 홈브류아이콘의 세로 위치 설정
Save Icon State : 세이브아이콘의 표시 여부와 목록텍스트간의 상호위치 설정
Save Icon X Position (0-336) : 세이브아이콘의 가로 위치 설정
Save Icon Y Position (0-192) : 세이브아이콘의 세로 위치 설정
플러그인 관련 설정
관련 내용이 많으므로 나중에 따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패스워드 관련 설정
Password Mode : 패스워드를 사용할 것인지의 여부 설정
File Manipulation : 파일 매니저 기능을 패스워드로 보호할 것인지 설정
Configurator : 아얄쉘 설정 메뉴를 패스워드로 보호할 것인지 설정
Change Password : 패스워드 변경 (4자리의 숫자만 지원)
기타 설정
Skin Browser : 현재 ms0:/IRSHELL/SKINS 폴더에 있는 스킨을 모두 보여주며 스킨을 선택후 설치도 가능
Save Changes & Return to iR Shell : 변경사항을 저장하고 아얄쉘로 돌아감
Cancel Changes & Return to iR Shell : 변경사항을 취소하고 아얄쉘로 돌아감
Devhook Launcher Ver : 현재 설치되어 있는 데브훅 버전을 설정
Devhook FW Dir for 0.4x : 데브훅0.4x버전의 펌웨어 디렉토리를 설정
Default CPU Speed : 아얄쉘 실행시의 기본 CPU클럭을 설정
Date Format : 아얄쉘에 표시되는 날짜 형식을 설정
Startup Splash : 아얄쉘 실행시 구동화면을 bmp, pmf, 사용안함 중에 설정
(ms0:/IRSHELL/CFGXX 폴더안에 LOGO.bmp 또는 Splash.pmf 라는 파일이 있어야 함)
Initial View : 아얄쉘 실행시 처음 보이는 메뉴 화면을 설정
Hide Save View : 네모버튼으로 메뉴간 이동시 세이브 파일 메뉴를 보이지 않도록 설정
Hide RDF View : 네모버튼으로 메뉴간 이동시 리모콘기능 메뉴를 보이지 않도록 설정
Hide RDF Sub-directory : 리모콘기능 메뉴에서 하위폴더를 보이지 않도록 설정
Slide Show Interval in Seconds (1-60) : 그림의 슬라이드쇼에서의 전환 시간 설정
Initial JPG Viewer Scaling : JPG그림파일의 초기 크기 설정
PMF Movie Scaling : PMF 재생시 화면 크기 설정
PSP Headphone Remote : 이어폰 리모콘의 사용 유무를 설정
Default Mute Game Audio : 아얄쉘을 통해 게임을 실행했을때 게임 사운드의 출력 여부 설정
Mute Game Audio Type : 아얄쉘에서 MP3 재생 중 게임 사운드의 출력 여부 설정
Eboot 1.0 format Support for fw1.5 : 1.00용 홈브류를 실행할 것인지 설정
__SCE__ Naming Support : __SCE__형식으로 되어있는 홈브류를 실행할 것인지 설정
Skip Help Files Installation : 스킨 변경시 도움말 파일은 설치하지 않을 것인지 설정
USB /NET Host 관련 설정
관련 내용이 많으므로 나중에 따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홈브류 단축키 실행 관련 설정
Homebrew Path : APP 메뉴에서 보여질 홈브류 폴더를 지정 (커펌은 ms0:PSP/GAME150/)
DIR Shortcut (L + △) : L + △를 눌렀을때 바로 이동할 폴더 지정
Homebrew #1 (→) : 아날로그 →입력시 실행할 홈브류의 이름 지정
Homebrew #2 (R + ←) : R + 아날로그←입력시 실행할 홈브류의 이름 지정
Homebrew #3 (R + ↑) : R + 아날로그↑입력시 실행할 홈브류의 이름 지정
Homebrew #4 (R + →) : R + 아날로그→입력시 실행할 홈브류의 이름 지정
Homebrew #5 (R + ↓) : R + 아날로그↓입력시 실행할 홈브류의 이름 지정
* 이 기능을 위해서는 ms0:/IRSHELL/HOMEBREW15 폴더의 각 단축키에 맞는 폴더 내에
실행하고자 하는 홈브류의 EBOOT.PBP파일을 비롯한 실행 파일을 먼저 복사해 주어야합니다.
