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ChickHEN용 커펌 5.03 GEN-A for HEN의 발표로 인해 그 동안 발매된 펌웨어 5.03 이하의 PSP-2000과 PSP-3000에서 완벽하지는 않지만 커펌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커펌이나 커펌 비스무레한 것을 처음 사용하는 분들을 위해 커펌의 주요 기능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자세하게 쓰면 끝도 없으므로 요점만 최대한 간략하게!!
[ 정식 펌웨어의 모든 기능 ]
커펌이라고 해도 정펌의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현재 PSP의 커펌이란 게 어디까지나 정펌을 기반으로 변형된 것이니까요. 커펌에서도 UMD의 구동은 물론이고, 커펌 버전과 동일한 버전의 정펌 기능을 대부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 PS Store 이용시에는 펌웨어 버전때문에 문제가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 VSH menu 사용 ]
XMB(PSP의 기본 메뉴 화면)에서 셀렉트버튼을 누르면 VSH menu가 나타납니다. VSH menu에서는 정펌에서는 불가능한 다양한 설정 변경이 가능한데, CPU 클럭 변경이나 USB 연결 장치 변경, PSP 전원 관리 기능 등이 대표적이죠. (커펌 5.03 GEN-A for HEN에서는 VSH menu를 통해서만 리커버리 모드 진입이 가능합니다.)
[ 리커버리 모드 ]
원래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는 커펌이 설치된 PSP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복구하기 위한 용도였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그런 것보다 커펌의 각종 기능을 설정하는 용도로 더 많이 쓰입니다.
간단한 영어로만 되어있으니 무슨 기능인지는 쉽게 알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리커버리 모드의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CPU 클럭 변경, 플러그인 관리, O/X버튼 역할 변경, 커펌에 내장된 기능 설정 변경 등인데 몇 가지는 위의 VSHmenu와 중복되기도 합니다.
조금 더 자세한 설명은 http://popotz.textcube.com/1219 참고하세요.
[ 홈브류 구동 ]
개인 개발자가 PSP용으로 만든 홈브류의 구동이 가능합니다. (굳이 커펌이 아니라도 ChickHEN 상태라면 홈브류 구동이 가능합니다.) 홈브류는 대부분 ms0:/PSP/GAME/ 폴더에 설치되며,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실행이 가능합니다. 홈브류는 그 기능에 따라 종류가 많으므로, 무슨 홈브류를 사용할 것인지는 블로그내의 각 홈브류 소개글을 참고하시면 되고, 자세한 설치법 및 사용법 역시 소개글을 참고하세요.
ChickHEN 발표 당시 쓴 홈브류 모음 글을 봐도 도움이 될 듯 싶습니다. (http://popotz.textcube.com/1156, http://popotz.textcube.com/1157) 단, 커펌 버전에 따라 홈브류의 구동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 플러그인 사용 ]
커펌에서는 추가적인 기능을 위한 플러그인의 사용이 가능합니다. 홈브류가 일종의 프로그램이라고 한다면 플러그인은 그 홈브류안이나 게임 / XMB상에서 항상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애드온 기능을 말하는 것이죠. 대표적으로 스크린샷 플러그인이나 치트 플러그인이 있겠네요. 플러그인 역시 그 기능에 따라 종류가 나뉘어지므로 각 플러그인 소개글을 참고해서 자신이 원하는 플러그인을 선택해서 설치하세요.
참고로 ms0:/seplugins/ 폴더의 VSH.txt 파일은 XMB에서 사용할 플러그인의 목록, GAME.txt 파일은 게임/홈브류에서 사용할 플러그인의 목록, Pops.txt 파일은 PS1 게임에서 사용할 플러그인의 목록이 저장되어 있는 파일이며, 이처럼 각 txt 파일에 등록된 플러그인의 활성화 / 비활성화 설정 변경은 리커버리 모드 -> Plugins 메뉴에서 가능합니다. 플러그인 역시 커펌 버전에 따라 구동 여부가 달라지며, 호환되지 않는 플러그인 활성화시 PSP가 부팅되지 않을 수도 있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 ISO/CSO 구동 ]
경고 : 이 기능은 자신이 소유한 UMD의 백업만을 구동하기 위한 목적이며, 다른 사람에게 ISO 파일을 받거나 ISO 파일 자체를 공유하는 행위는 불법입니다.
UMD 게임의 로딩 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UMD 자체가 손상되는 것이 싫은 경우 UMD를 ISO 형식으로 변환해서 메모리스틱에 저장 후 구동할 수 있습니다. 우선 http://popotz.textcube.com/793글을 참고해서 자신이 보유한 UMD를 ISO 형식으로 덤프합니다. 그 후 이 ISO 파일을 ms0:/ISO/ 폴더에 복사한뒤 홈브류와 동일하게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실행하면 됩니다.
[CSO 포맷이란? : CSO 포맷은 ISO 파일을 압축해서 용량을 줄인 파일입니다. 게임에 따라 압축률은 상당한 차이가 나며, CSO로 압축되어 있을 경우 게임 내에서 로딩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CISO Utility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ISO를 CSO로 변환 가능(압축률 지정도 가능)하며, CSO를 다시 ISO로 재변환할 수도 있습니다. 메모리스틱의 용량이 부족하거나 하는 경우에 사용하면 됩니다.]
단, ISO/CSO 구동시 주의할 점이 대표적으로 두 가지 있습니다.
1. ISO/CSO 파일의 이름이 알파벳이나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을 것 -> 예를 들어 '재밌는게임.ISO'의 경우 구동이 불가능하며 'funnygame124.ISO' 등의 파일명으로 변경해야 구동이 가능합니다. (예전엔 안 그랬는데... ㅜㅜ) 또 파일명이 54글자 이상이라면 인식이 안되므로 이 점도 주의해주세요.
2. No-UMD 모드의 확인 -> ISO/CSO 구동은 UMD 드라이브를 에뮬레이션 하는 방식입니다. 즉, UMD 슬롯에 아무 UMD나 실제로 들어있어야만 ISO/CSO의 구동이 가능하죠. 하지만 이런 방식은 상당히 불편하기에 No-UMD 모드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No-UMD 모드란 실제 UMD가 없어도 ISO/CSO 구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능이며, VSH menu나 리커버리 모드에서 'UMD ISO Mode' 메뉴 변경을 통해 설정 가능합니다. 이 값을 'M33 Driver'나 'Sony 9660'으로 설정해야만 실제 UMD 없이도 ISO/CSO가 구동됩니다.
[ 비디오 UMD에서 추출한 ISO 재생 ]
위에서 설명한 게임 ISO/CSO뿐만 아니라 비디오 UMD에서 추출한 ISO 파일 역시 PSP에 가상으로 마운트해서 감상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스틱의 ms0:/ISO/VIDEO 폴더에 비디오 UMD에서 추출한 ISO 파일을 복사하고 VSH Menu의 'ISO VIDEO MOUNT' 옵션에서 방향키를 이용해 비디오 ISO 파일을 선택하면 잠시 후 비디오 메뉴에 UMD 표시가 나타나며 재생이 가능합니다. 단, 이 경우 NO-UMD 모드는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PSP의 UMD 슬롯에는 반드시 실제 UMD가 들어있어야 합니다. (지역코드 제한이 없는 게임 UMD라면 아무 것이나 가능.)
[ PS1 게임 구동 ]
PS Store에서 PS1 게임의 구입이 가능하지만, 커펌을 이용하면 구입하지 않더라도 자신이 직접 변환한 PS1 게임의 구동이 가능합니다. PS1 게임 변환은 PSX2PSP 등의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EBOOT.PBP 형식으로 변환이 가능하며 이렇게 변환된 EBOOT.PBP 파일을 ms0:/PSP/GAME/XXX/ 폴더를 만들어 그 안에 복사해 넣으면 됩니다. (여기서 XXX란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임의의 폴더)
하지만 펌웨어 버전에 따라 PS1 에뮬레이터(Pops)와 PS1 게임의 호환성이 달라지므로, 특정 게임에서는 Popsloader 플러그인을 이용해야할지도 모릅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나 그 외 멀티디스크 변환법, PS1 게임용 매뉴얼 제작 방법 등은 생략합니다. (블로그 뒤져보면 있을지도... ㅡㅡ;)
검색결과 리스트
포포츠 백업 + NEW에 해당되는 글 287건
- 2010.12.30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4
- 2010.12.30 커펌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 2010.12.30 낸드이미지 백업 / 복구하기
- 2010.12.30 커펌의 대표 기능 사용법 정리
- 2010.12.30 Recovery Flasher v1.6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 2010.12.30 PSP 커스텀 펌웨어 변경점 모음
- 2010.12.30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3
- 2010.12.30 Recovery Flasher v1.5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 2010.12.30 Recovery Flasher v1.21 - 반벽돌 복구, 커펌 다운그레이더
- 2010.12.30 강제 사용자 설정 초기화 방법
- 2010.12.30 Flash0 숨김 폴더 보기 및 남은용량 확보
- 2010.12.30 UMD를 ISO로 덤프하기 1
- 2010.12.30 커펌 반벽돌 복구법
- 2010.12.30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2.5
- 2010.12.30 시스템언어와 문자집합에 대해...
- 2010.12.30 커스텀펌웨어의 개념
- 2010.12.30 커스텀펌웨어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 2010.12.30 최근 나오는 PSP-300X는 펌웨어 6.00 미만으로 다운그레이드할 수 없다
- 2010.12.30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4
- 2010.12.30 3.50 다운그레이더 - 정발 루미네스 지원
글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4
포포츠 백업 + NEW/CFW 공통,기본
2010. 12. 30. 15:14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Aq01QAH99.jpg)
주기적으로 작성하고 있는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네번째 글입니다.
사실 그 동안 ChickHEN의 발표와 그에 대응하는 커펌이 나오면서 이전 글을 업데이트할 필요를 느끼고는 있었는데, 예전 방식대로 글을 쓰면 복잡해서 알아보기도 힘들고, 끝도 없이 길어질 것 같아서 어떤 식으로 써야할지 도무지 감이 안잡히더군요. 그래서 표로 한 번 정리해봤는데, 더 복잡한 것도 같고 그렇네요.
