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 Rev.3a


Hellcat의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가 Rev.3a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Hellcat의 판도라 인스톨러는 3.xx 커널에서 구형 PSP 전용의 매직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이며, 이번 Rev.3에서는 배터리의 eeprom의 백업과 복구 메뉴가 추가되었습니다. 또한 Rev.3a에서는 커펌 3.80 M33에서 발생하는 문제도 수정되었다고 합니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이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진 메모리스틱은 구형 PSP에서만 사용가능한 오리지날 판도라의 배터리용 매직 메모리스틱(펌웨어 1.50 복구용)이며, 구형 / 신형 PSP에서 모두 사용가능한 유니버셜 언브리커용 매직 메모리스틱을 만들 수는 없습니다. (지그킥배터리는 공용입니다.)

제작자가 밝힌 변경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배터리의 씨리얼을 변환할 때 Silverspring의 다이렉트 하드웨어 액세스 코드를 사용했다. 그래서 펌웨어 3.80 (추후 나올 커펌 3.80을 의미함)에서도 작동할 것이다.

- 배터리의 씨리얼을 파일(ms0:/batser.bin)로 백업하거나 복구가 가능하다. - 또한 복구하기 전에 batser.bin 파일을 헥스에디터로 편집하면 씨리얼을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다.
(만약 bstser.bin 파일이 없는데도, '파일로부터의 복구'를 시도하면 기본 설정된 씨리얼이 대신 사용된다.)

- 메인 메뉴 화면에 현재 배터리의 씨리얼이 표시된다.

- 재포맷 후의 메모리스틱의 이름(이동식 디스크 연결시의 이름)을 선택하고 설정할 수 있다. 포맷하기 전에 원하는 이름이 입력된 'msname.txt' 파일을 메모리스틱 최상위에 넣어두면 된다. (기본은 'PANDORA' 입니다.)


기본적인 사용법은 이전 Rev. 2와 동일하므로 이전 글(http://popotz.textcube.com/538)을 참고하세요. 추가된 기능인 배터리의 씨리얼 백업은 R트리거 + 동그라미버튼, batser.bin을 이용한 복구는 R트리거 + 네모버튼입니다.

# 이전 Rev. 2에서는 신형배터리의 지그킥 변환도 가능했습니다만, Rev. 3에서는 아직 테스트가 되지 않았다고 하니 신형배터리를 지그킥배터리로 변환할 때는 반드시 주의해주세요. 정상적으로 변환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 개인적으로는 이전에 소개한 울트라 판도라 인스톨러 v1을 더 추천합니다.

* 관련글 보기 *
2007/11/28 - [판도라의 배터리] - 울트라 판도라 인스톨러 v1
2007/09/29 - [판도라의 배터리] -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 Rev. 2
2007/09/27 - [판도라의 배터리] -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

Tool Box v3 - ELF 모음

매직 메모리스틱에 Pandora ELF menu 0.2나 nandtool v0.3을 추가로 설치하면, XMB가 아니더라도 판도라 메뉴에서 다양한 ELF 형식의 홈브류를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벽돌된 PSP에서도 홈브류의 구동이 가능해지는 것이죠.

하지만 실행하려는 홈브류에서 직접 ELF 파일을 추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Tool Box v3은 여러가지 홈브류의 ELF를 추출해서 모아놓아 직접 추출해야 하는 수고를 덜어주고 있으며, 처음 설치하는 사용자를 위해 Pandora ELF menu 0.2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출처가기]

* Download : Tool Box v3

신형 / 구형에서 모두 사용가능하며 설치법은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집니다.

[ 기본 유니버셜 언브리커 v3용 매직 메모리스틱인 경우 ]
위 첨부파일을 받아 나오는 'elf', 'kd' 2개의 폴더를 매직 메모리스틱 상위에 덮어쓰면 완료됩니다. 그 후 기존대로 매직 메모리스틱을 삽입하고 지그킥배터리를 끼우면 기존의 유니버셜 언브리커 메뉴가 아니라 Pandora ELF menu 0.2가 대신 실행되며, 방향키와 엑스버튼으로 실행하려는 홈브류를 선택해 실행하면 됩니다.
(기존의 유니버셜 언브리커 메뉴를 불러오는 것도 가능합니다.)


[오리지날 매직 메모리스틱 또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매직 메모리스틱에 nandtool v0.3b를 설치한 경우]
위 첨부파일을 받아 그 안의 'elf' 폴더만 매직 메모리스틱 상위에 덮어쓰면 설치는 완료됩니다.
그 후 매직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하여 nandtool 메뉴를 불러온 뒤 Load ELF 메뉴에 들어가면 다양한 홈브류를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Tool Box v3에 포함되어 있는 ELF의 목록 및 사용 용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Tool Box v3의 ELF 메뉴 목록 열기


# 단순히 생각하면 Tool Box v3은 여러가지 홈브류의 ELF 파일을 추출해서 모아놓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이 외에 다른 홈브류 역시 직접 ELF 파일을 추출하여 ms0:/ELF 폴더에 복사하면 동일하게 사용가능합니다.
(홈브류에서 elf 파일을 추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PSP Brew나 PSPContentManager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해당 프로그램의 EBOOT.PBP 파일로부터 DATA.PSP 파일을 추출합니다. 이제 추출한 DATA.PSP 파일의 이름을 ***.elf로 변경한 뒤 ms0:/ELF/ 폴더에 복사하면 됩니다. 모든 홈브류의 실행이 가능한 것은 아니며, Pandora ELF Menu용 elf 프로그램이나 특정한 홈브류만 가능합니다.)

* 관련글 보기 *
2007/12/09 - [판도라의 배터리] - NandTool v0.3 Beta1
2007/11/28 - [판도라의 배터리] - 울트라 판도라 인스톨러 v1
2007/10/05 - [판도라의 배터리] -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NandTool v0.3 Beta1



오리지날 판도라의 배터리와 유니버셜 언브리커 v3에 더욱 유용한 기능을 추가시켜 사용할 수 있는 NandTool v0.3 Beta1입니다. [출처가기]

NandTool는 낸드 덤프 / 복구 등의 기본적인 기능 외에 lflash 영역의 파티션 재설정과 포맷, 배드블럭 검사 등의 유용한 기능을 지원합니다. 또한 elf 파일 구동 기능을 통해 다른 프로그램도 추가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쪽 세계는 워낙 심오한지라, 저도 자세히는 모르므로 간단하게 소개만 하도록 하겠습니다.
설치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여기서는 다른 추가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은 순수한 오리지날 판도라의 배터리와 유니버셜 언브리커 v3에 직접 설치하는 방법만 설명합니다.

간단히 파일 추가만 하면 설치가 완료(약 1분)되므로 만약을 위해 반드시 설치해두기를 추천합니다.


[ 오리지날 판도라의 배터리에 NandTool 설치하기 ] - 구형 PSP 전용
1. 매직 메모리스틱 상위에 'ELF'라는 폴더를 만들고 ms0:/kd 폴더의 'backup.elf' 파일을 'ELF' 폴더로 복사한다.
2. 첨부파일의 'nandtool_03_beta1_nousb.elf'파일을 'backup.elf'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kd/ 폴더에 덮어쓴다.
3. 이제 위에서 만든 매직 메모리스틱을 PSP에 삽입하고 지그킥배터리를 끼우면 판도라 메뉴가 뜨는데, 그 중 'backup nand to... '(동그라미버튼) 메뉴를 선택하면 NandTool이 실행된다.

[ 유니버셜 언브리커 v3에 NandTool 설치하기 ] - 구형 / 신형 PSP 전용
1. 매직 메모리스틱 상위에 'ELF'라는 폴더를 만들고 ms0:/kd 폴더의 'resurrection.elf' 파일을 'ELF' 폴더로 복사한다.
2. 첨부파일의 'nandtool_03_beta1_nousb.elf'파일을 'resurrection.elf'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kd/ 폴더에 덮어쓴다.
3. 이제 위에서 만든 매직 메모리스틱을 PSP에 삽입하고 지그킥배터리를 끼우면 자동으로  NandTool이 실행된다.

이것으로 설치는 완료됩니다. 참 간단하죠. 이제 실제로 NandTool 메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능력부족으로 자세한 설명은 못하고 그냥 이런저런 메뉴가 있다는 것 정도만...

NandTool v0.3 Beta1 메뉴 설명 열기


# 저는 elf 추가하는 방법을 엄청나게 부실하게 적었는데, 잘만 사용하면 아주 유용한 기능이 될 것이고 귀찮거나 잘 모르면 있으나 마나한 메뉴가 되겠죠. readme.txt 등을 통해서 각자 공부해보세요~ (무책임...)

# 위 프로그램과 관련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2007/11/28 - [판도라의 배터리] - 울트라 판도라 인스톨러 v1

울트라 판도라 인스톨러 v1


ULTRA PANDORA INSTALLER v1이라는 프로그램이 발표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이 프로그램은 기존의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http://popotz.textcube.com/538)에 유니버셜 언브리커 v3를 만드는 기능이 추가된 것이라 보시면 됩니다.

