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뮬 : EmuMaster v3.GX FF XIII Edition


게임보이(GB), 게임보이컬러(GBC), 슈퍼게임보이, 세가 마스터시스템(SMS), 세가 게임기어(GG) 등 다양한 기종의 게임을 지원하는 에뮬레이터 EmuMaster v3.GX FF XIII Edition이 발표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얼마 전 EmuMaster v3.00이 발표되었는데, 이번 EmuMaster v3.GX FF XIII Edition은 v3.00을 기반으로 FF 13의 그래픽 테마를 적용하고 기존 코드를 대부분 새로 작성했다고 합니다.


[ 설치법 ]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EmuMaster V3.GX FF XIII Edition'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한 뒤 실행하면 됩니다.

또 구동하려는 롬파일(*.gg, *.sms, *.bin, *.gb, *.gbc, *sgb, *. cgb, *zip 등)도 메모리스틱으로 복사합니다. (에뮬레이터 자체에서 파일 탐색을 지원하기 때문에 편한 위치에 복사하면 됩니다.)

[ 사용법 ]
그래픽이 변경되고 성능이 약간 향상되었을 뿐 기능 자체는 이전 버전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사용법은 이전에 작성한 글(http://popotz.textcube.com/465)을 참고해주세요.

* 관련글 보기 *
에뮬 : EmuMaster (구Masterboy) v3.00
PSP용 에뮬레이터 정리
에뮬 : MasterBoy v2.0

에뮬 : EmuMaster (구Masterboy) v3.00


게임보이(GB), 게임보이컬러(GBC), 슈퍼게임보이, 세가 마스터시스템(SMS), 세가 게임기어(GG) 등 다양한 기종의 게임을 지원하는 에뮬레이터 Masterboy v3.00입니다. [출처가기]

이번에 v3.00으로 업데이트하면서 Masterboy가 아닌 EmuMaster로 이름을 바꿨네요.

자세한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롬 로드 속도 5% 향상.
* 마리오(Mario)와 관련된 에러 수정.
* 컬러 패치를 적용해서 메트로이드(metroid) 실행 가능.
* EmuMaster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변경.
* 새로운 이미지


설치법 / 사용법 등은 이전에 작성한 글(http://popotz.textcube.com/465)을 참고해주세요.

* 관련글 보기 *
PSP용 에뮬레이터 정리
에뮬 : MasterBoy v2.0

패미콤 에뮬 : NesterJ 1.12 Plus 0.61 RM


닌텐도의 고전 게임기인 '패미콤'의 에뮬레이터 NesterJ 1.12 Plus 0.61 RM입니다. [출처가기]

NesterJ 1.12를 기반으로 rewind 기능과 mirror 기능을 추가한 수정 버전이네요. (rewind 기능은 게임 중 언제라도 지난 시간으로 되돌리는 기능이며, mirror 기능은 화면의 좌우를 반대로 변경하는 기능입니다.)


[ 설치법 ]
1.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NesterP'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 실행하려는 패미콤용 롬파일(*.nes)을 따로 구해 메모리스틱으로 복사합니다. (ms0:/PSP/GAME/NesterP/ 폴더 안에 넣어두면 편합니다.)

3.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NesterJ 1.12 Plus 0.61 RM'을 실행한 뒤 원하는 롬파일을 선택하면 됩니다.

[ 사용법 ]
기본적인 사용법은 이전 글 (http://popotz.textcube.com/396)을 참고해주세요. 다만 게임중 에뮬레이터 메뉴로 진입하는 기본단축키는 아날로그스틱 왼쪽이라는 것만 기억하면 될 것 같네요.

여기서는 새롭게 추가된 rewind 기능과 mirror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만 간단히 추가하겠습니다.
* rewind 기능 : 게임중 언제라도 과거로 돌아갈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 리와인드 기능에 할당된 기본 단축키는 R트리거입니다. (에뮬레이터 메뉴의 'kEY CONFIG'에서 변경 가능합니다.) 또한 에뮬레이터 메뉴의 'REWIND CONFIG' 에서 세부 설정이 가능합니다.

* mirror 기능 : 화면의 좌우를 반전하는 기능입니다. 에뮬레이터 메뉴의 'GRAPHICS CONFIG'의 'SCREEN SIZE' 메뉴를 통해 설정할 수 있으며, 게임중 아날로그스틱 오른쪽을 반복적으로 눌러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PSP용 에뮬레이터 정리
패미콤 에뮬 : NesterJ v1.20 beta2

PSP-300X용 NJ 에뮬레이터 v2.3.1 모음


아주 오래전 NJ라는 일본의 개발자가 CPS1PSP / CPS2PSP / MVSPSP / NCDZPSP라는 4가지 종류의 에뮬레이터를 만들어 발표했습니다. 현재까지 많이 즐기고 있는 유명한 에뮬레이터들이죠.

[ 참고사항 ]
* CPS1PSP : Capcom Play System 1 기판의 에뮬레이터
* CPS2PSP : Capcom Play System 2 기판의 에뮬레이터
* MVSPSP : 네오지오 / MVS 기판의 에뮬레이터
* NCDZPSP : 네오지오 CD / 네오지오 CDZ의 에뮬레이터

하지만 2007년 10월, NJ는 v2.3.1을 끝으로 은퇴를 하게 되었고, 더 이상 공식적인 업데이트는 없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NJ 에뮬레이터 4종의 v2.3.1은 기종과 펌웨어 버전에 따라 아래처럼 총 3가지 종류로 발표되었습니다.
* PSP Slim용 : PSP-200X 전용으로서, 신형 PSP에 추가된 64MB의 램을 사용함. 캐시파일이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음.
* 3.xx 유저모드용 : 기종과 상관없이 작동하지만, 32MB의 램만을 사용함. 캐시파일이 반드시 필요.
* 1.50 커널모드용 : 1.50 커널 애드온이 설치된 PSP-100X 전용. 커널 모드에서 동작하지만 32MB의 램을 사용.

성능상으로는 64MB의 램을 모두 사용해서 동작하는 PSP Silm용 에뮬레이터가 제일 편하고 좋지만, 이 PSP Silm용 에뮬레이터에는 PSP-200X인지, 3.71 이상의 커펌이 설치되어 있는지 구동 전에 검사하게 되어 있습니다. (해당되지 않는 PSP에서 실행하면 PSP-2000 / 커펌 3.71 이상에서만 구동된다는 에러 메세지가 나옵니다.)

