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판도라 울티메이트 매직 스틱 인스톨러 v2 - 구형/신형 공통
포포츠 백업 + NEW/판도라's 밧데리
2010. 12. 30. 18:37
기존 여러종류의 매직 메모리스틱을 통합한 판도라 울티메이트 매직 스틱 인스톨러(길다.)입니다. [출처가기]
이 판도라 울티메이트 매직 스틱 인스톨러로 만든 매직 메모리스틱이 지원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고급레벨용입니다. PSP에 대해 잘 알고 판도라의 배터리 종류와 그 역할에 대해 자세히 알고 계신 분만 설치하세요.
설치법은 위 출처에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단순한 번역을 한 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간략하게 생략된 내용이라 쉽게 이해하기는 어려울 것 같네요. 각 프로그램에 대해 자세히 추가하고 싶어도 몇 일이 걸려도 모자를 것 같아서 포기 ㅡㅡ;
직접 설치하면서 동시에 동영상을 찍었는데, 해상도 문제도 있고 알아보기는 힘들 것 같네요.
참고하실 분들은 반드시 위의 설치법과 하나하나 대조해가면서 차근차근 시도해보세요.
게다가 PSP에서 작업하는 영상은 못찍었습니다. 음악이 건너뛰는 부분은 PSP에서 작업했다는 것만 알아두세요.
위의 설치법은 정말 무지하게 복잡한데 반해 원리 자체는 간단합니다.
# 예전에 오리지날 매직메모리스틱과 유니버셜 메모리스틱을 하나의 메모리스틱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적은 적이 있었는데, 이 과정을 자동으로 해주고 여러가지 추가기능을 통합한 프로그램입니다.
# 사실 더 간편하게 설치할 수도 있는데, 위 설치법은 매직메모리스틱을 아예 처음부터 만든다고 가정한거라서 많이 복잡하죠. 그러니 자신 있거나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분들만 시도해 보세요. ^^
* 관련글 보기 * - 종류가 많죠?? ㅜㅜ
2007/10/09 - [판도라의 배터리] - 유니버셜 언브리커-자주 묻는 질문
2007/10/05 - [판도라의 배터리] -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2007/10/03 - [판도라의 배터리] - 커펌 PSP 없이 매직 메모리스틱 만들기
2007/09/29 - [판도라의 배터리] - 오리지날+유니버셜 매직 메모리스틱
2007/09/29 - [판도라의 배터리] - 판도라의 배터리 분류/종합
2007/09/29 - [판도라의 배터리] -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 Rev. 2
2007/09/29 - [판도라의 배터리] - 유비버셜 언브리커 v2 - 구형/신형 PSP 벽돌 복구 프로그램
2007/09/27 - [판도라의 배터리] -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
2007/09/22 - [판도라의 배터리] - PSP MS Multiloader IPL
2007/09/21 - [판도라의 배터리] - Extended Pandora Bootmenu v0.84
2007/09/20 - [판도라의 배터리] - Pandora's GUI v1.5
2007/09/17 - [판도라의 배터리] - 판도라 메뉴 확장 - Extended Pandora Bootmenu v0.8
2007/09/12 - [판도라의 배터리] - 판도라 배터리 노멀 모드로 사용하기
2007/08/23 - [판도라의 배터리] - Pandora's Battery 복구 영상
2007/08/23 - [판도라의 배터리] - Pandora's Battery - 벽돌복구 및 모든 펌웨어 다운그레이드
이 판도라 울티메이트 매직 스틱 인스톨러로 만든 매직 메모리스틱이 지원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형 PSP에 커펌 3.71 M33-2 설치 가능
* 구형 PSP에 1.50 커널 애드온 v2를 포함한 커펌 3.71 M33-2 설치 가능
* 구형 PSP를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 가능
* 구형 PSP를 Extended Boot Menu를 이용해 커펌 3.52 M33을 설치하고 바로 3.52 M33-4 업데이트 설치 가능
