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4


주기적으로 작성하고 있는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네번째 글입니다.
사실 그 동안 ChickHEN의 발표와 그에 대응하는 커펌이 나오면서 이전 글을 업데이트할 필요를 느끼고는 있었는데, 예전 방식대로 글을 쓰면 복잡해서 알아보기도 힘들고, 끝도 없이 길어질 것 같아서 어떤 식으로 써야할지 도무지 감이 안잡히더군요. 그래서 표로 한 번 정리해봤는데, 더 복잡한 것도 같고 그렇네요.

* 이 글은 2009년 7월 7일 기준입니다. *
--------------------------------------------------------------------------------

# 정식펌웨어(이하 정펌)에서 커스텀펌웨어(이하 커펌)를 처음 설치하는 방법 #

1단계 : PSP의 기종 확인하기
- 자신의 PSP가 PSP-100X 시리즈인지, 200X 시리즈인지, 300X 시리즈인지 먼저 확인합니다. 설마 구분을 못하시는 분은 없겠죠? 이후에는 PSP-100X을 구형 PSP, PSP-200X를 신형 PSP, PSP-300X를 최신형 PSP라고 하겠습니다.

2단계 : PSP의 기판 확인하기
- PSP에 탑재되어 있는 메인보드는 그 종류가 나뉘어져 있는데, PSP-200X의 경우 이 기판 종류가 상당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그러니 PSP-200X의 경우 PSP-200X의 박스코드로 기판 확인하기 글을 참고해서 최소한 자신의 PSP가 TA-088 v3 기판인지 아닌지 정도는 알아두어야 합니다.
- 하지만 만약 홈브류가 구동 가능한 상태(커펌 또는 ChickHEN 이용)라면 PSPident라는 홈브류를 통해 PSP의 기판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3단계 : PSP의 현재 펌웨어 버전 확인하기
- XMB(PSP의 기본 화면)에서 설정 -> 시스템 설정 -> 시스템 정보 메뉴로 들어가면 '시스템소프트웨어' 항목에 현재 PSP에 설치되어 있는 펌웨어 버전이 표시됩니다. '버전 5.XX', ' 버전 4.XX' 등으로만 표시된다면 정펌을 의미하며, 그 외 다른 문자가 추가되어 있다면 이미 커펌이 설치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5.00 M33-6, 5.03 GEN-A 등등)

4단계 : 현재 자신의 PSP에 맞는 커펌 설치법 알아보기
- 자신의 기종 / 기판 / 펌웨어 버전(정펌)을 확인했다면 아래 표를 통해서 현재 PSP에 알맞은 커펌 설치 방법을 선택합니다. 현재 PSP의 펌웨어 버전보다 높은 펌웨어에서의 설치 방법은 PSP를 해당 정식 펌웨어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면 사용 가능하지만, 현재 PSP의 펌웨어 버전보다 낮은 펌웨어에서의 방법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정펌 4.01이라면 정펌 5.03으로 업데이트후 정펌 5.03에서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반대로 정펌 5.50의 경우에는 정펌 5.03의 방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빨간색 : 다운그레이더 이용, 파란색 : ChickHEN 이용, 녹색 : 판도라의 배터리 이용)              
구형 PSP
(PSP-100X)
펌웨어
1.50
 펌웨어
2.00
펌웨어
2.71
펌웨어
2.80
펌웨어
3.03
펌웨어
3.50
펌웨어
5.03
펌웨어
5.50 이상
 TA-079 / 081
A, P
B, P B, P B, P C, P D, P R, P P
 TA-082 / 086
A, P P P B, P C, P D, P R, P  P

신형 PSP
(PSP-200X)
펌웨어
3.60 - 5.03 미만
펌웨어
5.03
펌웨어
5.50
펌웨어
5.51 이상 
 TA-085 v1 / v2
TA-088 v1 / v2
TA-090 v1
P R, E, G, P P P

TA-088 v3

 - E, G - -

최신형 PSP
(PSP-300X)
펌웨어
5.00 - 5.03 미만
펌웨어
5.03
펌웨어
5.50
펌웨어
5.51 이상
TA-090 v2
-
E, G -
-

5단계 : 정펌인 PSP에 실제로 커펌 설치하기
# A : 커펌 인스톨러 이용 : 정펌 1.50인 구형 PSP라면 아무런 작업 없이 바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바로 최신 커펌 버전 설치는 불가능하고 반드시 커펌 3.52 M33 설치 -> 커펌 3.52 M33-4 업데이트를 거쳐야 커펌 5.00 M33이나 커펌5.50 GEN 등의 최신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 B : 초기 다운그레이더 : 별다른 준비물 없이 PSP의 펌웨어를 강제로 1.50으로 내려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펌웨어 2.00 / 2.71 / 2.80일 경우에만 가능하며 http://popotz.textcube.com/23에서 자세한 사항을 확인하세요. 정펌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한 뒤에는 위의 #A 방법대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 C : 3.03 GTA 다운그레이더 : GTA : LCS라는 게임을 이용해 PSP의 펌웨어를 강제로 1.50으로 내려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GTA : LCS라는 게임의 UMD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정펌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한 뒤에는 위의 #A 방법대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 D : 3.50 루미네스 다운그레이더 : 루미네스라는 게임을 이용해 PSP의 펌웨어를 강제로 1.50으로 내려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루미네스라는 게임의 UMD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정펌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한 뒤에는 위의 #A 방법대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 R : 리커버리 플래셔 : ChickHEN을 구동한 뒤 '리커버리 플래셔'라는 홈브류를 통해 곧바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단, 이는 영구적인 커펌을 설치하는 것이므로 PSP의 기판이 TA-088 v3인 PSP-200X이나 TA-090 v2인 PSP-300X의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벽돌됨.)