따라서 그 동안 ChickHEN 상태의 PSP-300X에서 위의 에뮬레이터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PSP Slim용이 아닌 32MB의 제약된 공간만을 사용하는 3.xx 유저모드용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NoEffex라는 해외 유저가 소스 코드를 수정해서 이 기종/펌웨어 버전을 검사하는 과정을 삭제한 수정 빌드를 공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Davee가 많은 도움을 주었다고 합니다.) [출처가기]

다시 말하면, 이제 홈브류 구동이 가능한 상태의 PSP-300X에서도 32MB의 램이 아닌 64MB의 램을 전부 사용해서 NJ 에뮬레이터를 구동할 수 있게 되었으며, CPS2 / MVSPSP에서는 캐시 파일 필요없이도 각종 게임 구동이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저는 실행만 확인했을 뿐 실제로 게임을 구동해보지는 않았습니다.)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cps1', 'cps2', 'mvs' 폴더 중 원하는 에뮬레이터 폴더를 ms0:/PSP/GAME/ 폴더에 복사해서 실행하면 됩니다.

그 외 각 에뮬레이터의 자세한 설치법, 사용법 등은 http://popotz.textcube.com/563 참고해주세요.

(CPS2PSP는 더 이상 캐시 파일을 만들어 넣어줄 필요가 없습니다. MVSPSP 역시 대부분의 게임에서 캐시 파일이 필요없지만 아주 일부 게임의 경우 캐시 파일이 여전히 필요할 수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네오지오에뮬 : 비공식 MVSPSP - 치트기능 추가
CPS1/2에뮬 : 비공식 CPS1/2PSP - 치트 기능 추가
NJ 에뮬레이터 v2.2.5 / v2.3.1 모음
NJ 에뮬레이터 v 2.2.2 모음 - 설치법 및 사용법
NJ 에뮬레이터 v2.2.1a 모음 - 애드훅 / 아얄쉘 지원
신형PSP용 CPS2PSP ver.2.2.0 (test)
CPS1PSP / CPS2PSP / MVSPSP / NCDZPSP v2.0.6
CPS1PSP / CPS2PSP / MVSPSP / NCDZPSP v2.0

[추가9] 슈패 에뮬 : Snes9xTYLmecm 091127

정말 자주 업데이트되네요.... X 8 (일본 2채널 관련 쓰레드에서 계속 갱신중... ㅜㅜ)
점점 업데이트하기가 귀찮아지기 시작했습니다.


익명의 일본 개발자(들)이 업데이트하고 있는 슈퍼패미콤(SNES) 에뮬레이터 Snes9xTYLmecm의 091011 버전 Rev.4입니다. [출처가기]

작년 080523 버전을 소개한 적이 있었는데 무려 1년이 넘었군요. 리드미를 읽어보니 작년 5월 이후 업데이트가 중단되었다가 2009년 10월부터 다시 업데이트를 재개한 것 같습니다.

변경점은 컴파일을 새롭게해서 약간의 속도를 향상시키고 그로 인해 발생한 버그를 수정한 정도입니다. Snes9X 자체가 어느 정도 완성되어 있는터라 그렇게 큰 변화는 없네요. 이전 Snes9X에서 버벅거리던 게임은 여전히 조금 느릴 겁니다. 하지만 그 외 게임들은 이전에도 원활하게 구동되고 있었죠. 솔직히 업데이트 사항이 너무 미비해서 저는 뭐가 나아졌는지는 잘 모르겠더군요.


[ 추가사항1 ] Snes9xTYLmecm 091023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 추가사항2 ] Snes9xTYLmecm 091029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 추가사항3 ] Snes9xTYLmecm 091030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 추가사항4 ] Snes9xTYLmecm 091106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 추가사항5 ] Snes9xTYLmecm 091115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 추가사항6 ] Snes9xTYLmecm 091117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 추가사항7] Snes9xTYLmecm 091123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 추가사항8] Snes9xTYLmecm 091124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 추가사항9] Snes9xTYLmecm 091127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1. 위 첨부파일중 원하는 버전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s9xTYLmecm'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 그리고 슈퍼패미콤용 롬파일(*.smc, *.zip)을 따로 구해 ms0:/PSP/GAME/s9xTYLslimmecm 폴더에 넣어둡니다. (에뮬레이터 자체에서 파일 탐색을 지원하므로 다른 곳에 넣어도 상관은 없습니다.)

3. 그 후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Snes9xTYL0.4.2mecm'을 실행하면 됩니다.

4. 에뮬레이터의 실제 사용법은 이전 글에서 그대로 가져왔습니다. ㅡㅡ;

사용법 열기


* 관련글 보기 *
[추가] 슈패 에뮬 : Snes9X Euphoria R2.1
슈패 에뮬 : Snes9xTYLsmcm 23/05/08
슈패 에뮬 : Snes9xTYL 0.4.2 ME By 33
3.xx 커널용 슈패 에뮬 : Snes9xTYL 0.4.2 ME
슈퍼패미콤 에뮬 : SNES9x TYL++ BETA 패치
슈퍼패미콤 에뮬 : SNES9x TYL++ BETA

[추가] 슈패 에뮬 : Snes9X Euphoria R2.1

[틈새 홍보] 포포츠 포럼이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몇 가지 개편된 부분이 있으니 블로그보다는 포럼을 이용바랍니다. ^^
http://popotz.shworks.com/forum/
----------------------------------------------------------------------------------------


zack이라는 개발자가 슈패 에뮬 Snes9X를 수정한 Snes9X Euphoria R1을 발표했습니다. [출처가기]
무엇보다 속도 향상에 주력해서 수정했다고 하네요.

zack이 원래 올린 글...에서 이런 저런 잡담은 제외한 번역 내용입니다.
이번 Snes9X Euphoria R1은 rukka가 발표한 지난 버전을 기반으로 했다.

작업의 주목적은 속도 향상이었다. 아직도 이 에뮬레이터는 최적화되거나 더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지만, 내 건강상의 문제로 현재로서는 여기까지가 전부다.

내가 이번 버전으로 테스트한 게임은 'Kirby Super Star' 한 가지뿐이다. 지금까지 다른 Snes9X로는 30FPS 미만의 아주 느린 속도를 가진 게임으로 알고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발표한 내 버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설정하면 'Kirby Super Star'를 최소 44FPS, 최대 60FPS, 평균 50FPS 정도로 구동이 가능하다.

설정 방법 :
Renderer : PSP Accelerated
FrameSkip : 3

이것으로 진짜 플레이 가능할 정도가 될 것이다.

다른 테스트 결과 :
'Donkey Kong Country' : 위와 똑같이 설정했을 경우
최소 FPS : 58
최대 FPS : 60

이 속도향상은 다른 게임에도 적용되며, 모든 게임이 많이 빨라질 것이다.