프로그램내에서 지원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메모리스틱 논리 포맷
* 펌웨어 1.50에서의 파일 추출과 msipl.bin 파일의 추출 (오리지날 매직 메모리스틱)
* 메모리스틱에 msipl.bin 파일의 설치 (PSP_Ms_Multi_Loader 사용하려면 안해도 됨)
*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설치
* 보통의 배터리를 지그킥배터리(=판도라배터리)로 변환
* 지그킥배터리를 노멀배터리로 변환

반드시 필요한 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 커펌 3.xx가 설치된 구형 / 신형 PSP
* 256MB 이상 3GB 이하의 메모리스틱 프로 '듀오' (4GB 메모리스틱 프로 듀오는 동작하지 않음) - 1GB 추천
* 지그킥배터리로 변환 가능한 배터리 (100% 충전)
   - 배터리 호환 리스트
          - Sony's "standard" Li-ion 1800 mAh
          - Datel PSP Battery 3600 mAh (X2)
          - Datel PSP Battery 1800 Max Power
          - Sony PSP-280 2200mAh
          - Atomic Battery Pack 3.6V 1800mAh 등...
   - 배터리 비호환 리스트
          - 2600 mAh Mega Battery Pack
          - Sony PSP-280 2200mAh (가짜)
          - Battery 3600mAh, 상표 없음, (중국산은 NK-RH008 모델) (가짜) 등...

위의 3가지 준비물이 있다면 구형 PSP 전용의 오리지날 매직 메모리스틱(=판도라의 배터리)이나 구형/신형 PSP 전용의 유니버설 언브리커 v3를 쉽게 만들 수 있으며 지그킥배터리의 변환/복구도 지원합니다.

오리지날 매직 메모리스틱은 펌웨어 버전 상관없이 구형 PSP를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하거나 벽돌된 구형 PSP에 펌웨어 1.50을 설치해 복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구형 PSP에서만 사용가능합니다.

[구형PSP 전용] 오리지날 매직메모리스틱 + 지그킥배터리 만들기


유니버셜 언브리커 v3는 펌웨어 버전 상관없이 구형 / 신형 PSP에 커펌 3.71 M33-2를 설치하거나 벽돌된 구형 / 신형 PSP에 커펌 3.71 M33-2를 설치해 복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정식 펌웨어 3.71을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유니버셜 언브리커 v3은 구형 / 신형 PSP에서 모두 사용가능합니다.

[구형/신형 PSP 전용]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 지그킥배터리 만들기



지그킥배터리를 보통 배터리로 재변환하기


# PC에서 해야만 했던 귀찮은 작업을 PSP에서 쉽게 하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반드시 커펌된 PSP가 필요한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기억하세요.

# 댓글을 보니 4GB에서 되는지 궁금해하시는 것 같네요. 일단 위 프로그램에 포함된 readme.txt 파일에는 4GB에서 작동하지 않는다고 해서 그렇게 적어두었습니다. 하지만 실제 4GB는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다고 하네요. 만약 위 프로그램으로 안된다면 다른 프로그램도 많으니 여러가지로 시도해보세요. ^^

지그킥배터리?? 매직 메모리스틱??

여러 해커들이 모두 모여 판도라의 배터리를 개발 / 발표한 뒤로 이와 비슷한 많은 프로그램이 발표되었습니다.
이 프로그램들은 PSP의 하드웨어적인 특성을 이용해 메모리스틱으로 메뉴를 띄워, 벽돌된 PSP를 복구하거나 정펌인 PSP에 커펌을 설치하는 등 강력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기존의 다운그레이더가 필요 없어지고, A/S 받아야만 하는 PSP를 직접 살릴 수도 있게 되었죠.

이런 종류의 프로그램은 공통적으로 매직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용어가 복잡해서 혼동할 우려가 있으므로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시다시피 저도 초보라 전문적인 이론이나 원리 등은 전혀 모르므로 간단하게만 설명합니다.

* 지그킥배터리란???
PSP의 전원을 올리면 제일 먼저 PSP 자체에 내장된 낸드플래시 메모리의 펌웨어를 통해 부팅되게 됩니다. 그래서 낸드플래시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부팅이 되지 않는, 소위 말하는 '벽돌'이 되는 것이죠.
하지만 배터리의 EEPROM 영역을 특정한 값으로 변환하고 PSP에 삽입하면, 낸드플래시 메모리가 아닌 메모리스틱의 내용물을 제일 먼저 읽게 할 수 있습니다. 이 특수하게 변환된 배터리를 지그킥배터리라고 하며, 이로 인해 낸드플래시에 문제가 있는 PSP나 펌웨어 버전에 상관없이 메모리스틱을 이용해 각종 복구 메뉴나 커펌 설치 메뉴를 불러올 수가 있습니다. 손휘가 PSP에 왜 이런 기능을 넣어놓았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PSP의 기기테스트나 A/S를 위한 것으로 추측만 할 뿐입니다.

* 지그킥배터리의 변환과 복구는???
보통의 배터리를 지그킥배터리로 변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현재 여러가지가 나와있는 상태입니다. 초기의 판도라 배터리에 포함된 1.50 커널용 프로그램을 사용해도 되고, 3.xx 커널용으로 발표된 프로그램을 사용해도 됩니다. 또한 모든 변환 프로그램에는 보통의 배터리로 복구하는 메뉴가 반드시 포함되어 있으므로 지그킥배터리에서 보통의 배터리로의 복구도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단, 어느 경우라도 반드시 홈브류를 구동할 수 있는 커펌이 설치된 PSP가 필요합니다.

(예외적으로 배터리 자체를 분해하고 회로를 개조해서 지그킥배터리로 변환할 수 있는 방법이 공개되었지만, 배터리 폭발이나 화상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추천하지도 않고 다루지도 않습니다.)

* 지그킥배터리로 변환이 가능한 배터리는???
우선 구형 PSP에 포함된 1800mAh 정품 배터리는 정상적으로 변환됩니다. 또한 최근에 신형 PSP에 포함된 1200mAh 정품 배터리도 정상적으로 변환과 복구가 가능하다고 알려졌습니다.
반면, 현재 시장에는 정품 배터리가 아닌 다양한 비품 배터리가 있는데, 이러한 비품 배터리는 되는 것도 있고 되지 않는 것도 있습니다. 외국 포럼에는 이에 관한 정보 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국내 사정과는 맞지 않으므로 별 수 없이 다른 사람의 경험담을 참고하거나 직접 변환을 시도해 보는 수 외에는 확인 방법이 없습니다. 정품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겠죠.

* 매직 메모리스틱이란???
위에서 말한 지그킥배터리는 단순히 메모리스틱의 내용물을 제일 먼저 읽도록 해주는 역할만을 하며, 실제로 벽돌을 복구하거나 커펌 설치 등의 기능은 메모리스틱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그렇다고 보통의 메모리스틱을 그대로 넣으면 안되고, 메모리스틱 역시 특별한 작업을 통해 만들어야 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메모리스틱을 매직 메모리스틱이라고 합니다.

지그킥배터리는 한 번 변환하면, 매직 메모리스틱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사용 가능한 반면, 매직 메모리스틱은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어떻게 만들었는지에 따라 적용 가능한 PSP와 기능이 달라지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구형 PSP의 펌웨어 1.50 복구나 낸드 이미지 백업 / 복구 기능을 가진 오리지날 매직 메모리스틱과 구형 / 신형 PSP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커펌 3.71 / 정펌 3.71 설치와 낸드 이미지 백업 / 복구 기능을 가진 유니버셜 언브리커 V3가 있습니다. 현재는 이를 기본으로 더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한 확장 프로그램(Extended Pandora Bootmenu, Ultimate Magic Stick, Ultra Recovery Pandora Mode Extender)이 여러 종류 발표된 상태입니다. 자신에 제일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해 매직 메모리스틱을 만들면 됩니다.

* 매직 메모리스틱을 만드는 방법과 원래대로 복구하는 방법은???
매직 메모리스틱을 만드려면 기본적으로 홈브류와 PC에서의 작업을 여러 단계 거쳐야 합니다. 역시 1.50 커널용 프로그램3.xx 커널용 프로그램이 모두 발표된 상태며, 홈브류 구동 없이 PC에서만 메모리스틱을 연결해 만들 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인 설치 조건과 지원 기능은  판도라의 배터리 분류 / 종합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매직 메모리스틱으로 만들었다고 하더라도 지그킥배터리가 없으면 보통의 메모리스틱과 다른 점은 없습니다. 보통의 배터리나 AC 아답터와 조합해서 사용하면 보통의 메모리스틱과 동일하게 사용가능합니다. 그 상태 그대로 홈브류나 데모게임을 넣어 구동할 수도 있고 음악/비디오/사진 등도 정상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별도로 복구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죠.