(2.71용 아얄쉘은 ms0:/IRSHELL/HOMEBREW2X 폴더입니다.)
알람기능 관련 설정
Default Alarm State : 아얄쉘에 포함된 알람 기능 사용 여부 설정
Default Alarm Clock (HHMM) : 알람 시간 설정 (아침 09시 30분이면 0930으로 설정)
Alarm Repeat : 알람 반복 여부 설정
Alarm Under Sleep Mode : PSP가 슬립모드일때 알람기능 작동 여부 설정
Alarm MP3 File : 알람음으로 사용할 MP3파일 선택
배터리 경고 알람 관련 설정
Low Battery Warning Alarm : 배터리가 몇% 남았을때 알람이 울릴 것인지 설정
Low Battery Warning Repeat : 배터리 경고 알람 반복 여부 설정
홈브류/UMD 실행시 실행확인창 관련 설정
Launching App Confirmation : 홈브류 실행시 실행확인창 여부 설정
Launching UMD Confirmation : UMD 실행시 실행확인창 여부 설정
Launching Shortcut Homebrew Confirmation : 실행확인창에 미리보기 그림 표시 여부 설정
홈브류 / 세이브파일의 미리보기용 아이콘 위치 설정
App/Save Icon Position : 아이콘의 위치를 스킨에 따를 것인지 아래 메뉴에서 따로 설정할 것인지 선택
App Icon State : 홈브류아이콘의 표시 여부와 목록텍스트간의 상호위치 설정
App Icon X Position (0-336) : 홈브류아이콘의 가로 위치 설정
App Icon X Position (0-192) : 홈브류아이콘의 세로 위치 설정
Save Icon State : 세이브아이콘의 표시 여부와 목록텍스트간의 상호위치 설정
Save Icon X Position (0-336) : 세이브아이콘의 가로 위치 설정
Save Icon Y Position (0-192) : 세이브아이콘의 세로 위치 설정
플러그인 관련 설정
관련 내용이 많으므로 나중에 따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패스워드 관련 설정
Password Mode : 패스워드를 사용할 것인지의 여부 설정
File Manipulation : 파일 매니저 기능을 패스워드로 보호할 것인지 설정
Configurator : 아얄쉘 설정 메뉴를 패스워드로 보호할 것인지 설정
Change Password : 패스워드 변경 (4자리의 숫자만 지원)
기타 설정
Skin Browser : 현재 ms0:/IRSHELL/SKINS 폴더에 있는 스킨을 모두 보여주며 스킨을 선택후 설치도 가능
Save Changes & Return to iR Shell : 변경사항을 저장하고 아얄쉘로 돌아감
Cancel Changes & Return to iR Shell : 변경사항을 취소하고 아얄쉘로 돌아감
양이 너무 많아 간단히 설명하느라 부족한 부분이 보이는군요.
지금은 이해가 안가더라도 나중에 아얄쉘에 대해 더 많이 알게되면 자연스럽게 알게 되겠지요. ^^
그래도 위 설정에 관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을 달아주세요.
'포포츠 백업 + NEW > 홈브류 - 아얄쉘' 카테고리의 다른 글
3.40 OE-A 지원 iR Shell 개발중!? (0) | 2011.01.02 |
---|---|
iR Shell 가이드 6부 - NetHost 설정 (0) | 2011.01.02 |
iR Shell 가이드 4부 - 플러그인 (0) | 2011.01.02 |
iR Shell 가이드 3부 - 기본기능 (0) | 2011.01.02 |
iR Shell 가이드 1부 - 설치 (0) | 2011.01.02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iR Shell 가이드 1부 - 설치
포포츠 백업 + NEW/홈브류 - 아얄쉘
2011. 1. 2. 22:14
제가 좋아라 하는 iR Shell 3.1에 대한 글을 시작할까 합니다.
