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드라이브 에뮬 : 비공식 Picodrive 1.35b R

세가의 메가드라이브(=Genesis)와 세가CD(=메가CD)의 에뮬레이터인 Picodrive의 비공식 버전이 1.35b R(Rewind Mod)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Picodrive의 원제작자인 NOTAZ의 허락을 받아 davex가 몇몇 기능을 추가해 발표한 비공식 Picodrive 1.35b R의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Time Rewind(타임 리와인드) 버튼을 자신의 취향대로 설정할 수 있음. (기본은 R트리거)
2) 새롭게 추가된 "Rewind" 메뉴를 통해 타임 리와인드 관련 설정이 가능함.


[ 설치법 ]
1.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psp_slim 폴더 안의 'picodrive'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 이제 메가드라이브의 롬파일(*.smd, *.zip) 파일을 따로 구해 메모리스틱의 적당한 곳에 복사합니다.
(롬파일 탐색을 지원하므로 아무 곳이나 넣어도 상관없습니다.)
3.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Unofficial Picodrive 1.35b R'를 실행합니다.

[ 사용법 ]
실제 사용법은 아래 동영상을 참고해주세요. 게임중 에뮬레이터 메뉴를 불러오려면 셀렉트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단, 게임 실행이 안된다던지, 사운드나 그래픽이 깨진다면 아래대로 설정을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 Change options - Renderer 항목을 'accurate'로 변경
* Change options - Advanced options - Emulate Z80 항목을 'ON'으로 변경


추가로 메가드라이브 롬이 아닌 세가CD(=메가CD)도 실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자세한 지식도 없고 실제로 테스트도 못해봤으므로 예전 readme에 나온 관련 내용만 번역하겠습니다.

세가CD(=메가CD) 게임 실행법 열기

세가마스터시스템 에뮬 : SMS Plus PSP 1.2.55



SMS Plus PSP가 1.2.55로 공식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SMS Plus PSP는 세가의 8비트 게임기인 SEGA Master System (세가마스터시스템, 겜보이, 알라딘보이)과 세가의 휴대용 게임기인 Game Gear (게임기어, 핸디겜보이, 핸디알라딘보이)를 구동할 수 있는 에뮬레이터입니다.

세가 마스터시스템은 8비트 게임기 시장에서 닌텐도의 패미콤과 경쟁하며 큰 인기를 끌었고, 국내에도 겜보이, 알라딘보이라는 이름으로 수입되어 엄청난 인기를 누렸습니다. 당시 오락실에서 인기있던 보글보글, 원더보이, 더블드래곤 등의 게임을 구동할 수 있었죠.

이번 SMS Plus PSP 1.2.55의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딱 1가지네요.
DaveX의 Time Rewind 기능 추가 - 최근의 게임 플레이를 약 20초까지 되돌릴 수 있는 기능이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PSP 버튼을 ‘Special: Rewind’에 할당해야 한다.


[ 설치법 ]
1.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smsppsp'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 그리고 마스터시스템 롬파일(*.SMS) 또는 게임기어 롬파일(.GG) 파일을 따로 구해 /smsppsp/roms/ 폴더 안에 복사하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zip 파일도 지원합니다.)

[ 사용법 ]
실제 사용법은 아래 동영상으로 때우겠습니다. ㅡㅡ;
타임 리와인드 기능이 어떻게 쓰이는지 정도만 보시면 될 듯 하네요.

GBA에뮬 : 비공식 gpSP kai 3.3 test2 build 132 (한글 메뉴 지원!!)


요 근래 일본 개발자 takka씨 블로그에 자주 드나들었습니다. 왜냐하면 takka씨가 요즘 다국어 출력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기 때문이죠.

예전 데브훅 시절, 런처 모드에 적용되었던 mok의 fmb 문자 라이브러리를 takka씨가 GBA 에뮬레이터인 '비공식 gpSP Kai'에 적용하기 위해 다시 연구중이었습니다. (그 때 당시 이로 인해서 데브훅 메뉴를 한글로 즐길 수가 있었죠.) 그리고 드디어 그 결실이 보이기 시작하는군요.

최근 비공식 gpSP kai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면서 영어와 일본어뿐만 아니라 한글, 프랑스어, 중국어, 러시아어 등 많은 언어를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눈물 한 번 닦고... [출처가기]

(사실 이전에는 업데이트 사항을 자주 확인하지 않아서 정확히 언제부터 지원하기 시작했는지 잘 모르겠네요.)

참고로 현재 비공식 gpSP Kai는 안정된 버전과 실험용의 알파 버전, 두 가지로 나뉘어서 업데이트되고 있는데 이번에 소개할 것은 알파 버전이라 새로운 시도가 많이 들어가있어 사용시 약간은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그럼 비공식 gpSP kai 3.3 test2 build 132의 변경사항부터 살펴보겠습니다.
- UnOfficial gpSP kai 3.3 test 2 build 132 svn.402
    ZIP 파일을 2번째로 불러올 때의 멈춤 현상을 수정.
    ROM 버퍼 이상의 ZIP 파일 읽기가 가능.
    (ROM 폴더에 ZIP 파일 해제 후 ZIP_TMP.gba를 작성합니다. 메모리스틱의 빈 용량에 주의해 주세요.)

- UnOfficial gpSP kai 3.3 test 2 build 49 svn.399
    치트와 그 외의 옵션을 분리.
    디버그용으로 C코어 ARM 에뮬을 부활.
    C코어와 ASM코어의 ARM 에뮬을 교체되도록 했다. (재기동 후에 유효)
    일시적으로 ROM 캐쉬를 1MB로 줄이고 있던 것을 원래대로 되돌렸다.
    그 만큼, RAM 캐쉬가 조금 줄어들었다.
    ZIP 파일의 해제시, PSP-1000의 해제용 버퍼를 320KB로 확장.
    BMP 버퍼를 범용 VRAM 위에 잡아, 112.5KB 정도 메모리를 절약.
    PSP-1000에서 16MB의 ROM 버퍼를 확보.
    XMB에서 보여지는 아이콘/배경 이미지를 pochi씨의 것으로 변경.
    폰트를 몇 개인가 추가. (네트워크 업데이트가 아닌, ZIP 파일에 포함됨)
    폰트 초기화 실패시 다운되는 문제를 수정.
    디버그용으로서, 구형처럼 실행하는 옵션을 추가. (재기동 후에 유효)
    디버그용의 옵션을 추가 (테스트용의 정보를 메모리스틱에 계속해서 작성하므로 주의)

위의 변경사항은 별로 중요한게 아니고, 한글 얘기를 다시 하자면...

이번 비공식 gpSP Kai에는 각 언어별로 프로그램내에 보이는 메뉴명이나 메세지를 수정할 수 있는 설정 파일이 나누어져 있습니다. 이 파일을 자신이 원하는 언어로 수정하면 되는 것이죠.