* 매직 메모리스틱으로 만들 수 있는 메모리스틱 종류는???
초기에는 256MB에서 2GB까지의 메모리스틱 '프로 듀오'만 가능하다고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구분이 약간 모호해진 상태입니다. 128MB 메모리스틱이나 4GB 메모리스틱도 가능하다고 하고, 정품이 아닌 비품(벌크, 가짜) 역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특히 메모리스틱은 정품이 아닌 비품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종류도 많기 때문에 직접 만들어서 확인해보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된다 안된다 명확한 기준을 잡기는 힘이 듭니다.

[참고사항]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을 유지한 채 보통처럼 사용하기
위에서 말했듯이 매직 메모리스틱은 보통의 메모리스틱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그킥배터리는 무조건 메모리스틱의 내용물만을 불러오기 때문에 원래대로 복구하기 전까지는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PSP가 1대밖에 없는 경우, 보통의 배터리로 복구해버리면 만약 문제가 생겼을 때 지그킥배터리로 재변환하기가 불가능하므로 여분의 지그킥배터리를 따로 보관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죠.

하지만 Booster가 이를 편하기 하기 위해 MS_Multi_Loader라는 프로그램을 발표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매직 메모리스틱에 약간의 수정을 해서 지그킥배터리를 삽입하더라도 보통 배터리와 동일하게 XMB 부팅을 지원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L트리거를 통해 매직 메모리스틱의 내용물을 불러올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메모리스틱과 배터리가 1개씩만 있는 사용자에게는 매우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설치도 비교적 쉬운 편입니다.


# 이 글을 꽤 오래전부터 쓰려고 했는데, 계속 미루다가 이제야 어느 정도 정리해서 올리게 되는군요. 많이 부족한 글이지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요즘 블로그가 질답 게시판처럼 되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프네요. ㅜㅜ

Ultra Recovery Pandora Mode Extender V1


울트라 리커버리 판도라 모드 익스텐더 v1입니다. [출처가기]

기존 매직메모리스틱의 기능을 확장시켜주며 아래와 같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모든 기능을 그래픽으로 구현
- USB 접속 기능 : flash0 / flash1 / flash2 / flash3 / 메모리스틱
- 포맷 기능 : flash0 / flash1 / flash2 / flash3
- 현재 PSP의 낸드이미지 백업 / 복원 기능
- 현재 PSP의 idstorage 백업 / 복원 기능
- 현재 PSP의 ipl 백업 기능
- 메모리스틱에 있는 홈브류 실행 기능
- Update Flasher 1.50 실행 기능 (펌웨어 1.50으로 복구. 구형 PSP 전용)
-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실행 기능

아직까지는 신형 PSP에서 작동하지 않고 구형 PSP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설치를 위해서는 커펌이 설치된 구형 / 신형 PSP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Ultra Recovery Pandora Mode Extender V1 설치법 열기


기본적인 기능은 기존과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좀 더 여러가지 기능을 추가한 것이죠. 오리지날 판도라 메뉴와 유니버셜 메뉴도 손쉽게 선택해서 실행할 수 있으니 사용하기에 따라서 매우 유용합니다.

Ultra Recovery Pandora Mode Extender V1 사용법 열기


# 차후 버전에서는 새로운 그래픽 / 신형 PSP에 호환 / 다국어 지원 / 새로운 옵션을 추가한다고 합니다.

# 지그킥배터리를 유지한채 L트리거에 의해 일반적인 XMB 부팅이나 판도라 메뉴를 선택해 구동하고 싶다면 Booster의 PSP MS Multiloader IPL를 추가 설치해주면 됩니다. http://popotz.textcube.com/520

# 판도라의 배터리와 유니버셜 언브리커가 나온 뒤로 이름도 비슷한 수많은 변종(?) 프로그램이 나와서 저도 혼란스럽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그나마 설치가 쉽군요. 그래도 어렵고 복잡하고 귀찮은 분들은 그냥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하나만 믿고 가죠~ ^^

#  위 설치과정과 실행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신형배터리도 지그킥배터리로 변환 가능??


그 동안 지그킥배터리는 구형용 배터리로만 변환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알려진 것과는 달리 신형용 배터리도 지그킥배터리로 정상적으로 변환가능하다고 하네요. [출처가기]

지그킥배터리 변환은 이전과 동일한 프로그램인 HELLCAT의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 Rev. 2(http://popotz.textcube.com/538)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지그킥배터리로의 변환뿐만 아니라 원래의 보통 배터리로의 복구도 정상적으로 실행됩니다.

만약 그렇다면 굳이 유니버셜 언브리커를 위해서 구형배터리를 구입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니, 신형 PSP 사용자에게는 희소식입니다. 물론 변환하려면 커펌된 신형 / 구형 PSP의 도움이 필요한 것은 변함이 없지요.

저는 신형용 배터리가 없기때문에 실행해보지는 못했는데, 관련 동영상이 계속 나오고 있는지라 아무래도 사실일 가능성이 높은 것 같네요. 하지만 만약 시도하려는 분들은 꼭 주의해서 각자 자신에게 책임이 있다는 것을 명심해주세요.
(조금 더 기다려 보는 것도 좋을 듯..?)

신형배터리 -> 지그킥배터리 변환 동영상 더 보기


위와는 약간 다른 얘기지만, 심지어 배터리가 없어도 판도라 메뉴를 띄울 수 있는 방법도 있다고 합니다.
개조된 AC 아답터와 USB 케이블을 이용한다고 하는데, 그 방법이 아주 복잡하긴 하지만 사실이라고 합니다.

매직 메모리스틱이나 유니버셜 메모리스틱은 이제 쉽게 만들 수 있으니 이 방법만 자세히 알려진다면, 커펌된 PSP 없이도 판도라의 배터리나 유니버셜 언브리커를 구동할 수 있게 됩니다.

곧 자세한 방법이 공개될 것 같기는 하지만 아무래도 하드웨어 개조가 필요한 것 같으니, 그냥 참고 정도만...
(위 동영상의 진위는 가려지지 않았습니다. 사실 판도라 메뉴를 한 번 띄운 상태에서는 AC 아답터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는 한 배터리가 없어도 계속해서 판도라 메뉴가 나오게 되므로 가짜일 가능성도 있네요.)

* 관련글 보기 *
2007/09/29 - [판도라의 배터리] -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 Rev. 2

판도라 울티메이트 매직 스틱 인스톨러 v2 - 구형/신형 공통

기존 여러종류의 매직 메모리스틱을 통합한 판도라 울티메이트 매직 스틱 인스톨러(길다.)입니다. [출처가기]

이 판도라 울티메이트 매직 스틱 인스톨러로 만든 매직 메모리스틱이 지원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형 PSP에 커펌 3.71 M33-2 설치 가능
* 구형 PSP에 1.50 커널 애드온 v2를 포함한 커펌 3.71 M33-2 설치 가능
* 구형 PSP를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 가능
* 구형 PSP를 Extended Boot Menu를 이용해 커펌 3.52 M33을 설치하고 바로 3.52 M33-4 업데이트 설치 가능
* 판도라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울티메이트 로더로 PSP를 시작
* 지그킥배터리를 사용해서 XMB로 부팅 가능 (구형 PSP 전용)
* 메모리스틱으로부터 풀버전의 펌웨어 1.50으로 부팅 가능 (구형 PSP 전용)
* PSP Filer와 다른 프로그램 사용 가능 (만약 프로그램이 1.50 커널용이라면 신형 PSP에서는 구동 불가)

이 프로그램은 고급레벨용입니다. PSP에 대해 잘 알고 판도라의 배터리 종류와 그 역할에 대해 자세히 알고 계신 분만 설치하세요.

설치법은 위 출처에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단순한 번역을 한 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간략하게 생략된 내용이라 쉽게 이해하기는 어려울 것 같네요. 각 프로그램에 대해 자세히 추가하고 싶어도 몇 일이 걸려도 모자를 것 같아서 포기 ㅡㅡ;

판도라 울티메이트 매직 스틱 인스톨러 v2 설치법 열기



직접 설치하면서 동시에 동영상을 찍었는데, 해상도 문제도 있고 알아보기는 힘들 것 같네요.
참고하실 분들은 반드시 위의 설치법과 하나하나 대조해가면서 차근차근 시도해보세요.
게다가 PSP에서 작업하는 영상은 못찍었습니다. 음악이 건너뛰는 부분은 PSP에서 작업했다는 것만 알아두세요.

위의 설치법은 정말 무지하게 복잡한데 반해 원리 자체는 간단합니다.
* PSP에 위에서 만든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끼우면 바로 XMB로 부팅되며, 보통처럼 사용가능합니다.
* L트리거를 누른채 위에서 만든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끼우면 울티메이트 메뉴가 뜹니다.
  - 울티메이트 메뉴에서는 기존의 EPM v0.84가 포함된 오리지날 판도라 메뉴를 실행할 것인지 (구형 전용)
  - 아니면 Dark_AleX의 유니버셜 언브리커 v3을 실행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구형 / 신형 전용)
* EPM v0.84가 포함된 오리지날 판도라 메뉴를 실행했다면, 커펌 설치나 1.50 부팅, 다운그레이드, USB 연결, 각종 홈브류 실행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유니버셜 언브리커 v3을 실행했다면 커펌 3.71 M33-2 설치, 정펌 3.71 설치, 낸드 백업/복구 등을 할 수 있습니다.