* 이 글은 2009년 7월 7일 기준입니다. *
--------------------------------------------------------------------------------
# 정식펌웨어(이하 정펌)에서 커스텀펌웨어(이하 커펌)를 처음 설치하는 방법 #
1단계 : PSP의 기종 확인하기
- 자신의 PSP가 PSP-100X 시리즈인지, 200X 시리즈인지, 300X 시리즈인지 먼저 확인합니다. 설마 구분을 못하시는 분은 없겠죠? 이후에는 PSP-100X을 구형 PSP, PSP-200X를 신형 PSP, PSP-300X를 최신형 PSP라고 하겠습니다.
2단계 : PSP의 기판 확인하기
- PSP에 탑재되어 있는 메인보드는 그 종류가 나뉘어져 있는데, PSP-200X의 경우 이 기판 종류가 상당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그러니 PSP-200X의 경우 PSP-200X의 박스코드로 기판 확인하기 글을 참고해서 최소한 자신의 PSP가 TA-088 v3 기판인지 아닌지 정도는 알아두어야 합니다.
- 하지만 만약 홈브류가 구동 가능한 상태(커펌 또는 ChickHEN 이용)라면 PSPident라는 홈브류를 통해 PSP의 기판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3단계 : PSP의 현재 펌웨어 버전 확인하기
- XMB(PSP의 기본 화면)에서 설정 -> 시스템 설정 -> 시스템 정보 메뉴로 들어가면 '시스템소프트웨어' 항목에 현재 PSP에 설치되어 있는 펌웨어 버전이 표시됩니다. '버전 5.XX', ' 버전 4.XX' 등으로만 표시된다면 정펌을 의미하며, 그 외 다른 문자가 추가되어 있다면 이미 커펌이 설치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5.00 M33-6, 5.03 GEN-A 등등)
4단계 : 현재 자신의 PSP에 맞는 커펌 설치법 알아보기
- 자신의 기종 / 기판 / 펌웨어 버전(정펌)을 확인했다면 아래 표를 통해서 현재 PSP에 알맞은 커펌 설치 방법을 선택합니다. 현재 PSP의 펌웨어 버전보다 높은 펌웨어에서의 설치 방법은 PSP를 해당 정식 펌웨어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면 사용 가능하지만, 현재 PSP의 펌웨어 버전보다 낮은 펌웨어에서의 방법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정펌 4.01이라면 정펌 5.03으로 업데이트후 정펌 5.03에서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반대로 정펌 5.50의 경우에는 정펌 5.03의 방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빨간색 : 다운그레이더 이용, 파란색 : ChickHEN 이용, 녹색 : 판도라의 배터리 이용)
구형 PSP (PSP-100X) |
펌웨어 1.50 |
펌웨어 2.00 |
펌웨어 2.71 |
펌웨어 2.80 |
펌웨어 3.03 |
펌웨어 3.50 |
펌웨어 5.03 |
펌웨어 5.50 이상 |
TA-079 / 081 |
A, P |
B, P | B, P | B, P | C, P | D, P | R, P | P |
TA-082 / 086 |
A, P | P | P | B, P | C, P | D, P | R, P | P |
신형 PSP (PSP-200X) |
펌웨어 3.60 - 5.03 미만 |
펌웨어 5.03 |
펌웨어 5.50 |
펌웨어 5.51 이상 |
TA-085 v1 / v2 TA-088 v1 / v2 TA-090 v1 |
P | R, E, G, P | P | P |
TA-088 v3 |
- | E, G | - | - |
최신형 PSP (PSP-300X) |
펌웨어 5.00 - 5.03 미만 |
펌웨어 5.03 |
펌웨어 5.50 |
펌웨어 5.51 이상 |
TA-090 v2 |
- |
E, G | - |
- |
5단계 : 정펌인 PSP에 실제로 커펌 설치하기
# A : 커펌 인스톨러 이용 : 정펌 1.50인 구형 PSP라면 아무런 작업 없이 바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바로 최신 커펌 버전 설치는 불가능하고 반드시 커펌 3.52 M33 설치 -> 커펌 3.52 M33-4 업데이트를 거쳐야 커펌 5.00 M33이나 커펌5.50 GEN 등의 최신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 B : 초기 다운그레이더 : 별다른 준비물 없이 PSP의 펌웨어를 강제로 1.50으로 내려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펌웨어 2.00 / 2.71 / 2.80일 경우에만 가능하며 http://popotz.textcube.com/23에서 자세한 사항을 확인하세요. 정펌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한 뒤에는 위의 #A 방법대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 C : 3.03 GTA 다운그레이더 : GTA : LCS라는 게임을 이용해 PSP의 펌웨어를 강제로 1.50으로 내려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GTA : LCS라는 게임의 UMD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정펌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한 뒤에는 위의 #A 방법대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 D : 3.50 루미네스 다운그레이더 : 루미네스라는 게임을 이용해 PSP의 펌웨어를 강제로 1.50으로 내려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루미네스라는 게임의 UMD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정펌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한 뒤에는 위의 #A 방법대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 R : 리커버리 플래셔 : ChickHEN을 구동한 뒤 '리커버리 플래셔'라는 홈브류를 통해 곧바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단, 이는 영구적인 커펌을 설치하는 것이므로 PSP의 기판이 TA-088 v3인 PSP-200X이나 TA-090 v2인 PSP-300X의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벽돌됨.)
# E : CFWEnabler : ChickHEN을 구동한 뒤 일시적으로 커펌의 기능을 사용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영구적인 것이 아닌 일시적인 것이므로 PSP를 재부팅하면 커펌 상태가 해제되고 다시 정펌 상태로 돌아가게 됩니다. 하지만 커펌 상태에서는 기존 커펌의 기능을 거의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커펌 5.03 GEN for HEN과 비슷함.)
# G : 커펌 5.03 GEN-A for HEN : ChickHEN을 구동한 뒤 일시적으로 커펌의 기능을 사용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영구적인 것이 아닌 일시적인 것이므로 PSP를 재부팅하면 커펌 상태가 해제되고 다시 정펌 상태로 돌아가게 됩니다. 하지만 커펌 상태에서는 기존 커펌의 기능을 거의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CFWEnabler와 비슷함.)
# P : 판도라의 배터리 : 특수 변환된 지그킥배터리와 특수하게 만든 매직메모리스틱을 조합해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하드웨어적인 방식이므로 PSP의 펌웨어 버전이 무엇이든 상관없이 바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게다가 벽돌의 복구도 가능. 하지만 그 종류도 많고 개념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충분히 공부할 필요가 있습니다. 매직 메모리스틱 종류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 커펌 버전이 달라지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커펌된 PSP없이 DC v4 만들기, 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 또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DC v8) 등이 있습니다. 단,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을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커펌이 설치된 PSP가 따로 필요하며, 특히 지그킥배터리 변환을 위해서는 PSP의 기판이 이를 지원해야 하는데, 이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사항은 이 그림를 참고해주세요.
--------------------------------------------------------------------------------
# 커스텀식펌웨어(이하 커펌)에서 커스텀펌웨어를 재설치하는 방법 #
정펌이 아니라 이미 기존에 커펌이 설치되어 있는 PSP에서 상위 커펌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거나, 더 낮은 커펌 버전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 또는 커펌이 불안정해서 재설치하고 싶은 경우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 이 아래의 방법들은 기존의 영구적인 커펌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ChickHEN을 통해 CFWEnabler나 커펌 5.03 GEN-A for HEN 등의 임시적인 커펌을 설치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1. 커펌 인스톨러 이용 : 제일 기본이 되는 방법으로서, 새로운 커펌 버전 발표와 동시에 배포되는 설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이에 대한 것은 각 커펌 설치법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니 자신이 설치하고 싶은 커펌 버전의 발표/설치방법 글을 참고하면 됩니다. 단, 알아둘 점이 2가지 정도 있습니다.
- 커펌 3.71 이상의 커펌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커펌 3.52 M33-3 이상이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약 PSP의 커펌 버전이 3.52 M33-3 미만이라면 커펌 3.52 M33 설치 -> 커펌 3.52 M33-4 업데이트를 먼저 해주어야 합니다.
- 커펌 인스톨러는 항상 현재 커펌 버전보다 높은 버전의 커펌만 설치할 수 있으며 그보다 낮은 버전의 커펌은 설치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커펌 3.90 M33이라면 커펌 3.71 M33의 설치는 불가능하고, 그 이상의 버전인 커펌 4.01 M33이나 커펌 5.00 M33 등의 커펌만 설치가 가능합니다.)
- 커펌 인스톨러는 항상 현재 커펌 버전보다 높은 버전의 커펌만 설치할 수 있으며 그보다 낮은 버전의 커펌은 설치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커펌 3.90 M33이라면 커펌 3.71 M33의 설치는 불가능하고, 그 이상의 버전인 커펌 4.01 M33이나 커펌 5.00 M33 등의 커펌만 설치가 가능합니다.)
2. 리커버리 플래셔 이용 : Hellcat이라는 개발자가 만든 리커버리 플래셔(Recovery Flasher)라는 홈브류를 사용하면 다양한 커펌 버전중에서 원하는 커펌을 선택해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커펌 인스톨러와는 다르게 현재 설치되어 있는 커펌 버전보다 낮은 버전의 커펌 설치도 가능하며, 오래 전에 나온 초기 커펌(커펌 3.XX OE 등)에서도 커펌 3.52 M33-3 이상으로 업데이트할 필요없이 바로 최신 커펌의 설치가 가능합니다. 또한 PSP가 반벽돌이거나 불안정한 경우 현재 버전의 커펌을 재설치하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합니다. 예를 들면, 현재 커펌 버전이 3.10 OE인데 최신 커펌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나 커펌 5.00 M33인데 그 보다 낮은 커펌 3.71 M33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 PSP가 이상한 것 같아 현재 커펌을 재설치하고 싶은 경우에는 리커버리 플래셔를 사용하면 됩니다.
3. 판도라의 배터리 : 특수 변환된 지그킥배터리와 특수하게 만든 매직메모리스틱을 조합해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하드웨어적인 방식이므로 PSP의 현재 커펌 버전이 무엇이든 상관없이 바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게다가 벽돌의 복구도 가능. 하지만 그 종류도 많고 개념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충분히 공부할 필요가 있습니다. 매직 메모리스틱 종류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 커펌 버전이 달라지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 또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DC v8) 등이 있습니다. 단, 지그킥배터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PSP의 기판이 이를 지원해야 하는데, 이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사항은 이 그림를 참고해주세요.
