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도라의 배터리가 나온지도 꽤 시간이 지났습니다.
사실 판도라의 배터리가 나온뒤 저는 readme.txt 만 허접하게 번역하고 끝냈는데, 그 글만로는 판도라의 배터리를 만드는데 약간 어려움이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새롭게 정리하는 의미(?)에서 Pandora's Box Easier-Installer를 기준으로 이전보다 조~~금 더 편하게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사실 이 글 다음에 쓰려는 Extended Pandora Bootmenu 때문에 어쩔 수 없이.... ㅜㅜ)
우선 판도라의 배터리를 만드는데 필요한 준비물을 알아보겠습니다.
-
커펌(OE, M33 등)이 설치되어 있거나 펌웨어 1.50인 구형 PSP
-
256MB~2GB 용량의 메모리스틱 프로 듀오 (4GB도 된다고 합니다.)
-
손휘 정품 배터리 (정품이 아닌 배터리도 일부는 된다고 하지만, 이왕이면 정품을 사용하세요.)
이제 위의 준비물이 모두 갖추어졌다면 본격적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1. 우선 매직메모리스틱을 만드려는 메모리스틱 프로 듀오와 지그킥배터리를 만드려는 보통의 배터리를 커펌이 설치되어 있거나 펌웨어 1.50인
구형 PSP에 삽입하고 윈도우상에서 포맷 또는 PSP의 설정 메뉴에서 메모리스틱 초기화를 합니다.
2. 포맷 또는 초기화가 완료되었다면 PSP와 PC를 USB로 연결하고 PSP의 설정 메뉴에서 USB 모드를 활성화 합니다. (PC에서 PSP의 메모리스틱을 이동식 디스크로 잡았다면 OK!)
2. 이제 PC에서 아래의 첨부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풉니다.
* Download:
Pandora's Box installer.rar
3. 압축을 풀고 난 뒤 그 안의 'Pandorasbox Setup.exe'를 더블클릭하고 바로 'Install' 버튼을 클릭해 설치합니다.
4. 설치완료 후 c:/Pandorasbox/ 폴더에 가면 위와 같은 폴더와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위 폴더에서 Pandorasbox.exe를 더블클릭해서 실행하면 위와 같은 도스창이 나오게 됩니다.
가볍게 '1'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6. 이제 PSP의 드라이브 문자를 입력합니다. 드라이브 문자란 PSP를 USB 연결했을 때 내 컴퓨터에서 나오는 PSP의 알파벳 문자를 말합니다. 저는 f 드라이브이므로 'f'를 입력 후 엔터를 누릅니다.
7. PSP에 매직메모리스틱으로 만드려는 메모리스틱이 들어있는지 확인하고 PC와 USB 연결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해당 메모리스틱 내의 모든 파일이 삭제되니 주의하라고 하네요.
확인이 끝났으면 '1' 입력 후 엔터를 누릅니다.
8. 다시 한번 PSP 메모리스틱의 드라이브명을 확인하고 계속하려면 'y' 입력 후 엔터를 누릅니다.
9. 이제 PSP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스틱이 포맷(mspformat 과정)됩니다. 메모리스틱 종류와 용량에 따라 걸리는 시간이 다르니 완료될 때까지 느긋하게 기다립니다.
10. 잠시 후 메모리스틱 포맷이 완료되면 위와 같이 성공적으로 포맷되고 파티션이 이동되었다는 메세지가 나옵니다. 위 메세지가 정상적으로 나왔다면 '1' 입력 후 엔터를 눌러 다음과정으로 진행합니다.
11. 이제 PSP에서 USB 연결을 해제한 뒤에 메모리스틱을 PSP에서 꺼내고 다시 삽입합니다. 그리고 USB 모드를 활성화하고 난 뒤 위의 도스창에 '1'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12. 그러면 자동으로 PSP의 해당 폴더에 필요한 파일들을 복사합니다. 총 5개의 파일 복사가 완료되었다면 '1'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펌웨어 1.50인 PSP에서는 테스트하지 않아 잘 모르겠지만, 아마 메모리스틱의 ms0:/PSP/GAME150/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직접 변경해주어야 할 듯 싶습니다.)
13. 이제 지그킥배터리를 만들어야 합니다. PSP에 현재 지그킥배터리로 만들 배터리가 삽입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1' 입력 후 엔터를 누릅니다.