# 예전에 오리지날 매직메모리스틱과 유니버셜 메모리스틱을 하나의 메모리스틱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적은 적이 있었는데, 이 과정을 자동으로 해주고 여러가지 추가기능을 통합한 프로그램입니다.
# 사실 더 간편하게 설치할 수도 있는데, 위 설치법은 매직메모리스틱을 아예 처음부터 만든다고 가정한거라서 많이 복잡하죠. 그러니 자신 있거나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분들만 시도해 보세요. ^^

* 관련글 보기 * - 종류가 많죠?? ㅜㅜ
2007/10/09 - [판도라의 배터리] - 유니버셜 언브리커-자주 묻는 질문
2007/10/05 - [판도라의 배터리] -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2007/10/03 - [판도라의 배터리] - 커펌 PSP 없이 매직 메모리스틱 만들기
2007/09/29 - [판도라의 배터리] - 오리지날+유니버셜 매직 메모리스틱
2007/09/29 - [판도라의 배터리] - 판도라의 배터리 분류/종합
2007/09/29 - [판도라의 배터리] -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 Rev. 2
2007/09/29 - [판도라의 배터리] - 유비버셜 언브리커 v2 - 구형/신형 PSP 벽돌 복구 프로그램
2007/09/27 - [판도라의 배터리] -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
2007/09/22 - [판도라의 배터리] - PSP MS Multiloader IPL
2007/09/21 - [판도라의 배터리] - Extended Pandora Bootmenu v0.84
2007/09/20 - [판도라의 배터리] - Pandora's GUI v1.5
2007/09/17 - [판도라의 배터리] - 판도라 메뉴 확장 - Extended Pandora Bootmenu v0.8
2007/09/12 - [판도라의 배터리] - 판도라 배터리 노멀 모드로 사용하기
2007/08/23 - [판도라의 배터리] - Pandora's Battery 복구 영상
2007/08/23 - [판도라의 배터리] - Pandora's Battery - 벽돌복구 및 모든 펌웨어 다운그레이드

유니버셜 언브리커-자주 묻는 질문

유니버셜 언브리커가 발표되어 이제는 신형과 구형 PSP 모두에서 커펌 설치나 벽돌 복구가 가능해졌습니다.
하지만 유니버셜 메모리스틱을 만드는 과정과 프로그램 자체의 문제 등으로 인해서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자주 묻는 질문 몇 가지만 선택해 아~주 미흡하나마 설명해보겠습니다.

유니버셜 언브리커로 커펌 / 정펌 설치시 Formatting flash0 이나 Formatting flash1 과정에서 멈추고 더 이상 진행되지 않습니다.
이 문제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원인을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flash0:/의 남은 용량이 100kb 미만일 경우 Formatting flash0 부분에서 멈추게 되고, 커펌 3.71 M33에서 블루 스크린을 복구하려고 동그라미버튼을 누르면 Formatting flash1 과정에서 멈추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정상적인 자신의 PSP에서 덤프한 낸드이미지가 있다면 유니버셜 언브리커로 L + R + Start + Home 버튼을 사용해 낸드이미지를 복구하면 대부분 해결됩니다. 하지만 자신의 PSP에서 덤프한 낸드이미지만 사용해야 하며, 만약 덤프한 낸드이미지가 없다면 난감한 상황에 빠지게 됩니다.
그래서 항상 제일 먼저 자신의 정상적인 낸드이미지를 백업해두라고 강조하는 것이죠.

만약 덤프한 낸드이미지가 없거나 낸드이미지 복구가 불안하게 생각된다면, 메모리스틱에 NandTool을 추가로 설치하고 lflash 리파티션을 해준 뒤 커펌을 재설치하면 거의 해결됩니다.
(NandTool v0.3 b1 설치하기/사용하기 : http://popotz.textcube.com/651)

유니버셜 언브리커 v2 / v3로 PSP에 커펌 3.71 M33을 설치하거나 정식 펌웨어 3.71을 설치 완료하고 재부팅하면 물결 무늬에서 멈추고 부팅이 안됩니다.
결론만 말하자면, 설치시 사용하는 registry 폴더(사용자 설정 정보)의 문제입니다.
유니버셜 언브리커 v1에서 발생한 문제때문에 v2 / v3에서는 유니버셜 메모리스틱을 만드는 과정에서 현재 PSP의 registry 폴더를 유니버셜 메모리스틱으로 복사하게 됩니다. 커펌 / 정펌 설치시 이 registry 폴더를 그대로 사용하기 위함이죠. 하지만 예를 들어 현재 사용자 지정 테마 등이 설정되어 있는 PSP에서 유니버셜 메모리스틱을 만들 경우  문제가 생깁니다. 이 registry 폴더는 flash1:/에 저장된 PTF 테마를 불러오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유니버셜 언브리커로 커펌 / 정펌을 설치하면 flash1이 포맷되므로 테마파일을 불러오지 못해 부팅시 멈춰버리는 것이죠.

이 문제는 사용자 지정 테마가 지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니버셜 메모리스틱을 다시 만들면 해결됩니다. 안전을 위해 시스템 초기화를 실행하고 만드는 것도 좋겠죠.

만약 위 방법이 귀찮거나 현재 다시 만들 수 없는 상태라면 아래의 파일을 받아 그 안의 registry 폴더를 유니버셜 메모리스틱 상위에 있는 registry 폴더와 교체해 주면 간단히 해결됩니다.
(이 registry 폴더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v3을 이용한 커펌 / 정펌 설치시만 사용하길 바랍니다. 단, 신형 PSP에서는 확인하지 못했으므로 가능하신 분들이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유니버셜 언브리커 v3로 커펌 3.71 M33-2 설치 후 리커버리 모드에서 flash0 / flash1 접속을 하면 메모리스틱으로만 접속이 됩니다.
얼마 전에 몇 분이 이런 질문을 하셨는데, 그때는 원인을 잘 몰랐습니다. 지금도 정확한 이유는 모르지만 이번에 테스트하면서 저도 같은 문제를 딱 1번 겪었습니다.
펌웨어 1.50에서 백업해둔 깨끗한 상태의 registry 폴더를 사용해서 유니버셜 언브리커로 커펌을 설치했더니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 것이죠. 하지만 이상한건 다시 한 번 같은 파일을 사용해서 커펌을 설치했더니 이번에는 또 이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
이 문제 역시 registry 문제라고 합니다. 설정 - 시스템 설정으로 들어가 시스템 설정 초기화를 해주세요.

사용자 지정 테마를 설정하거나 배경화면을 지정하려고 하면 내부오류가 뜨면서 에러가 납니다.
이 문제는 flash1에 해당 폴더가 제대로 생성되어 있지 않아 생기는 문제입니다. 사용자 지정 테마나 배경화면 등은 flash1:/vsh/theme/ 폴더에 저장되는데, 만약 그 해당 폴더가 없다면 에러가 뜨게 되는 것이죠.

커펌 M33의 리커버리 모드에 있는 format flash1 기능을 사용하면 자주 이런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 기능은 달랑 registry 폴더만 생성해주고 다른 폴더는 만들어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문제는 리커버리 모드에서 flash1에 접속해 수동으로 해당 폴더들을 만들어주면 해결됩니다.
참고로 정상적인 flash1이라면 아래와 같은 폴더가 있어야 합니다.
flash1:/dic/ 폴더 <- ??
flash1:/gps/ 폴더 <- ??
flash1:/net/http/ 폴더 <- 인터넷 사용시의 쿠키 파일 등
flash1:/rsgistry/ 폴더 <- 사용자 설정 정보
flash1:/vsh/theme/ 폴더 <- 사용자 지정 테마, 배경화면

커펌 3.71 M33-2 업데이트를 하지 않은 상태라면 내부오류가 아니라 블루스린이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유니버셜 언브리커 v3로 커펌을 재설치하거나 낸드이미지 복구를 해야합니다. 예방하기 위해서는 커펌 설치 후 제일 먼저 시스템 설정 메뉴의 시스템 설정 초기화를 실행해주세요.

# 여기까지입니다. 사실 어제 밤에 작성한 글인데, 비공개로 해놓았더군요. ㅡㅡ; 그래서 학교 가기 전에 다시 공개로 변경합니다.
# 오늘 날씨가 너무 춥습니다. 감기 조심하세요.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Dark_AleX가 하루가 멀다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계속 발표하고 있네요. 저희들이야 좋지만... 뭔가... 음...