사실 양이 너무 많은지라 건드리고 싶지 않았지만 차근차근 해나갈 생각입니다.
(이번 달 내로 끝내고 싶긴 한데 언제 끝날지, 몇 개의 글로 나누어질지 아무도 모릅니다. ㅡㅡ; )
이번 1부에서는 설치에 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아얄쉘 3.1 설치법 열기
우선은 아얄쉘을 다운로드 해야겠죠.
자료의 다운로드는 http://dl.qj.net/iR-Shell-3.1-PSP-Homebrew-Applications/pg/12/fid/11874/catid/151에서 받으세요. 16.66MB의 엄청난 용량을 자랑합니다.
본격적으로 설치하기 앞서 한가지 알아두실 점이 있습니다.
아얄쉘이 커펌을 지원하면서 부터 실행파일이 2가지로 나뉘어진 점입니다.
즉 예전과 동일한 1.50용 아얄쉘과 커펌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2.71용 아얄쉘로 나누여졌죠.
(아얄쉘이 커펌 2.71 SE지원을 끝으로 개발 중지 되었기에 편의상 2.71용 아얄쉘로 부르겠습니다. 2.71용 아얄쉘은 커펌 3.03 OE나 3.10 OE에서도 실행가능합니다.)
이 두 개의 실행파일은 기본적인 사용법은 동일하지만 지원되는 기능은 확연히 다르기때문에 별개의 프로그램으로 보셔도 무방합니다.
아얄쉘을 다운 받아 압축을 풀면 위와 같은 폴더 구조를 가지게 됩니다.
상세한 폴더 역할은 위 그림을 참조하세요. (만약 커펌 사용자가 아닌 1.50펌웨어 사용자는 위의 그림에서 '2.71용'이 붙어 있는 폴더는 설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제 이 폴더들을 메모리스틱에 복사하면 설치는 완료됩니다.
커펌 OE시리즈 사용자들은 커널설정이 기본이라는 가정하에 설명합니다.
'devhook046' 폴더는 거의 쓰이는 일이 없으니 삭제합니다.
'IRSHELL' 폴더는 통채로 메모리스틱 상위에 복사합니다.
'irshell150' 'irshell150%' 폴더는 ms0:/PSP/GAME150/ 폴더에 복사합니다.
'irshell271' 폴더는 ms0:/PSP/GAME/ 폴더에 복사합니다.
이제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PSP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가봅시다.
이 하얀색 아얄쉘은 2.71용 아얄쉘입니다.
이 붉은색 아얄쉘은 1.50용 아얄쉘입니다.
설치가 끝났으니 이제 다음부터 본격적인 사용법에 들어가겠습니다.자료의 다운로드는 http://dl.qj.net/iR-Shell-3.1-PSP-Homebrew-Applications/pg/12/fid/11874/catid/151에서 받으세요. 16.66MB의 엄청난 용량을 자랑합니다.
본격적으로 설치하기 앞서 한가지 알아두실 점이 있습니다.
아얄쉘이 커펌을 지원하면서 부터 실행파일이 2가지로 나뉘어진 점입니다.
즉 예전과 동일한 1.50용 아얄쉘과 커펌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2.71용 아얄쉘로 나누여졌죠.
(아얄쉘이 커펌 2.71 SE지원을 끝으로 개발 중지 되었기에 편의상 2.71용 아얄쉘로 부르겠습니다. 2.71용 아얄쉘은 커펌 3.03 OE나 3.10 OE에서도 실행가능합니다.)
이 두 개의 실행파일은 기본적인 사용법은 동일하지만 지원되는 기능은 확연히 다르기때문에 별개의 프로그램으로 보셔도 무방합니다.
아얄쉘을 다운 받아 압축을 풀면 위와 같은 폴더 구조를 가지게 됩니다.
상세한 폴더 역할은 위 그림을 참조하세요. (만약 커펌 사용자가 아닌 1.50펌웨어 사용자는 위의 그림에서 '2.71용'이 붙어 있는 폴더는 설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제 이 폴더들을 메모리스틱에 복사하면 설치는 완료됩니다.
