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펌의 대표 기능 사용법 정리

이번 ChickHEN용 커펌 5.03 GEN-A for HEN의 발표로 인해 그 동안 발매된 펌웨어 5.03 이하의 PSP-2000과 PSP-3000에서 완벽하지는 않지만 커펌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커펌이나 커펌 비스무레한 것을 처음 사용하는 분들을 위해 커펌의 주요 기능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자세하게 쓰면 끝도 없으므로 요점만 최대한 간략하게!!

[ 정식 펌웨어의 모든 기능 ]
커펌이라고 해도 정펌의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현재 PSP의 커펌이란 게 어디까지나 정펌을 기반으로 변형된 것이니까요. 커펌에서도 UMD의 구동은 물론이고, 커펌 버전과 동일한 버전의 정펌 기능을 대부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 PS Store 이용시에는 펌웨어 버전때문에 문제가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 VSH menu 사용 ]
XMB(PSP의 기본 메뉴 화면)에서 셀렉트버튼을 누르면 VSH menu가 나타납니다. VSH menu에서는 정펌에서는 불가능한 다양한 설정 변경이 가능한데, CPU 클럭 변경이나 USB 연결 장치 변경, PSP 전원 관리 기능 등이 대표적이죠. (커펌 5.03 GEN-A for HEN에서는 VSH menu를 통해서만 리커버리 모드 진입이 가능합니다.)

 [ 리커버리 모드 ]
원래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는 커펌이 설치된 PSP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복구하기 위한 용도였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그런 것보다 커펌의 각종 기능을 설정하는 용도로 더 많이 쓰입니다.
간단한 영어로만 되어있으니 무슨 기능인지는 쉽게 알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리커버리 모드의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CPU 클럭 변경, 플러그인 관리, O/X버튼 역할 변경, 커펌에 내장된 기능 설정 변경 등인데 몇 가지는 위의 VSHmenu와 중복되기도 합니다.
조금 더 자세한 설명은 http://popotz.textcube.com/1219 참고하세요.

 [ 홈브류 구동 ]
개인 개발자가 PSP용으로 만든 홈브류의 구동이 가능합니다. (굳이 커펌이 아니라도 ChickHEN 상태라면 홈브류 구동이 가능합니다.) 홈브류는 대부분 ms0:/PSP/GAME/ 폴더에 설치되며,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실행이 가능합니다. 홈브류는 그 기능에 따라 종류가 많으므로, 무슨 홈브류를 사용할 것인지는 블로그내의 각 홈브류 소개글을 참고하시면 되고, 자세한 설치법 및 사용법 역시 소개글을 참고하세요.
ChickHEN 발표 당시 쓴 홈브류 모음 글을 봐도 도움이 될 듯 싶습니다. (http://popotz.textcube.com/1156, http://popotz.textcube.com/1157) 단, 커펌 버전에 따라 홈브류의 구동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 플러그인 사용 ]
커펌에서는 추가적인 기능을 위한 플러그인의 사용이 가능합니다. 홈브류가 일종의 프로그램이라고 한다면 플러그인은 그 홈브류안이나 게임 / XMB상에서 항상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애드온 기능을 말하는 것이죠. 대표적으로 스크린샷 플러그인이나 치트 플러그인이 있겠네요. 플러그인 역시 그 기능에 따라 종류가 나뉘어지므로 각 플러그인 소개글을 참고해서 자신이 원하는 플러그인을 선택해서 설치하세요.
참고로 ms0:/seplugins/ 폴더의 VSH.txt 파일은 XMB에서 사용할 플러그인의 목록, GAME.txt 파일은 게임/홈브류에서 사용할 플러그인의 목록, Pops.txt 파일은 PS1 게임에서 사용할 플러그인의 목록이 저장되어 있는 파일이며, 이처럼 각 txt 파일에 등록된 플러그인의 활성화 / 비활성화 설정 변경은 리커버리 모드 -> Plugins 메뉴에서 가능합니다. 플러그인 역시 커펌 버전에 따라 구동 여부가 달라지며, 호환되지 않는 플러그인 활성화시 PSP가 부팅되지 않을 수도 있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 ISO/CSO 구동 ]
경고 : 이 기능은 자신이 소유한 UMD의 백업만을 구동하기 위한 목적이며, 다른 사람에게 ISO 파일을 받거나 ISO 파일 자체를 공유하는 행위는 불법입니다.