--------------------------------------------------------------------------------
# 마지막으로 커펌을 설치한 이후 알아두면 좋은 글들만 몇 개 링크 걸어두겠습니다.
강제 사용자 설정 초기화 방법 / Flash0 숨김 폴더 보기 및 남은용량 확보 / 커펌의 대표 기능 사용법 정리 / 커펌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 위 설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요즘 여름이라 그런지 다시 슬럼프입니다. 당분간(나흘에서 일주일 정도?) 잠수 좀 타겠습니다. ㅜㅜ
'포포츠 백업 + NEW > CFW 공통,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펌 플러그인 기본 설치법 (0) | 2010.12.30 |
---|---|
커펌을 사용하려면 이 정도는 알아둡시다 (0) | 2010.12.30 |
커펌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0) | 2010.12.30 |
낸드이미지 백업 / 복구하기 (0) | 2010.12.30 |
커펌의 대표 기능 사용법 정리 (0) | 2010.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커펌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포포츠 백업 + NEW/CFW 공통,기본
2010. 12. 30. 15:13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EC6YZ2QDU.jpg)
이전에도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에 대해 설명한 글이 있었지만 그 글이 워낙 오래된지라 재작성합니다.
(이전 글은 2006년 12월, 커펌 3.03 OE-C 기준으로 작성한 글이더군요. ㅡㅡ)
------------------------------------------------------------------------
현재까지 발표된 모든 PSP용 커펌에는 정펌과는 달리 리커버리 모드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리커버리 모드의 역할은 커펌 자체의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고, 만약의 경우 PSP를 복구하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현재는 PSP 복구의 기능은 거의 쓰이지 않으며, 커펌 자체의 기능 설정 용도로만 쓰이고 있습니다.
커펌이 설치된 PSP에서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하려면, 전원스위치를 3초 이상 올리거나 배터리를 완전히 분리해서 PSP를 종료(슬립모드가 아님)한 뒤 R트리거를 누른 채로 다시 PSP의 전원을 올리면 됩니다. 하지만 커펌 버전에 따라 VSH Menu를 통해서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고, 특정 홈브류나 플러그인을 이용하면 XMB에서 바로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기존의 커펌이 아닌 ChickHEN용 커펌에서는 진입방법이 약간 달라지는데, 커펌 5.03 GEN for HEN의 경우 VSH Menu를 통해서만 리커버리 모드 진입이 가능하고, CFWEnabler의 경우에는 CFWEnabler 로더내에 리커버리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가 따로 들어있습니다.
이렇게 리커버리 모드에서 설정한 설정값들은 flash1:/config.se라는 파일에 저장되는데, 이 파일을 삭제하거나 flash1을 포맷하면 리커버리 모드의 설정값은 모두 초기화됩니다.
그럼 리커버리 모드에 있는 각 기능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커펌 5.00 M33-6을 기준으로 하며 PSP 종류나 커펌 버전, 커펌 종류에 따라 그 메뉴가 약간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리커버리 모드 설명 열기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EC6YZ2QDU.jpg)
리커버리 모드에 처음 진입한 메인 메뉴의 모습입니다. 총 8개의 메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Toggle USB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EC6YZ2QDU.jpg)
USB연결을 활성화하는 메뉴입니다. 물론 PSP와 PC는 USB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 메뉴를 이용하면 XMB로 들어가지 않더라도 메모리스틱의 접근이 가능하므로 리커버리 플래셔 등의 반벽돌 복구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다른 특수한 홈브류를 설치할 때 유용하게 사용가능합니다.
2. Configuration ->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coMguz7v1.jpg)
정펌에는 없는 커펌만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기본적인 메뉴입니다.
Skip Sony logo
PSP 부팅시 손휘의 로고를 나오지 않게 하여 부팅시간을 단축시킵니다. (리커버리 모드에서 빠져나갈때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Hide corrupt icons
예전 1.50 커널 홈브류의 경우 2개의 폴더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폴더는 반드시 손상된 데이터라고 나오게 됩니다. 하지만 이 기능을 통해 그러한 손상된 아이콘들이 나오지 않도록 숨길 수 있습니다.
Game folder homebrew
ms0:/PSP/GAME/ 폴더의 홈브류를 어떤 커널로 실행할 것인지 선택합니다. 항상 1.50 커널로 실행되는 GAME150 폴더나 항상 5.xx 커널로 실행되는 GAME5XX 폴더와는 다르게 GAME 폴더는 이 설정을 통해 실행 커널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그냥 기본값인 '5.xx kernel'로 놔두세요. 단, 1.50 커널 애드온을 설치한 구형 PSP에만 해당되는 사항으로, 1.50 커널 애드온을 설치하지 않았거나 신형 PSP라면 신경쓸 필요는 없습니다.
Autorun program at /PSP/GAME/BOOT/EBOOT.PBP
PSP 부팅시 자동으로 실행될 홈브류를 설정합니다. PSP 부팅시 자동으로 실행되길 원하는 홈브류가 있다면 해당 홈브류의 EBOOT.PBP 파일을 비롯한 내용물을 ms0:/PSP/GAME/BOOT/ 라는 폴더에 복사하면 됩니다. 그 후 이 메뉴의 설정을 Enabled로 설정해주면 됩니다. 하지만 실행 불가능한 홈브류도 있고, 잘못 설정하면 PSP가 제대로 부팅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UMD Mode
ISO/CSO의 구동 모드를 설정합니다. 커펌의 ISO 로더 기능은 UMD를 에뮬레이션하는 방식이므로 기본적으로 UMD 슬롯에 UMD가 들어있어야 ISO/CSO 구동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 메뉴에서 NO-UMD 모드로 설정을 하게 되면 UMD가 들어있지 않아도 ISO/CSO의 구동이 가능합니다.
현재 사용할 수 잇는 모드는 아래 4가지가 있으며 각 모드마다 게임의 호환성이 약간씩 달라집니다.
Normal -UMD required- : UMD 슬롯에 UMD가 들어있어야만 ISO/CSO 구동이 가능한 일반 모드입니다.
OE isofs legacy -NO UMD- : 커펌 OE 시절 사용하던 NO-UMD 모드입니다. NO-UMD 모드중 호환성이 제일 떨어지므로 사용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m33 driver -NO UMD- : M33팀의 자체적인 NO-UMD 모드입니다. 현재는 호환성이 많이 향상되어 자주 쓰이는 모드입니다.
Sony NP9660 -NO UMD- : 정식 펌웨어 자체에 내장된 ISO 로더를 이용한 NO-UMD 모드입니다. m33 Driver와 호환성은 비슷하지만 몇몇 게임의 경우 구동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OE isofs legacy -NO UMD- : 커펌 OE 시절 사용하던 NO-UMD 모드입니다. NO-UMD 모드중 호환성이 제일 떨어지므로 사용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m33 driver -NO UMD- : M33팀의 자체적인 NO-UMD 모드입니다. 현재는 호환성이 많이 향상되어 자주 쓰이는 모드입니다.
Sony NP9660 -NO UMD- : 정식 펌웨어 자체에 내장된 ISO 로더를 이용한 NO-UMD 모드입니다. m33 Driver와 호환성은 비슷하지만 몇몇 게임의 경우 구동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ake region
PSP는 각 발매지역에 따라 XMB의 메뉴나 버튼 기능 등이 약간씩 달라지게 됩니다. 하지만 이 메뉴를 이용하면 PSP의 발매지역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내 정발판이 아닌 경우에도 이 메뉴를 Korea로 설정하면 DMB 메뉴를 볼 수 있고, 반대로 국내 정발판이라도 이 메뉴를 다른 지역으로 설정하면 DMB 메뉴를 숨길 수 있습니다.
Use VshMenu
XMB에서 셀렉트버튼을 누르면 VSH Menu가 나오도록 되어있는데, 이 VSH Menu를 이용하면 리커버리 모드에서 설정해야만 하는 몇 가지 설정을 XMB에서도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VSH Menu를 사용할 것인지 사용하지 않을 것인지 설정합니다.
XMB Usb Device
XMB의 설정 - USB 연결 메뉴를 선택하면 메모리스틱이 PC와 연결되는데, 이 메뉴를 이용하면 연결되는 장치를 메모리스틱이 아닌 flash0~3이나 UMD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flash 영역에 접속할 일이 있거나 UMD를 ISO로 추출할 때 유용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단, flash 영역을 연결할 경우 잘못 건드리면 위험하므로 충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Charge battery when USB cable plugged
신형 PSP에만 있는 메뉴입니다. 신형 PSP에는 USB 케이블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하지만 원래대로라면 USB 연결 상태일 때만 충전이 가능하므로 효율이 약간 떨어지는데 이 메뉴를 Enabled로 설정하면 USB 연결 상태가 아니더라도 USB 케이블만 연결되어 있다면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합니다.
Use M33 network update
XMB의 설정 - 네트워크 업데이트 메뉴를 기존의 정펌 업데이트가 아닌 커펌 M33의 업데이트 기능으로 변경합니다. XMB에서도 쉽게 최신 커펌 M33의 검색 및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되며, 또 실수로 네트워크 업데이트 메뉴를 통해 최신 정펌으로 업데이트하는 위험을 방지해주기도 합니다.
Hide PIC0.PNG and PIC1.PNG in game menu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 들어가면 설치된 게임이나 홈브류의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메뉴를 Enabled로 설정하면 홈브류나 게임의 배경 그림과 설명 그림을 숨길 수 있어 목록의 로딩 속도가 빨라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Use version.txt
PS Store에 접속할 때나 PS Store에서 다운로드한 게임을 구동할 때는 항상 최신 펌웨어를 요구하게 됩니다. 그보다 펌웨어 버전이 낮을 경우 실행이 되지 않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의 펌웨어 버전을 자신의 임의대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용방법은 http://popotz.textcube.com/17 참고하세요.