이전에 발표된 구형 / 신형 PSP의 모든 펌웨어에서 벽돌 복구 기능과 커펌 3.71 M33 / 정식 펌웨어 3.71을 설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던 유니버셜 언브리커가 v3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1] [출처가기2]

이번 유니버셜 언브리커의 수정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복구 메뉴에서 사용하는 혼합된 1.50/3.40 커널에서, 신형 PSP의 화면 출력을 지원하도록 수정함.
* 복구 메뉴에서 커펌 설치시 커펌 3.71 M33이 아닌 커펌 3.71 M33-2가 바로 설치됨.

잠자고 있는 PSP를 깨우기 위한 신형 / 구형 PSP의 Universal Unbricker v3 By Dark_AleX

# 설치방법 : 설치를 위해서는 커펌이 설치된 구형 또는 신형 PSP가 필요합니다.

* 기존의 판도라 매직 메모리스틱 또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v2와 지그킥 배터리를 가지고 있는 경우
(기존 매직 메모리스틱의 내용물은 반드시 백업해두세요.)

1. 2.xx나 3.xx 커널을 가지고 있는 커펌이 설치된 PSP에 오리지날 매직 메모리스틱 또는 이전 버전으로 만든 유니버셜 메모리스틱을 넣는다.

2. 아래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PSP의 설정 메뉴로 들어가 사용자 지정테마는 반드시 해제한다.
(시스템 설정 초기화를 해주는것도 한 방법!)

3. 아래에 첨부된 'despertar_cementerio'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한다.

4. 아래의 펌웨어 1.50, 3.40, 3.7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150.PBP, 340.PBP, 371.PBP 파일로 이름을 변경하고 메모리스틱 상위에 복사한다.
* Downlaod : 펌웨어 1.50  펌웨어 3.40  펌웨어 3.71

5.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에서 GAME 폴더의 커널 설정이 3.xx인지 확인하고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Despertar del Cementerio'를 실행한다.

6. 엑스버튼을 누르면 설치가 진행되고 잠시 후 완료되면 7초 후 자동으로 XMB로 복귀한다.

7. 메모리스틱 상위에 있는 340.PBP 파일과 150.PBP 파일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므로 삭제해도 되지만, 371.PBP 파일은 벽돌 복구 및 펌웨어 설치시 사용되므로 삭제하면 안된다.

8. 배터리는 기존의 지그킥 배터리를 그대로 사용한다.

9. 이것으로 구형과 신형의 모든 PSP에 동작하는 판도라의 메모리스틱과 배터리를 가지게 되었다.


* 기존의 판도라 매직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가 없는 경우

기존의 방법은 너무 복잡하므로 삭제하겠습니다.

그 대신 아래의 2가지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선택해서 우선은 오리지날 매직 메모리스틱을 만들고 위의 방법을 통해 오리지날 매직 메모리스틱을 유니버셜 메모리스틱으로 변환하세요.

*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 Rev. 2 : http://popotz.textcube.com/538
* 커펌 PSP 없이 매직 메모리스틱 만들기 : http://popotz.textcube.com/553

그리고 아래의 방법을 통해 구형용 배터리를 지그킥배터리로 반드시 변환해야 합니다.

* 3.xx 커널용 지그킥배터리 툴 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518


# 복구방법 : 일단 위의 방법대로 설치가 완료되면 물리적인 손상이 아닌한 구형/신형 상관없이, 펌웨어 버전에 상관없이 현존하는 모든 PSP의 복구 및 커펌/정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복구하려는 PSP에 위에서 만든 유니버셜 매직 메모리스틱을 삽입하고 지그킥배터리를 끼우면 자동으로 부팅되며 아래와 같은 메뉴가 나오게 되고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엑스버튼을 누르면 커펌 3.71 M33-2을 설치한다.
엑스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설치 과정에 따라 설치를 진행하면 되고, 설치가 완료되면 PSP가 자동으로 꺼진다.
메모리스틱과 배터리를 빼고 AC아답터나 보통의 배터리로 PSP를 부팅하면 커펌 3.71 M33-2의 설치가 완료된다.

동그라미버튼을 누르면 정식 펌웨어 3.71을 설치한다.
이후 과정은 위의 커펌 3.71M33-2 설치 과정과 동일하다.

네모버튼을 누르면 현재의 낸드이미지를 ms0:/nand-dump.bin 파일로 저장한다.
메모리스틱의 남은 용량이 반드시 33MB(구형), 66MB(신형) 이상 있어야 한다. 완료되면 PSP는 자동으로 종료된다. (일단 설치가 안전하게 완료되었다면 정상적인 상태의 PSP에서 네모버튼을 눌러 반드시 낸드이미지를 덤프해두는 것이 좋다.)

L트리거 + R트리거 + 스타트버튼 + 홈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ms0:/nand-dump.bin 파일을 이용해 PSP의 낸드플래시를 복구하게 된다.
이 과정은 매우 위험하므로 최후의 수단으로만 사용하길 바란다.
이것은 논리적이 아닌 물리적인 복구 과정이므로 덤프 이미지와 100% 동일하게 복구하게 된다.
만약 해당 PSP가 아닌 다른 PSP에서 덤프한 이미지를 복구에 사용할 경우 펌웨어에 따라 벽돌이 되거나 idstorage가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Dark_AleX 曰, 제일 큰 문제인 화면 문제가 해결되었으므로, 신형 PSP에서도 1.50 커널 지원이 가능할지 모른다.

# 문제가 조금 있었던 커펌 3.71 M33이 아니라 커펌 3.71 M33-2가 바로 설치된다니 또 새로 만들어야겠군요. ㅡㅡ;
(설치 완료하고 스크린샷 추가!)

# 위 실행 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2007/10/03 - [판도라의 배터리] - 커펌 PSP 없이 매직 메모리스틱 만들기
2007/09/29 - [판도라의 배터리] - 판도라의 배터리 분류/종합
2007/09/29 - [판도라의 배터리] - 유니버셜 언브리커 v2 - 구형/신형 PSP 벽돌 복구 프로그램

커펌 PSP 없이 매직 메모리스틱 만들기


드디어 커펌이 설치된 PSP가 없더라도 메모리스틱 리더기만 있다면 판도라의 매직 메모리스틱을 만들 수 있는
TOTALNewbi easyInstaller라는 프로그램이 발표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이 프로그램을 통해 지금까지 나온 모든 종류의 매직 메모리스틱을 커펌 설치된 PSP 없이도 만들 수 있습니다.

1. 오리지날 매직 메모리스틱 : 구형 PSP 전용, 모든 펌웨어의 다운그레이드 가능, 벽돌 복구 가능
2. Extended Pandora Bootmenu : 오리지날 매직 메모리스틱에 몇 가지 기능 추가
3. 커펌 3.60 M33 설치용 메모리스틱 : 신형 PSP 펌웨어 3.60에서만 사용 가능, 커펌 3.60 M33 설치 기능
4. 유니버셜 메모리스틱 v2 : 구형 / 신형 PSP에 모두 사용 가능, 모든 펌웨어에 커펌 3.71 M33 설치 가능, 벽돌 복구 가능. 이 경우 이 프로그램보다 http://popotz.textcube.com/689를 참고해서 만드세요.

조금 더 자세한 사항은 http://popotz.textcube.com/539 참고하세요.

필요한 준비물은 매직 메모리스틱으로 만드려는 메모리스틱 프로 듀오 1개와 메모리스틱을 PC에 연결할 수 있는 메모리스틱 리더기 또는 정상 동작하는 PSP (커펌 / 정펌 상관 없음)입니다.

* Download : TOTALNewbi easyInstaller (135.39MB)

매직 메모리스틱으로 만드려는 메모리스틱 프로 듀오를 메모리스틱 리더기 또는 PSP에 삽입하고, PC와 USB를 통해서 연결한 뒤, 위 첨부파일 안의  START.exe를 실행해서 하라는대로 만들면 됩니다.

자세한 설치 과정은 아래의 동영상을 참고하세요. 판도라의 배터리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은 필수!입니다.
(캡쳐하고 편집하고, 자막 넣고, 업로드하고... 힘들게 만들었습니다. ㅜㅜ)
 

# 위 프로그램은 매직 메모리스틱만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이므로 실행에 필수인 지그킥배터리는 이전과 동일하게 커펌이 설치된 PSP를 통해 구형 배터리를 지그킥배터리로 변환해야 합니다.

# 사실 저는 이 프로그램이 위험한 파일을 포함하고 있어 겁이 나네요. 하지만 http://pspupdates.qj.net/에 보란듯이 걸려 있어 자료 링크만 걸어둡니다. 예고 없이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ㅡㅡ;

오리지날+유니버셜 매직 메모리스틱


팁이라면 팁이라고 할 수 있고 별거 아니라면 별거 아닌 삽질이라고도 할 수 있는 글입니다. ㅡㅡ;

이번에 발표된 유니버셜 언브리커 v2는 구형과 신형 모든 PSP에서 작동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구형 PSP 사용자들에게는 안 좋은 점도 있습니다. 바로 펌웨어 1.50으로의 다운그레이드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과 덤프한 낸드이미지로 복구시 idstorage를 제외하고 복구하는 기능이 빠졌기 때문에 위험성이 높아졌다는 것이죠.