커펌 OE시리즈 사용자들은 커널설정이 기본이라는 가정하에 설명합니다.
'devhook046' 폴더는 거의 쓰이는 일이 없으니 삭제합니다.
'IRSHELL' 폴더는 통채로 메모리스틱 상위에 복사합니다.
'irshell150' 'irshell150%' 폴더는 ms0:/PSP/GAME150/ 폴더에 복사합니다.
'irshell271' 폴더는 ms0:/PSP/GAME/ 폴더에 복사합니다.
이제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PSP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가봅시다.
이 하얀색 아얄쉘은 2.71용 아얄쉘입니다.
이 붉은색 아얄쉘은 1.50용 아얄쉘입니다.
최대한 쉽게 쓰려고 노력하고 있으니 지루하더라도 응원해 주세요. ^^/
'포포츠 백업 + NEW > 홈브류 - 아얄쉘' 카테고리의 다른 글
3.40 OE-A 지원 iR Shell 개발중!? (0) | 2011.01.02 |
---|---|
iR Shell 가이드 6부 - NetHost 설정 (0) | 2011.01.02 |
iR Shell 가이드 4부 - 플러그인 (0) | 2011.01.02 |
iR Shell 가이드 3부 - 기본기능 (0) | 2011.01.02 |
iR Shell 가이드 2부 - 설정 (0) | 2011.01.02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GBA에뮬 : 비공식 gpSP kai (5.50 GEN + PSP1000 전용판)
포포츠 백업 + NEW/홈브류 - 에뮬레이터
2011. 1. 1. 00:53
커펌 5.50 GEN이 설치된 PSP-1000 시리즈에서 비공식 gpSP Kai가 구동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어 takka가 이를 수정한 버전을 발표했습니다. [출처가기]
EBOOT.PBP를 덮어쓴 뒤에 이용해 주세요.
단, 홈버튼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주의해 주시길 바랍니다.
메뉴 표시를 홈버튼이 아닌 다른 버튼으로 할당하지 않으면 종료할 수 없습니다.
(한 번 슬립모드에 들어갔다 복귀하면 메뉴화면으로 진입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위의 제한이 있으므로 PSP-1000과 5.50 GEN-B 전용입니다.
단, 홈버튼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주의해 주시길 바랍니다.
메뉴 표시를 홈버튼이 아닌 다른 버튼으로 할당하지 않으면 종료할 수 없습니다.
(한 번 슬립모드에 들어갔다 복귀하면 메뉴화면으로 진입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위의 제한이 있으므로 PSP-1000과 5.50 GEN-B 전용입니다.
* 커펌 5.50 GEN이 설치된 PSP-1000/1005 사용자만 설치해 주세요.
[ 설치방법 ]
1. 이전 비공식 gpSP kai 버전을 먼저 설치해야 합니다. http://popotz.textcube.com/1221 참고해서 이전 버전을 설치해주세요.
2. 이제 위 EBOOT.PBP 파일을 받아 ms0:/PSP/GAME/gpSP/ 폴더에 덮어쓰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그 후 나머지 설치법 역시 이전과 동일합니다. (바이오스 및 롬파일 설치 등)
[ 사용방법 ]
사용 방법 역시 http://popotz.textcube.com/1221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단, 홈버튼이 작동하지 않기때문에 '게임패드 입력 설정' 메뉴에서 메뉴 화면 여는 버튼은 따로 지정해주어야 합니다.
'포포츠 백업 + NEW > 홈브류 - 에뮬레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가] NDS에뮬 : DSonPSP beta 4 (0) | 2011.01.01 |
---|---|
NDS에뮬 : DSonPSP v0.2C beta (0) | 2011.01.01 |
GBA에뮬 : 비공식 gpSP kai 3.4 test 3 build 92 (0) | 2011.01.01 |
GBA에뮬 : 비공식 gpSP kai 3.4 test 2 build 69 (0) | 2011.01.01 |
GBA에뮬 : 비공식 gpSP kai 3.4 test1 build2 (0) | 2011.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