하지만 아쉽게도 한글 메세지 설정 파일은 한글로 번역되지 않고 이전처럼 영어로만 되어 있습니다. 할 수 없이 직접 노가다했네요. 그나마 fmb로 변환된 바탕10 폰트가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어 다행이었습니다. (만약 없었다면 폰트를 직접 fmb로 변환해야 하죠.)

번역해야할 양도 많고 혼동되는 것도 있어 조금 시간이 걸렸지만, 그 결과물이 바로 아래...



[ 설치법 ]
1.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gpsp'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 GBA 바이오스 파일을 구해서 'gba_bios.bin'이라는 이름으로 변경한 뒤 ms0:/PSP/GAME/gpsp/ 폴더로 복사합니다. (저작권이 있기때문에 각자 알아서 구해야 합니다.)
3. 마지막으로 실행하려는 GBA 롬파일(*.gba, *.zip)을 ms0:/PSP/GAME/gpsp/GBA/ROM/ 폴더로 복사합니다.
4. 이제 XMB -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해당 에뮬레이터를 실행합니다.

[ 사용법 ]
사용법은 이제 따로 필요없겠군요. 메뉴 자체가 한글인데다 각 메뉴에 대한 설명도 잘 나오니까요.

# 혹시라도 번역이 이상하거나 오타가 보이면 알려주세요.

PSP용 에뮬레이터 정리


예전 4월에 작성한 글이지만, 시간이 많이 지났고 또 새로 업데이트된 에뮬레이터도 있어 기존 글을 수정하고 이번에는 신형 PSP로 테스트해서 새로 올립니다. (하지만 결국 우려먹기...)

아래 에뮬레이터는 모두 3.xx 커널 이상에서 구동되므로 구형/신형 PSP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에뮬레이터는 신형 PSP / 5.00 M33-4에서 구동 확인되었으나, 몇몇 에뮬레이터의 경우에는 테스트해보지 못했으니 양해바랍니다.

이 글에서는 각 에뮬레이터의 설명과 자료 링크만 제공할뿐이며, 저작권이 있는 바이오스 파일과 롬 파일은 절대 공유하지 않습니다. 또한 각 에뮬레이터가 모든 게임의 구동을 보장하지는 않으며, 불안정하거나 성능이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SEGA
SMS Plus for PSP
 - 대응기종 : 세가 마스터시스템 / 세가 게임기어
 - 설치법 및 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378 (설치법은 1.50 커널 기준)
 - 다운로드 :
SMS Plus for PSP 1.2.5

DGEN
 - 대응기종 : 메가드라이브 (GENESIS)
 - 설치법 및 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587
 - 다운로드 : DGEN v1.7 Slim (신형용?) / DGEN v1.7 (구형용, 1.50 커널 필요)

PicoDrive
 - 대응기종 : 메가드라이브 (GENESIS), Sega CD, Mega CD
 - 설치법 및 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631
 - 다운로드 : PicoDrive v1.51


Nintendo
NesterJ
 - 대응기종 : 패미콤 (NES)
 - 설치법 및 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396 (설치법은 1.50 커널 기준)
 - 다운로드 :
NesterJ NES Emulator 1.12

SNES 9x TYL
 - 대응기종 : 슈퍼패미콤 (SNES)
 - 설치법 및 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673
 - 다운로드 : Snes9xTYLmecm test5 05/27/08


Daedalus
 - 대응기종 : Nintendo64
 - 설치법 및 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605
 - 다운로드 : DaedalusX64 Beta 1


Unofficial RIN GB/GBC
 - 대응기종 : 게임보이 (GB) / 게임보이 컬러 (GBC)
 - 설치법 및 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397 (설치법은 1.50 커널 기준)
 - 다운로드 : Unofficial RIN GB/GBC 1.32 RM

Unofficial gpSP kai
 - 대응기종 : 게임보이 어드밴스 (GBA)
 - 설치법 및 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747
 - 다운로드 : UO gpSP kai 3.3 test 1


Capcom Play System
CPS1PSP
 - 대응기종 : Capcom Play System 1 기판
 - 설치법 및 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563
 - 다운로드  : CPS1PSP ver.2.3.1 for 3.xx user판


CPS2PSP
 - 대응기종 : Capcom Play System 2 기판
 - 설치법 및 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563
 - 다운로드 : CPS2PSP ver.2.3.1 for 3.xx user판


NEO-GEO
MVSPSP
 - 대응기종 : 네오지오 / MVS 기판
 - 설치법 및 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563
 - 다운로드 :
MVSPSP ver.2.3.1 for 3.xx user판


NCDZPSP
 - 대응기종 : 네오지오 CD / 네오지오 CDZ
 - 설치법 및 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563
 - 다운로드 : NCDZPSP ver.2.3.1 for 3.xx user판


NeoPop PSP (아래의 RACE! PSP를 더 추천합니다.)
 - 대응기종 : 네오지오 포켓 / 네오지오 포켓 컬러
 - 설치법 및 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514 (설치법은 1.50 커널 기준)
 - 다운로드 : NeoPop 0.71.15 for the Slim

RACE! PSP
 - 대응기종 : 네오지오 포켓 / 네오지오 포켓 컬러
 - 설치법 및 사용법 : 없음
 - 다운로드 : RACE PSP v2.15


통합 / ETC.
Final Burn Alpha
 - 대응기종 : CPS1 / CPS2 / CPS3 / 네오지오 / 세가 / CAVE 등...
 - 설치법 및 사용법 : 없음 (실행도 안 해봄)
 - 다운로드 : FBA lbicelyne 1208 V12p1


MasterBoy
 - 대응기종 : 게임보이 / 게임보이 컬러 / 세가 마스터시스템 / 세가 게임기어
 - 설치법 및 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465
 - 다운로드 : MasterBoy v2.02

MAME4ALL
 - 대응기종 : MAME(마메)
 - 설치법 및 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620
 - 다운로드 : PSP MAME4ALL v4.9r2 Hires zipped archive


fMSX
 - 대응기종 : MSX / 재믹스
 - 설치법 및 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241 (설치법은 1.50 커널 기준)
-  다운로드 : fMSX v3.5.35

PSPMSX
 - 대응기종 : MSX / MSX2 / MSX2+
 - 설치법 및 사용법 : 없음
 - 다운로드 : PSPMSX v1.4.1 (fw5x)


PSPKVM
 - 대응기종 : j2me 어플리케이션 / 모바일게임
 - 설치법 및 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1026
 - 다운로드 : PSPKVM v0.5.2


# 현재도 계속해서 업데이트 되고 있는 에뮬레이터의 경우 다운로드 링크가 최신 버전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 몇몇 에뮬레이터의 경우 설치법 및 사용법이 1.50 커널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으므로 주의하세요. 요즘에는 하나로 이루어진 에뮬레이터 폴더를 ms0:/PSP/GAME/ 폴더에 복사하면 대부분 실행됩니다.