Speed up MS access
펌웨어 3.80부터 메모리스틱 관련 모듈이 변경되어 특정 메모리스틱의 경우 그 속도가 많이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추가된 메뉴입니다. VSH/GAME/POPS 모드중에서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며, 메모리스틱 종류에 따라 그 속도 차이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각각의 설정값을 직접 테스트하면서 자신에게 제일 좋은 옵션을 선택하면 됩니다. (참고로 VSH는 XMB, GAME은 게임이나 홈브류, POPS는 PS1 게임을 의미합니다.)
3. Run program at /PSP/GAME/RECOVERY/EBOOT.PBP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CPtHm3Fxw.jpg)
PSP가 정상적으로 부팅되지 않는 반벽돌의 경우 이를 복구하기 위한 메뉴입니다. 아주 오래전에는 이 메뉴를 통해 정펌 1.50을 설치한뒤 다시 커펌을 설치할 수 있었지만 현재는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없어 그 활용도가 많이 떨어졌습니다. 요즘에는 리커버리 모드에서 리커버리 플래셔라는 복구 홈브류를 바로 구동하는 용도로만 가끔 쓰이고 있습니다.
4. Advanced ->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A6xdcgTca.jpg)
커펌의 특수한 기능을 설정하는 메뉴입니다.
Advanced configuration
평소에는 건드릴 필요가 없으며, 특별한 경우에만 사용되는 메뉴입니다. 잘 몰라도 큰 상관은 없습니다.
Plain modules in UMD/ISO : 일부 UMD/ISO 구동시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Execute BOOT.BIN in UMD/ISO : 일부 UMD/ISO 구동시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XMB plugins : XMB에서의 플러그인 사용을 완전히 금지합니다.
GAME plugins : 게임/홈브류에서의 플러그인 사용을 완전히 금지합니다.
POPs plugins : PS1 게임에서의 플러그인 사용을 완전히 금지합니다.
(이 메뉴의 경우 아래에서 설명할 Plugins 메뉴의 설정을 무시하고 적용됩니다.)
Execute BOOT.BIN in UMD/ISO : 일부 UMD/ISO 구동시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XMB plugins : XMB에서의 플러그인 사용을 완전히 금지합니다.
GAME plugins : 게임/홈브류에서의 플러그인 사용을 완전히 금지합니다.
POPs plugins : PS1 게임에서의 플러그인 사용을 완전히 금지합니다.
(이 메뉴의 경우 아래에서 설명할 Plugins 메뉴의 설정을 무시하고 적용됩니다.)
Toggle USB (flash0)
flash0 영역을 USB 케이블을 통해 PC와 연결합니다. (주의 요망)
Toggle USB (flash1)
flash1 영역을 USB 케이블을 통해 PC와 연결합니다. (주의 요망)
Toggle USB (flash2)
flash2 영역을 USB 케이블을 통해 PC와 연결합니다. (주의 요망)
Toggle USB (flash3)
flash3 영역을 USB 케이블을 통해 PC와 연결합니다. (주의 요망)
format flash1 and reset settings
flash1 영역이 꼬여버려 문제가 발생하거나 PSP의 설정을 초기화하고 싶을 경우 사용됩니다. 이 메뉴를 선택하면 flash1이 포맷되고 필수 폴더만 재생성되며, PSP 부팅시 설정 초기화 화면이 나오므로 PSP의 설정을 다시 할 수 있습니다. XMB로 부팅이 안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가능합니다. 물론 커펌의 리커버리 설정값도 초기화됩니다.
5. CPU speed ->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bbAO2WLpx.jpg)
Speed in XMB
XMB상에서의 CPU클럭을 변경합니다. (Default값은 222Mhz.)
Speed in UMD/ISO
UMD/ISO/CSO/홈브류 구동시의 CPU클럭을 변경합니다. (Default값은 222Mhz. 단, 게임에 따라 CPU 클럭을 자동 변경하는 경우도 있음.)
(참고사항 : PSP에 탑재된 CPU의 정규 클럭은 333Mhz입니다. 하지만 배터리의 용량때문에 PSP의 기본 CPU 클럭은 222Mhz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게임의 로딩이 너무 느리거나 게임이 원활하게 구동되지 않는다면 이 옵션을 통해 333Mhz로 설정하세요. 333Mhz로 설정한다고 해도 배터리가 빨리 떨어질 뿐 PSP에 무리가 가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6. Plugins ->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EMbRHR0BI.jpg)
커펌의 기능 확장을 위한 플러그인을 설정하는 메뉴입니다.
ms0:/seplugins/ 등의 폴더에 사용하고 싶은 플러그인 파일을 넣어두고 VSH.TXT, GAME.TXT, POPS.TXT 등의 파일에 플러그인 경로를 적어두면 이 Plugins 메뉴에 등록된 플러그인의 목록이 보이게 되며, 여기서 각 플러그인의 활성화/비활성화 설정이 가능합니다. 현재는 플러그인 활성화 방식이 변경되어 이 메뉴뿐만 아니라 각 플러그인 경로 끝에 0 또는 1을 덧붙여 활성화/비활성화를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각각의 플러그인에 따라 설치법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합니다.
(참고로 VSH는 XMB, GAME은 게임이나 홈브류, POPS는 PS1 게임을 의미합니다.)
7. Registry hacks ->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HmhPE1dYD.jpg)
PSP의 사용자 설정과 관련된 메뉴입니다.
Button assign
동그라미버튼과 엑스버튼의 기능을 서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XMB상에서 동그라미버튼을 확인(enter)기능으로 할 것인지 엑스버튼을 확인(enter)기능으로 할건지 자신의 취향대로 설정하면 됩니다.
북미나 유럽의 경우 엑스버튼이 기본 확인 버튼으로 설정되어 있고, 아시아 지역의 경우 동그라미버튼이 기본 확인 버튼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Activate WMA
XMB의 음악 메뉴에서 WMA 재생을 위한 기능을 활성화 합니다. 기본적으로 WMA 기능을 활성화하려면 XMB에서 무선인터넷에 접속해야 하는데, 무선인터넷 환경이 없는 분들은 여기서 대신 활성화시켜주면 됩니다.
Activate Flash Player
위의 WMA와 마찬가지로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플래시 재생을 활성화 하는 항목입니다. 하지만 요즘의 최신 펌웨어에서는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나오기때문에 건드릴 필요는 없습니다.
8. Exit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PgInZ0jUA.jpg)
리커버리 모드를 종료하고 XMB로 돌아갑니다.
# 이전 커펌 3.03 OE 시절과 비교해봤더니 몇 가지 메뉴만 새로 추가되었을 뿐 기본적인 구조는 거의 변함이 없군요. 애초에 리커버리 모드가 너무 잘만들어져서 그런 것일 수도 있겠고, 아니면 커펌 자체의 발전이 거의 없다는 뜻이 될 수도 있겠지만, 아무래도 전자겠죠??
* 관련글 보기 *
Recovery Flasher v1.5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강제 사용자 설정 초기화 방법
커펌 반벽돌 복구법
커스텀펌웨어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예전 글)
'포포츠 백업 + NEW > CFW 공통,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펌을 사용하려면 이 정도는 알아둡시다 (0) | 2010.12.30 |
---|---|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4 (0) | 2010.12.30 |
낸드이미지 백업 / 복구하기 (0) | 2010.12.30 |
커펌의 대표 기능 사용법 정리 (0) | 2010.12.30 |
Recovery Flasher v1.6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0) | 2010.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낸드이미지 백업 / 복구하기
포포츠 백업 + NEW/CFW 공통,기본
2010. 12. 30. 15:13
이번 글에서는 PSP의 낸드 플래시 메모리(IPL, idStorage, Lflash) 전체를 단일 이미지 파일 형태로 백업하고 복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치 PC에서 고스트 등의 프로그램으로 OS 자체를 백업하고 원할 경우 언제든지 쉽게 복구할 수 있는 것처럼 PSP의 낸드이미지를 백업해두면 필요할 경우 언제든지 이전 상태로 PSP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커펌 버전은 물론이고 사용자 설정이나 커펌 설정 등도 모두 백업할 때와 동일하게 복구됩니다. 커펌 버전을 자주 변경하는 분들은 각 커펌 버전별로 낸드이미지를 백업해두고 편하게 커펌 버전을 변경할 수도 있겠죠.
이러한 낸드이미지 백업/복구 과정은 위험성이 있기때문에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한 서비스 모드에서 실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번에는 지그킥배터리가 필요없는 일반 홈브류를 이용해 낸드이미지를 백업하고 복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따라서 지그킥배터리가 작동하지 않는 TA-088 v3 기판의 PSP-2000이나 PSP-3000에서도 홈브류를 구동할 수 있는 상태(ChcikHEN, CFWEnabler, 커펌 5.03 GEN-A)라면 아래 방법을 통해 낸드이미지를 백업하거나 복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경우 현재는 어떠한 복구 방법도 없으므로 충분히 주의하시고, 자기 책임하에 사용해주시길 바랍니다.
거듭 말씀드리지만 이 아래 방법은 어떠한 안정장치도 없으며, 복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PSP가 더 이상 부팅되지 않는 벽돌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낸드이미지를 백업하고 복구할 수 있는 홈브류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NAND Manager와 nandTool이죠. 이 홈브류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아래 글을 잘 읽고 마음에 드는 것으로 선택해주세요. 만약 아래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1. NAND Manager v0.51 [출처가기]
2. nandTool 0.4 final NEO [출처가기]
[ 그 외 주의사항 ]
- 낸드매니저와 낸드툴을 이용해 백업한 낸드이미지 파일은 형식이 완전히 같으므로 서로 공유 가능합니다. 또한 유니버셜 언브리커 등으로 백업한 낸드이미지와도 공유 가능합니다.
- 낸드이미지 백업/복구 프로그램을 사용하기에 앞서 제일 먼저 해당 PSP의 낸드이미지를 백업하고, 다른 곳에도 보관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을 위해 복구하기 위함입니다.
- 낸드이미지 파일이 손상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거나 복구가 되더라도 PSP가 정상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되도록이면 정품 메모리스틱을 사용해주세요.
- 다른 PSP의 낸드이미지 파일을 복구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idStorage가 손상되어 PSP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복구시 해당 PSP에서 백업한 낸드이미지만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불가피한 경우에는 idSotorage를 제외하고 복구해야 합니다.