* 판도라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울티메이트 로더로 PSP를 시작
* 지그킥배터리를 사용해서 XMB로 부팅 가능 (구형 PSP 전용)
* 메모리스틱으로부터 풀버전의 펌웨어 1.50으로 부팅 가능 (구형 PSP 전용)
* PSP Filer와 다른 프로그램 사용 가능 (만약 프로그램이 1.50 커널용이라면 신형 PSP에서는 구동 불가)
* 구형 PSP에 1.50 커널 애드온 v2를 포함한 커펌 3.71 M33-2 설치 가능
* 구형 PSP를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 가능
* 구형 PSP를 Extended Boot Menu를 이용해 커펌 3.52 M33을 설치하고 바로 3.52 M33-4 업데이트 설치 가능
* 판도라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울티메이트 로더로 PSP를 시작
* 지그킥배터리를 사용해서 XMB로 부팅 가능 (구형 PSP 전용)
* 메모리스틱으로부터 풀버전의 펌웨어 1.50으로 부팅 가능 (구형 PSP 전용)
* PSP Filer와 다른 프로그램 사용 가능 (만약 프로그램이 1.50 커널용이라면 신형 PSP에서는 구동 불가)
이 프로그램은 고급레벨용입니다. PSP에 대해 잘 알고 판도라의 배터리 종류와 그 역할에 대해 자세히 알고 계신 분만 설치하세요.
설치법은 위 출처에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단순한 번역을 한 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간략하게 생략된 내용이라 쉽게 이해하기는 어려울 것 같네요. 각 프로그램에 대해 자세히 추가하고 싶어도 몇 일이 걸려도 모자를 것 같아서 포기 ㅡㅡ;
판도라 울티메이트 매직 스틱 인스톨러 v2 설치법 열기
아래 설치법은 메모리스틱과 구형배터리가 하나밖에 없는 PSP 사용자가 판도라 세트는 유지한채 여러가지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이며 1.50 커널이 지원되는 커펌이 설치된 구형 PSP에서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행하기 전에 시스템언어는 영어로 설정하고, PTF 테마나 배경화면이 지정되어 있다면 해제하세요.
* Download : Pandora's Ultimate Magic Stick Installer - 아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첨부파일을 받아 그 안의 압축파일을 모두 따로 풀어두세요. 각 프로그램 설치 과정에 맞는 폴더를 잘 선택해서 설치하면 됩니다.
* Download : 공식 펌웨어 모음 - 펌웨어 1.50 / 3.40 / 3.71의 EBOOT.PBP 파일이 따로 필요합니다.
-------------------------------- 가이드 시작------------------------------------
현재 메모리스틱 프로 듀오의 73.5MB의 용량을 차지합니다.
1) Pandora's GUI v1.5 lite를 사용해서 판도라 v1 설치
---1.1)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가 게임 폴더의 커널을 1.50 커널로 설정한다.
---1.2) 윈도우 XP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화면상의 설치법에 따라서만 설치하면 쉽다.
---1.3) 지그킥배터리까지 생성이 완료되면 PSP를 완전히 끄고, 메모리스틱과 배터리를 제거한 뒤에, AC 아답터만 연결해서 PSP를 XMB로 부팅한다.
---1.4) XMB로 부팅된 후에 메모리스틱과 배터리를 다시 삽입한다.
----------------------신형 PSP 사용자는 바로 4번 과정으로 가세요---------------------------------------
2) 이제 MS Multi Loader를 설치
---2.1) 메모리스틱 상위에 ipl 폴더를 복사하고, PSP의 USB 연결을 해제한다.
---2.2) PSP_MS_MULTI_LOADER 폴더의 install_psp_ms_multi_loader_ipl.cmd 파일을 더블클릭한다.
---2.3) USB를 통해 PSP를 다시 연결한다.
---2.4) 메모리스틱 프로 듀오에 IPL을 설치하기 위해 "Are You Sure ?[Y]"라는 메세지가 나오면 "Y"를 입력한다.
---2.5) 완료되면 PSP를 완전히 종료한다.