# 날림으로 마구 쓴거라 링크 오류 등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6.20 TN-A [HEN] 및 ISO LOADER 로 6.20 정펌에서도 휘발성 커펌 및 게임 구동 가능!


[시작하기 전]

0. 파타퐁 데모판 익스플로잇으로 게임을 구동시키는 원리임.
1. 6.20 TN-A( HEN) + ISO로더 셋으로만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음.
2. 호환 버전은 펌웨어 6.20인  PSP1000, PSP2000, PSP3000, PSPgo 이며 버전이 낮을 경우 업그레이드 요망

업데이트 다운로드 : [
1000~3000번대용] [GO전용]

매번 적어 드리지만, 커펌으로 인한 일체의 데이터 손실 등 책임은 본인이 지셔야 함을 명심하십시오!

★ 6.20 TN, 파타퐁 2데모, 세이브파일, HBL 링크 : 다운로드

3000번대 사용중이신 분들중 대부분은 EBOOT 패치가 필요할 수 있으니 만약 TN이 실행되지 않고 꺼지거나
검은화면이 계속되신다면, 패치를 권장함.

[패치방법]

다운로드하신뒤, 압축을 푸시고, 메모리스틱의 최상위에 h.bin 파일을 넣어주시고, 
PSP, HBL폴더를 덮어 씌우시면 되며 
패치가 필요하신분들은 위의 설치과정을 끝내신뒤 
하단 첨부되어있는 EBOOT.zip를 다운로드 받으시고 압축을 풀어줍시다. 

다운로드

상위\PSP\GAME\HEN 폴더안에 있는 EBOOT.PBP파일과,
방금 압축을 푼 뒤 나온 EBOOT파일을 교체해주시면됩니다.

[기본 설치 방법]

1. PSP내에서 파타퐁2 데모를 실행
2. yes 를 눌러 기본 세이브 파일 생성
3. "Continue"를 눌러줌
4. 세이브파일을 불러옴
5. Press any button이 나올때 아무버튼이나 눌러줌.
6. 게임 화면에서 "R" 버튼을 누르시면 HBL이 시작됨.
7. 충돌이 발생할시(꺼지는 등), 다시 위의 단계를 반복 실시.
8. HBL이 시작되면, 실행 목록에서 HEN을 선택.
9. select 버튼을 눌러서 VSH 메뉴 (CPU 속도등 설정 화면) 가 뜨면 성공!

[ISO 로더 설치 방법]

다운로드

1. 다운로드 한 뒤 압축을 해제. 나오게 되는"Prometheus_Iso_loader"폴더를, 
   PSP\GAME 경로에 넣어주고 최상위 폴더에 ISO폴더를 만드신뒤 그 안에 ISO파일을 넣어주면 OK!
2. TN-A 실행 한 뒤 Prometheus ISO Loader를 실행!
3. ISO 파일들이 보이는데, O 버튼을 눌러서 게임 실행!

주의 : "SELECT" 버튼을 눌러서 NP9660 으로 설정한 뒤 게임을 즐기도록 합시다.

[PSP 가 자꾸 꺼질때 조치사항]

1. PSP 에서 메모리 스틱 제거 
2. VSH 상태에서 Select 버튼을 눌러, 메뉴에서 RESTART VSH 실행
3. HEN 리부팅이 되면 메모리 스틱을 넣고 ISO 로더 실행하여 게임 실행 

GBA에뮬 : gpSP mod 20081128


또 다른 GBA 에뮬레이터가 나왔습니다.

gpSP mod라고 하는데 20081128일 버전으로 처음 나온건지, 업데이트된건지... [출처가기]

PSP용 GBA 에뮬은 그 동안 gpSP 원래 버전과 gpSP 改(Kai) 버전이 있었죠. 그 중에 Kai 버전은 한 때 업데이트도  자주 이루어졌었고 성능도 뛰어나 인기가 많았습니다.

이번 gpSP mod 버전은 기존 gpSP와는 메뉴가 약간 바뀌었을 뿐 성능상 차이는 잘 모르겠습니다. 출처쪽에도 자세한 내용은 없고, 직접 테스트한 시간도 워낙 짧아서 확실한 말씀을 못드리겠네요. (그냥 실행 확인만 하고 끝냈습니다.)

이번 버전은 통상판과 M33판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포함된 문서에 따르면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gpSP_mod_m33.zip에 포함되는 EBOOT.PBP는 커.펌 M33 전용입니다.
M33판은 신형 PSP의 'PSP_LARGE_MEMORY' 옵션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현재 아래의 문제가 발견되고 있으므로, 자신의 상황에 맞춰서 사용해주세요.

통상판
1. M33 확장 메모리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뒤 바로 사용하는 경우 32 MB의 롬을 불러오는 도중 충돌이 일어난다. (뒤의 4 MB의 메모리 영역을 이용 할 수 없기 때문?)
2. 아얄쉘 내에서 사용하는 경우, 롬을 불러오는 도중 충돌이 일어난다.  PSP-2000에서는 늘어난 메모리 영역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것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

M33판
1. M33 확장 메모리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한 번 실행하고 나면, 종료 후에도 따로 지정 없이 M33 확장 메모리를 이용하게 된다. 이 때문에 대응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통상판 문제 1의 원인과 동일.
2. 일부의 플러그 인과 동시에 사용하면 충돌이 일어난다. (PspStates Experiment, MacroFire, aute mute 등)


PSP-1000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어느 쪽을 사용해도 성능은 동일합니다. (승리의 구형???)

# 아얄쉘에서 구동하려면 M33판을 사용하라는 소리...

그럼 설치법과 사용법을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gpSP mod 20081128 설치법 / 사용법 열기

드캐에뮬 : NullDC for PSP 개발 상황


PSP용 드림캐스트 에뮬레이터인 NullDC for PSP의 개발 상황과 계획을 제작자가 블로그에 밝혔습니다. [출처가기]

언제나 그렇듯 발 번역입니다. 오역/오타는 이해해주세요.
PSP용 nullDC는 오로지 신형 PSP에서만 구동된다. 구형 PSP는 충분한 램공간을 가지고 있지 않아 구동이 불가능하며, 내가 어떻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현재 구동 속도는 매우 느리지만, 향상될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현재 소스에서는 dynarec(?)도 없고 최적화도 되어있지 않을 뿐더러, 싱글 밉스 어셈블리 라인으로 되어있다. 현재 코드의 대부분(3D 렌더링과 별개인 것 모두)은 PC용 nullDC에 기반을 두고 있고, 이 코드들의 대부분은 교체될 것이다. 그래, 이 프로젝트가 실제로 사용 가능한 수준이 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다.

