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아얄쉘 3.6 - USBHost / NetHost
포포츠 백업 + NEW/홈브류 - 아얄쉘
2011. 1. 2. 22:26
이제 PSP에서 PC의 하드디스크에 접속 가능하도록 해주는 USB Host와 Net Host의 설치법과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USB Host와 Net Host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얄쉘의 설정 메뉴의 Non Media Access 항목이 기본값인 Enable로 설정되어 있어야 하므로 실행하기 전에 확인해 주세요.
(1.50용 아얄쉘과 3.52용 아얄쉘을 각각 따로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아얄쉘 v3.6 USB Host 연결법 열기
우선 http://dl.qj.net/usbhostfs-PC-Win-v1.5-PSP-Homebrew-Applications/pg/12/fid/12666/catid/151를 받아 적당한 곳에 압축을 풀어놓습니다. 그리고 그 안에 ISO, PSP 폴더 등 기존 메모리스틱과 동일한 폴더들를 생성합니다.
저는 D:\HDDSTICK 이라는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위와 같이 해당 파일을 넣어 놓았습니다.
이제 usbhostfs.exe를 실행하면 위와 같은 도스창이 뜨게 됩니다. 이 프로그램이 USBhost를 가능하게 해주며 USBhost 사용중에는 절대 닫으면 안됩니다.
그리고 PC와 PSP를 USB선으로 연결한뒤 아얄쉘을 실행해 중간의 Toggle USBHost를 선택합니다.
만약 USBhost를 처음 사용한다면 위와 같이 연결할 수 없다는 메세지가 나오고 PC에는 새 하드웨어 검색 마법사 창이 뜹니다. USBhost를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드라이버(Type B)가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인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하면 됩니다.
이처럼 PC에서 새 하드웨어 검색 마법사가 시작됩니다.
그럼 목록 또는 특정 위치에서 설치를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위 화면처럼 가장 적합한 드라이버 검색을 선택하고 검색할 때의 위치를 위에서 만든 폴더를 지정해줍니다. (저같은 경우 D:\HDDSTICK\driver 폴더가 되겠죠.)
아니면 검색안 함을 선택하고 직접 드라이버를 지정해 주어도 됩니다.
잠시 후 설치가 끝나고 Type B 드라이버의 설치가 완료됩니다.
* 만약 다운그레이드한 신기판일 경우 새 하드웨어 검색 마법사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Tybe B 드라이버까지 설치를 끝냈다면 이제 다시 아얄쉘의 Toggle USBHost 메뉴를 선택합니다.
그럼 위와 같이 USBhostFS 창에 장치가 연결되었다는 메세지가 뜨며 이제 USBhost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집니다.
아얄쉘의 파일 브라우저 메뉴로 가서 ms0:/이 아닌 usbhost0:/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화면 아래쪽의 연결 아이콘을 확인하세요.)
위처럼 PC 하드디스크 내의 파일들이 잘 보인다면 성공입니다.
이제 PC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을 기존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1.50용 아얄쉘에서는 하드디스크내의 홈브류등을 실행할 수 있고 3.52용 아얄쉘에서는 하드디스크내의 ISO/CSO 파일을 실행할 수 있게됩니다.
저는 D:\HDDSTICK 이라는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위와 같이 해당 파일을 넣어 놓았습니다.
이제 usbhostfs.exe를 실행하면 위와 같은 도스창이 뜨게 됩니다. 이 프로그램이 USBhost를 가능하게 해주며 USBhost 사용중에는 절대 닫으면 안됩니다.
그리고 PC와 PSP를 USB선으로 연결한뒤 아얄쉘을 실행해 중간의 Toggle USBHost를 선택합니다.
만약 USBhost를 처음 사용한다면 위와 같이 연결할 수 없다는 메세지가 나오고 PC에는 새 하드웨어 검색 마법사 창이 뜹니다. USBhost를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드라이버(Type B)가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인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하면 됩니다.
Tybe B 드라이버 설치법 열기
이처럼 PC에서 새 하드웨어 검색 마법사가 시작됩니다.
그럼 목록 또는 특정 위치에서 설치를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위 화면처럼 가장 적합한 드라이버 검색을 선택하고 검색할 때의 위치를 위에서 만든 폴더를 지정해줍니다. (저같은 경우 D:\HDDSTICK\driver 폴더가 되겠죠.)
아니면 검색안 함을 선택하고 직접 드라이버를 지정해 주어도 됩니다.
잠시 후 설치가 끝나고 Type B 드라이버의 설치가 완료됩니다.