추후 예정 :
속도를 더욱 향상, 안정성 향상, Snes9X 1.51의 변경점 적용 등을 계획중이다. (Snes9X Euphoria R1은 Snes9X 1.42의 코드를 사용함.)

추가 사항 :
'Kirby Super Star'뿐만 아니라 다른 게임에서도 메뉴상에 그래픽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것 같다. 다음 버전에서 수정하겠다.

* Download : Snes9X Euphoria R1

음, 슈패 롬파일도 없고 왠지 의욕도 안나는터라 실제 구동 확인은 못했습니다. 슈패 에뮬을 즐겨 하시는 분은 시험삼아 테스트해봐도 좋을 듯 싶네요.

기타 Snes9X의 설치법 및 사용법은 이전 http://popotz.textcube.com/1372 글 등을 참고해주세요.
-------------------------------------------------------------------------------------------
[추가사항] Snes9X Euphoria R2.1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이번 리비전은 속도 향상보다 버그 수정 등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주력했다고 하네요. 자세한 버그 수정 내용은 생략합니다.

NDS에뮬 : DSonPSP beta 7

NDS 에뮬레이터인 DSonPSP가 beta 7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그 동안의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BETA 7:::...
- 한 번 더 속도를 향상시킴.
- 화면을 터치하기 위해 L/R트리거 사용.
- 흑/백, 2가지 색상의 커서 추가.
- 프레임스킵이 '2'로 기본 설정됨.
- FPS 카운터 수정.
- 소스 코드는 곧 svn에 추가될 예정.

...:::BETA 6:::...

- ARM9VBLANK를 이용한 스피드 핵
- 많은 게임에서 발생하는 Glich 버그 수정.
- Yoshi island같은 게임에서의 멈춤 현상 수정.
- Bleach DS를 비롯한 많은 게임에서 세이브 기능 가능.
- 소스코드 업데이트.

...:::BETA 5:::...

- vertical screen mode를 삭제하고, 스크린 스왑 기능을 추가.
- 언어 지원 기능을 추가하여 정상 작동함.
- GU 지원 추가됨.
- 스피드업이 되어 많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게 됨.
- NDS 게임이 PSP에서 멈출 때의 문제 수정.
- PSP용 소스 코드 추가.

...:::BETA 4:::...
- 속도 향상.
- 일부 게임 멈춤 현상 수정.
- PSP용 소스코드 배포. (깨끗하지는 않음.)

...:::BETA 3:::...
- GPU, MMU, DMA, RTC와 코드 향상.
- 일부 게임에서 약간의 속도 향상. (DBZ2의 경우 이전 7fps에서 15fps로 향상.)
- gfx3d core를 DeSmume core 9.4 버전으로 업데이트.
- 디버그 정보를 추가해서, 게임이 멈추는 경우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음.
- CPU Ratio Hack 기능 제거.

...:::BETA 2:::...
* 다음 설정 항목 추가 :
   - 핀볼이나 풋볼 등 몇몇 게임에서 필요하므로 스크린 상하반전 설정 추가.
   - 속도 제한 해제 설정 추가.
   - 프레임스킵 설정 추가.
   - 사운드 설정 추가.
   - CPU 비율 핵.


[ 설치법 / 사용법 ]
1.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DSONPSP Beta 7 WIP'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 구동할 NDS 게임의 롬파일을 따로 구해 ms0:/PSP/GAME/DSONPSP/NDSROM/ 폴더로 복사합니다.
(롬파일은 *.nds 형식이며, 물론 파일명은 영어나 숫자로 이루어져 있어야 합니다.)


3.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DSONPSP v0.7 by Yoshihiro...'를 실행합니다.


4. 에뮬레이터가 구동되면 우선 위처럼 '../NDSROM/' 폴더에 있는 롬파일 목록을 보여주게 됩니다. 구동을 원하는 롬파일로 이동한 뒤 엑스버튼을 누르면 구동됩니다. 네모버튼은 에뮬레이터 종료입니다.


5. 롬파일을 선택하면 몇 가지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설정 변경 후 스타트버튼을 누르면 게임 실행!

(Screen <--> SWAP : NDS 스크린 좌우 변경 여부 / Show FPS : 화면 상단에 초당 프레임 표시 여부 / Cursor color : 커서 색상 (흑/백) / Enable Audio : 사운드 출력 여부 / language : 언어 변경)


6. 꽤 길게 로딩이 진행된 후 실제 게임이 구동됩니다. 이전과는 다르게 스크린 터치를 위한 커서가 보입니다. 아날로그스틱으로 커서 이동이 가능하며 L 또는 R트리거으로 클릭할 수 있습니다.

7. PSP의 조작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PSP 버튼 = 해당되는 NDS 버튼
방향키 = 방향키
스타트버튼 = 스타트버튼
셀렉트버튼 = 셀렉트버튼
동그라미버튼 = A버튼
엑스버튼 = B버튼
세모버튼 = X버튼
네모버튼 = Y버튼
R트리거= R버튼 (터치스크린 클릭?)
L트리거 = L버튼 (터치스크린 클릭?)
노트(음표)버튼 = 터치스크린 클릭 (작동 안하는 듯.?)
아날로그스틱 =  터치스크린 이동

# 확실히 이전 베타 버전들에 비해 속도 향상을 체감할 정도는 됩니다. 하지만 아날로그스틱을 이용한 커서 이동 속도가 너무 느리고, 실질적으로 게임을 할만한 속도는 아직... 그래도 꾸준히 업데이트되고 있으니 기다려봐도 좋을 듯 싶네요.

* 관련글 보기 *
NDS에뮬 : DSonPSP beta 5/6
[추가] NDS에뮬 : DSonPSP beta 4
NDS에뮬 : DSonPSP v0.2C beta

NDS에뮬 : DSonPSP beta 5/6

DSonPSP beta 5의 구동 영상입니다.

이전에 소개했던 yoshihiro의 NDS에뮬레이터 DSonPSP가 beta 5와 6으로 연이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그 동안의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BETA 6:::...
- ARM9VBLANK를 이용한 스피드 핵
- 많은 게임에서 발생하는 Glich 버그 수정.
- Yoshi island같은 게임에서의 멈춤 현상 수정.
- Bleach DS를 비롯한 많은 게임에서 세이브 기능 가능.
- 소스코드 업데이트.

...:::BETA 5:::...

- vertical screen mode를 삭제하고, 스크린 스왑 기능을 추가.
- 언어 지원 기능을 추가하여 정상 작동함.
- GU 지원 추가됨.
- 스피드업이 되어 많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게 됨.
- NDS 게임이 PSP에서 멈출 때의 문제 수정.
- PSP용 소스 코드 추가.