현재 속도(화면상의 카운터)는 약 10% 정도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더 낮다. 인터프리터는 (참을 수 있는 속도를 만들기 위해) 언더클럭에서 구동된다. 인터프리터를 사용하는 PC용 nullDC 역시 같은 원인때문에 이러한 일이 발생한다. RPS(초당 렌더러)가 정확하다.

코드를 클린업하고 재작성한 뒤에는 pandora(http://www.openpandora.org/, 그 판도라가 아님)와 가능하다면 다른 콘솔(위가 제일 좋은 타겟이며, 만약 3D 접속 방법을 얻게 된다면 PS3도.)로 변환할 계획도 있다. 이 모든 것들은 코드가 재작성된 뒤에 시작(아니면 중지)할 예정이므로 지금은 이와 관계된 질문을 하지 말아라. (정말 시간낭비다.) 코드는 안정화되는대로 오픈소스로서 공개될 것이다.

나는 PSP로 풀스피드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내가 잘못 생각하고 있을 가능성도 상당히 높다. 구동 속도에 대해 나는 어떠한 약속도 할 수 없으며, 단지 빠르게 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약속만 할 수 있다.

만약 당신이 이 프로젝트가 시간만 낭비할 뿐이라고 생각한다면, 이것에 대해 말하거나 생각하지 말아라. 내 시간은... 내 것이고, 내가 쓰고 싶은대로 사용할 수 있다. 뭔가 불만이 있어도, 어차피 아무것도 바뀔 것은 없으니까 그냥 네 시간이나 아끼도록 해라. ;)

이 글이 논란을 잠재우기를 바란다. 뭔가 혼란스러운 부분은 위의 굵은 글씨 부분을 읽으면 도움이 될 것이다. :p

저번 드캐 에뮬 소식이 나온 이후로 뭔가 부정적인 시각이 많았나 봅니다. PSP로는 성능상 무리다, 어차피 도중에 포기할 것이다 등등.. 그래서 제작자가 뿔났나보네요.

그나저나 제일 첫 문장 읽는 순간 기대감이 바닥으로 떨어져 버렸네요. (구형은... ㅜㅜ;) 어차피 저야 드캐는 해본적이 없어서 별 감흥이 안 오긴 합니다만,,,

그리고 새로 공개된 구동 영상입니다. 이번에는 크레이지 택시군요.


* 관련글 보기 *
2008/07/29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개발중] nullDC PSP - 드림캐스트 에뮬

[개발중] nullDC PSP - 드림캐스트 에뮬


PSP용으로 드림캐스트(Dreamcast)의 에뮬레이터가 개발중입니다. [출처가기]
에뮬레이터의 이름은 'nullDC PSP'라고 하는군요.

드림캐스트란 세가에서 98년 발매한 게임기로 그 뛰어난 성능덕에 기대를 모았지만 결국 타이틀 수의 부족과 손휘의 PS시리즈에 밀리면서 사라진 비운의 기종입니다. 세가의 마지막 콘솔이기도 하죠.

nullDC PSP의 실제 구동 비디오가 몇 개 공개되었는데 아직은 개발 초기라 속도는 말도 못할 정도로 느리고, 게임내 표현이나 사운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더 나아질 것 같네요.
실제로 공개된 비디오를 날짜순으로 쭉 살펴보면 점점 더 발전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풀프레임까지 구현될지는 의문입니다만...

공개된 동영상 중에서 몇 개만 가져왔습니다.


7월 26일, 드림캐스트 부팅 영상


7월 27일, 드캐용 게임인 '쉔무' 구동 영상


7월 28일, 게임 구동 영상


# 영상을 보니 N64 에뮬인 Daedalus의 예전 초기 버전을 보는 듯 하네요. (Daedalus는 지금도 느리지만...)
과연 Daedalus와 nullDC PSP 중에 어느 것이 먼저 원활히 즐길 수 있을 정도가 될까요? 어쩌면 성능 한계로 2개 다 포기해야할지도?

메가드라이브 에뮬 : PicoDrive v1.51


세가의 메가드라이브(=Genesis)와 세가CD (=메가CD)의 게임을 PSP로 구동할 수 있게 해주는 에뮬레이터인 PicoDrive가 오랜만에 v1.50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출처가기]

메가드라이브 에뮬은 이전의 DGEN v1.7이 있습니다만, PicoDrive가 일반적으로 더 좋은 구동 능력을 보여준다고 알려져 있죠. 게다가 이번에 업데이트된 v1.50은 이전보다 더욱 향상된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변경사항이 굉장히 많은데 전문적인 내용이라 생략합니다. 그냥 '아~ 좋아졌구나!'라고 생각하면 될 듯...?

[ 추가사항 ] v1.51로 업데이트!


1. 대부분의 커펌에서 모두 구동될 듯 합니다. 저는 구형 PSP / 커펌 4.01 M33-2에서 테스트했습니다.

2. 위의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PicoDrive' 폴더를 ms0:/PSP/GAME/ 폴더 또는 ms0:/PSP/GAME3xx/ 폴더에 복사합니다. (예 : 커펌 3.71이라면 /GAME371/ 폴더, 커펌 4.01이라면 /GAME4xx/ 폴더)

3. 그리고 메가드라이브용 롬파일(*.SMD, *.ZIP)을 메모리스틱으로 복사합니다.
(롬 파일 선택시 탐색이 가능하므로 메모리스틱 아무곳에나 저장하면 됩니다.)

4. 롬파일은 저작권이 있으므로 제공하지 않습니다. 각자 구하세요.

이제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PicoDrive'를 실행하고 아래의 방법대로 게임을 실행합니다.

기본 사용법 및 메가드라이브 게임 실행법 열기


다음은 세가CD(=메가CD) 실행법인데, 자세한 지식도 없고 실제로 테스트도 못해봤으므로 readme에 나온 관련 내용만 번역하겠습니다.

세가CD(=메가CD) 게임 실행법 열기


* 관련글 보기 *
2007/11/23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메가드라이브 에뮬 : PicoDrive for PSP v1.35b
2007/10/20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3.xx 커널용 메가드라이브 에뮬 : DGEN v1.70
2007/06/07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메가드라이브 에뮬 : DGEN v1.7

N64 에뮬 : 비공식 Daedalus R14 Beta 2종

닌텐도64(N64)의 유일한 에뮬레이터인 Daedalus의 R14 Beta가 2가지 발표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원제작자인 StrmnNrmn가 아니라 다른 개발자가 수정하여 발표했기에 비공식이 되었네요.

하나는 Wally라는 개발자가 발표한 것으로 3.xx 커널에서 실행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다른 하나는 Captain Morgan이 발표했으며, Wally의 것보다는 더 안정적이지만 예전 버전과 동일하게 1.50 커널에서만 실행됩니다.