* 만약 다운그레이드한 신기판일 경우 새 하드웨어 검색 마법사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Tybe B 드라이버까지 설치를 끝냈다면 이제 다시 아얄쉘의 Toggle USBHost 메뉴를 선택합니다.
그럼 위와 같이 USBhostFS 창에 장치가 연결되었다는 메세지가 뜨며 이제 USBhost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집니다.
아얄쉘의 파일 브라우저 메뉴로 가서 ms0:/이 아닌 usbhost0:/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화면 아래쪽의 연결 아이콘을 확인하세요.)
위처럼 PC 하드디스크 내의 파일들이 잘 보인다면 성공입니다.
이제 PC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을 기존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1.50용 아얄쉘에서는 하드디스크내의 홈브류등을 실행할 수 있고 3.52용 아얄쉘에서는 하드디스크내의 ISO/CSO 파일을 실행할 수 있게됩니다.
아얄쉘 v3.6 Net Host 연결법 열기
NetHost 연결을 위해서는 몇가지 준비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우선 위의 USB host 연결법을 참고해서 PC의 하드디스크내에 메모리스틱의 구조와 동일한 임의의 폴더를 만들어두고, Type B 드라이버까지 설치된 상태여야 합니다.
그리고 당연히 무선연결을 위한 것이므로 무선공유기 또는 랜스틱이 필요합니다. 즉, PSP로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상태여야 합니다.
그리고 위에서 말한 무선공유기 또는 랜스틱을 사용해서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 정상 실행되는 연결 설정을 만들어둡니다. (위의 예에서는 'iptime'이란 이름으로 만들었습니다.)
이 과정까지 끝났다면 본격적인 Net Host 연결을 해보겠습니다.
http://dl.qj.net/Network-Host-File-System-Server-1.6-(Windows-Versi-PSP-Homebrew-Applications/pg/12/fid/11532/catid/190 를 받아 압축을 푼뒤 USBHostFS.exe와 동일한 임의의 폴더에 복사합니다. (위의 예에서는 d:\HDDSTICK 폴더입니다.)
그리고 nethostfs.exe 실행시켜 NetHost 도스창을 PC에 띄워놓습니다.
(Net Host 연결중일때는 이 창을 절대 닫으면 안됩니다.)
이제 Net Host 설정을 위해 PSP에서 아얄쉘을 실행하고 아얄쉘의 설정메뉴로 들어가서 자신에 무선 환경에 맞는 설정을 해야 합니다.
(역시 1.50용 아얄쉘과 3.52용 아얄쉘에서 각각 따로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이제 아얄쉘 메인 메뉴화면에서 Toggle NetHost를 선택합니다.
잠시 연결과정이 나온 후 정상 연결이 되면 화면 하단에 NetHost 연결 아이콘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PC의 NetHostFS.exe에는 연결이 성공되었다는 메세지가 나오게 됩니다.
연결 성공 후 아얄쉘의 nethost0:/ 으로 들어가면 위처럼 PC내의 폴더와 파일들이 보이게 됩니다.
이제 PC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을 기존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1.50용 아얄쉘에서는 하드디스크내의 홈브류등을 실행할 수 있고 3.52용 아얄쉘에서는 하드디스크내의 ISO/CSO 파일을 실행할 수 있게됩니다.
우선 위의 USB host 연결법을 참고해서 PC의 하드디스크내에 메모리스틱의 구조와 동일한 임의의 폴더를 만들어두고, Type B 드라이버까지 설치된 상태여야 합니다.
그리고 당연히 무선연결을 위한 것이므로 무선공유기 또는 랜스틱이 필요합니다. 즉, PSP로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상태여야 합니다.
그리고 위에서 말한 무선공유기 또는 랜스틱을 사용해서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 정상 실행되는 연결 설정을 만들어둡니다. (위의 예에서는 'iptime'이란 이름으로 만들었습니다.)
이 과정까지 끝났다면 본격적인 Net Host 연결을 해보겠습니다.
http://dl.qj.net/Network-Host-File-System-Server-1.6-(Windows-Versi-PSP-Homebrew-Applications/pg/12/fid/11532/catid/190 를 받아 압축을 푼뒤 USBHostFS.exe와 동일한 임의의 폴더에 복사합니다. (위의 예에서는 d:\HDDSTICK 폴더입니다.)
그리고 nethostfs.exe 실행시켜 NetHost 도스창을 PC에 띄워놓습니다.
(Net Host 연결중일때는 이 창을 절대 닫으면 안됩니다.)
이제 Net Host 설정을 위해 PSP에서 아얄쉘을 실행하고 아얄쉘의 설정메뉴로 들어가서 자신에 무선 환경에 맞는 설정을 해야 합니다.