...:::BETA 4:::...
- 속도 향상.
- 일부 게임 멈춤 현상 수정.
- PSP용 소스코드 배포. (깨끗하지는 않음.)

...:::BETA 3:::...
- GPU, MMU, DMA, RTC와 코드 향상.
- 일부 게임에서 약간의 속도 향상. (DBZ2의 경우 이전 7fps에서 15fps로 향상.)
- gfx3d core를 DeSmume core 9.4 버전으로 업데이트.
- 디버그 정보를 추가해서, 게임이 멈추는 경우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음.
- CPU Ratio Hack 기능 제거.

...:::BETA 2:::...
* 다음 설정 항목 추가 :
   - 핀볼이나 풋볼 등 몇몇 게임에서 필요하므로 스크린 상하반전 설정 추가.
   - 속도 제한 해제 설정 추가.
   - 프레임스킵 설정 추가.
   - 사운드 설정 추가.
   - CPU 비율 핵.


[ 설치법 / 사용법 ]
1.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DSONPSP'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 구동할 NDS의 롬파일을 따로 구해 ms0:/PSP/GAME/DSONPSP/NDSROM/ 폴더로 복사합니다.
(롬파일은 *.nds 형식이며, 물론 파일명은 영어나 숫자로 이루어져 있어야 합니다.)


3.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DSONPSP v0.6 by Yoshihiro...'를 실행합니다.


4. 에뮬레이터가 구동되면 우선 위처럼 '../NDSROM/' 폴더에 있는 롬파일 목록을 보여주게 됩니다. 구동을 원하는 롬파일로 이동한 뒤 엑스버튼을 누르면 구동됩니다. 네모버튼은 에뮬레이터 종료입니다.


5. 롬파일을 선택하면 몇 가지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설정 변경 후 스타트버튼을 누르면 게임 실행!

(Screen <--> SWAP : NDS 스크린 좌우 변경 여부 / Show FPS : 화면 상단에 초당 프레임 표시 여부 / Enable Audio : 사운드 출력 여부 / Frameskip : 프레임스킵 여부 / language : 언어 변경)


6. 꽤 길게 로딩이 진행된 후 실제 게임이 구동됩니다.

7. PSP의 조작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PSP 버튼 = 해당되는 NDS 버튼
방향키 = 방향키
스타트버튼 = 스타트버튼
셀렉트버튼 = 셀렉트버튼
동그라미버튼 = A버튼
엑스버튼 = B버튼
세모버튼 = X버튼
네모버튼 = Y버튼
R트리거= R버튼
L트리거 = L버튼
노트(음표)버튼 = 터치스크린 클릭
ANALOG   =  터치스크린 방향

# 이번 beta5/6을 거치면서 기능적으로는 조금 향상되었네요. 특히 이전 베타에서는 화면 비율이 맞지 않아 한 쪽 스크린이 조금 짤리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번에는 화면 비율을 조정해서 전체가 다 나오도록 되었습니다. 또 스크린 스왑 기능이 추가되어 NDS의 위 액정과 아래 액정의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 다만, 여전히 속도는 느리군요. 제가 테스트한 게임 탓일지도 모르지만 게임을 하기에는 역시...

* 관련글 보기 *
[추가] NDS에뮬 : DSonPSP beta 4
NDS에뮬 : DSonPSP v0.2C beta

[추가] NDS에뮬 : DSonPSP beta 4



이전에 소개했던 yoshihiro의 NDS에뮬레이터 DSonPSP가 beta3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 추가사항 1 ] DSonPSP beta 4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이번 beta 3 / 4의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BETA 4:::...
- 속도 향상.
- 일부 게임 멈춤 현상 수정.
- PSP용 소스코드 배포. (깨끗하지는 않음.)

...:::BETA 3:::...
- GPU, MMU, DMA, RTC와 코드 향상.
- 일부 게임에서 약간의 속도 향상. (DBZ2의 경우 이전 7fps에서 15fps로 향상.)
- gfx3d core를 DeSmume core 9.4 버전으로 업데이트.
- 디버그 정보를 추가해서, 게임이 멈추는 경우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음.
- CPU Ratio Hack 기능 제거.


설치법 및 사용법은 이전 버전과 완전히 동일합니다. (단지 CPU Ratio Hack만 제거되었음.)

따라서 여기서는 따로 설명하지 않으니, 이전 DSonPSP v0.2C beta(http://popotz.textcube.com/1283)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하지만 이번 beta3/4 역시 속도가 너무 느려서 게임을 즐기기에는 무리입니다. 게임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사운드를 끌 경우 초당 5-7 프레임, 사운드를 켜면 초당 1-3 프레임 정도 나오네요.

다만 이전 버전보다 아~~~~~~~주 약간의 속도 향상이 이루어진 것만으로 만족해야 할 듯...

# 이러다 N64 에뮬인 Daedalus와 비슷한 길을 걷게 될지도 모르겠군요.

* 관련글 보기 *
NDS에뮬 : DSonPSP v0.2C beta
PSP용 NDS 에뮬 개발중!

NDS에뮬 : DSonPSP v0.2C beta

e

Yoshihiro(요시히로)라는 사람이 만든 NDS 에뮬레이터  DSonPSP v0.2C beta가 발표되었습니다. [출처가기]

DSonPSP는 PC용 NDS 에뮬인 DeSmuME core v9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는데, 지난 2007년 첫 발표된 DeSmuME for PSP와 비슷하게 게임을 원활히 구동할만한 수준은 되지 않으니, 단지 게임이 구동된다는 점에만 의의를 두는 것이 좋습니다. PSP로 NDS 에뮬을 완벽히 구현하는 것 자체가 어려운 탓일까요...

업데이트 내역입니다.
DSONPSP based on DESMUME core v9 by yoshihiro

....::::IT'S A BETA::::....
개념증명 단계임.

이하 설치법은 아래에서 설명.

...:::BETA 2:::...
* 다음 설정 항목 추가 :
   - 핀볼이나 풋볼 등 몇몇 게임에서 필요하므로 스크린 상하반전 설정 추가.
   - 속도 제한 해제 설정 추가.
   - 프레임스킵 설정 추가.
   - 사운드 설정 추가.
   - CPU 비율 핵

:::앞으로 할 작업:::
* 당장 필요하지만 개발중인 기능들.
   1 NDS 터치스크린 비율을 PSP에서 구현
   2 마우스 포인터
   3 사운드
   4 CPU 최적화
   5 빌드 v0.9.4로 포팅


[ 설치법 / 사용법 ]
1.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DSONPSP'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 구동할 NDS의 롬파일을 따로 구해 ms0:/PSP/GAME/DSONPSP/NDSROM/ 폴더로 복사합니다.
(롬파일은 *.nds 형식이며, 물론 파일명은 영어나 숫자로 이루어져 있어야 합니다.)