---2.6) 배터리를 다시 삽입한다. (아마도 XMB로 바로 부팅될 것이다.)
3) 이제 Extended Pandora Menu를 설치
---3.1) EPBMINSTALL 폴더를 ms0:/PSP/GAME 또는 ms0:/PSP/GAME150 폴더로 복사한다.
---3.2) XMB에서 'Extended Boot Menu Installer'를 실행한다.
---3.3) 메뉴화면에서 엑스버튼을 누른다.
---3.4) PSP의 전원을 종료하고 다시 부팅한다.
4) 기타 파일의 추가
---4.1) 신형 PSP 사용자는 '3.52 M33 Firmware Installer' 폴더 안의 'PSP' 폴더를 메모리스틱 상위에 복사하고, 구형 PSP 사용자는 '3.52 M33 Firmware Installer'의 하위 폴더인 'M33UPDATE_352' 폴더에서 EBOOT.PBP 파일만 복사해서 ms0:/PSP/GAME/cfwupdate/ 폴더를 직접 만들어 그 안에 넣는다. 그리고 'M33 Update 4' 폴더 안의 'PSP/GAME150' 폴더 안에 있는 'M33Update4' 폴더를 ms0:/PSP/GAME150/ 폴더에 복사한다.
---4.2) '150kernel_addon2' 폴더 안의 'UPDATE'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한다.
---4.3) 구형 PSP 사용자는 'PSPfiler For EBM' 폴더의 'maint'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한다.
---4.4) USB 연결을 해제하지 말고 5번 과정으로 진행한다.
5) Ultimate Loader의 설치 1
---5.1) 메모리스틱의 모든 내용물을 백업한다.
---5.2) 'Ultimate Loader (Universal)' 폴더 안의 menuloader.prx 파일과 mainmenu.elf 파일을 백업한 'kd' 폴더로 복사한다.
---5.3) '352---pspbtcnf.txt' 파일의 이름을 'pspbtcnf.txt'로 변경하고 백업한 'kd' 폴더에 덮어쓴다.
---5.4) 백업한 'kd' 폴더와 'registry' 폴더의 이름을 'kd352', 'registry352'로 이름을 변경하고 다시 메모리스틱에 복사한다. (메모리스틱에 'kd' 폴더와 'kd352' 폴더, 'registry' 폴더와 'registry352' 폴더가 모두 있는지 확인해라.)
---5.5) PSP의 USB 연결을 해제한다.
다음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메모리스틱에 2개의 'kd' 폴더와 2개의 'registry' 폴더가 있는지 확인해라.
6) Despertar Cementerio v3의 설치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6.1) PSP의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가 게임 폴더의 커널을 3.xx로 설정한다.
---6.2) 공식 펌웨어 1.50, 3.40, 3.71 EBOOT.PBP 파일을 받아서 150.PBP, 340.PBP, 371.PBP로 이름을 변경해 메모리스틱 상위에 복사하고, 'despertar_cementerio' 폴더는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한다.
---6.3) 2.x 또는 3.x 커널을 가진 커펌에서 'Despertar Cementerio'를 실행한다.
---6.4) 완료되면 메모리스틱을 빼고 PSP를 종료한다. 그리고 다시 메모리스틱을 삽입하고 XMB로 부팅한다.
7) Ultimate Loader의 설치 2
---7.1) PSP를 다시 USB로 연결한다.
---7.2) 'Ultimate Loader (Universal)' 폴더 안의 menuloader.prx 파일과 mainmenu.elf 파일을 'kd' 폴더로 복사한다.
---7.3) '371---pspbtcnf.txt' 파일의 이름을 'pspbtcnf.txt'로 변경하고 'kd' 폴더에 덮어쓴다.
---7.4) 이제 340.pbp와 150.pbp 파일을 삭제한다. (update.pbp나 371.pbp 파일은 삭제하지 말 것) 그리고 'Despertar Cementerio v3' 폴더와 'EPBMINSTALL' 폴더도 삭제한다. 지그킥 배터리의 변환/복구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ms0:/PSP/GAME/ 폴더의 판도라 배터리 폴더 역시 삭제해도 된다.