XMB Network for NetHost : 방향키 좌/우로 XMB에서 설정한 네트워크 연결설정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위의 예에서는 'iptime'이었으므로 그것을 선택합니다.)
NetHost IP/Name (AP) : 공유기 내부네트워크에서 PC에 할당된 아이피를 입력합니다.
(대부분 192.168.0.2 ~ 192.168.0.255 사이에서 결정됩니다. 자세한 것은 공유기의 설명서 등을 참고하거나 PC의 명령프롬프트에서 'ipconfig' 명령어로 알 수 있습니다.)
NetHost IP (Adhoc) : PSP의 애드훅기능을 이용해 NetHost를 사용할 경우 아이피를 지정하는 메뉴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추가 파일 설치가 필요하므로 생략합니다.
NetHost Port : 포트 설정 메뉴입니다. 기본값으로 두면 됩니다.
NetHost Password : 무선연결 암호가 설정되어 있다면 여기서 지정해줍니다.
NetHost/UMD Compatibility : Net Host 연결을 통한 ISO 구동시 호환성을 설정합니다. Maximum으로 설정하면 ISO 구동시 느려짐이 개선되지만 MP3를 동시에 재생할 수 없거나 게임 사운드를 끄지 못하는 등의 제약이 있으므로 Normal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나머지 설정은 그냥 기본값으로 두고 동그라미 버튼을 눌러 설정을 저장합니다.NetHost IP/Name (AP) : 공유기 내부네트워크에서 PC에 할당된 아이피를 입력합니다.
(대부분 192.168.0.2 ~ 192.168.0.255 사이에서 결정됩니다. 자세한 것은 공유기의 설명서 등을 참고하거나 PC의 명령프롬프트에서 'ipconfig' 명령어로 알 수 있습니다.)
NetHost IP (Adhoc) : PSP의 애드훅기능을 이용해 NetHost를 사용할 경우 아이피를 지정하는 메뉴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추가 파일 설치가 필요하므로 생략합니다.
NetHost Port : 포트 설정 메뉴입니다. 기본값으로 두면 됩니다.
NetHost Password : 무선연결 암호가 설정되어 있다면 여기서 지정해줍니다.
NetHost/UMD Compatibility : Net Host 연결을 통한 ISO 구동시 호환성을 설정합니다. Maximum으로 설정하면 ISO 구동시 느려짐이 개선되지만 MP3를 동시에 재생할 수 없거나 게임 사운드를 끄지 못하는 등의 제약이 있으므로 Normal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역시 1.50용 아얄쉘과 3.52용 아얄쉘에서 각각 따로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이제 아얄쉘 메인 메뉴화면에서 Toggle NetHost를 선택합니다.
잠시 연결과정이 나온 후 정상 연결이 되면 화면 하단에 NetHost 연결 아이콘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PC의 NetHostFS.exe에는 연결이 성공되었다는 메세지가 나오게 됩니다.
연결 성공 후 아얄쉘의 nethost0:/ 으로 들어가면 위처럼 PC내의 폴더와 파일들이 보이게 됩니다.
이제 PC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을 기존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1.50용 아얄쉘에서는 하드디스크내의 홈브류등을 실행할 수 있고 3.52용 아얄쉘에서는 하드디스크내의 ISO/CSO 파일을 실행할 수 있게됩니다.
# USB/Net Host와 USB/NET Host Redirection의 차이점
아얄쉘의 HOST연결에는 2가지가 있는데 보통의 Host 연결과 Host Redirection 연결입니다. 보통의 Host 연결은 USB 또는 무선을 통해 연결된 PC의 하드디스크를 외부장치로 인식하는 반면 Host Redirection은 하드디스크를 또 하나의 메모리스틱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그런데 몇몇 홈브류에서는 실행파일이 메모리스틱에 있어야만 실행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보통의 Host 연결로는 하드디스크의 홈브류를 실행하지 못하고 Host Redirection 연결을 통해서만 실행 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포포츠 백업 + NEW > 홈브류 - 아얄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얄쉘 3.6 - USBHost / NetHost (0) | 2011.01.02 |
---|---|
아얄쉘 3.6 - 비디오 UMD 구동 / Launch XMB (0) | 2011.01.02 |
아얄쉘 3.6 - 설정메뉴 / 플러그인 (0) | 2011.01.02 |
아얄쉘 3.6 - 기본기능 / 단축키 (0) | 2011.01.02 |
아얄쉘 3.6 - 설치방법 (0) | 2011.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