그래서 오리지날 매직 메모리스틱과 유니버셜 매직 메모리스틱의 내용물을 하나의 메모리스틱에 모두 넣어놓고 필요에 따라 오리지날 복구 메뉴 또는 유니버셜 복구 메뉴를 선택해서 띄우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사실 별 다르게 특별한 건 없고 kd 폴더만 이름을 변경해놓고 필요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지요. (허접의 극치)

1. 우선 이전 글을 참고해서 오리지날 매직 메모리스틱을 만듭니다. (http://popotz.textcube.com/538)
2. 그리고 만들어진 매직 메모리스틱에서 'kd' 폴더의 이름을 'kd_original'로 변경하고 매직 메모리스틱의 모든 내용물을 PC로 백업합니다.
3. 같은 메모리로 이번엔 유니버셜 매직 메모리스틱을 만듭니다. (http://popotz.textcube.com/537)
4. 이제 만들어진 유니버셜 매직 메모리스틱 안의 'kd' 폴더를 'kd_universal'로 이름을 변경합니다.
5. PC로 백업해 두었던 오리지날 매직 메모리스틱의 내용물을 유니버셜 매직 메모리스틱에 모두 덮어씁니다.


6. 그럼 매직 메모리스틱은 위와 같은 내용물을 가지게 됩니다. 반드시 필요한 내용물은 kd_original 폴더, kd_universal 폴더, registry 폴더, 371.PBP , UPDATE.PBP 이며 이 외의 폴더와 파일은 없어도 됩니다.
(저는 펌웨어 1.50 관련 파일을 모두 넣어두었기에 data, dic, font, vsh 폴더가 있는데, 이 폴더들은 매직 메모리스틱을 만드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있을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스크린샷 찍느라고 picture 폴더가 있는데 이 폴더는 없어도 됩니다. PSP 폴더나 msipl.bin 파일도 동일.)


7. 매직 메모리스틱 안의 'kd_original' 폴더의 이름을 'kd'로 변경하고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해 부팅하면 위와 같이 오리지날 판도라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하거나 비교적 안전하게(?) 낸드이미지로 복구할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8. 위에서 변경한 'kd' 폴더를 다시 'kd_original'로 변경하고, 'kd_universal' 폴더의 이름을 'kd'로 변경하면 지그킥배터리로 부팅했을 때 유니버셜 언브리커 메뉴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신형 PSP에 사용할 때나 커펌 3.71 M33을 바로 설치하고 싶을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 어디까지나 구형 PSP 사용자를 위한 글입니다. 신형 PSP에서는 오리지날 매직 메모리스틱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 평소에는 벽돌을 대비해서 'kd_original' 'kd_universal' 폴더 중 하나의 폴더를 선택해 'kd' 폴더로 이름을 변경해 놓는 것이 좋습니다. 메모리스틱 리더기가 있다면 더 편하겠죠.

판도라의 배터리 분류/종합

프로메테우스 프로젝트에 의해 유명한 개발자들이 모두 모여 발표한 판도라의 배터리가 등장한 이후로 이를 이용한 다양한 패치 프로그램과 더 쉽게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이 여러 종류 발표되었습니다.

그래서 자칫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종류가 너무 많아 혼동할 우려가 있어 글 하나에 각각의 프로그램을 정리해볼까 합니다. 기본적인 사항만 나열할 것이므로 각각의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세부 사항이나 주의점 등은 링크된 글에서 꼼꼼히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또한 해당 용어는 제 맘대로 지어서 통일합니다.

구형 PSP용 오리지날 판도라의 배터리
제일 처음 판도라의 배터리라는 이름으로 등장한 프로그램입니다. 구형 PSP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매직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사용하는 획기적인 벽돌 복구 / 다운그레이드 툴입니다. 이 후에 나오는 모든 관련 프로그램은 이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하고있습니다. 처음에는 설치법이 조금 복잡했지만, 지금은 상당히 편하게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이 여러개 발표되었습니다.
* 오리지날 판도라의 배터리 설치 프로그램 * http://popotz.textcube.com/468
요약설명 : 제일 먼저 발표된 매직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 생성 프로그램. 설치법이 조금 복잡함.
생성가능 PSP  : 펌웨어 1.50 이거나 3.52 M33 이하의 커펌이 설치된 구형 PSP (신형 PSP, 3.71 M33 불가능)
사용가능 PSP  : 모든 구형 PSP (펌웨어 버전 상관없음. 하드웨어 손상이 없는 벽돌 PSP 복구 가능)
기능 :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 현재의 낸드이미지 덤프, 덤프한 낸드이미지 복구

* 판도라의 배터리 이지 인스톨러 * http://popotz.textcube.com/509
요약 설명 : 기존의 설치 프로그램 보다 조~~금 더 편하며, 기본적인 설치법과 사용방법은 이전과 동일.
생성가능 PSP  : 펌웨어 1.50 이거나 3.52 M33 이하의 커펌이 설치된 구형 PSP (신형 PSP, 3.71 M33 불가능)
사용가능 PSP  : 모든 구형 PSP (펌웨어 버전 상관없음. 하드웨어 손상이 없는 벽돌 PSP 복구 가능)
기능 :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 현재의 낸드이미지 덤프, 덤프한 낸드이미지 복구

* Pandora's GUI * http://popotz.textcube.com/513
요약설명 : 오리지날 버전의 GUI 버전. 기본적인 설치법과 사용방법은 이전과 동일.
생성가능 PSP : 펌웨어 1.50 이거나 3.52 M33 이하의 커펌이 설치된 구형 PSP (신형 PSP, 3.71 M33 불가능)
사용가능 PSP : 모든 구형 PSP (펌웨어 버전 상관없음. 하드웨어 손상이 없는 벽돌 PSP 복구 가능)
기능 :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 현재의 낸드이미지 덤프, 덤프한 낸드이미지 복구

*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 Rev. 2 * http://popotz.textcube.com/538
요약설명 : 3.xx커널에서 설치 가능하며, 설치법이 상당히 간편함. 사용방법은 이전과 동일.
생성가능 PSP :  커펌 3.xx가 설치된 구형/신형 PSP (커펌 3.71 M33도 가능)
사용가능 PSP : 모든 구형 PSP (펌웨어 버전 상관없음. 하드웨어 손상이 없는 벽돌 PSP 복구 가능)
기능 :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 현재의 낸드이미지 덤프, 덤프한 낸드이미지 복구, 메모리스틱에 저장된 펌웨어 1.50으로 부팅 가능

현재 오리지날 매직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은 크게 위의 4가지입니다. 만약 처음 만드려는 분들은 가장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는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 Rev. 2를 추천합니다.

그리고 오리지날 매직메모리스틱이나 지그킥배터리를 만드는 프로그램은 아니지만 기존의 기능을 확장시켜 주거나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몇가지 프로그램이 따로 존재합니다.
Extended Pandora Bootmenu v0.84 : USB 연결 및 펌웨어 1.50으로 부팅, 낸드 부팅 등 여러가지 기능 확장
MS Multiloader IPL : 매직 메모리스틱 패치를 통해 판도라 메뉴 또는 정상적인 부팅으로 선택해서 부팅 가능

커펌 3.60 M33 설치용 판도라의 배터리
M33팀이 오리지날 매직 메모리스틱을 패치해서 신형 PSP에 커펌 3.60 M33을 설치할 수 있도록 발표한 프로그램입니다. 하지만 오리지날 매직 메모리스틱을 패치하기 위해서는 커펌이 설치된 구형 PSP가 필요하다는 큰 문제점이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거의 쓸 일이 없으니 참고용으로만 생각하세요.
* 신형 PSP용 커펌 3.60 M33 설치방법 * http://popotz.textcube.com/497
요약설명 : 오리지날 매직 메모리스틱에 약간의 수정을 가하고, 기존의 지그킥배터리를 사용해서 펌웨어 3.60인 신형 PSP에 커펌 3.60 M33을 설치할 수 있는 프로그램.
생성가능 PSP : 펌웨어 1.50 이거나 3.52 M33 이하의 커펌이 설치된 구형 PSP (신형 PSP, 3.71 M33 불가능)
사용가능 PSP : 정식 펌웨어 3.60인 신형 PSP (구형 PSP 불가능. 펌웨어 3.70/3.71인 신형 PSP 불가능)
기능 : 커펌 3.60 M33 설치, 정펌 3.60 복귀, 현재의 낸드이미지 덤프 (단, 벽돌 복구나 낸드이미지 복구 불가)