8) 추가 과정 : 여분의 다른 메모리스틱 (구형 PSP 전용) 이것은 위에서 만든 메모리스틱이 아닌 여분의 보통 메모리스틱으로도 지그킥배터리를 보통의 배터리처럼 XMB로 부팅할 수 있게 해주는 과정입니다.
---8.1 윈도우 XP/2000의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psp_normal_boot_loader' 폴더의 'install.cmd' 파일을 더블클릭한다.
---8.2 PSP에 보통의 메모리스틱을 삽입하고 PC와 USB로 연결한다.
---8.3 'Are You Sure ?[Y]'라는 메세지가 나오면 'y'를 입력한다.
---8.4 몇 초 후에 PSP의 USB 연결을 해제한다.
몇 가지 사용법 노트 :
1) XMB로 부팅하고 싶다면 그냥 PSP를 부팅하면 된다.
2) Ultimate Loader 메뉴를 실행하고 싶다면 L트리거를 누른채 부팅한다.
3) Ultimate Loader 메뉴에서 L트리거나 R트리거를 누르면 판도라 메뉴나 Extended Boot 메뉴를 실행하지 않고도 활성화하고자 하는 폴더를 변경할 수 있다.
4) 나머지는 각각의 프로그램의 설명을 참고하면 된다.
5) 구형 PSP에서 슬립모드에서 복귀할때는 반드시 L트리거를 누른 상태에서 복귀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PSP를 XMB로 재부팅된다.
6) Extended Menu에서 실행할 홈브류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방법.
---6.1) Extended Menu로 부팅한다.
---6.2) 'launch custom app with flash0:/access' 메뉴 위에서 동그라미버튼을 누른다.
---6.3) 실행하려는 프로그램을 엑스버튼으로 선택한다.
---6.4) 이제 'launch custom app with flash0:/access' 메뉴를 다시 엑스버튼으로 선택하면 선택한 홈브류가 실행된다.
추가 사항 1 - Maxsafe 설치
이것은 구형 PSP에서 판도라 v1으로부터 낸드이미지와 idstorage를 백업/복구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수정되지 않은 key를 덤프하기 위해서는 kxploitpatcher로 5번 key가 수정되기 전에 덤프를 해야합니다.
---1.1) Ultimate loader에서 폴더를 3.52로 설정한다. 메모리스틱의 현재 폴더가 3.52M33이라고 나오는지 확인해라.
---1.2) PSP를 USB로 연결하고 'MaxSafe' 폴더를 ms0:/PSP/GAME150/ 폴더로 복사한다.
---1.3) USB 연결을 해제하고 XMB에서 'Maxsafe Installer'를 실행한다.
---1.4) PSP를 다시 USB로 연결한다.
---1.5) GAME150/ 폴더에서 'Maxsafe' 폴더를 삭제한다.
사용법 : Ultimate loader에서 폴더를 3.52 버전으로 설정하고 EPBM 메뉴에서 판도라 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밝기 버튼을 누르면 기존의 판도라 메뉴 대신에 maxsafe 메뉴가 나타날 것이다. 메뉴에서의 기능은...
1) X - update.pbp 파일을 사용해서 다운그레이드한다. (예를 들어 판도라 v1의 펌웨어 1.50 등)
2) 0 - 낸드이미지를 nand-dump.bin 파일로 백업한다.
3) [] - nandimage.flash 파일로부터 낸드이미지를 복구한다. (bin 파일의 이름을 'nandimage.flash'로 변경해야 함)
4) /\ - 'nand-dump.bin' 파일의 이름을 'nandimage.flash'로 변경한다.
개발자에 따르면 이 기능은 덤프 파일을 삭제하는 버그가 있다고 합니다. 그냥 덤프 파일의 이름은 수동으로 변경해주세요.
5) R트리거 - IDStorage를 메모리스틱으로 백업한다. ms0:/kd/idstorage_backup/backup.back 파일로 key값을 백업한다.