----------------------------------------------------------------------------------------

커펌 3.xx 이상이 설치된 구형 / 신형 PSP에서 모두 구동 가능합니다.
첨부파일을 다운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DaedalusR14' 폴더를 ms0:/PSP/GAME/ 폴더에 복사합니다. 그리고 N64의 롬파일(*.n64, *.v64, *.z64, *.rom, *.zip)을 따로 구해 같은 폴더의 'ROMS' 폴더에 넣어준 뒤 실행하면 됩니다.
에뮬 실행 후 게임 시작시 에러메세지가 뜨는데 네모버튼을 이용해 무시하면 게임이 시작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저는 에러 메세지에서 멈추고 더 이상 진행이 안되더군요. 그래서 실제 게임 구동은 실패했습니다.

----------------------------------------------------------------------------------------


1.50 커널용이므로 커펌이 설치된 구형 PSP에서만 구동 가능합니다. (커펌 3.71 이상이라면 1.50 커널 애드온 필수)
첨부파일을 다운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__SCE__Daedalus R-14beta'와 '__SCE__Daedalus R-14beta' 2개의 폴더를 모두 ms0:/PSP/GAME150/ 폴더에 복사합니다. 그리고 N64의 롬파일(*.n64, *.v64, *.z64, *.rom, *.zip)을 따로 구해 '__SCE__Daedalus R-14beta' 폴더 안에 'ROMS'라는 폴더를 새로 만들고 그 안에 넣어주면 됩니다.

----------------------------------------------------------------------------------------
위 2개의 에뮬레이터 모두 메뉴나 사용법은 동일합니다. Wally의 것은 게임 구동을 못해봤기때문에 속도를 알 수는 없지만, Captain Morgan의 것은 확실히 이전 R13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실행해본 게임이 겨우 2개뿐이라 단언하기는 어렵네요. 또한 Captain Morgan의 것에는 유명한 게임 몇 개의 썸네일(롬 선택 화면에 보여지는 그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사용법이나 메뉴 등은 이전 글 또는 아래 동영상을 참고하세요. 게임 중 메뉴 전환은 셀렉트버튼입니다.


* 관련글 보기 *
2007/11/05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N64 에뮬 : Daedalus R13
2007/06/27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N64에뮬 : Daedalus R12
2007/05/07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N64에뮬 : Daedalus R11
2007/04/02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N64에뮬 : Daedalus R10
2007/03/22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비공식 Daedalus R9 에뮬레이터 (프레임스킵 추가)
2007/02/22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N64에뮬 : Daedalus R9

슈패 에뮬 : Snes9xTYLsmcm 23/05/08

익명의 일본 개발자 그룹이 업데이트하고 있는 슈퍼패미콤(SNES) 에뮬 Snes9xTYLsmcm의 08년 5월 23일 버전입니다. [출처가기]

슈퍼패미콤 에뮬인 Snes9x는 참 종류도 많고 역사도 긴데, 원제작자는  YoyoFR와 Laxer3a이며, Ruka라는 개발자가 코드를 수정하여 더욱 향상된 버전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그 외에도 커널 변경이나 작은 부분을 수정한 여러 버전이 나왔죠.

항간에는 이번  Snes9xTYLsmcm의 제작자 중에 그 Ruka가 포함되어 있다는 소문이 있기도 합니다. (루머)
실제로 첨부된 리드미를 보면 2007년 10월부터 개량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전 Ruka가 마지막으로 내놓은 SNES9x TYL++와 시기가 엇비슷하네요.

세세한 수정사항은 생략합니다. ㅡㅡ;


3.xx 커널용이므로 3.x 이상의 커펌이 설치되어 있다면 구형 / 신형 PSP 모두 실행가능합니다.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s9xTYLslimmecm' 폴더를 ms0:/PSP/GAME/ 폴더에 복사합니다.

그리고 실행하려는 슈퍼패미콤의 롬파일(.SMC, .ZIP)을 각자 구해 ms0:/PSP/GAME/s9xTYLslimmecm/ 폴더에 복사한 뒤 PSP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Snes9xTYL0.4.2mecm'를 실행하면 됩니다.

참고로 기본은 ME(미디어엔진) 모드로 구동되며 ms0:/PSP/GAME/s9xTYLslimmecm/ 폴더에 있는 'EBOOT.PBP' 파일을 삭제하고 'EBOOT.PBP.user' 파일의 이름을 'EBOOT.PBP'로 변경하면 유저 모드로 동작합니다. ME 모드는 슬립 모드와 CPU 클럭 변경 등이 불가능하다고 하니 ME가 불안정한 것 같으면 유저 모드로 사용하라고 하네요.

아래의 에뮬레이터 사용법은 이전 글을 가져다 약간 수정만 한터라 실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Snes9xTYLsmcm 23/05/08 사용법 열기


* 관련글 보기 *
2007/12/24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슈패 에뮬 : Snes9xTYL 0.4.2 ME By 33
2007/10/18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3.xx 커널용 슈패 에뮬 : Snes9xTYL 0.4.2 ME
2007/07/09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슈퍼패미콤 에뮬 : SNES9x TYL++ BETA 패치
2007/05/16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슈퍼패미콤 에뮬 : SNES9x TYL++ BETA

비공식 gpSP kai 무선업데이트 (인터넷라디오 이용)


GBA 에뮬레이터인 비공식 gpSP kai를 손쉽게 업데이트할 수 있는 방법이 알려졌습니다. [출처가기]

바로 펌웨어 3.80부터 지원되는 인터넷 라디오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무선 인터넷을 통해 비공식 gpSP kai가 업데이트될때마다 손쉽게 버전 업데이트를 할 수 있습니다.

단, 단순히 변경된 일부 파일만을 업데이트해주므로, 먼저 ms0:/PSP/GAME/gpSP/ 폴더에 이전 버전이 설치되어 있어야만 합니다. 또한 인터넷 라디오를 사용할 수 있는 커펌 3.80 M33 이상에서만 가능하겠죠.

* Download : gpsp-update.prs (일반판)
* Download : gpsp-update-alpha.prs (알파버전, 개발판)

위의 prs 파일을 받아 ms0:/PSP/RADIOPLAYER/ 폴더에 넣어줍니다.

그 후 네트워크 - 인터넷 라디오 메뉴로 들어가 'UO gpSP kai (alpha) Update'를 실행하면 무선 인터넷 접속 후 업데이트된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해당 경로에 저장되므로 더 이상 다른 작업을 해줄 필요는 없습니다.

현재 일반판은 'UO gpSP kai 3.2 test 8.8'이 최신 버전이며, 개발판은 'UO gpSP kai 3.3 test 1 Build 63'이 최신입니다.