3.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DSONPSP beta 2 by Yoshihiro'를 실행합니다.


4. 에뮬레이터가 구동되면 우선 위처럼 '../NDSROM/' 폴더에 있는 롬파일 목록을 보여주게 됩니다. 구동을 원하는 롬파일로 이동한 뒤 엑스버튼을 누르면 구동됩니다. 네모버튼은 에뮬레이터 종료입니다.


5. 롬파일을 선택하면 몇 가지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설정 변경 후 스타트버튼을 누르면 게임 실행!
(Screen Vertical : 화면 상하반전 여부 / Enable Audio : 사운드 출력 여부 / Disable speed limiter : 속도 제한 해제 여부 / Frameskip : 프레임스킵 여부 / Yoshi CpuRatioHack : CPU 할당 설정(?))


6. 꽤 길게 로딩이 진행된 후 실제 게임이 구동됩니다.

7. PSP의 조작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PSP 버튼 = 해당되는 NDS 버튼
방향키 = 방향키
스타트버튼 = 스타트버튼
셀렉트버튼 = 셀렉트버튼
동그라미버튼 = A버튼
엑스버튼 = B버튼
세모버튼 = X버튼
네모버튼 = Y버튼
R트리거= R버튼
L트리거 = L버튼
노트(음표)버튼 = 터치스크린 클릭
ANALOG   =  터치스크린 방향

# 글 처음에 말씀드렸듯이 게임을 하겠다는 생각은 접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스크린샷을 보면 알겠지만 프레임스킵을 설정해도 초당 프레임이 1~3정도밖에 나오지 않아 성질 버리기 딱입니다.

* 관련글 보기 *
PSP용 NDS 에뮬 개발중!

GBA에뮬 : 비공식 gpSP kai (5.50 GEN + PSP1000 전용판)


커펌 5.50  GEN이 설치된 PSP-1000 시리즈에서 비공식 gpSP Kai가 구동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어 takka가 이를 수정한 버전을 발표했습니다. [출처가기]

EBOOT.PBP를 덮어쓴 뒤에 이용해 주세요.

단, 홈버튼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주의해 주시길 바랍니다.
메뉴 표시를 홈버튼이 아닌 다른 버튼으로 할당하지 않으면 종료할 수 없습니다.
(한 번 슬립모드에 들어갔다 복귀하면 메뉴화면으로 진입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위의 제한이 있으므로 PSP-1000과 5.50 GEN-B 전용입니다.


* 커펌 5.50 GEN이 설치된 PSP-1000/1005 사용자만 설치해 주세요.

[ 설치방법 ]
1. 이전 비공식 gpSP kai 버전을 먼저 설치해야 합니다. http://popotz.textcube.com/1221 참고해서 이전 버전을 설치해주세요.

2. 이제 위 EBOOT.PBP 파일을 받아 ms0:/PSP/GAME/gpSP/ 폴더에 덮어쓰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그 후 나머지 설치법 역시 이전과 동일합니다. (바이오스 및 롬파일 설치 등)

[ 사용방법 ]
사용 방법 역시 http://popotz.textcube.com/1221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단, 홈버튼이 작동하지 않기때문에 '게임패드 입력 설정' 메뉴에서 메뉴 화면 여는 버튼은 따로 지정해주어야 합니다.

GBA에뮬 : 비공식 gpSP kai 3.4 test 3 build 92

GBA 에뮬레이터인 takka씨의 비공식 gpSP kai가 3.4 test 3 build 92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alpha 버전의 네트워크 업데이트를 제공합니다 .
PC분은 다음 파일로 대체해주세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ZIP 압축해제시 1MB의 메모리를 확보할 수없는 경우 PSP가 멈추는 문제 수정. (PSP-2000/3000)
- 화면 크기 설정을 추가. (본체 설정을 볼 때만)
- 키 설정이 이상하게 되므로, gpsp.cfg 파일은 반드시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업데이트하는 경우에만)
- 그래픽 옵션의 scale 메뉴를 추가하여 0 ~ 200 % 범위에서 축소/확대의 설정이 가능합니다.
   (화면을 표시하면서, 실시간으로 위치/크기를 조정하는 것은 향후 계획입니다.)


[ 설치법 ]
1.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어 ms0/PSP/ 폴더를 열고, 그 안의 'gpSP'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 GBA 바이오스 파일을 구해서 'gba_bios.bin'이라는 이름으로 변경한 뒤 ms0:/PSP/GAME/gpSP/ 폴더로 복사합니다. (저작권이 있기때문에 각자 알아서 구해야 합니다. 구글 검색 추천)
3. 마지막으로 실행하려는 GBA 롬파일(*.gba, *.zip)을 ms0:/PSP/GAME/gpSP/GBA/ROM/ 폴더로 복사합니다.
4. 이제 XMB -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해당 에뮬레이터를 실행합니다.

[ 사용법 ]
사용법은 이제 따로 필요없겠군요. 아래처럼 메뉴 자체가 한글인데다 각 메뉴에 대한 설명도 잘 나오니까요. 큰 변경점이 없어서인지 기존 3.3용 언어파일과 문제없이 호환되는 것이 그나마 다행입니다.

실제 실행 모습입니다. 만약 한글 메뉴가 보이지 않는다면 misc 옵션에서 언어를 변경해주세요.

이번 빌드부터 위처럼 그래픽 옵션에 'scale'이라는 메뉴가 추가되어 화면 크기를 0~200%까지 조절할 수 있습니다.

GBA에뮬 : 비공식 gpSP kai 3.4 test 2 build 69


GBA 에뮬레이터인 takka씨의 비공식 gpSP kai가 3.4 test 2 build 69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번에는 강제세이브와 관련된 수정사항이 주요사항입니다.

이하는 변경점.

UnOfficial gpSP kai 3.4 test 2 build 69
- 메인폰트와 서브폰트의 우선순위를 조정 (ヲ버튼문제가 수정되었다고 생각합니다.)
- 배포 파일에 GBA 폴더가 없어져 버렸기에 수정.
- 배포 파일에 ms:0/PSP/GAME/gpSP 폴더를 만들어두지 않으면 설치할 수 없는 분이 있어서 수정.
- 강제세이브 데이터 호환성이 없어졌기 때문에 예전 버전도 읽어들일 수 있는 방식으로 수정.
- 강제세이브 데이터안에 포맷 버전을 추가.
- 예전 강제세이브 파일 읽기를 폐지. (506947byte의 파일)
- 강제세이브 메뉴에서의 메모리스틱을 연속으로 읽는 문제 수정.