6) Start + Select - 메모리스틱으로부터 idstorage를 복구한다.
7) Home - PSP를 종료한다.
추가 사항 2 - KeyCleaner 설치
1) PSP를 USB로 연결한다.
2) 'KeyCleaner'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한다.
3) PSP의 USB 연결을 해제한다.
4) Extended Menu로 부팅한다.
5) 'launch custom app with flash0:/access' 메뉴 위에서 들어가 동그라미버튼을 누른다.
6) keycleaner를 엑스버튼으로 선택한다.
7) 이제 'launch custom app with flash0:/access' 메뉴를 다시 엑스버튼으로 선택한다. Keycleaner가 로드된다.
그리고 실행하기 전에 시스템언어는 영어로 설정하고, PTF 테마나 배경화면이 지정되어 있다면 해제하세요.
* Download : Pandora's Ultimate Magic Stick Installer - 아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첨부파일을 받아 그 안의 압축파일을 모두 따로 풀어두세요. 각 프로그램 설치 과정에 맞는 폴더를 잘 선택해서 설치하면 됩니다.
* Download : 공식 펌웨어 모음 - 펌웨어 1.50 / 3.40 / 3.71의 EBOOT.PBP 파일이 따로 필요합니다.
-------------------------------- 가이드 시작------------------------------------
현재 메모리스틱 프로 듀오의 73.5MB의 용량을 차지합니다.
1) Pandora's GUI v1.5 lite를 사용해서 판도라 v1 설치
---1.1)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가 게임 폴더의 커널을 1.50 커널로 설정한다.
---1.2) 윈도우 XP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화면상의 설치법에 따라서만 설치하면 쉽다.
---1.3) 지그킥배터리까지 생성이 완료되면 PSP를 완전히 끄고, 메모리스틱과 배터리를 제거한 뒤에, AC 아답터만 연결해서 PSP를 XMB로 부팅한다.
---1.4) XMB로 부팅된 후에 메모리스틱과 배터리를 다시 삽입한다.
----------------------신형 PSP 사용자는 바로 4번 과정으로 가세요---------------------------------------
2) 이제 MS Multi Loader를 설치
---2.1) 메모리스틱 상위에 ipl 폴더를 복사하고, PSP의 USB 연결을 해제한다.
---2.2) PSP_MS_MULTI_LOADER 폴더의 install_psp_ms_multi_loader_ipl.cmd 파일을 더블클릭한다.
---2.3) USB를 통해 PSP를 다시 연결한다.
---2.4) 메모리스틱 프로 듀오에 IPL을 설치하기 위해 "Are You Sure ?[Y]"라는 메세지가 나오면 "Y"를 입력한다.
---2.5) 완료되면 PSP를 완전히 종료한다.
---2.6) 배터리를 다시 삽입한다. (아마도 XMB로 바로 부팅될 것이다.)
3) 이제 Extended Pandora Menu를 설치
---3.1) EPBMINSTALL 폴더를 ms0:/PSP/GAME 또는 ms0:/PSP/GAME150 폴더로 복사한다.
---3.2) XMB에서 'Extended Boot Menu Installer'를 실행한다.
---3.3) 메뉴화면에서 엑스버튼을 누른다.
---3.4) PSP의 전원을 종료하고 다시 부팅한다.
4) 기타 파일의 추가
---4.1) 신형 PSP 사용자는 '3.52 M33 Firmware Installer' 폴더 안의 'PSP' 폴더를 메모리스틱 상위에 복사하고, 구형 PSP 사용자는 '3.52 M33 Firmware Installer'의 하위 폴더인 'M33UPDATE_352' 폴더에서 EBOOT.PBP 파일만 복사해서 ms0:/PSP/GAME/cfwupdate/ 폴더를 직접 만들어 그 안에 넣는다. 그리고 'M33 Update 4' 폴더 안의 'PSP/GAME150' 폴더 안에 있는 'M33Update4' 폴더를 ms0:/PSP/GAME150/ 폴더에 복사한다.
---4.2) '150kernel_addon2' 폴더 안의 'UPDATE'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한다.