# 음, 이런식으로 업데이트를 지원하는 것도 괜찮네요.

* 관련글 보기 *
2008/02/05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GBA에뮬 : 비공식 gpSP kai 3.3 test 1 - 통신 테스트판
2007/12/03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GBA 에뮬 : 비공식 gpSP kai 3.2 test 8.5
2007/10/19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3.xx 커널용 GBA 에뮬 : 비공식 gpSP kai 3.2 test 05 - TV 출력 지원

모바일에뮬 : PSPKVM v0.1.0a - 사운드 지원


휴대폰용의 모바일 게임을 PSP에서 즐길 수 있게 해주는 PSPKVM v0.1.0입니다. [출처가기]
정확히 말하면 JAVA 기반의 j2me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고 하네요.

이번 v0.1.0에서는 드디어 사운드를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자세한 변경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v1.0.0a의 변경점
- 충돌 버그를 수정하기 위해 사운드, 폰트에 의해 사용되는 크기 제한됨.

v1.0.0의 변경점
- 오디오 지원을 추가하여 MIDI와 WAVE 재생 가능.
- 홈브류 아이콘 추가.
- 재시작시 마지막으로 선택된 파일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 추가.
- fixedsys 폰트가 다시 삽입됨.
- 폴더내에 손상된 jar 파일이 있을 경우 충돌하는 버그가 수정됨.
- '.'이 파일이름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대로 표시되지 않던 버그 수정.

하지만 왠지 이전 v0.0.9보다도 게임 호환성은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사운드 지원부분에서 충돌이 일어나는지 몇몇 게임에서는 구동시 멈춰버리는군요.

* Download : PSPKVM v0.1.0a

3.xx 커널용이므로 커펌이 설치되어 있다면 구형 / 신형 PSP에서 모두 구동가능합니다.

1. 첨부파일의 압축을 풀고 그 안의 'PSPKVM' 폴더를 ms0:/PSP/GAME/ 폴더에 복사합니다.

2. 실행하려는 모바일 게임(*.jar) 파일을 메모리스틱 아무곳이나 복사합니다.
(*.jar 파일은 각자 알아서 구해야합니다.)

3. 처음 실행하면 메모리스틱의 내용물을 보여주게 됩니다. 실행하려는 jar 파일을 찾아 동그라미버튼으로 선택하면 자동으로 게임이 실행됩니다.

4. 게임을 선택하는 화면에서 세모버튼을 누르면 핸드폰 기종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화면 크기를 결정할 뿐 호환성의 차이는 그다지 없는 것 같습니다. (삼송도 있고, IG도 있네요.)

5. 조작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방향키 위 - NUM2 / 방향키 왼쪽 - NUM4 / 방향키 오른쪽 -  NUM6 / 방향키 아래 - NUM8 /
아날로그스틱 - D-pad / 엑스버튼 - NUM0 / 네모버튼 -  NUM1 / 세모버튼 -  NUM3 /
동그라미버튼 -  NUM5 / L+네모버튼 -  NUM7 / L+세모버튼 - NUM9 /
L+동그라미버튼 - SELECT / L+엑스버튼 -  CLEAR / 셀렉트버튼 -  L-Soft /
스타트버튼 - R-Soft / L - * / R - # / L+R+엑스버튼- Red-key (현재 프로그램 강제종료)

다음은 실제로 실행해본 게임의 구동 모습입니다.

PSPKVM v0.0.9 게임 구동


# 유명한 모바일 게임 회사 Gameloft의 게임 호환 리스트
# 지원폰과 게임의 호환성 등도 살펴봐야 할 것 같지만, midp2.0이라던지 WMA2.0 등은 잘 모르는 관계로 자세한 설명은 못하겠네요. 해보고 안 되면 지원 안되는 게임이구나 하고 넘어가시길... OTL

* 관련글 보기 *
2008/02/10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모바일게임 에뮬 : PSPKVM v0.0.9

모바일게임 에뮬 : PSPKVM v0.0.9


휴대폰용의 모바일 게임을 PSP에서 즐길 수 있게 해주는 PSPKVM v0.0.9입니다. [출처가기]
정확히 말하면 JAVA 기반의 j2me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고 하네요.

사실 이런 프로그램이 있는 줄은 저도 처음 알았습니다. 하지만 사운드는 지원하지 않는 듯 하니 조금 실망이군요.
모바일 게임의 재미보다도 그냥 PSP는 이런 것도 가능하구나 하는 정도에서...

* Download : PSPKVM v0.0.9

3.xx 커널용이므로 커펌이 설치되어 있다면 구형 / 신형 PSP에서 모두 구동가능합니다.

1. 첨부파일의 압축을 풀고 그 안의 'PSPKVM' 폴더를 ms0:/PSP/GAME/ 폴더에 복사합니다.

2. 실행하려는 모바일 게임(*.jar) 파일을 메모리스틱 아무곳이나 복사합니다.
(*.jar 파일은 각자 알아서 구해야합니다.)


3. 처음 실행하면 메모리스틱의 내용물을 보여주게 됩니다. 실행하려는 jar 파일을 찾아 동그라미버튼으로 선택하면 자동으로 게임이 실행됩니다.


4. 게임을 선택하는 화면에서 세모버튼을 누르면 핸드폰 기종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화면 크기를 결정할 뿐 호환성의 차이는 그다지 없는 것 같습니다. (삼송도 있고, IG도 있네요.)

5. 조작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방향키 위 - NUM2 / 방향키 왼쪽 - NUM4 / 방향키 오른쪽 -  NUM6 / 방향키 아래 - NUM8 /
아날로그스틱 - D-pad / 엑스버튼 - NUM0 / 네모버튼 -  NUM1 / 세모버튼 -  NUM3 /
동그라미버튼 -  NUM5 / L+네모버튼 -  NUM7 / L+세모버튼 - NUM9 /
L+동그라미버튼 - SELECT / L+엑스버튼 -  CLEAR / 셀렉트버튼 -  L-Soft /
스타트버튼 - R-Soft / L - * / R - # / L+R+엑스버튼- Red-key (현재 프로그램 강제종료)

다음은 실제로 실행해본 게임의 구동 모습입니다.

PSPKVM v0.0.9 게임 구동


# 유명한 모바일 게임 회사 Gameloft의 게임 호환 리스트
# 지원폰과 게임의 호환성 등도 살펴봐야 할 것 같지만, midp2.0이라던지 WMA2.0 등은 잘 모르는 관계로 자세한 설명은 못하겠네요.

DOS에뮬 : Simple Dosbox Navigator


도스 에뮬레이터인 DOSBox를 조금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Simple Dosbox Navigator입니다. [출처가기]

도스박스 초기 버전에는 위와 같은 네비게이터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요즘 발표되는 도스박스에는 빠져있어 사용하기가 어려웠습니다. (포스팅을 포기한 이유..) 하지만 Simple Dosbox Navigator는 탐색기와 비슷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므로 도스 명령어를 직접 입력할 필요없이 편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전 MDir을 생각하시면 될 듯 싶네요.