[ 설치법 ]
1.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어 ms0/PSP/ 폴더를 열고, 그 안의 'gpSP'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 GBA 바이오스 파일을 구해서 'gba_bios.bin'이라는 이름으로 변경한 뒤 ms0:/PSP/GAME/gpSP/ 폴더로 복사합니다. (저작권이 있기때문에 각자 알아서 구해야 합니다. 구글 검색 추천)
3. 마지막으로 실행하려는 GBA 롬파일(*.gba, *.zip)을 ms0:/PSP/GAME/gpSP/GBA/ROM/ 폴더로 복사합니다.
4. 이제 XMB -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해당 에뮬레이터를 실행합니다.

[ 사용법 ]
사용법은 이제 따로 필요없겠군요. 아래처럼 메뉴 자체가 한글인데다 각 메뉴에 대한 설명도 잘 나오니까요.
큰 변경점이 없어서인지 기존 3.3용 언어파일과 문제없이 호환되는 것이 그나마 다행입니다.
위 스크린샷은 이전 버전인 3.4 test 1 Build 2임.

GBA에뮬 : 비공식 gpSP kai 3.4 test1 build2

GBA 에뮬레이터인 takka씨의 비공식 gpSP kai가 3.4 test1 build 2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그 동안 계속 업데이트하겠다고 하더니 이제야 겨우 업데이트되었네요.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큰 변경점은 없습니다만, 5.03HEN에 대응했기에 버전을 올렸습니다.
PSP-2000에서만 확인했기 때문에, PSP-3000에서는 잘 동작하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UnOfficial gpSP kai 3.4 test 1 build 2
- ChickHEN R2에 대응. (PSP-2000에서 32MB의 메모리 이용과 ZIP 파일 로드 확인.)
- PSP-1000에서 ZIP 파일을 이용할 때의 버그 수정.
- 롬 로드시 BIOS의 기동화면 표시 기능. (misc 옵션에서 설정 가능)
- 그 외 작은 수정.


[ 설치법 ]
1.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gpsp'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 GBA 바이오스 파일을 구해서 'gba_bios.bin'이라는 이름으로 변경한 뒤 ms0:/PSP/GAME/gpsp/ 폴더로 복사합니다. (저작권이 있기때문에 각자 알아서 구해야 합니다. 구글 검색 추천)
3. 마지막으로 실행하려는 GBA 롬파일(*.gba, *.zip)을 ms0:/PSP/GAME/gpsp/GBA/ROM/ 폴더로 복사합니다.
4. 이제 XMB -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해당 에뮬레이터를 실행합니다.

[ 사용법 ]
사용법은 이제 따로 필요없겠군요. 아래처럼 메뉴 자체가 한글인데다 각 메뉴에 대한 설명도 잘 나오니까요.
큰 변경점이 없어서인지 기존 3.3용 언어파일과 문제없이 호환되는 것이 그나마 다행입니다.


# 예전에 takka씨 홈페이지에 한글로 수정한 언어파일을 올린 적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takka씨가 다음 버전에 추가해주리라 생각했는데, 이번에도 포함이 안 되어있네요. ㅜㅜ

모바일 에뮬 : PSPKVM v0.5.2

휴대폰용의 모바일 게임을 PSP에서 구동할 수 있는 모바일 에뮬레이터 PSPKVM이 v0.5.0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PSPKVM에 대해 정식으로 글을 쓰는 건 작년 2월의 v0.1.0a가 마지막이었으니 꽤나 오래되었군요. [출처가기]

모바일 게임 에뮬레이터라고는 해도, 정확히 말하면 JAVA 기반의 j2me 어플리케이션만을 구동할 수 있습니다.

이번 v0.5.0의 변경점입니다.
- 버추얼 키보드의 디자인을 완전히 변경. (디자인과 코딩을 해준 Anwelfeng에게 감사.)
- JSR226(SVG)와 JSR(웹 서비스) 지원.
- VM의 interpreter 최적화로 JB2 스코어가 25% 향상됨.
- 네트워킹시의 버그 수정 및 성능 향상.
- pspkvm.ini 파일 편집을 통해 트루타입 폰트의 크기 변경 가능.
- "Select device" 메뉴에 CPU 스피드 설정 항목 추가.
(변경점은 살펴봐도 무슨 소리인지 잘 모르겠군요. ㅡㅡ;)

[ 추가사항 ] PSPKVM이 v0.5.2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2009-05-23 03:30 v0.5.2
  큰 메모리 지원
  새로운 중국어 입력 방법 추가 : Stroke IM
  중국어 메뉴 추가
  몇몇 버그 수정
  새로운 화면 해상도 추가 : 352x416
  기본 CPU 스피드를 pspkvm.ini에서 설정 가능
  daylight-saving time 지원
  예전 QWERTY 가상키보드 다시 지원. pspkvm.ini에서 설정 가능

2009-02-28 23:20 v0.5.1
  암호입력창에 심볼 입력 가능
  OSK의 버그 수정
  drawTGB 알파 블렌딩 버그 수정
  VM interpreter 내부의 버그 수정



[ 설치법 ]
1. 위 첨부파일을 받아 나오는 'pspkvm'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 실행하려는 모바일 게임(*.jar) 파일을 메모리스틱 아무 곳이나 복사합니다. (*.jar 파일은 알아서 구하세요.)
3.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pspkvm v0.5.2 OE'를 실행합니다.

[ 사용법 ] - 여러가지 기능이 있는 것 같지만, 어려운 건 생략하고 *.jar 파일을 실행하는 방법만 알아보겠습니다.
1. PSPKVM이 실행되면 'Find Applications' 메뉴를 선택해 *.jar 파일이 있는 폴더로 이동합니다.
2. 실행하고자 하는 *.jar 파일을 실행합니다.
3. 처음 실행하는 경우 장치를 선택하는 메뉴가 나오게 되니 적당한 장치를 선택합니다.
4. 이제 게임을 즐기면 됩니다. 참고로 조작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NUM0 : 엑스버튼 / NUM1 : 네모버튼 / NUM2 : 방향키 위쪽 / NUM3 : 세모버튼
NUM4 : 방향키 왼쪽 / NUM5 : L or R트리거 + 동그라미버튼 / NUM6 : 방향키 오른쪽
NUM7 : L or R트리거 + 네모버튼 / NUM8 : 방향키 아래 / NUM9 : L or R트리거 + 세모버튼
* : L or R트리거 + 셀렉트버튼 / # : L or R트리거 + 스타트버튼
CLEAR : L or R트리거 + 엑스버튼 /  SELECT: 동그라미버튼
Left Soft : 셀렉트버튼 / Right Soft : 스타트버튼 / UP,DOWN,LEFT,RIGHT : 아날로그스틱

L트리거 + R트리거 + 세모버튼 : 멀티태스킹키 (AMS로 복귀하고 백그라운드에 MIDlet 실행.)
L트리거 + R트리거 + 엑스버튼 : 현재 실행중인 MIDlet 종료.