구형 / 신형 PSP용 유니버셜 언브리커
구형에서만 동작하는 오리지날 판도라 배터리의 단점을 보완하여, Dark_AleX가 구형과 신형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판도라의 배터리를 발표했는데 이것이 바로 유니버셜 언브리커입니다. 신형 PSP에는 펌웨어 1.50을 설치할 수 없기때문에 펌웨어 1.50으로의 다운그레이드 기능은 빠져있지만 한 번에 커펌 3.71 M33-2를 설치하거나 정펌 3.71을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단, 지그킥배터리는 기존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 Universal Unbricker v3  * http://popotz.textcube.com/559
요약설명 : 구형과 신형 PSP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판도라의 배터리
생성가능 PSP : 커펌 3.xx가 설치된 구형/신형 PSP (커펌 3.71 M33도 가능)
사용가능 PSP : 구형/신형 모든 PSP (펌웨어 버전 상관없음. 하드웨어 손상이 없는 벽돌 PSP 복구 가능)
기능 : 커펌 3.71 M33-2 설치, 정펌 3.71 설치, 현재의 낸드이미지 덤프, 덤프한 낸드이미지 복구

판도라의 매직 메모리스틱 종합 인스톨러 - TOTALNewbi easyInstaller
위에서 말한 다양한 매직 메모리스틱을 쉽고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TOTALNewbi easyInstaller입니다. 게다가 이 프로그램은 커펌이 설치된 PSP가 필요없고, 메모리스틱을 PC와 연결할 수 있는 메모리스틱리더기만 있으면 됩니다.
*  TOTALNewbi easyInstaller * http://popotz.textcube.com/553
요약설명 : 매직 메모리스틱을 PSP 없이도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
필요한 준비물 : 메모리스틱 프로 듀오를 PC와 연결할 수 있는 메모리스틱 리더기 또는 모든 PSP
사용가능 PSP : 만들어진 매직 메모리스틱에 따라서 다름. 위의 내용 참고
기능 : 만들어진 매직 메모리스틱에 따라서 다름. 위의 내용 참고

# 이 글에 나와있는 모든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지그킥배터리는 오리지날 판도라의 배터리를 만들 때 구형용 배터리로 한 번 변환해두면 이 후에는 변환 없이 그대로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신형용 배터리는 사용불가)
# 날림이라 글이 허접하네요. 계속 수정하겠습니다.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 Rev. 2


이전에 소개한 3.xx 커널에서 매직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판도라 인스톨러가 Rev. 2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츨처가기]

프로메테우스 프로젝트에 의해 발표된 오리지날 판도라의 배터리 생성 프로그램은 1.50 커널에서만 실행되기 때문에 커펌 3.60 M33이나 3.71 M33에서는 만들 수 없었는데, 이를 수정하여 가능하게 한 것이죠.
또한 이번  Second Revision은 mspformat 과정이나 msinst 과정을 윈도우에서 실행할 필요없이 PSP의 프로그램내에서 자체 지원하기 때문에 이전보다 훨씬 더 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 2nd Rev. 사용법 열기


이제 판도라의 배터리용 매직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모두 만들었다면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벽돌이거나 정펌인 구형 PSP를 비롯해 모든 펌웨어, 모든 구형 PSP에서 사용가능합니다.
(단 하드웨어적으로 고장이 났거나 idstorage에 문제가 있는 PSP에서는 정상 작동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판도라의 배터리 사용법 및 기타사항 열기


# PC 상에서 명령 프롬프트를 사용하는 방법을 모르셨던 분들이나 운영체제가 윈도우XP가 아니라 mspformat 과정이나 msinst 과정을 진행하지 못하셨던 분들에게는 PSP가 알아서 해주는 이 프로그램이 매우 유용하리라 생각됩니다.

# 위 실행 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2007/09/27 - [판도라의 배터리] -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

유니버셜 언브리커 v2 - 구형/신형 PSP 벽돌 복구 프로그램


Dark_AleX가 약속대로 구형과 신형 PSP를 모두 복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발표했습니다. [출처가기1] [출처가기2]

이번 유니버셜 언브리커(?)는 구형과 신형 PSP펌웨어 버전에 상관없이 커펌 3.71 M33을 설치하거나 정식 펌웨어 3.71로 복구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 역시 기존의 판도라의 배터리와 비슷하게 하드웨어적인 방법을 사용하므로 이후에 나올 펌웨어에서도 동일하게 작동하게 됩니다.

잠자고 있는 PSP를 깨우기 위한 신형 / 구형 PSP의 Universal Unbricker v2 By Dark_AleX


# 설치방법 :
설치를 위해서는 커펌이 설치된 구형 또는 신형 PSP가 필요합니다.

자세히 열기



# 복구방법 : 일단 위의 방법대로 설치가 완료되면 물리적인 손상이 아닌한 구형/신형 상관없이, 펌웨어 버전에 상관없이 현존하는 모든 PSP의 복구 및 커펌/정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신형 정식 펌웨어 3.71에서도 커펌 설치 및 복구가 가능합니다. 단, 신형 PSP에서는 액정 관련 드라이버 문제로 복구 메뉴가 보이지 않으니 아래 설명을 잘 읽고 따라하세요.
하지만 구형 PSP에만 사용할 생각이라면 기존의 판도라 매직 메모리스틱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좋을 듯 싶네요.

복구하려는 PSP에 위에서 만든 유니버셜 매직 메모리스틱을 삽입하고 지그킥배터리를 끼우면 자동으로 부팅되며 아래와 같은 메뉴가 나오게 되고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신형 PSP에서는 복구 메뉴가 보이지 않습니다.)

엑스버튼을 누르면 커펌 3.71 M33을 설치한다.
신형 PSP에서는 메모리스틱 램프가 깜빡이면 371.PBP 파일을 쓰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완료되면 메모리스틱 램프와 무선랜 램프가 깜빡이고, 잠시 후 PSP가 자동으로 종료된다.
구형 PSP에서는 설치 과정이 화면에 보여지게 되며, 완료 후 엑스버튼을 누르면 PSP가 종료된다.
이제 메모리스틱과 배터리를 빼고 AC아답터나 보통의 배터리로 PSP를 부팅하면 커펌 3.71 M33의 설치가 완료된다. 만약 재부팅시 블루스크린이 나온다면 동그라미버튼을 눌러 복구하면 된다.
(설치 완료 후에는 바로 설정 - 시스템 설정으로 들어가 시스템 설정 초기화를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동그라미버튼을 누르면 정식 펌웨어 3.71을 설치한다.
이후 과정은 위의 커펌 3.71M33 설치과정과 동일하다.

네모버튼을 누르면 현재의 낸드이미지를 ms0:/nand-dump.bin 파일로 저장한다.
메모리스틱의 남은 용량이 반드시 33MB(구형), 66MB(신형) 이상 있어야 한다.
완료되면 PSP는 자동으로 종료될 것이다.

L트리거 + R트리거 + 스타트버튼 + 홈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ms0:/nand-dump.bin 파일을 이용해 PSP의 낸드플래시를 복구하게 된다.
이 과정은 매우 위험하므로 최후의 수단으로만 사용하길 바란다.
이것은 논리적이 아닌 물리적인 복구 과정이므로 덤프 이미지와 100% 동일하게 복구하게 된다.
만약 해당 PSP가 아닌 다른 PSP에서 덤프한 이미지를 복구에 사용할 경우 펌웨어에 따라 벽돌이 되거나 idstorage가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일단 설치가 안전하게 완료되었다면 정상적인 상태의 PSP에서 네모버튼을 눌러 반드시 낸드이미지를 덤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기존 판도라의 배터리를 사용해 백업한 낸드이미지도 사용가능합니다.)

# 설치 완료 후 블루스크린에서 동그라미버튼으로 복구시 저처럼 벽돌이 되는 문제가 있어 registry 폴더까지 생성하도록 수정한 v2가 발표되었습니다. 기존에 만들어둔 사용자는 v2를 다시 받아 처음부터 새로 만들어야 적용됩니다.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


이전 발표된 판도라의 배터리와 이지 인스톨러 같은 경우 매직 메모리스틱에 쓰이는 펌웨어 파일을 덤프하기 위해서는 1.50 커널이 필수였습니다. 그래서 커펌 3.71 M33이나 커펌 3.60 M33에서는 매직 메모리스틱을 만들 수가 없었죠.

하지만 이번에 드디어 이 문제를 해결한 'Pandora Installer for 3.xx kernels'가 발표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이번 'Pandora Installer for 3.xx kernels'은 3.xx 커널에서 동작하며 지그킥배터리를 만드는 프로그램과 매직 메모리스틱을 만드는 프로그램을 통합해서 더 편해진 느낌이 납니다.

구형 PSP에 커펌 3.52 M33-4 이하의 커펌이 설치되어 있다면 이 프로그램 말고 기존 방법대로 만들어도 됩니다.

커펌이 설치된 신형 PSP만 가지고도 만들 수 있지만 어차피 신형 PSP에서는 판도라의 배터리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현재까지는 만들 필요가 없겠죠. (아! 다른 구형 PSP에 사용하려는 분은 아래대로 만드시면 됩니다.)