---4.3) 구형 PSP 사용자는 'PSPfiler For EBM' 폴더의 'maint'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한다.
---4.4) USB 연결을 해제하지 말고 5번 과정으로 진행한다.
5) Ultimate Loader의 설치 1
---5.1) 메모리스틱의 모든 내용물을 백업한다.
---5.2) 'Ultimate Loader (Universal)' 폴더 안의 menuloader.prx 파일과 mainmenu.elf 파일을 백업한 'kd' 폴더로 복사한다.
---5.3) '352---pspbtcnf.txt' 파일의 이름을 'pspbtcnf.txt'로 변경하고 백업한 'kd' 폴더에 덮어쓴다.
---5.4) 백업한 'kd' 폴더와 'registry' 폴더의 이름을 'kd352', 'registry352'로 이름을 변경하고 다시 메모리스틱에 복사한다. (메모리스틱에 'kd' 폴더와 'kd352' 폴더, 'registry' 폴더와 'registry352' 폴더가 모두 있는지 확인해라.)
---5.5) PSP의 USB 연결을 해제한다.
다음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메모리스틱에 2개의 'kd' 폴더와 2개의 'registry' 폴더가 있는지 확인해라.
6) Despertar Cementerio v3의 설치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6.1) PSP의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가 게임 폴더의 커널을 3.xx로 설정한다.
---6.2) 공식 펌웨어 1.50, 3.40, 3.71 EBOOT.PBP 파일을 받아서 150.PBP, 340.PBP, 371.PBP로 이름을 변경해 메모리스틱 상위에 복사하고, 'despertar_cementerio' 폴더는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한다.
---6.3) 2.x 또는 3.x 커널을 가진 커펌에서 'Despertar Cementerio'를 실행한다.
---6.4) 완료되면 메모리스틱을 빼고 PSP를 종료한다. 그리고 다시 메모리스틱을 삽입하고 XMB로 부팅한다.
7) Ultimate Loader의 설치 2
---7.1) PSP를 다시 USB로 연결한다.
---7.2) 'Ultimate Loader (Universal)' 폴더 안의 menuloader.prx 파일과 mainmenu.elf 파일을 'kd' 폴더로 복사한다.
---7.3) '371---pspbtcnf.txt' 파일의 이름을 'pspbtcnf.txt'로 변경하고 'kd' 폴더에 덮어쓴다.
---7.4) 이제 340.pbp와 150.pbp 파일을 삭제한다. (update.pbp나 371.pbp 파일은 삭제하지 말 것) 그리고 'Despertar Cementerio v3' 폴더와 'EPBMINSTALL' 폴더도 삭제한다. 지그킥 배터리의 변환/복구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ms0:/PSP/GAME/ 폴더의 판도라 배터리 폴더 역시 삭제해도 된다.
8) 추가 과정 : 여분의 다른 메모리스틱 (구형 PSP 전용) 이것은 위에서 만든 메모리스틱이 아닌 여분의 보통 메모리스틱으로도 지그킥배터리를 보통의 배터리처럼 XMB로 부팅할 수 있게 해주는 과정입니다.
---8.1 윈도우 XP/2000의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psp_normal_boot_loader' 폴더의 'install.cmd' 파일을 더블클릭한다.
---8.2 PSP에 보통의 메모리스틱을 삽입하고 PC와 USB로 연결한다.
---8.3 'Are You Sure ?[Y]'라는 메세지가 나오면 'y'를 입력한다.
---8.4 몇 초 후에 PSP의 USB 연결을 해제한다.
몇 가지 사용법 노트 :
1) XMB로 부팅하고 싶다면 그냥 PSP를 부팅하면 된다.
2) Ultimate Loader 메뉴를 실행하고 싶다면 L트리거를 누른채 부팅한다.
3) Ultimate Loader 메뉴에서 L트리거나 R트리거를 누르면 판도라 메뉴나 Extended Boot 메뉴를 실행하지 않고도 활성화하고자 하는 폴더를 변경할 수 있다.