그 외 옵션 설정이나 실제 구동 모습은 아래 동영상에서 확인하세요. (원래는 게임중 사운드도 지원합니다.)


# 게임의 호환성 등을 살펴봐야 할 것 같지만, midp2.0이라던지 WMA2.0 등은 잘 모르는 관계로 자세한 설명은 못하겠네요. 해보고 안 되면 지원 안되는 게임이구나 하고 넘어가시길... OTL

드캐에뮬 : NullDC for PSP 진행 상황2

작년 여름쯤 드림캐스트 에뮬레이터인 NullDC for PSP가 개발중이라는 소식을 전한 적이 있었습니다.
(관련글 : http://popotz.textcube.com/945 )

그 후 거의 소식이 없었는데, 약 10개월만에 제작자가 진행 상황을 자신의 블로그에 올렸습니다. [출처가기]

드림캐스트란? (한국 위키 참고)
세가 새턴이 같은 시기에 발매된 플레이스테이션에게 열세를 보이자 세가의 사운을 걸은 차세대 게임기로써 개발되었다. 히타치 제작소가 개발한 CPU SuperH (200MHZ)와 NEC의 그래픽 엔진 Power VR2를 채용하여 3D CG 처리에 특화되어 설계되었으며, 게임 매체는 야마하와 공동 개발한 GD-ROM으로 1기가바이트의 용량을 가지는 독자적인 규격이다. 주변 기기인 VGA 박스를 사용하여 PC용 모니터와 연결, 31키로헤르츠의 고해상도 화면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가정용 게임기로써는 최초로 최대 33.6Kbps의 통신 속도를 가지는 모뎀을 기본 장착하으며, 그 후 모뎀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랜 어댑터도 발매되었다. 본체 전면에 4개의 컨트롤러 단자가 있어 컨트롤러나 키보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뒤쪽에는 1개의 시리얼 단자가 있다.

성능상으로는 PS1 < 드캐 < PS2 정도가 되겠네요. 당시 개발자가 드캐 에뮬을 만들겠다고 했을 때 많은 사람들이 PSP의 성능으로는 무리일 거라고 하는 바람에 개발자가 약간 뿔난 적이 있었는데, 그나마 현재는 처음보다 더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원래 속도의 15~30% 정도 수준이라 속도가 느린건 여전하네요. 그래픽이 깨지는 부분도 간간히 보이고... 앞으로 프레임이 얼마나 더 향상될지가 관건일 듯 싶습니다.

하지만 막상 타이틀 수가 부족한 드캐라 에뮬이 나와도 다양하게 즐길 수 있을지는 미지수네요.

뭐 개발자가 적어놓은 글은 거의다 기술적이고 전문적인 내용이니 생략하고 실제 PSP에서 구동되는 영상만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면에서 예전보다는 확실히 나아졌습니다.

바이오스 구동 모습 :

파워 스톤 :

쉔무 :

크레이지 택시 :

N64에뮬 : DaedalusX64 Beta 2 Update


N64의 에뮬레이터 DaedalusX64 Beta2가 지난 2월 28일 발표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원래는 StrmnNrmn가 혼자서 개발하던 Daedalus를 여러 개발자가 합세해서 같이 개발하고 있는 것이 DaedalusX64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번에 베타 2가 발표된 것이죠.

[ 추가사항 ] 이번 Beta 2의 업데이트 버전이 발표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이전 Beta 2보다 안정성을 향상하고 몇 가지 문제점을 수정했지만, 게임 속도 등에는 큰 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 설치법 ]
1.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DaedalusX64'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 N64용 롬파일( *.n64, *.v64, *.z64, *.rom, *.zip)을 따로 구해서 ms0:/PSP/GAME/DaedalusX64/Roms/ 폴더로 복사합니다.
3.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해당 에뮬레이터를 실행하면 됩니다.

[ 사용법 ]
사용법은 따로 설명할만한 것이 없습니다. 메인 메뉴에서는 L/R트리거로 롬 파일 선택 화면 / 강제 세이브,로드 화면 / 글로벌 세팅 화면 등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게임 실행 중에는 셀렉트버튼을 통해 메인 메뉴를 불러올 수 있게 됩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아래 동영상이나 이전 Daedalus 관련글을 참고해주세요.

[ 설정법 ] - 개발자가 추천하는 설정입니다.
Texture Update Check: Disabled (마리오카트같은 일부의 게임에서는 필요한 경우도 있음.)
FrameSkip: 2
Limit FrameRate: Yes
Double Display Lists: Disabled
Dynamic Recompilation: Enabled
Dynamic Stack Optimisation: Enabled
Dynamic Loop Optimisation: Enabled
High Level Emulation: Enabled
Audio:
         OFF - 매우 빠르고 안정적임.
         Sync - 매우 느리지만 안정적임.
         Async - 비교적 빠르지만 불안정함. (불안정 하므로 강제 세이브를 자주 할 것.)
Controller: ControllerConfigs 폴더에 config 파일이 있을 경우 선택 가능.

[ 실제 구동 영상 ]

# 음, 예전 버전보다는 전체적으로 프레임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겨우 게임 하나만 실행해봤을 뿐이긴해도 원활한 플레이가 가능하다고까지는 못하겠네요. 특히 사운드를 사용하면 더욱 느려집니다.  Daedalus가 처음 개발된지 2년이 훨씬 지났는데도 큰 성과가 없는 것으로 봐서는 성능상의 한계가 확실히 있기는 있는 것 같습니다.

비공식 gpSP kai의 향후 일정


PSP Filer가 개발 중지된 일과 관련해서 다른 홈브류 제작자에게도 그 파급 영향이 꽤 큰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의 홈브류들은 거의 다 프리소프트웨어 개념으로 배포되고 있었으니 다른 개발자들도 뭔가 생각할 것이 많아진 것일까요.