----------------------
# 글 수정하다가 다 날라가서 재작성... 잊지않겠다... ㅜㅜ
마치 PC에서 고스트 등의 프로그램으로 OS 자체를 백업하고 원할 경우 언제든지 쉽게 복구할 수 있는 것처럼 PSP의 낸드이미지를 백업해두면 필요할 경우 언제든지 이전 상태로 PSP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커펌 버전은 물론이고 사용자 설정이나 커펌 설정 등도 모두 백업할 때와 동일하게 복구됩니다. 커펌 버전을 자주 변경하는 분들은 각 커펌 버전별로 낸드이미지를 백업해두고 편하게 커펌 버전을 변경할 수도 있겠죠.
이러한 낸드이미지 백업/복구 과정은 위험성이 있기때문에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한 서비스 모드에서 실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번에는 지그킥배터리가 필요없는 일반 홈브류를 이용해 낸드이미지를 백업하고 복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따라서 지그킥배터리가 작동하지 않는 TA-088 v3 기판의 PSP-2000이나 PSP-3000에서도 홈브류를 구동할 수 있는 상태(ChcikHEN, CFWEnabler, 커펌 5.03 GEN-A)라면 아래 방법을 통해 낸드이미지를 백업하거나 복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경우 현재는 어떠한 복구 방법도 없으므로 충분히 주의하시고, 자기 책임하에 사용해주시길 바랍니다.
거듭 말씀드리지만 이 아래 방법은 어떠한 안정장치도 없으며, 복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PSP가 더 이상 부팅되지 않는 벽돌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 아래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낸드이미지를 백업하고 복구할 수 있는 홈브류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NAND Manager와 nandTool이죠. 이 홈브류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아래 글을 잘 읽고 마음에 드는 것으로 선택해주세요. 만약 아래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1. NAND Manager v0.51 [출처가기]
NAND Manager v0.51 사용법 열기
일본 개발자 Minerva가 발표한 낸드이미지 백업/복구 전용의 홈브류입니다.
[ 설치법 ]
1.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에 'nanddump' 폴더와 'PSP' 폴더를 메모리스틱 최상위에 덮어씁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ZM2xRxyd7.jpg)
2. 그 후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NAND Manager v0.5'를 실행하면 위와 같은 홈브류가 실행됩니다.
[ 낸드이미지 백업하기 ]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G88H1xRP3.jpg)
3. 낸드 매니저를 실행한 뒤 네모버튼을 누른 뒤 파일이 저장될 경로와 파일명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화면에서 엑스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현재 PSP의 낸드이미지가 메모리스틱에 백업됩니다.
백업된 낸드이미지는 ms0:/nanddump/ 폴더에 'nand-dump(xxxxxxxx).bin' 파일로 저장되며, 만약 같은 이름의 파일이 있을 경우 'nand-dump(xxxxxxxx)_xxxx.bin'로 자동 변경되어 저장됩니다.
[ 낸드이미지 복구하기 ]
4. 낸드이미지 복구 과정에서 PSP의 전원이 꺼지거나, 백업 파일에 문제가 있는 등 복구 과정에 문제가 생길 경우 PSP는 벽돌이 됩니다. 충분히 주의해주세요.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f2ZzpB3oO.jpg)
5. 낸드매니저를 실행하고 자신이 복구하기 원하는 낸드이미지 파일로 이동합니다. 복구 하기 전에 셀렉트버튼을 눌러 복구 방법을 변경할 수 있는데 다음의 2가지가 있습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CISWSzZf8.jpg)
6. 이제 복구를 하기 위해 엑스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이 복구 시작을 위한 단축키를 입력하라는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L트리거 + R트리거 + 엑스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낸드이미지 복구 과정이 진행됩니다.
(대신 L+R+스타트+셀렉트를 누르면 idStorage 영역은 제외하고 복구합니다.)
또한 낸드이미지 복구 전에 만약의 사태를 대비하기 위해 idStorage 영역은 자동으로 ms0:/nanddump/IDStorage/ 폴더에 총 10개까지 추가 백업됩니다. 나중에 idStorage만을 복구할 때 사용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JE5nEzGBO.jpg)
7. 복구가 완료되면 엑스버튼을 눌러 PSP를 종료할 것인지, 동그라미버튼을 눌러 다른 낸드이미지로 복구를 계속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8. 이제 복구가 완료된 뒤 PSP를 재부팅하면 낸드이미지의 상태로 완전하게 복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낸드매니저의 숨겨진 기능 ]
9. 낸드매니저에는 메뉴화면에 보이지 않는 숨겨진 기능이 몇 가지 있습니다.
- 하위 폴더의 지원 : ms0:/nanddump/ 폴더안에 하위 폴더를 만들어 그 안에 낸드이미지(*.bin) 파일을 넣어두어도 낸드매니저에서 복구가 가능합니다. 낸드매니저 내에서 L트리거는 상위 폴더 가기, R트리거는 하위 폴더 진입하기 기능을 합니다.
- zip 파일의 지원 : 낸드이미지 파일(*.bin)을 zip 형식으로 압축하면 용량이 약 2/3 정도로 줄어들어 메모리스틱의 용량을 많이 절약할 수 있습니다.
- idStorage만 복구하기 : idStorage 영역은 각 PSP마다 고유한 값을 가지고 있어 다른 PSP의 낸드이미지를 이용해 복구한 경우 PSP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대비해 낸드매니저에서는 idStorage 영역만을 복구하는 기능을 지원합니다. ms0:/nanddump/IDStorage/ 폴더에 자동 백업된 'IDStorage_xxxx.bin' 파일 중에서 복구를 원하는 idStorage 백업 파일의 파일명을 'IDStorage.bin'으로 변경합니다. 그 후 XMB에서 R트리거를 누른채 낸드매니저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idStorage 복구 모드로 실행되어 idStorage만 복구가 가능합니다.
- idStorage만 제외하고 복구하기 : 낸드이미지 복구 과정중 L + R + X 버튼 대신 L + R + 스타트 + 셀렉트버튼을 누르면 48에서 57블럭의 idStorage 영역만 제외하고 복구하게 됩니다. 다른 PSP의 낸드이미지를 이용해 복구할 경우 유용하겠죠.
[ 설치법 ]
1.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에 'nanddump' 폴더와 'PSP' 폴더를 메모리스틱 최상위에 덮어씁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ZM2xRxyd7.jpg)
2. 그 후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NAND Manager v0.5'를 실행하면 위와 같은 홈브류가 실행됩니다.
[ 낸드이미지 백업하기 ]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G88H1xRP3.jpg)
3. 낸드 매니저를 실행한 뒤 네모버튼을 누른 뒤 파일이 저장될 경로와 파일명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화면에서 엑스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현재 PSP의 낸드이미지가 메모리스틱에 백업됩니다.
백업된 낸드이미지는 ms0:/nanddump/ 폴더에 'nand-dump(xxxxxxxx).bin' 파일로 저장되며, 만약 같은 이름의 파일이 있을 경우 'nand-dump(xxxxxxxx)_xxxx.bin'로 자동 변경되어 저장됩니다.
[ 낸드이미지 복구하기 ]
4. 낸드이미지 복구 과정에서 PSP의 전원이 꺼지거나, 백업 파일에 문제가 있는 등 복구 과정에 문제가 생길 경우 PSP는 벽돌이 됩니다. 충분히 주의해주세요.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f2ZzpB3oO.jpg)
5. 낸드매니저를 실행하고 자신이 복구하기 원하는 낸드이미지 파일로 이동합니다. 복구 하기 전에 셀렉트버튼을 눌러 복구 방법을 변경할 수 있는데 다음의 2가지가 있습니다.
NORMAL : 모든 블럭을 복구합니다.
FAST : 복구 대상 블럭과 서로 비교하면서 다른 부분만을 복구합니다. 복구 속도가 빠릅니다.
FAST : 복구 대상 블럭과 서로 비교하면서 다른 부분만을 복구합니다. 복구 속도가 빠릅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CISWSzZf8.jpg)
6. 이제 복구를 하기 위해 엑스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이 복구 시작을 위한 단축키를 입력하라는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L트리거 + R트리거 + 엑스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낸드이미지 복구 과정이 진행됩니다.
(대신 L+R+스타트+셀렉트를 누르면 idStorage 영역은 제외하고 복구합니다.)
또한 낸드이미지 복구 전에 만약의 사태를 대비하기 위해 idStorage 영역은 자동으로 ms0:/nanddump/IDStorage/ 폴더에 총 10개까지 추가 백업됩니다. 나중에 idStorage만을 복구할 때 사용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JE5nEzGBO.jpg)
7. 복구가 완료되면 엑스버튼을 눌러 PSP를 종료할 것인지, 동그라미버튼을 눌러 다른 낸드이미지로 복구를 계속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8. 이제 복구가 완료된 뒤 PSP를 재부팅하면 낸드이미지의 상태로 완전하게 복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낸드매니저의 숨겨진 기능 ]
9. 낸드매니저에는 메뉴화면에 보이지 않는 숨겨진 기능이 몇 가지 있습니다.
- 하위 폴더의 지원 : ms0:/nanddump/ 폴더안에 하위 폴더를 만들어 그 안에 낸드이미지(*.bin) 파일을 넣어두어도 낸드매니저에서 복구가 가능합니다. 낸드매니저 내에서 L트리거는 상위 폴더 가기, R트리거는 하위 폴더 진입하기 기능을 합니다.
- zip 파일의 지원 : 낸드이미지 파일(*.bin)을 zip 형식으로 압축하면 용량이 약 2/3 정도로 줄어들어 메모리스틱의 용량을 많이 절약할 수 있습니다.
- idStorage만 복구하기 : idStorage 영역은 각 PSP마다 고유한 값을 가지고 있어 다른 PSP의 낸드이미지를 이용해 복구한 경우 PSP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대비해 낸드매니저에서는 idStorage 영역만을 복구하는 기능을 지원합니다. ms0:/nanddump/IDStorage/ 폴더에 자동 백업된 'IDStorage_xxxx.bin' 파일 중에서 복구를 원하는 idStorage 백업 파일의 파일명을 'IDStorage.bin'으로 변경합니다. 그 후 XMB에서 R트리거를 누른채 낸드매니저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idStorage 복구 모드로 실행되어 idStorage만 복구가 가능합니다.