4) 나머지는 각각의 프로그램의 설명을 참고하면 된다.
5) 구형 PSP에서 슬립모드에서 복귀할때는 반드시 L트리거를 누른 상태에서 복귀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PSP를 XMB로 재부팅된다.
6) Extended Menu에서 실행할 홈브류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방법.
---6.1) Extended Menu로 부팅한다.
---6.2) 'launch custom app with flash0:/access' 메뉴 위에서 동그라미버튼을 누른다.
---6.3) 실행하려는 프로그램을 엑스버튼으로 선택한다.
---6.4) 이제 'launch custom app with flash0:/access' 메뉴를 다시 엑스버튼으로 선택하면 선택한 홈브류가 실행된다.
추가 사항 1 - Maxsafe 설치
이것은 구형 PSP에서 판도라 v1으로부터 낸드이미지와 idstorage를 백업/복구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수정되지 않은 key를 덤프하기 위해서는 kxploitpatcher로 5번 key가 수정되기 전에 덤프를 해야합니다.
---1.1) Ultimate loader에서 폴더를 3.52로 설정한다. 메모리스틱의 현재 폴더가 3.52M33이라고 나오는지 확인해라.
---1.2) PSP를 USB로 연결하고 'MaxSafe' 폴더를 ms0:/PSP/GAME150/ 폴더로 복사한다.
---1.3) USB 연결을 해제하고 XMB에서 'Maxsafe Installer'를 실행한다.
---1.4) PSP를 다시 USB로 연결한다.
---1.5) GAME150/ 폴더에서 'Maxsafe' 폴더를 삭제한다.
사용법 : Ultimate loader에서 폴더를 3.52 버전으로 설정하고 EPBM 메뉴에서 판도라 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밝기 버튼을 누르면 기존의 판도라 메뉴 대신에 maxsafe 메뉴가 나타날 것이다. 메뉴에서의 기능은...
1) X - update.pbp 파일을 사용해서 다운그레이드한다. (예를 들어 판도라 v1의 펌웨어 1.50 등)
2) 0 - 낸드이미지를 nand-dump.bin 파일로 백업한다.
3) [] - nandimage.flash 파일로부터 낸드이미지를 복구한다. (bin 파일의 이름을 'nandimage.flash'로 변경해야 함)
4) /\ - 'nand-dump.bin' 파일의 이름을 'nandimage.flash'로 변경한다.
개발자에 따르면 이 기능은 덤프 파일을 삭제하는 버그가 있다고 합니다. 그냥 덤프 파일의 이름은 수동으로 변경해주세요.
5) R트리거 - IDStorage를 메모리스틱으로 백업한다. ms0:/kd/idstorage_backup/backup.back 파일로 key값을 백업한다.
6) Start + Select - 메모리스틱으로부터 idstorage를 복구한다.
7) Home - PSP를 종료한다.
추가 사항 2 - KeyCleaner 설치
1) PSP를 USB로 연결한다.
2) 'KeyCleaner'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한다.
3) PSP의 USB 연결을 해제한다.
4) Extended Menu로 부팅한다.
5) 'launch custom app with flash0:/access' 메뉴 위에서 들어가 동그라미버튼을 누른다.
6) keycleaner를 엑스버튼으로 선택한다.
7) 이제 'launch custom app with flash0:/access' 메뉴를 다시 엑스버튼으로 선택한다. Keycleaner가 로드된다.
직접 설치하면서 동시에 동영상을 찍었는데, 해상도 문제도 있고 알아보기는 힘들 것 같네요.
참고하실 분들은 반드시 위의 설치법과 하나하나 대조해가면서 차근차근 시도해보세요.
게다가 PSP에서 작업하는 영상은 못찍었습니다. 음악이 건너뛰는 부분은 PSP에서 작업했다는 것만 알아두세요.
위의 설치법은 정말 무지하게 복잡한데 반해 원리 자체는 간단합니다.
* PSP에 위에서 만든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끼우면 바로 XMB로 부팅되며, 보통처럼 사용가능합니다.