14. 지그킥배터리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창은 그대로 놔두고 PSP의 USB 모드를 해제합니다. 그리고 아래의 과정을 PSP에서 실행합니다.
14번 과정 PSP에서의 작업 열기
PSP에서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Pandora's Battery Creator'를 실행합니다.
PSP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위와 같은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엑스버튼 : 배터리를 서비스모드 배터리(판도라의 배터리, 지그킥배터리)로 변환
네모버튼 : 배터리를 보통의 배터리로 변환
동그라미버튼 : 자동으로 부팅되는 보통의 배터리로 변환 (비추)
세모버튼 : 배터리의 eeprom을 ms0:/eeprom.bin 파일로 백업
L트리거 + R트리거 : ms0:/eeprom.bin 파일을 배터리에 덮어씀
홈버튼 : 아무 것도 하지 않고 프로그램 종료
우선 세모버튼을 눌러 배터리의 eeprom을 메모리스틱 상위에 백업합니다. 나중에 보통의 배터리로 변환할 때 필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백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백업이 완료되면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종료됩니다.
PSP에서 위 과정이 완료되었다면 '1'을 입력 후 엔터를 누릅니다.
15. 또 다시 PSP에서의 작업입니다. PSP에서 아래의 작업을 실행합니다.
15번 과정 PSP에서의 작업 열기
다시 'Pandora's Battery Creator'를 실행하고 이번엔 엑스버튼을 눌러 배터리를 서비스모드 배터리로 전환합니다. 역시 자동으로 프로그램이 종료되므로 XMB로 복귀하면 아래 과정으로 넘어갑니다.
PSP에서 위 과정이 완료되었다면 '1'을 입력 후 엔터를 누릅니다.
16. 이번에는 매직메모리스틱 작업입니다. 아래의 과정을 PSP에서 진행합니다.
16번 과정 PSP의 작업 열기
PSP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이번엔 'Pandora's Battery Firm.Installer'를 실행합니다.
(단, 이 과정에서 1.50 다운시 사용할 'registry' 폴더도 같이 생성되므로 실행하기 전에
PSP의 시스템언어를 'Engish'로 문자집합을 'US(437)'으로 반드시 설정해야 합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면 엑스버튼을 눌러 필요한 펌웨어 파일을 추출합니다.
잠시 뒤 이 과정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XMB로 복귀하게 되고, 이제 다시 PSP와 PC를 USB로 연결합니다.
PSP에서 위 과정이 완료되었다면 PSP의 USB 모드를 다시 활성화한 뒤 '1'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17. 위처럼 msipl.bin 파일이 복사되었다는 메세지가 나오면 다시 '1'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18. 처음에는 위의 2줄만 메세지가 나오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 '1'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위처럼 긴 메세지가 나오면서 IPL Installer가 실행됩니다. PSP와 PC가 제대로 USB로 연결되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 보고 'y'를 입력 후 엔터를 누릅니다.
19. 위처럼 White MS BOOT CODE라는 메세지가 대문자로 제대로 출력되었다면 완료된 것입니다.
이제 모두 완료되었으므로 프로그램을 끝내기 위해 '1'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20. 판도라의 배터리를 만든 사람이 나오게 됩니다. 기부 좀 해달라는군요. 그냥 엔터를 누릅니다.
21. 이번엔 판도라의 박스 <이지 인스톨러>를 만든 사람 이름이 나옵니다. 다시 엔터를 누르면 긴 과정이 완료되고 도스창이 종료됩니다.
이제야 비로소 판도라의 배터리에 필요한 매직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가 모두 만들어졌습니다. 축하축하~~
이제 판도라의 배터리용 매직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모두 만들었다면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벽돌이거나 정펌인 PSP를 비롯해 모든 펌웨어, 모든 구형 PSP에서 사용가능합니다.
벽돌된 PSP를 복구하거나 PSP를 다운그레이드하는 방법.