- idStorage만 제외하고 복구하기 : 낸드이미지 복구 과정중 L + R + X 버튼 대신 L + R + 스타트 + 셀렉트버튼을 누르면 48에서 57블럭의 idStorage 영역만 제외하고 복구하게 됩니다. 다른 PSP의 낸드이미지를 이용해 복구할 경우 유용하겠죠.
2. nandTool 0.4 final NEO [출처가기]
nandTool 0.4 final NEO 사용법 열기
제가 예전에 올린 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 버전을 사용해보신 분들은 많이 익숙한 낸드툴입니다. 개발자는 cory1492.
하지만 개발자조차도 낸드툴을 홈브류 형식으로 사용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서비스 모드에서 실행한 것에 비해 작동하지 않는 기능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낸드매니저에 비해 복구 메뉴가 다양하고, 배드블럭 체크나 파티션 체크 기능 등 유용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설치법 ]
1.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PSP' 폴더를 메모리스틱 최상위에 덮어씁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Uswmp2aFk.jpg)
2. 그 후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nandTool 0.4NEO'를 실행하고 잠시 기다리면 위와 같은 경고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계속 진행하려면 동그라미버튼, 종료는 엑스버튼입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HgPAIijk1.jpg)
3. 위 화면이 nandTool의 기본 메뉴 화면입니다.
[ 사용법 ]
4. 사용법은 내용이 많으므로 http://popotz.textcube.com/956의 사용법 부분을 참고해주세요.
nandTool 0.4 final NEO 버전이 아닌 nandTool 0.4 a10 버전 기준이지만 파티션 메뉴가 이동한 것 외에 큰 차이점은 없습니다.
5. 낸드툴을 홈브류 형식으로 실행한 경우 작동하지 않는 기능이 있거나 위험한 기능이 있으므로 되도록이면 단순히 낸드이미지 백업/복구 기능과 배드블럭 체크 기능 정도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하지만 개발자조차도 낸드툴을 홈브류 형식으로 사용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서비스 모드에서 실행한 것에 비해 작동하지 않는 기능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낸드매니저에 비해 복구 메뉴가 다양하고, 배드블럭 체크나 파티션 체크 기능 등 유용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설치법 ]
1.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PSP' 폴더를 메모리스틱 최상위에 덮어씁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Uswmp2aFk.jpg)
2. 그 후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nandTool 0.4NEO'를 실행하고 잠시 기다리면 위와 같은 경고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계속 진행하려면 동그라미버튼, 종료는 엑스버튼입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HgPAIijk1.jpg)
3. 위 화면이 nandTool의 기본 메뉴 화면입니다.
[ 사용법 ]
4. 사용법은 내용이 많으므로 http://popotz.textcube.com/956의 사용법 부분을 참고해주세요.
nandTool 0.4 final NEO 버전이 아닌 nandTool 0.4 a10 버전 기준이지만 파티션 메뉴가 이동한 것 외에 큰 차이점은 없습니다.
5. 낸드툴을 홈브류 형식으로 실행한 경우 작동하지 않는 기능이 있거나 위험한 기능이 있으므로 되도록이면 단순히 낸드이미지 백업/복구 기능과 배드블럭 체크 기능 정도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 그 외 주의사항 ]
- 낸드매니저와 낸드툴을 이용해 백업한 낸드이미지 파일은 형식이 완전히 같으므로 서로 공유 가능합니다. 또한 유니버셜 언브리커 등으로 백업한 낸드이미지와도 공유 가능합니다.
- 낸드이미지 백업/복구 프로그램을 사용하기에 앞서 제일 먼저 해당 PSP의 낸드이미지를 백업하고, 다른 곳에도 보관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을 위해 복구하기 위함입니다.
- 낸드이미지 파일이 손상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거나 복구가 되더라도 PSP가 정상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되도록이면 정품 메모리스틱을 사용해주세요.
- 다른 PSP의 낸드이미지 파일을 복구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idStorage가 손상되어 PSP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복구시 해당 PSP에서 백업한 낸드이미지만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불가피한 경우에는 idSotorage를 제외하고 복구해야 합니다.
----------------------
# 글 수정하다가 다 날라가서 재작성... 잊지않겠다... ㅜㅜ
'포포츠 백업 + NEW > CFW 공통,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4 (0) | 2010.12.30 |
---|---|
커펌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0) | 2010.12.30 |
커펌의 대표 기능 사용법 정리 (0) | 2010.12.30 |
Recovery Flasher v1.6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0) | 2010.12.30 |
PSP 커스텀 펌웨어 변경점 모음 (0) | 2010.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커펌의 대표 기능 사용법 정리
포포츠 백업 + NEW/CFW 공통,기본
2010. 12. 30. 15:12
'포포츠 백업 + NEW > CFW 공통,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펌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0) | 2010.12.30 |
---|---|
낸드이미지 백업 / 복구하기 (0) | 2010.12.30 |
Recovery Flasher v1.6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0) | 2010.12.30 |
PSP 커스텀 펌웨어 변경점 모음 (0) | 2010.12.30 |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3 (0) | 2010.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Recovery Flasher v1.6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포포츠 백업 + NEW/CFW 공통,기본
2010. 12. 30. 15:11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EGtuBUCvB.gif)
Hellcat의 Recovery Flasher가 오랜만에 v1.60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리커버리 플래셔는 지그킥배터리가 없이도 실행 가능한 일반 홈브류 프로그램으로서, 커펌 및 정펌 설치가 가능하며 그 외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특히 PSP가 반벽돌 상태이거나 커펌 버전을 내릴 때 주로 사용됩니다.
또 최근 ChickHEN이 발표됨에 따라 정펌 5.03에서 커펌을 설치하는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자세히 설명하려면 끝도 없으므로 자세한 설치법 및 사용법은 http://popotz.textcube.com/1071를 참고해주세요. 여기서는 이번 버전의 변경점만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v 1.60의 변경점
[*] 커펌 5.00 M33 설치시 커펌 5.00 M33-6이 설치되도록 업데이트 되었다. (기존에는 커펌 5.00 M33-4였음.)
[*] 새로운 백업폴더 생성시 일자, 펌웨어, PSP 모델을 폴더 이름에 포함해서 생성한다.
[*] 유니버셜 언브리커 v6 이후 버전에서 모두 작동하도록 하는 resurrecion.prx 파일을 만들었다.
[*] PSP 3000과 TA-088v3 이상 기판의 PSP 2000을 탐색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PSP에서는 커펌 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낸드메모리 쓰기 기능(커펌 설치 등)을 사용할 수 없다.
[*] "Firmware Packs"을 지원한다. - 일종의 애드온 개념으로 새로운 커펌이 나왔을 때 리커버리 플래셔를 새로 발표해야 하는 필요성을 없애준다. 즉, 리커버리 플래셔를 새로 발표하는 대신에 이러한 팩을 이용해서 리커버리 플래셔가 새로 발표된 커펌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리커버리 플래셔가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커펌 GEN 등을 설치할 경우에도 유용하다.
[*] 업데이트 PBP 파일의 손상으로 PSP가 벽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업데이트 PBP의 안정성을 확인한다.
[*] 낸드 덤프를 확인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 HEN 모드의 탐지 기능이 추가되었다.
[*] 백업 파일이 커펌이 아닌 정펌일 경우 이를 탐지하고 취급한다. (HEN에서 만들어진 경우 등)
[*] 낸드 덤프 기능이 향상되었다. 새로운 덤프 자료는 PSP의 ID를 포함해서 백업 슬롯 이름과 비슷한 이름으로 생성된다. 낸드 복구 과정에서는 현재 PSP의 ID와 일치하는 덤프 자료만을 목록으로 보여주며, 그 중에서만 선택이 가능하다. (ID 확인 과정은 실수로 다른 덤프자료를 선택하는 문제를 예방해준다.
[*] 백업 생성/복원 과정에서의 취소 기능이 추가되었다.
[*] HEN 모드에서 만들어진 백업 자료는 원래의 펌웨어를 포함해서 분류된다.
[*] 커펌 5.00 M33 설치시 커펌 5.00 M33-6이 설치되도록 업데이트 되었다. (기존에는 커펌 5.00 M33-4였음.)
[*] 새로운 백업폴더 생성시 일자, 펌웨어, PSP 모델을 폴더 이름에 포함해서 생성한다.
[*] 유니버셜 언브리커 v6 이후 버전에서 모두 작동하도록 하는 resurrecion.prx 파일을 만들었다.
[*] PSP 3000과 TA-088v3 이상 기판의 PSP 2000을 탐색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PSP에서는 커펌 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낸드메모리 쓰기 기능(커펌 설치 등)을 사용할 수 없다.
[*] "Firmware Packs"을 지원한다. - 일종의 애드온 개념으로 새로운 커펌이 나왔을 때 리커버리 플래셔를 새로 발표해야 하는 필요성을 없애준다. 즉, 리커버리 플래셔를 새로 발표하는 대신에 이러한 팩을 이용해서 리커버리 플래셔가 새로 발표된 커펌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리커버리 플래셔가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커펌 GEN 등을 설치할 경우에도 유용하다.
[*] 업데이트 PBP 파일의 손상으로 PSP가 벽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업데이트 PBP의 안정성을 확인한다.
[*] 낸드 덤프를 확인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 HEN 모드의 탐지 기능이 추가되었다.
[*] 백업 파일이 커펌이 아닌 정펌일 경우 이를 탐지하고 취급한다. (HEN에서 만들어진 경우 등)
[*] 낸드 덤프 기능이 향상되었다. 새로운 덤프 자료는 PSP의 ID를 포함해서 백업 슬롯 이름과 비슷한 이름으로 생성된다. 낸드 복구 과정에서는 현재 PSP의 ID와 일치하는 덤프 자료만을 목록으로 보여주며, 그 중에서만 선택이 가능하다. (ID 확인 과정은 실수로 다른 덤프자료를 선택하는 문제를 예방해준다.
[*] 백업 생성/복원 과정에서의 취소 기능이 추가되었다.
[*] HEN 모드에서 만들어진 백업 자료는 원래의 펌웨어를 포함해서 분류된다.