UMD 게임의 로딩 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UMD 자체가 손상되는 것이 싫은 경우 UMD를 ISO 형식으로 변환해서 메모리스틱에 저장 후 구동할 수 있습니다. 우선 http://popotz.textcube.com/793글을 참고해서 자신이 보유한 UMD를 ISO 형식으로 덤프합니다. 그 후 이 ISO 파일을 ms0:/ISO/ 폴더에 복사한뒤 홈브류와 동일하게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실행하면 됩니다.
[CSO 포맷이란? : CSO 포맷은 ISO 파일을 압축해서 용량을 줄인 파일입니다. 게임에 따라 압축률은 상당한 차이가 나며, CSO로 압축되어 있을 경우 게임 내에서 로딩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CISO Utility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ISO를 CSO로 변환 가능(압축률 지정도 가능)하며, CSO를 다시 ISO로 재변환할 수도 있습니다. 메모리스틱의 용량이 부족하거나 하는 경우에 사용하면 됩니다.]

단, ISO/CSO 구동시 주의할 점이 대표적으로 두 가지 있습니다.
1. ISO/CSO 파일의 이름이 알파벳이나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을 것 -> 예를 들어 '재밌는게임.ISO'의 경우 구동이 불가능하며 'funnygame124.ISO' 등의 파일명으로 변경해야 구동이 가능합니다. (예전엔 안 그랬는데... ㅜㅜ) 또 파일명이 54글자 이상이라면 인식이 안되므로 이 점도 주의해주세요.
2. No-UMD 모드의 확인 -> ISO/CSO 구동은 UMD 드라이브를 에뮬레이션 하는 방식입니다. 즉, UMD 슬롯에 아무 UMD나 실제로 들어있어야만 ISO/CSO의 구동이 가능하죠. 하지만 이런 방식은 상당히 불편하기에 No-UMD 모드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No-UMD 모드란 실제 UMD가 없어도 ISO/CSO 구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능이며, VSH menu나 리커버리 모드에서 'UMD ISO Mode' 메뉴 변경을 통해 설정 가능합니다. 이 값을 'M33 Driver'나 'Sony 9660'으로 설정해야만 실제 UMD 없이도 ISO/CSO가 구동됩니다.

[ 비디오 UMD에서 추출한 ISO 재생 ]
위에서 설명한 게임 ISO/CSO뿐만 아니라 비디오 UMD에서 추출한 ISO 파일 역시 PSP에 가상으로 마운트해서 감상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스틱의 ms0:/ISO/VIDEO 폴더에 비디오 UMD에서 추출한 ISO 파일을 복사하고 VSH Menu의 'ISO VIDEO MOUNT' 옵션에서 방향키를 이용해 비디오 ISO 파일을 선택하면 잠시 후 비디오 메뉴에 UMD 표시가 나타나며 재생이 가능합니다. 단, 이 경우 NO-UMD 모드는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PSP의 UMD 슬롯에는 반드시 실제 UMD가 들어있어야 합니다. (지역코드 제한이 없는 게임 UMD라면 아무 것이나 가능.)

[ PS1 게임 구동 ]
PS Store에서 PS1 게임의 구입이 가능하지만, 커펌을 이용하면 구입하지 않더라도 자신이 직접 변환한 PS1 게임의 구동이 가능합니다. PS1 게임 변환은 PSX2PSP 등의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EBOOT.PBP 형식으로 변환이 가능하며 이렇게 변환된 EBOOT.PBP 파일을 ms0:/PSP/GAME/XXX/ 폴더를 만들어 그 안에 복사해 넣으면 됩니다. (여기서 XXX란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임의의 폴더)
하지만 펌웨어 버전에 따라 PS1 에뮬레이터(Pops)와 PS1 게임의 호환성이 달라지므로, 특정 게임에서는 Popsloader 플러그인을 이용해야할지도 모릅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나 그 외 멀티디스크 변환법, PS1 게임용 매뉴얼 제작 방법 등은 생략합니다. (블로그 뒤져보면 있을지도...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