즉, 이 프로그램은 커펌 3.71 M33이 설치되어 있는 구형 PSP 한 대만을 가지고 있는데, 판도라의 배터리를 만들고자 하는 분들에게 딱!! 입니다.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를 이용하여 판도라의 배터리 만드는 방법 열기


# 자세한 사용법 및 추가사항 등은 http://popotz.textcube.com/509 참고하세요.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2007/09/22 - [판도라의 배터리] - PSP MS Multiloader IPL
2007/09/21 - [판도라의 배터리] - 3.xx 커널용 판도라의 배터리 툴
2007/09/17 - [판도라의 배터리] - 판도라 메뉴 확장 - Extended Pandora Bootmenu v0.8
2007/09/18 - [판도라의 배터리] - [종합] 판도라의 배터리 이지인스톨러

판도라를 방지한 새로운 배터리?


Fanjita가 Noobz팀의 홈페이지를 통해, 손휘에서 판도라의 배터리(지그킥배터리)로 만들 수 없는 새로운 배터리를 출시했다는 사실을 알려왔습니다. [출처가기]

다음은 홈페이지에 게시된 글의 내용입니다.
I recently received an official Sony PSP-110 battery (the original fat PSP battery), as new from Amazon.  It seems to be a completely genuine Sony part, but it can't be successfully converted to Pandora - the battery creator shows lots of errors, even when flashing an EEPROM image from an older Sony battery.
나는 최근에 아마존에서 공식 손휘 PSP-110 배터리(구형 PSP와 동일)를 신품으로 구입했다. 그것은 완벽하게 손휘의 정품인 것 같지만, 판도라의 배터리로 성공적으로 변환되지 않았다. battery creator 실행시 많은 에러가 발생했고, 예전 손휘 배터리에서 백업한 EEPROM 이미지를 플래싱할때도 에러가 발생했다.

The only difference from the older battery is that the old battery was made in China, the new battery is made in Japan. 
예전 배터리와의 차이점은 예전 배터리는 중국에서 만들어졌고, 새로운 배터리는 일본에서 만들어졌다는 것 뿐이다.

It wouldn't be surprising for Sony to have patched their batteries so that they're Pandora-proof.  If this is true, then it still shouldn't be a big problem - I'd recommend buying a new, large capacity battery to use as a regular battery, and using the original battery that came with your PSP for Pandora.  And of course, you can always use Booster's multi-IPL loader to use your Pandora battery as your primary battery, if you want.  Just don't go buying new Sony batteries for use with Pandora
손휘가 그들의 배터리를 패치해서 판도라를 방지한 것은 놀랄만한 일이 아니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도 아직까지는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새로운 용량이 큰 배터리는 보통처럼 사용하기 위해 구입하고,  PSP를 구입할 때 포함되어 있던 원래 배터리는 판도라를 위해 사용할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원한다면 Booster의 multi-IPL loader를 이용해서 판도라 배터리를 주로 사용하는 배터리로써 사용할 수도 있다.
판도라의 배터리로 사용하기 위해서 새로운 손휘의 배터리를 사러 가지 말아라!

즉, 만약 새로운 배터리를 사게 되면 판도라 배터리로 변환하지 못할 수도 있으니 조심하라는 뜻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PSP가 일본에 발매된 초기에는 일본에서 제작된 배터리가 포함되어 있었으니, 제조국가로 구별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됩니다. (제가 2번째로 구입한 일판 PSP에도 일본에서 제작된 배터리가 들어있었죠.)

뭐, 새로운 배터리 수요가 많을 것 같지도 않고, 예전 배터리의 재고나 중고품도 많이 남아있을테니 조심만 하면 문제가 되지는 않겠네요. 하지만 절대 못 막을 것 같던 판도라의 배터리도 10년(?)쯤 후에는 결국 막히겠네요.  ^^

# 그나저나 Fanjita는 은퇴한겨~ 안한겨??

* 관련글 보기 *
2007/09/22 - [판도라의 배터리] - PSP MS Multiloader IPL

PSP MS Multiloader IPL


어쩐지 판도라의 배터리 관련글만 올리는 듯한 느낌이 드네요.

Booster가 이전의 Normal boot loader를 향상시킨 PSP MS Multiloader IPL를 발표했습니다. [출처가기]

Normal boot loader는 매직 메모리스틱이 아닌 Normal boot loader로 패치된 일반 메모리스틱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 지그킥배터리를 넣더라도 판도라 메뉴가 뜨지 않고 XMB로 부팅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일반 메모리스틱 + 지그킥배터리 조합)

이번에 나온 PSP MS Multiloader IPL은 이를 더욱 향상시켜 매직 메모리스틱 자체에 패치를 함으로써 버튼 선택에 의해 일반적인 XMB로 부팅할 수도 있고, 판도라 메뉴를 불러올 수도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매직 메모리스틱 + 지그킥배터리 조합)

즉, 메모리스틱과 배터리가 1개씩만 있더라도 판도라의 배터리 세트를 유지한 채 PSP를 보통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PSP MS Multiloader IPL 설치법 및 사용법 열기


# 약속대로 더 편한 패치 프로그램이 나왔군요. 매직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보통과 동일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슬립모드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이 유일한 흠이긴 하지만요.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판도라의 배터리] - [종합] 판도라의 배터리 이지인스톨러
[판도라의 배터리] - 판도라 배터리 노멀 모드로 사용하기

Extended Pandora Bootmenu v0.84


판도라 메뉴를 더욱 확장시켜주는 Extended Pandora Bootmenu가 v0.84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이전 v0.80에 비해 v0.84에서 달라진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쉬운 인스톨러가 포함됨. ms0:/UPDATE.PBP로부터 파일을 추출하므로 인스톨러내에는 저작권에 위반되는 파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 (직접 덤프하거나 수정할 필요없이 한 번에 설치 완료됨.)
* 여러가지 버그 수정과 안정성 향상.
* 무선랜이 켜져있을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메뉴를 설정 가능함. (v0.80에서는 무조건 메모리스틱 부팅.)
* 무선랜이 고장난 사람들을 위해서 설정을 하지 않는한 무선랜이 켜져있어도 기본적인 Extended Pandora Bootmenu가 실행됨.
* "Launch app with flash access"와 "Launch CFW installer" 기능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음. (ms0:/PSP/GAME 또는 ms0:/PSP/GAME150 폴더 중 선택 가능)
* "Boot from internal flash" 기능을 실행하면 나오게 되는 알림창이 한 번만 나오고, 두 번째부터는 나오지 않음.

Extended Pandora Bootmenu v0.84 설치법 열기


# 위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에 이전 매직 메모리스틱의 내용물은 반드시 백업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 진작 이렇게 나왔으면 예전 글을 노가다로 작성하지 않아도 됐을텐데... 췟! ㅜㅜ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판도라의 배터리] - [종합] 판도라의 배터리 이지인스톨러
[판도라의 배터리] - 판도라 메뉴 확장 - Extended Pandora Bootmenu v0.8

3.xx 커널용 판도라의 배터리 툴


1.50 커널이 아닌 3.xx 커널에서 지그킥배터리를 만들거나 복구할 수 있는 툴이 발표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신형 PSP에 설치되는 커펌 3.60 M33은 1.50 커널이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판도라의 배터리에 사용되는 매직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만들 수 없어 반드시 커펌이 설치된 구형 PSP의 도움을 받아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판도라의 배터리 툴'은 3.xx 커널에서도 동작하므로 신형 커펌 3.60/3.71 M33에서도 지그킥배터리를 만들거나 지그킥배터리를 보통 상태의 배터리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단, 매직 메모리스틱을 처음 만드는 것은 여전히 커펌이 설치되어 있는 구형 PSP에서만 가능합니다. 하지만 한 번 매직 메모리스틱을 만들어 두고 그 안의 파일을 백업한 놓은 상태라면 구형 PSP가 없어도 큰 문제는 되지 않겠지요.
3.xx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도 발표되었습니다. (http://popotz.textcube.com/534)

* Download :

첨부파일 안의 'ospbt' 폴더를 ms0:/PSP/GAME/ 폴더에 넣어 구동하면 됩니다.
(커펌이 설치되어 있는 구형 PSP에서도 역시 같은 곳에 넣으면 사용 가능합니다.)

Open Source Pandora Battery tool for 3.xx kernels 사용법 열기


# 구형 PSP는 없고 커펌 3.60 M33이 설치된 신형 PSP만 가지고 있는 사람은 판도라의 배터리에 관련된 어떠한 작업도 할 수 없었는데, 이 프로그램으로 지그킥배터리라도 커펌 3.60 M33에서 만들 수 있게되었습니다.
(나중에는 매직메모리스틱도 커펌 3.60 M33에서 만들 수 있게 되면 좋겠네요.)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다운그레이드] - [종합] 판도라의 배터리 이지인스톨러
[커스텀펌웨어] - [추가] 신형PSP용 커펌 3.60 M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