오랜만에 나온만큼 변경사항이 많네요. 특히 커펌 설치 불가능한 기판에서는 아예 파일 쓰기 기능을 작동 안되도록 하는 등 안정성에 중점을 둔 것 같습니다. 리커버리 플래셔는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하는 방식이 아니라 조금은 불안했는데 이제는 그런 걱정은 안 해도 될까요?
또 리커버리 플래셔의 업데이트 없이도 새로운 커펌이 발표되면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Firmware Packs" 기능도 마음에 드네요.
설치법 및 사용법은 http://popotz.textcube.com/1071에 있는 v1.50를 참고해주세요.
뭐, 시간이 나면 이번 v1.60 기준으로 다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포포츠 백업 + NEW > CFW 공통,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낸드이미지 백업 / 복구하기 (0) | 2010.12.30 |
---|---|
커펌의 대표 기능 사용법 정리 (0) | 2010.12.30 |
PSP 커스텀 펌웨어 변경점 모음 (0) | 2010.12.30 |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3 (0) | 2010.12.30 |
Recovery Flasher v1.5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0) | 2010.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PSP 커스텀 펌웨어 변경점 모음
포포츠 백업 + NEW/CFW 공통,기본
2010. 12. 30. 15:11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Cv6srX5UW.jpg)
이전 공식 펌웨어 변경점 모음에 이어서 이번에는 Dark_AleX가 발표한 커스텀 펌웨어의 변경점만을 모아봤습니다.
현재 PSP의 커스텀 펌웨어란 공식 펌웨어 + 추가 기능의 형식으로 이루어졌기에, 커펌이라도 정펌의 기능을 100%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커펌의 기능 역시 정펌 업데이트에 의해 계속 달라지게 되므로 커펌 버전이 PSP 사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와는 별도로 커펌 자체의 기능이 수정/변경되기도 하는데, 바로 아래의 변경점들이 커펌 자체의 기능 변경점이며,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모든 변경점은 다음 버전에 누적되는 형식입니다. (이전 변경점이 추후 버전에 모두 포함된다는 뜻.)
아래는 Dark_AleX가 발표한 커펌의 변경점만을 모아둔 것으로 Dark_AleX 외 다른 사람이 만든 커펌도 있지만 별로 중요하지도 않고 많이 사용되지도 않으므로 제외합니다. 또 중요한 커펌 버전에는 간단한 코멘트를 달아놓았으므로, 그 동안 커펌이 어떤 식으로 발전해서 현재의 모습이 되었는지 재미삼아 읽어봐도 좋을 듯 싶습니다. (사실 이전 정펌 변경점 글과 이번 커펌 변경점 글을 쓴 진짜 목적은 요즘 제가 나이가 들어서 그런지 혼동하는 일이 많아서라죠.)
변경점 및 자료의 출처는 모두 http://alek.dark-alex.org/filez/dax/이며, 커펌 발표 날짜만 http://alek.dark-alex.org/pspwiki/index.php/Custom_Firmwares를 참고했습니다. (발표 날짜는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PSP 커스텀 펌웨어 변경점 열기
Custom Firmware - The proof of concept (2006년 7월 15일 발표)
- 일반 pbp 파일의 구동 (1.00용, no-kxploited)
- 커럽티트 아이콘 숨김 기능
- 부팅시 SCE 로고 스킵 기능 (또한 UMD의 자동 실행도 방지함)
- "Recovery mode" 탑재 : 부팅시 R트리거를 누르면 진입 가능, USB 연결, 특정 경로의 홈브류 실행 기능 등
- 부팅시 지정한 홈브류 자동 실행 (/PSP/SYSTEM/config.txt에서 설정 가능)
Dark_AleX가 PSP에도 커펌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기념비적이자 최초의 커펌입니다. 이 때에 벌써 리커버리 모드나 로고 스킵 등의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능들은 현재까지 쭉 이어지고 있죠. 또한 1.50용 홈브류뿐만 아니라 싱글 폴더로 이루어진 1.00용 홈브류를 바로 구동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었습니다.
---------------------------------------------------------------------------------------------------------------------------------------------
CFW 2.71 SE-A (Special Edition) (2006년 10월 8일 발표)
- /PSP/GAME/ 폴더에서 2.71 커널용 홈브류의 구동 가능
- /PSP/GAME150/ 폴더에서 이전 1.50 커널용 홈브류의 구동 가능
- 리커버리 모드 기능 향상 : Toggle USB / Configuration / Advanced / Run program at... 메뉴로 구성
커펌 POC에서 더욱 발전시킨 커펌으로서 정펌 2.71의 업데이트된 기능과 정펌 1.50의 홈브류 구동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기 위해 1.50+2.71을 섞어 만든 커펌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커펌 3.52 M33까지 유지되며, 이 2.71 SE부터가 진정한 커펌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당시에는 커펌의 안정성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라 커펌 설치 유저와 온리 데브훅 사용 유저로 갈라지기도 했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재미있는 얘기죠. ^^
CFW 2.71 SE-B (Special Edition) (2006년 10월 24일 발표)
- UMD 에뮬레이션 기능 추가 : ISO/CSO 파일을 XMB의 게임 메뉴를 통해 실행 가능함 (단, UMD 슬롯에 UMD가 반드시 들어있어야 함)
커펌이 욕을 먹는 가장 큰 이유인 ISO/CSO 로더가 최초로 탑재된 커펌입니다. Dark_AleX는 항상 게임의 불법 사용을 반대했는데 이렇게 ISO/CSO 구동 기능을 넣은 것은 각자가 구입한 UMD를 더욱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서였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사용하지 않은 사용자가 많아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죠. 이후로도 이 기능은 많은 찬/반 논란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계속 남아 있게 됩니다.
CFW 2.71 SE-B' (Special Edition) (2006년 10월 26일 발표)
- ms0:/ISO/ 폴더가 존재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충돌 문제 수정
- 실험적인 No-UMD 모드 추가 : UMD 슬롯에 UMD가 없어도 ISO/CSO 파일의 구동이 가능
UMD 슬롯에 반드시 UMD가 있어야 했던 이전 ISO 로더 기능을 향상시켜 UMD가 없어도 ISO/CSO의 구동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 후로 No-UMD 모드는 계속 발전해서 그 종류도 다양해지고 호환성도 거의 완벽하게 되었습니다.
CFW 2.71 SE-B'' (Special Edition) (2006년 11월 2일 발표)
- 실제 UMD 구동시 SFO 버전을 통과하는 기능 추가 (UMD의 요구 펌웨어 버전 무시 가능)
- plain modules 활성화시 특정 게임에서 발생하는 0x8002012D 에러 문제 수정
- No-UMD 모드에 관련된 3가지 버그 수정
2.71보다 상위 펌웨어를 요구하는 UMD가 차근차근 발매되면서 커펌 2.71에서는 구동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는데, 이를 임시적으로 해결한 버전입니다. 현재도 게임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UMD/ISO/CSO의 요구 펌웨어 버전을 어느 정도까지는 무력화시킬 수 있죠.
CFW 2.71 SE-C (Special Edition) (2006년 11월 25일 발표)
- ms0:/seplugins/ 폴더에 플러그인을 설치 후 로드 가능 : vsh.txt / game.txt만을 지원
여기서 커펌의 기능이 또 한 단계 진화합니다. 바로 플러그인 추가! 처음에는 플러그인의 종류도 적었고 기능도 별 볼일 없었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발표된 다양한 플러그인을 통해 사용자는 더욱 유용하게 PSP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현재까지도 플러그인은 커펌의 주요 기능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CFW 3.02 OE-A (Open Edition) (2006년 12월 21일 발표)
- 정펌 3.02 기능 사용 가능
- 리커버리 모드의 기능 추가 : Registry hacks 등의 메뉴 추가 및 다양화
- PS1 게임시 플러그인 사용 가능 : pops.txt 파일 사용
- No-UMD 모드의 호환성은 2.71 SE보다 떨어짐
최초로 SE가 아닌 OE란 이름을 달고 나온 커펌으로, 기존 2.71 SE보다 리커버리 모드의 기능이 더욱 확장되어 다양한 기능이 많이 추가되었습니다. 세부 메뉴를 제외한 기본 구조 자체는 현재의 리커버리 모드와 별 차이가 없을 정도이며, 이후 리커버리 모드에 메뉴가 하나 둘씩 추가되어 지금과 같은 모습이 되었습니다. 또한 리드미에는 빠져있지만 PSX 게임에서도 플러그인이 지원되었습니다.
CFW 3.02 OE-B (Open Edition) (2006년 12월 25일 발표)
- 자신이 보유한 PSX 게임의 구동 가능 : popstation이라는 툴로 변환이 필요함
정펌 3.00에 PSX 에뮬레이터가 공식으로 추가되었는데, Dark_AleX가 이를 이용해서 PSN에서 구입하지 않더라도 자신이 보유한 PS1 CD를 직접 변환해서 PSP에서 구동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이로서 PS3가 없어 PSX 게임을 PSN에서 구입하지 못하는 많은 사용자들이 환호한 것은 당연한 일이죠. 발표날짜가 우연히 맞아떨어지면서 Dark_AleX의 크리스마스 선물이라고 할 정도였으니...