1. PSP의 배터리와 AC아답터까지 분리해 PSP를 완전히 종료하고 위에서 만든 매직 메모리스틱을 벽돌을 복구하고 싶거나 다운그레이드하고 싶은 구형 PSP에 삽입합니다.
2. 그리고 역시 위에서 만든 지그킥배터리를 PSP에 끼우면 자동으로 파워, 메모리스틱, 무선랜 램프에 불이 들어오며 자동으로 PSP가 부팅되고 아래와 같은 판도라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엑스버튼은 ms0:/UPDATE.PBP 파일을 이용해서 PSP를 다운그레이드하는 메뉴입니다. 위의 과정을 거쳤다면 자동으로 펌웨어 1.50의 파일이 들어있게 되며 다른 펌웨어를 설치하고 싶다면 해당 펌웨어 파일을 UPDATE.PBP로 이름을 변경해 메모리스틱 상위에 복사하면 됩니다. 벽돌 복구나 다운그레이드 후 커펌을 설치하고 싶을 경우 사용합니다.
동그라미버튼은 현재 PSP의 낸드 이미지를 ms0:/nand-dump.bin 파일로 백업하는 메뉴입니다. 벽돌 상태나 정펌인 경우에는 백업해둘 필요가 없으므로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네모버튼은 동그라미버튼으로 백업한 낸드 이미지를 복구하는 메뉴입니다. 역시 아래에서 설명합니다.)
3. 벽돌 복구나 다운그레이드가 목적이므로 위 화면에서 엑스버튼을 누릅니다.
(안전을 위해서 이 과정 중에는 AC 아답터를 연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잠시 기다리면 Pandora's Battery Downgrader가 실행됩니다. 엑스버튼은 다운그레이드, R트리거는 취소하는 버튼입니다. 위험을 감수하겠다는 결심이 서면 엑스버튼을 눌러 계속 진행합니다.
5. flash0, flash1, flash2까지 포맷하고 잠시 후 펌웨어 1.50이 PSP에 설치되게 됩니다. 이 과정이 완료되면 엑스버튼을 눌러 PSP를 종료하고 다시 재부팅합니다.
(단, 지그킥배터리로는 정상적인 XMB 부팅이 안되므로 지그킥배터리는 제거한 뒤 여분의 보통 배터리나 AC 아답터만 연결해 부팅해야 합니다.)
6. XMB로 부팅하는 과정에서 블루스크린이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동그라미버튼을 눌러 복구하면 대부분 정상적으로 초기화 화면이 나오면서 복구되지만 계속해서 블루스크린이 반복되는 경우 아래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registry' 폴더를 매직 메모리스틱 상위에 덮어쓴 뒤 위 1번 과정부터 다시 실행합니다.
* Download :
registry-1.50-popotz
7. 펌웨어 1.50으로 정상적으로 부팅되었다면 바로 커펌 설치나 정식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판도라의 배터리로 복구한 펌웨어 1.50은 최소한의 서브셋만 가지고 있으므로 완벽한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커펌 설치 종합 :
http://popotz.textcube.com/167)
현재 PSP의 낸드 이미지를 백업하는 방법.
1. 위의 과정을 통해 안전하게 커펌을 설치했다면 현재의 PSP에 저장되어 있는 낸드 이미지를 통채로 덤프해 두고 나중에 문제가 생겼을 때 편하게 복구할 수도 있습니다. (윈도우의 고스트를 통한 복구와 같은 개념.)
2. 우선 낸드이미지를 백업하려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구형 PSP에 매직 메모리스틱을 삽입하고 지그킥배터리를 끼워 판도라 메뉴를 불러옵니다.
3. 판도라 메뉴에서 동그라미버튼을 눌러 현재의 낸드 이미지를 백업합니다.
(단, 메모리스틱에는 33MB 이상의 용량이 남아있어야 합니다.)
4. 메모리스틱의 종류에 따라 걸리는 시간이 차이가 나니 느긋하게 완료되기를 기다립니다.
5. 모두 완료되면 다시 판도라 메뉴로 돌아오고 매직 메모리스틱 상위에 nand-dump.bin이라는 파일이 생성되게 됩니다. 이 파일이 바로 현재 PSP의 낸드 이미지입니다.
백업한 낸드 이미지를 사용해 복구하는 방법.
1. 이제 위에서 백업한 낸드 이미지를 사용하여 PSP를 간펀하게 복구하는 방법입니다.
2. 우선 매직 메모리스틱에 저장되어 있는 'nand-dump.bin' 파일의 이름을 'nandimage.flash'로 변경합니다.
3. 그리고 복구하려는 PSP에 매직 메모리스틱을 삽입하고 지그킥배터리를 끼워 PSP에 판도라 메뉴를 불러옵니다.