이번 패키지에는 아래의 것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리드미 파일
* 도스박스
* 수정된 도스박스 설정파일 (네비게이터 자동실행, CPU클럭 333 등등)
* 도스박스 네비게이터 (도스박스의 브라우징을 쉽게 함)
* 4개의 프리웨어 도스 게임
* 몇몇 게임을 위한 키매핑 파일 (더 많은 정보는 리드미 파일 참조)

* Download : Simple Dosbox Navigator

첨부파일을 받아 그 안의 'dosbox', 'PSP' 폴더를 메모리스틱 상위에 덮어쓰면 됩니다.
단, 1.50 커널용이므로 신형 PSP에서는 실행 불가입니다.

설치가 끝난뒤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Dosbox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도스박스 네비게이터가 실행되어 좀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날로그스틱이 마우스의 역할을 하며, L/R트리거로 선택 및 실행을 합니다.


포함된 4개의 게임에는 키매핑 파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각 게임의 폴더를 찾아가 *.bat 파일을 실행하면 조작키가 편하게 변경된 상태에서 게임이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포함된 Alien VS Keen이라는 게임을 실행한 화면입니다.


또한 도스박스 사용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키보드 입력인데, 방향키 또는 동그라미/네모/세모버튼을 누르면 위처럼 화면 하단에 해당하는 키보드가 나타나므로 굳이 외우지 않아도 입력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네비게이터를 사용하면 키보드 입력할 일도 없겠죠.)


참고로 예전 도스박스에서는 위 그림파일을 보면서 일일히 입력해야 했습니다. OTL...

# 도스라는 건 저랑 별로 친하지 않으므로 자세하게 설명하고 싶어도 할 수가 없네요. 저보다 여러분들이 더 잘 아시리라 생각됩니다.
# 위에 포함된 도스박스가 어떤 버전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최신 버전이겠죠???

* 관련글 보기 *
2007/07/03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DOS에뮬 : DosBox Build 1.07.2007
2007/06/08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DOS에뮬 : DosBox for PSP

GBA에뮬 : 비공식 gpSP kai 3.3 test 1 - 통신 테스트판


GBA에뮬레이터인 비공식 gpSP kai(改) 3.3 test 1 버전이 새로 나왔습니다. [출처가기]

제작자 홈페이지의 내용입니다.
공개해달라는 코멘트가 있었으므로, 개발에 사용하고 있던 것을 공개합니다.
이전의 코멘트에 달았던 것처럼 애드훅의 접속 밖에 할 수 없습니다.
개발용 업데이트 페이지에 있으니, PSP로부터 업데이트 해 주세요. (실은 꽤 전부터 있었습니다)

개발용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새인가 새로워지거나 기동하지 않게 되거나 하기 때문에 주의해 주세요.
최신판을 사용하고 싶으신 분들만 시험해보세요.

# UO gpSP kai 3.3 test 1 변경사항
2대의 PSP 통신 테스트용
접속 후 더미 데이터를 교환해, 로그를 메모리스틱에 보존합니다.
게임에서의 통신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번 버전은 제작자가 사용하는 개발판으로서 애드훅의 접속만이 가능할 뿐 실제로 애드훅으로 게임을 즐길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3.xx 커널용이므로 커펌이 설치되어 있다면 구형 / 신형 PSP에서 모두 구동가능합니다. (커펌 3.90에서 확인.)


[ 설치법 ]
1. 위의 첨부파일의 압축을 풀고 나오는 'gpsp'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 GBA 바이오스 파일인 'GBA_bios.bin' 파일을 구해 위에서 복사한  'gpsp' 폴더 안으로 복사합니다.
3. 이제 구동하려는 GBA 게임의 롬파일(*.GBA)을 구해 위에서 복사한 'gpsp/GBA/rom' 폴더에 넣습니다.
(바이오스 파일이나 롬파일은 저작권이 걸려 있으므로 각자 구하셔야 합니다.)
4. 이제 설치는 끝났습니다.

[ 사용법 ]

비공식 gpSP kai 3.3 test 1 사용법 열기


# 아얄쉘 내에서는 제대로 구동되지 않을 수 있으니 XMB에서만 실행하세요.
# 신형 PSP에서 구동되는 gba 에뮬을 찾는 분들이 계신데, 위의 에뮬레이터를 사용하면 됩니다.
# 바이오스와 롬파일의 공유는 절대 하지 않으며, 언급도 금지합니다.

* 관련글 보기 *
2007/12/03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GBA 에뮬 : 비공식 gpSP kai 3.2 test 8.5
2007/10/19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3.xx 커널용 GBA 에뮬 : 비공식 gpSP kai 3.2 test 05 - TV 출력 지원
2007/05/24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GBA 에뮬 : gpSP v0.9

슈패 에뮬 : Snes9xTYL 0.4.2 ME By 33


기존의 소스코드를 이용해서 33이라는 개발자가 새로 포팅한 슈퍼패미콤 에뮬레이터 Snes9xTYL 0.4.2 ME By 33입니다. [출처가기]

슈패 에뮬은 예전 Ahman과  CaptShoe/ChillyWilly가 신형으로도 구동 가능하도록 3.xx 커널용으로 포팅한 적이 있지만, 오리지날 소스를 사용하여 성능상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33씨는 오리지날 소스가 아닌 Ruka가 수정한 소스를 가지고 변환하여 더 나은 성능을 보여준다고 하네요.
(33씨는 일본사람으로 원출처는 http://dempa.logue.be/PSP/Snes9x%20TYL.html#ccf91f6d. M33이 아니에요~)

약 10% 내외의 속도 향상이 이루어졌고, 홈버튼으로 메뉴에 진입하도록 수정했다고 합니다.
또한 3.xx 커널용이므로 커펌이 설치된 구형 / 신형 PSP에서 모두 사용가능합니다.

설치법 및 사용법은 이전 글을 가져다 약간 수정만 했습니다.

Snes9xTYL 0.4.2 ME By 33 설치법 및 실행법 열기


# 슈패에뮬 Snes9xTYL만큼 여러 사람이 포팅한 에뮬레이터도 드문 것 같네요. 누가 누군지... 원. ㅡㅡ;
# 슈패에뮬의 성능 향상을 바라는 분이 많은 것으로 아는데, 이번 33씨가 포팅한 건 잘 되었으면 좋겠네요. 저는 롬파일도 별로 없고, 그다지 즐기지도 않아 실행 여부만 테스트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2007/10/18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3.xx 커널용 슈패 에뮬 : Snes9xTYL 0.4.2 ME
2007/09/15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커널 3.xx용 에뮬레이터 모음
2007/07/09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슈퍼패미콤 에뮬 : SNES9x TYL++ BETA 패치
2007/05/16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슈퍼패미콤 에뮬 : SNES9x TYL++ BETA

GBA 에뮬 : 비공식 gpSP kai 3.2 test 8.5


3.xx 커널용 GBA 에뮬레이터인 비공식 gpSP kai 3.2 test 8.5 입니다. [출처가기]

이번 비공식 gpSP kai 3.2 test 8.5의 변경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폰트와 메세지 파일을 변경. (unicode로 변경)
* 언어 설정을 「치트 / 기타의 설정」옵션에 추가함.
* 기울기(Tilt) 센서의 on/off 메뉴를 추가
그리 큰 변경점은 없군요.