* L트리거를 누른채 위에서 만든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끼우면 울티메이트 메뉴가 뜹니다.
- 울티메이트 메뉴에서는 기존의 EPM v0.84가 포함된 오리지날 판도라 메뉴를 실행할 것인지 (구형 전용)
- 아니면 Dark_AleX의 유니버셜 언브리커 v3을 실행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구형 / 신형 전용)
* EPM v0.84가 포함된 오리지날 판도라 메뉴를 실행했다면, 커펌 설치나 1.50 부팅, 다운그레이드, USB 연결, 각종 홈브류 실행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유니버셜 언브리커 v3을 실행했다면 커펌 3.71 M33-2 설치, 정펌 3.71 설치, 낸드 백업/복구 등을 할 수 있습니다.
* L트리거를 누른채 위에서 만든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끼우면 울티메이트 메뉴가 뜹니다.
- 울티메이트 메뉴에서는 기존의 EPM v0.84가 포함된 오리지날 판도라 메뉴를 실행할 것인지 (구형 전용)
- 아니면 Dark_AleX의 유니버셜 언브리커 v3을 실행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구형 / 신형 전용)
* EPM v0.84가 포함된 오리지날 판도라 메뉴를 실행했다면, 커펌 설치나 1.50 부팅, 다운그레이드, USB 연결, 각종 홈브류 실행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유니버셜 언브리커 v3을 실행했다면 커펌 3.71 M33-2 설치, 정펌 3.71 설치, 낸드 백업/복구 등을 할 수 있습니다.
# 예전에 오리지날 매직메모리스틱과 유니버셜 메모리스틱을 하나의 메모리스틱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적은 적이 있었는데, 이 과정을 자동으로 해주고 여러가지 추가기능을 통합한 프로그램입니다.
# 사실 더 간편하게 설치할 수도 있는데, 위 설치법은 매직메모리스틱을 아예 처음부터 만든다고 가정한거라서 많이 복잡하죠. 그러니 자신 있거나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분들만 시도해 보세요. ^^
* 관련글 보기 * - 종류가 많죠?? ㅜㅜ
2007/10/09 - [판도라의 배터리] - 유니버셜 언브리커-자주 묻는 질문
2007/10/05 - [판도라의 배터리] -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2007/10/03 - [판도라의 배터리] - 커펌 PSP 없이 매직 메모리스틱 만들기
2007/09/29 - [판도라의 배터리] - 오리지날+유니버셜 매직 메모리스틱
2007/09/29 - [판도라의 배터리] - 판도라의 배터리 분류/종합
2007/09/29 - [판도라의 배터리] -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 Rev. 2
2007/09/29 - [판도라의 배터리] - 유비버셜 언브리커 v2 - 구형/신형 PSP 벽돌 복구 프로그램
2007/09/27 - [판도라의 배터리] -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
2007/09/22 - [판도라의 배터리] - PSP MS Multiloader IPL
2007/09/21 - [판도라의 배터리] - Extended Pandora Bootmenu v0.84
2007/09/20 - [판도라의 배터리] - Pandora's GUI v1.5
2007/09/17 - [판도라의 배터리] - 판도라 메뉴 확장 - Extended Pandora Bootmenu v0.8
2007/09/12 - [판도라의 배터리] - 판도라 배터리 노멀 모드로 사용하기
2007/08/23 - [판도라의 배터리] - Pandora's Battery 복구 영상
2007/08/23 - [판도라의 배터리] - Pandora's Battery - 벽돌복구 및 모든 펌웨어 다운그레이드
'포포츠 백업 + NEW > 판도라's 밧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Ultra Recovery Pandora Mode Extender V1 (0) | 2010.12.30 |
---|---|
신형배터리도 지그킥배터리로 변환 가능?? (0) | 2010.12.30 |
유니버셜 언브리커-자주 묻는 질문 (0) | 2010.12.30 |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0) | 2010.12.30 |
커펌 PSP 없이 매직 메모리스틱 만들기 (0) | 2010.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