4. 이번엔 복구가 목적이므로 판도라 메뉴에서 네모버튼을 누릅니다.
5. 그럼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Press X to restore nand without idstorage.
Press L+R+start+select to restore nand with idstorage (only if dump is of your nand!).
(엑스버튼은 idstorage를 제외하고 복구하는 메뉴입니다. 다른 PSP에서 덤프한 이미지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L트리거 + R트리거 + 스타트 + 셀렉트는 idstorage까지 포함하여 복구하는 옵션인데, 만약 다른 PSP에서 덤프한 낸드 이미지를 사용할 경우 PSP의 idstorage까지 망가져 복구가 불가능해질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은 자제해주시기바랍니다.)
6. 이제
엑스버튼을 눌러 idstorage를 제외하고 복구합니다.
7. 잠시 시간이 지난 후 설치가 완료되며 자동으로 PSP가 종료됩니다. 이제 PSP는 덤프 이미지와 동일한 상태로 복구되었습니다.
기타 참고사항.
* 매직 메모리스틱을 일반 메모리스틱으로 사용하기
우선 만약을 위해 매직메모리스틱의 내용물을 모두 PC의 하드디스크로 백업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그냥 윈도우 상에서 포맷하거나 안의 내용물만 삭제하고 일반 메모리스틱처럼 사용하면 됩니다. 나중에 다시 매직 메모리스틱으로 바꾸고 싶을 경우, 위의 복잡한 과정을 다시 실행할 필요없이 하드디스크에 백업한 파일만 원래대로 복사해주면 됩니다.
* 지그킥배터리를 일반 배터리로 완전히 복구하기
지그킥배터리를 만들 때 사용한 'Pandora's Battery Creator'를 다시 실행한 뒤, 네모버튼을 누르면 다시 원래의 보통 배터리로 복구됩니다. 하지만 네모버튼보다는 보통 상태일때 백업해둔 ms0:/eeprom.bin를 사용하는
L트리거 + R트리거를 사용해 복구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 매직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는 유지한채 일반 배터리처럼 사용하기
배터리가 1개밖에 없다고 지그킥배터리를 일반 배터리로 복구해버리면, PSP에 문제가 생겼을 때 다시 지그킥배터리로 변경할 방법이 없습니다. 그래서 매직 메모리스틱에 약간의 패치를 함으로써 버튼 선택에 의해 지그킥배터리를 일반 배터리처럼 사용할 수도 있게 해주는 'PSP MS Multiloader IPL'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http://popotz.textcube.com/520 참고하세요.
(단, 이 경우 PSP의 슬립 모드 기능이 정상 작동하지 않습니다.)
* 위의 구형용 판도라의 배터리를 신형 PSP의 커펌 설치를 위한 판도라의 배터리로 변환하기
M33팀에서 신형에서만 설치 가능한 커펌 3.60 M33을 발표했는데, 이 커펌은 바로 판도라의 배터리를 사용해 설치됩니다. 위에서 만든 매직 메모리스틱에 약간의 패치를 해주어야 하므로 자세한 사항은
http://popotz.textcube.com/497 참고하세요.
* 판도라 메뉴 확장 - Extended Pandora Bootmenu 설치하기
판도라의 메뉴는 다운그레이드, 낸드 백업, 낸드 복구의 단 3가지 메뉴만 존재합니다. 하지만 매직 메모리스틱을 수정해서 메모리스틱의 펌웨어로 PSP 부팅하기, 커펌 설치하기, 파일러 등의 홈브류 실행하기, USB 연결 등 부가적인 메뉴를 추가해 주는 것이 Extended Pandora Bootmenu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http://popotz.textcube.com/519 참고하세요.
* 3.xx 커널에서 매직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 만들기
위의 만드는 방법은 1.50 커널을 이용해서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커펌 3.60 M33이나 커펌 3.71 M33의 경우 1.50 커널이 없이 때문에 위의 방법을 이용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3.xx 커널에서도 매직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Pandora Installer for 3.xx kernels'이 발표되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http://popotz.textcube.com/538 참고하세요.
# 쓰다보니 엄청나게 길어져버렸군요. 혹시 잘못된 점이나 빠뜨린 점이 있다면 꼭~ 알려주세요. 졸려서 오타확인도 못하겠네요.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