* Download: Unofficial gpSP Kai v3.2 Test 8.5

1. 첨부파일을 받아 그 안의 UO_gpSP_kai 폴더를 ms0:/PSP/GAME/ 폴더에 복사합니다.
2. GBA 바이오스 파일인 'GBA_bios.bin' 파일을 구해 ms0:/PSP/GAME/UO_gpSP_kai/ 폴더에 복사합니다.
3. GBA 롬파일(*.GBA, *.ZIP)을  구해 ms0:/PSP/GAME/UO_gpSP_kai/GBA/ROM/ 폴더에 복사합니다.
4. XMB에서 해당 에뮬레이터를 실행합니다. (이 버전은 시스템언어가 한글로 설정되어 있어도 바로 실행 가능.)
5. 사용법은 이전과 큰 변경점이 없으므로 http://popotz.textcube.com/583를 참고하면 됩니다.

# GBA 바이오스 파일과 롬파일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 관련글 보기 *
2007/10/19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3.xx 커널용 GBA 에뮬 : 비공식 gpSP kai 3.2 test 05 - TV 출력 지원
2007/07/19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PSP용 에뮬레이터 정리
2007/05/24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GBA 에뮬 : gpSP v0.9

메가드라이브 에뮬 : PicoDrive for PSP v1.35b


세가의 메가드라이브(=Genesis) 에뮬레이터인 PicoDrive for PSP v1.35a입니다. [출처가기]
PicoDrive for PSP v1.35b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출처가기]

메가드라이브 에뮬은 이전의 DGEN v1.7이 있습니다만, 이번 PicoDrive는 더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사운드 부분에서 많은 개선이 이루어진 것 같군요. 또한 PicoDrive는 메가드라이브 뿐만 아니라 Sega/Mega CD도 불안정하지만 구동할 수 있습니다.

* Download : (구형 펌웨어 1.50 사용자용)

* Download : (구형 / 신형 커펌 사용자용)

1. 커펌 기준으로만 설치법을 설명합니다.

2. 위의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온 'PicoDrive' 폴더를 ms0:/PSP/GAME/ 폴더 또는 ms0:/PSP/GAME3xx/ 폴더에 복사합니다. (예 : 커펌 3.71이라면 /GAME371/ 폴더)

3. 그리고 메가드라이브용 롬파일(*.SMD, *.ZIP)을  'PicoDrive' 폴더로 복사합니다.
(롬파일 탐색기도 지원하므로 굳이 이곳이 아니라 메모리스틱 아무 곳에나 저장해도 됩니다.)

4. 롬파일은 저작권이 있으므로 제공하지 않습니다. 각자 구하세요.

이제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PicoDrive'를 실행하고 아래의 방법대로 게임을 실행합니다.

PicoDrive for PSP v1.35a에서 메가드라이브 게임 실행법 열기


* 관련글 보기 *
2007/10/20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3.xx 커널용 메가드라이브 에뮬 : DGEN v1.70
2007/06/07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메가드라이브 에뮬 : DGEN v1.7

마메 에뮬 : PSP MAME4ALL v4.9r2


마메용 에뮬레이터인 PSP MAME4ALL v4.9r2가 발표되었습니다. [출처가기]

새롭게 추가된 유저 모드가 정상작동되므로 구형 PSP뿐만 아니라 신형 PSP에서도 구동가능해졌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출처나 첨부된 readme-psp.txt 파일을 참고하세요.)

* Download : PSP MAME4ALL v4.9r2 Hires zipped archive (7.280.469 bytes)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면 총 4개의 폴더가 나오게 됩니다. 아래대로 커널과 종류에 따라 설치하면 됩니다.

* 1.50 커널용 : 'psp_mame4all_v4.9r2' 폴더를 ms0:/PSP/GAME150/ 폴더에 복사합니다.

* 1.50 커널용 (네오지오, CPS1 미지원) : 'psp_mame4all_v4.9r2' 폴더를 ms0:/PSP/GAME150/ 폴더에 복사하고 'psp_mame4all_v4.9r2-noneogeo-nocps1' 폴더 안의 'EBOOT.PBP' 파일을 'psp_mame4all_v4.9r2' 폴더에 덮어씁니다.

* 유저모드용 (구형/신형 PSP의 3.xx 커널에서 실행 가능) :  'psp_mame4all_v4.9r2' 폴더를 ms0:/PSP/GAME/ 폴더에 복사하고 'psp_mame4all_v4.9r2-usermode' 폴더 안의 'EBOOT.PBP' 파일을 'psp_mame4all_v4.9r2' 폴더에 덮어씁니다.

* 유저모드용 (네오지오, CPS1 미지원) : 'psp_mame4all_v4.9r2' 폴더를 ms0:/PSP/GAME/ 폴더에 복사하고 'psp_mame4all_v4.9r2-usermode-noneogeo-nocps1' 폴더 안의 'EBOOT.PBP' 파일을 'psp_mame4all_v4.9r2' 폴더에 덮어씁니다.

위의 과정이 완료되면, 마메용 롬파일(*.zip) 파일을 각 해당 폴더내에 있는 'roms' 폴더로 복사한 뒤 실행하면 됩니다. 단, 롬파일(*.zip)의 이름은 첨부파일의 'gamelist.txt'와 동일한 이름으로 변경해주어야하며, MAME 0.34 final version용 롬셋만을 지원합니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전과 동일하므로 예전 글을 그대로 가져왔습니다.)

PSP MAME4ALL v4.9r2 사용법 열기


# 마메용 게임의 종류가 워낙 많은지라 게임에 따라 구동 성능의 차이가 엄청납니다. 어떤 게임은 아주 잘 구동되는 반면, 또 어떤 게임은 거의 진행하지 못할 정도로 느리네요. ㅡㅡ;
# 마메용 롬파일은 각자 알아서 구하셔야 합니다. ^^ 추천하는 롬파일 사이트는 http://www.emulmax.com/

* 관련글 보기 *
2007/11/06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마메 에뮬 : PSP MAME4ALL v4.9r1
2007/10/12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마메 에뮬 : PSP MAME4ALL v4.7r3
2007/09/08 - [홈브류 - 에뮬레이터] - 마메 에뮬 : PSP MAME4ALL v4.7r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