# E : CFWEnabler : ChickHEN을 구동한 뒤 일시적으로 커펌의 기능을 사용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영구적인 것이 아닌 일시적인 것이므로 PSP를 재부팅하면 커펌 상태가 해제되고 다시 정펌 상태로 돌아가게 됩니다. 하지만 커펌 상태에서는 기존 커펌의 기능을 거의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커펌 5.03 GEN for HEN과 비슷함.)

# G : 커펌 5.03 GEN-A for HEN : ChickHEN을 구동한 뒤 일시적으로 커펌의 기능을 사용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영구적인 것이 아닌 일시적인 것이므로 PSP를 재부팅하면 커펌 상태가 해제되고 다시 정펌 상태로 돌아가게 됩니다. 하지만 커펌 상태에서는 기존 커펌의 기능을 거의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CFWEnabler와 비슷함.)

# P : 판도라의 배터리 : 특수 변환된 지그킥배터리와 특수하게 만든 매직메모리스틱을 조합해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하드웨어적인 방식이므로 PSP의 펌웨어 버전이 무엇이든 상관없이 바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게다가 벽돌의 복구도 가능. 하지만 그 종류도 많고 개념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충분히 공부할 필요가 있습니다. 매직 메모리스틱 종류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 커펌 버전이 달라지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커펌된 PSP없이 DC v4 만들기, 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 또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DC v8) 등이 있습니다. 단,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을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커펌이 설치된 PSP가 따로 필요하며, 특히 지그킥배터리 변환을 위해서는 PSP의 기판이 이를 지원해야 하는데, 이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사항은 이 그림를 참고해주세요.
--------------------------------------------------------------------------------

# 커스텀식펌웨어(이하 커펌)에서 커스텀펌웨어를 재설치하는 방법 #

정펌이 아니라 이미 기존에 커펌이 설치되어 있는 PSP에서 상위 커펌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거나, 더 낮은 커펌 버전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 또는 커펌이 불안정해서 재설치하고 싶은 경우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 이 아래의 방법들은 기존의 영구적인 커펌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ChickHEN을 통해 CFWEnabler나 커펌 5.03 GEN-A for HEN 등의 임시적인 커펌을 설치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1. 커펌 인스톨러 이용 : 제일 기본이 되는 방법으로서, 새로운 커펌 버전 발표와 동시에 배포되는 설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이에 대한 것은 각 커펌 설치법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니 자신이 설치하고 싶은 커펌 버전의 발표/설치방법 글을 참고하면 됩니다. 단, 알아둘 점이 2가지 정도 있습니다.
- 커펌 3.71 이상의 커펌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커펌 3.52 M33-3 이상이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약 PSP의 커펌 버전이 3.52 M33-3 미만이라면 커펌 3.52 M33 설치 -> 커펌 3.52 M33-4 업데이트를 먼저 해주어야 합니다.
- 커펌 인스톨러는 항상 현재 커펌 버전보다 높은 버전의 커펌만 설치할 수 있으며 그보다 낮은 버전의 커펌은 설치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커펌 3.90 M33이라면 커펌 3.71 M33의 설치는 불가능하고, 그 이상의 버전인 커펌 4.01 M33이나 커펌 5.00 M33 등의 커펌만 설치가 가능합니다.)

2. 리커버리 플래셔 이용 : Hellcat이라는 개발자가 만든 리커버리 플래셔(Recovery Flasher)라는 홈브류를 사용하면 다양한 커펌 버전중에서 원하는 커펌을 선택해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커펌 인스톨러와는 다르게 현재 설치되어 있는 커펌 버전보다 낮은 버전의 커펌 설치도 가능하며, 오래 전에 나온 초기 커펌(커펌 3.XX OE 등)에서도 커펌 3.52 M33-3 이상으로 업데이트할 필요없이 바로 최신 커펌의 설치가 가능합니다. 또한 PSP가 반벽돌이거나 불안정한 경우 현재 버전의 커펌을 재설치하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합니다. 예를 들면, 현재 커펌 버전이 3.10 OE인데 최신 커펌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나 커펌 5.00 M33인데 그 보다 낮은 커펌 3.71 M33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 PSP가 이상한 것 같아 현재 커펌을 재설치하고 싶은 경우에는 리커버리 플래셔를 사용하면 됩니다.

3. 판도라의 배터리 : 특수 변환된 지그킥배터리와 특수하게 만든 매직메모리스틱을 조합해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하드웨어적인 방식이므로 PSP의 현재 커펌 버전이 무엇이든 상관없이 바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게다가 벽돌의 복구도 가능. 하지만 그 종류도 많고 개념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충분히 공부할 필요가 있습니다. 매직 메모리스틱 종류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 커펌 버전이 달라지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 또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DC v8) 등이 있습니다. 단, 지그킥배터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PSP의 기판이 이를 지원해야 하는데, 이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사항은 이 그림를 참고해주세요.
--------------------------------------------------------------------------------

# 마지막으로 커펌을 설치한 이후 알아두면 좋은 글들만 몇 개 링크 걸어두겠습니다.
강제 사용자 설정 초기화 방법 / Flash0 숨김 폴더 보기 및 남은용량 확보 / 커펌의 대표 기능 사용법 정리 / 커펌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 위 설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요즘 여름이라 그런지 다시 슬럼프입니다. 당분간(나흘에서 일주일 정도?) 잠수 좀 타겠습니다.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