이 와중에 오리지날 gpSP를 개조해서 비공식 gpSP Kai라는 이름으로 업데이트하고 있는 일본의 개발자 takka씨가 자신의 입장과 gpSP Kai의 향후 업데이트 계획을 자신의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습니다. [출처가기]

Slashdot의 기사(파일러의 개발중지 기사)가 나올 때까지는 일이 이렇게 커질거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만,
gpSP kai 역시 같은 PSP용 프리소프트라 신경쓰고 있는 분이 있을지도 모르므로 제 입장을 밝혀둡니다.
(특히 최근에는 PSP보다 Rockbox쪽에 집중하고 있었습니다.)

- 지금은 잠시 휴식중이지만, 얼마 후에 다시 업데이트를 재개합니다.
- 통신 기능이나 태양센서와 관련된 기능은 자료가 적은 문제도 있어 거의 진행되지 않고 있습니다.
- 프레임 스킵 제어는 대폭적으로 변경할 예정입니다.
- CPU와 관련해서 상세한 디버그 작업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아래부터는 개인적인 생각을 밝힙니다.

아래는 전반적인 의미로,
- 기부(모금 운동)에 대해서는, 있으면 물론 고맙겠지만 없다고 해도 공개를 중지하는 일은 일체 없습니다.
- 위의 내용과 비슷한 뜻이지만, 기부에 의한 모티베이션(동기, 개발 의욕) 상승은 있겠지만, 기부가 없다고 해도 모티베이션이 떨어지는 일은 없습니다.
- 개인적인 실력 부족으로 인해, 실현될 수 없는 기능들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 만약 업데이트를 중지할 경우에도 공개를 완전히 중지하는 것이 아니라 소스코드를 포함한 형태로 공개를 계속합니다.


아래 내용은 프리 소프트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기본은 「give」&「take」(받은 만큼 준다.)
- 프리소프트를 이용하는 것은 「take」
- 프리소프트를 만들어 공개하는 것은 「give」
- 기부(모금)는 「give」
- 버그 보고나 건설적인 비판/요청/의견도「give」(어디까지나 '건설적인'입니다.)
- 편리한 프리소프트를 소개하는 것도「give」
- 위에 적은 「give」는 양이나 수나 퀄리티에 관계없이 항상 같은 가치이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생각이므로 다른 의견들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프리 소프트에 대한 보답의 방법은 여러가지 있다」「모두 만들고, 모두 사용하고, 모두 즐기자」
라는 느낌입니다.

어느 개발자와 참 비교되는군요. (누가 더 좋고 나쁘다는 뜻은 아닙니다. 그저 서로 완전히 상반된 의견이라는 뜻.)

takka씨의 프리소프트에 대한 입장을 정리하자면 "프리소프트를 사용했다면(take) 그에 맞는 보답(give)를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give에는 돈을 지불하는 방법만 있는 것이 아니라, 버그 보고나 의견 전달, 프리소프트웨어 소개 등도 충분히 give에 해당되며 기부와 동일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라는 의미네요. 음~~

가뜩이나 현재의 홈브류 세계가 몇 년 전에 비하면 완전히 정체되어 있는 느낌인데, 이번 일로 더 이상의 문제나 소란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래봤자 일본에만 한정되어 있고, 그 외 해외에서는 별 관심도 없는 것 같지만요.)

어쨌든 요즘에는 별 소식도 없고, gpSP kai의 다음 업데이트나 기다려야겠습니다.

네오지오에뮬 : 비공식 MVSPSP - 치트기능 추가

MVS/네오지오 기판의 게임을 구동할 수 있는 MVSPSP 에뮬레이터가 비공식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이전 CPS1PSP와 CPS2PSP에 치트 기능을 추가해 발표했던 davex가 이번에는 MVSPSP를 내놓았군요.

엄밀히 말하면 이전 NJ의 MVSPSP는 유니버셜 바이오스를 지원하면서 치트 기능을 사용할 수 있었지만, 해당 바이오스를 사용하면 그래픽쪽에 문제가 생겼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번 비공식 버전에서는 유니바이오스 없이도 치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네요.

그 외의 기능은 이전 NJ의 MVSPSP v2.2.5와 차이가 없습니다.

* Download : (구형PSP용, 1.50 커널)

* Download : (신형PSP용, 3.xx 커널)


MVSPSP의 기본적인 설치법이나 사용법은 이전에 작성한 http://popotz.textcube.com/563을 참고해주세요.

여기서는 이번에 추가된 치트 기능의 사용법만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MVSPSP를 실행하고 원하는 게임을 구동합니다.


게임이 실행되면 홈버튼을 눌러 에뮬레이터의 메인 메뉴를 불러와 아래쪽에 있는 Cheat menu로 들어갑니다.


현재 실행중인 게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치트 항목이 자동적으로 나오게 되므로 원하는 항목만 활성화합니다.
시험삼아 항상 슈퍼샷 게이지가 꽉 차도록 했습니다.


치트를 활성화하고 다시 게임으로 돌아가면 선택한 치트가 적용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PS1/2에뮬 : 비공식 CPS1/2PSP - 치트 기능 추가

NJ가 개발한 에뮬레이터 CPS1PSP와 CPS2PSP를 davex가 수정하여 발표했습니다. [출처가기] [출처가기2]

기존의 CPS1PSP, CPS2PSP 2.2.5 버전을 수정한 이번 비공식 에뮬레이터의 가장 큰 변경점은 바로 치트 기능의 추가입니다. 하지만 아직 완전히 개발이 완료된 것은 아니고 테스트중에 알단 발표만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그래픽이 가끔 깨지는 문제가 있더군요.)

게다가 배포 파일에 거의 모든 게임의 치트 파일(*.ini)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치트코드를 따로 구할 필요도 없어 편하게 치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Download: UoCPS1PSP (구형 PSP용)
* Download: UoCPS1PSP (신형 PSP용)

* Download: UoCPS2PSP (구형 PSP용)
* Download: UoCPS2PSP (신형 PSP용)

설치법이나 캐시파일 생성법 등은 이전과 동일하므로 http://popotz.textcube.com/563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게임중 치트를 어떻게 적용하는지만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에뮬레이터에서 게임을 실행하고 도중에 홈버튼을 눌러 에뮬레이터 메인 메뉴로 빠져나옵니다.
이전과는 다르게 Cheat menu가 새로 생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치트 적용을 위해 해당 메뉴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에뮬레이터의 cheats 폴더 안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게임의 치트 목록이 나오게 됩니다.
원하는 항목을 사용함(Enabled)나 적당한 값으로 변경해주면 됩니다.

스크린샷의 경우를 예를 들면 스트리트 파이터 2에서 시간 무한, 에너지 무한, 무적 등의 치트를 적용해봤습니다.


치트 적용후 다시 게임으로 돌아오면 위에서 적용한 치트대로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 과도한 치트의 사용은 게임의 재미를 반감시킬 수도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