---------------------------------------------------------------------------------------------------------------------------------------------
CFW 3.03 OE-A (Open Edition) (2007년 1월 4일 발표)
- 정펌 3.03 기능 사용 가능
- PSX ISO를 PSP용으로 변환시 압축 지원
- PSX 게임 매뉴얼인 document.dat 파일의 디크립트 지원 : PSX 게임의 매뉴얼을 직접 생성 가능함
- Free Region에 관련된 버그 수정
- 코드상의 버그 수정
CFW 3.03 OE-A' (Open Edition) (2007년 1월 6일 발표)
- UMD/ISO의 CPU 클럭 변경 기능 추가 (VSH는 아직 미지원)
- 리커버리 모드의 버그 2가지 수정
- UMD 에뮬레이션의 코드 일부 수정
게임/홈브류 구동시 CPU 클럭의 설정이 333Mhz까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손휘측에서 배터리 문제로 CPU에 222Mhz의 자체 제한을 걸어두었는데, 이를 해제해서 더욱 빠른 속도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한 것이죠. (한참 후에야 겨우 몇몇 UMD 게임에서 자동으로 333Mhz 클럭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CFW 3.03 OE-B (Open Edition) (2007년 1월 10일 발표)
- 480*272 해상도의 AVC 코덱 MP4 파일의 재생 지원
- ISO 게임의 pic0.png 파일이 보이지 않던 문제 수정
- 몇몇 게임에서 CPU 클럭 설정과 관련된 문제 수정
- 게임 모드에서 더 많은 RAM을 확보하도록 프로그램 구조 변경
- document.dat 파일 생성시 1,000장의 그림 파일까지 지원
당시 정펌에서도 지원하지 않던 480*272 풀해상도 비디오의 재생을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Dark_AleX의 능력을 단적으로 엿볼 수 있는 부분으로 지금 생각해도 정말 멋진 업데이트였습니다. 정펌에서는 이후 펌웨어 3.30에 와서야 지원하게 되었는데, Dark_AleX가 뚫어버리는 바람에 울며 겨자먹기로 지원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CFW 3.03 OE-C (Open Edition) (2007년 1월 25일 발표)
- AVC 비디오의 최대 비트레이트가 758Kbps에서 16384Kbps로 향상됨
- 부팅 시간이 3초 정도 단축됨
- XMB의 CPU 클럭 변경 가능
- Wifi가 333Mhz에서도 동작함
- 리커버리 모드에서 USB를 통해 flash0/1 연결 가능
- ISO/CSO 파일도 보통의 메모리스틱 게임처럼 XMB에서 용량 확인 및 삭제 가능함
- 메모리스틱 포맷시 GAME150, GAME303, ISO 등의 폴더가 자동 생성됨
- 내부 HEN 코어 변경
- popstation 변경 : 쓰기 방법 변경, 암호화되지 않은 DATA.PSP 파일 사용 가능
USB를 통해 PSP 내부의 낸드메모리인 flash0/1의 접속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flash0/1 영역에 들어가려면 파일러 등의 홈브류 사용이 일반적이었지만 이 기능을 통해 flash0/1을 이동식 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늘어났습니다. 하지만 편해진만큼 flash0/1을 잘못 건드려 벽돌을 만드는 사람들도 많았죠.
---------------------------------------------------------------------------------------------------------------------------------------------
CFW 3.10 OE-A (Open Edition) (2007년 2월 4일 발표)
- 정펌 3.10 기능 사용 가능
- AC 아답터 연결 없이도 4번째 밝기 사용 가능
- HEN 코어 변경
- 커펌 2.71 SE에서는 작동하지만 이전 커펌 OE에서는 작동하지 않던 플러그인/홈브류가 작동하게 됨
CFW 3.10 OE-B (Open Edition) (2007년 2월 6일 발표)
- 메탈슬러그 앤솔로지의 메탈슬러그6 등 일부 게임에서 발생하는 0x80020148 에러 수정
---------------------------------------------------------------------------------------------------------------------------------------------
CFW 3.30 OE-A (Open Edition) (2007년 4월 15일 발표)
- 정펌 3.30 기능 사용 가능
- 3.10 OE에서 슬립모드 복귀시 불안정하던 버그 수정
- 상위 펌웨어 모듈을 불러올 수 있도록 펌웨어 보안 패치
CFW 3.30 OE-A' (Open Edition) (2007년 4월 20일 발표)
- 3.XX OE에 있었던 램 영역의 lcdc.prx 또는 emc_sm.prx 에 랜덤데이터를 일으키는 버그 수정
- 커펌 3.03 OE-C 이후 없어진 Autoboot 기능 재삽입
---------------------------------------------------------------------------------------------------------------------------------------------
CFW 3.40 OE-A (Open Edition) (2007년 4월 20일 발표)
- 정펌 3.40 기능 사용 가능
- 3.XX OE에 있었던 램 영역의 lcdc.prx 또는 emc_sm.prx 에 랜덤데이터를 일으키는 버그 수정
- 커펌 3.03 OE-C 이후 없어진 Autoboot 기능 재삽입
- 커펌 설치시 DATA.DXAR 파일의 정확성 검사를 통해 문제 발생을 방지함
커펌 3.30 OE-A'와 같은 날 동시에 발표된 커펌 3.40 OE-A입니다. 사실 이 시기의 커펌 OE 시리즈는 큰 변경점이 없어 그리 큰 반응은 없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저 시큰둥...
---------------------------------------------------------------------------------------------------------------------------------------------
CFW 3.51 M33-1 (2007년 7월 14일 발표)
- 정펌 3.51 기능 사용 가능
- 이전 커펌 OE의 모든 기능 사용 가능
Dark_AleX가 더 이상의 커펌 개발을 중지하고 은퇴한다고 선언한 후 많은 사람들이 절망(?)에 빠져있을 때 러시아팀인 M33에 의해 발표된 최초의 커펌입니다. 기능이나 안정성이나 이전 Dark_AleX의 커펌 OE 시리즈 못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며 굉장히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하지만 한참 뒤 M33팀의 메인 코더가 결국 Dark_AleX라고 밝혀지게 되었죠.)
CFW 3.51 M33-2 (2007년 7월 16일 발표)
- 홈브류에서 무선 인터넷 연결이 안되는 버그 수정
CFW 3.51 M33-3 (2007년 7월 18일 발표)
- NO-UMD 모드 선택 기능 추가 : Normal / OE isofs legacy / M33 Driver
M33 Driver라는 No-UMD 모드가 새로 추가되었습니다. 기존 OE 시절의 No-UMD 모드보다 호환성이 좋았기때문에 UMD 필요없이 구동되는 ISO 게임 수가 더욱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CFW 3.51 M33-4 (2007년 7월 18일 발표)
- M33 Driver로 No-UMD 설정시 80020001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 수정
- 1.50 커널 홈브류의 플러그인 지원 : game150.txt 파일 사용
CFW 3.51 M33-5 (2007년 7월 19일 발표)
- No-UMD 모드의 두 가지 중요한 버그 수정
CFW 3.51 M33-6 (2007년 7월 20일 발표)
- 새로운 No-UMD 모드 추가 : Sony np9660 모드 추가
정펌에 포함되어 있는 공식 ISO 로더인 Sony np9660 모듈을 이용한 No-UMD 모드가 처음 추가되었습니다. 현재는 M33 Driver도 호환성이 많이 향상되어 있지만 이 당시에는 M33 Driver 모드보다 np9660 모드가 월등하게 호환성이 좋았습니다.
CFW 3.51 M33-7 (2007년 7월 21일 발표)
- No-UMD 모드중 M33 Driver 기능 향상 : 호환성 향상 / 로딩 속도 향상
- TA-082 이상의 기판에서 발생하는 밝기 버그 자동 수정됨
- 무선랜 버그 수정 방법이 변경됨
- AC 아답터 없이도 1.50 커널상에서 4번째 밝기 사용 가능
- 리커버리 모드에 'Hard Reset on 1.50 homebrew' 옵션 추가
정말 커펌 3.51 M33-1부터 M33-7까지는 놀라운 속도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졌습니다. 하루에 한 번꼴... 게다가 그 기능 추가도 굉장히 유용한 것이어서 이제는 Dark_AleX가 필요없다는 얘기까지 나오게 되었죠. ^^;;;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아마도 Dark_AleX가 몇 개월간 쉬면서 구상했던 기능들을 이 시기에 마구 쏟아낸 결과인 듯 합니다.
---------------------------------------------------------------------------------------------------------------------------------------------
CFW 3.52 M33-1 (2007년 7월 25일 발표)
- 정펌 3.52 기능 사용 가능
- No-UMD 모드중 M33 Driver 사용시 몇몇 게임에서 발생하는 문제 수정
- 게임 모드에서 PSP용 카메라, GPS, sceKernelLoadExecVSH*가 동작하지 않는 버그 수정
- PSN을 통해 정식으로 구입한 PSX 게임의 구동 가능
CFW 3.52 M33-2 (2007년 7월 30일 발표)
- PS1 게임의 매뉴얼 파일을 불러올 수 없었던 버그를 수정하고 게임 ID가 달라도 사용 가능하게 됨
- 아얄쉘 v3.6에서 usbhost/nethost를 이용해 PS1게임을 구동할때의 호환성 문제 수정
- 리커버리 모드 변경 : Format flash1 and restore settings 추가 / CPU Speed에 20MHz과 100 MHz 추가 등
- XMB에서 중국어와 한국어 사용 가능 (폰트는 수동 설치 필요)
- No-UMD 모드중 M33 Driver가 SBK07에 호환되도록 수정
- Popsloader 플러그인 최초 지원
그 동안 PSP의 시스템 언어를 한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한글 패치라는 귀찮은 작업을 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업데이트부터는 한글 폰트만 넣어주면 아무 문제 없이 바로 한글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PSX 게임의 호환성을 위해 Popsloader가 처음 발표되었습니다.
CFW 3.52 M33-3 (2007년 8월 19일 발표)
- CPU Speed에 75/133 Mhz 추가
- 리커버리 모드에서 USB로 flash2/3 연결 가능
- XMB에서 USB 연결시 연결되는 장치를 변경 가능 : 메모리스틱 / flash0 / flash1 / flash2 / flash3 / UMD
- XMB의 VSHmenu 추가
- UMD 비디오 ISO의 재생 지원
- Popsloader 변경 : 펌웨어 3.30 추가 지원
XMB에서 메모리스틱뿐만이 아니라 flash 영역이나 UMD를 USB로 연결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보유한 UMD를 ISO로 덤프할 때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죠. 또 VSHmenu가 처음 등장했으며, 이를 이용해서 비디오 UMD를 ISO로 덤프한 뒤 메모리스틱에 저장해서 재생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이 당시 야구X라는 UMD 비디오의 불법 자료가 많이 돌아다녔습니다.
CFW 3.52 M33-4 (2007년 8월 21일 발표)
- XMB의 USB 연결을 통해 flash 영역에 파일 쓰기를 할 경우 CRC 에러가 발생하는 버그 수정
- 리커버리 모드의 CPU SPEED에 빠져있던 클럭 추가
- Popsloader 변경 : 펌웨어 3.10 / 3.11 추가 지원
---------------------------------------------------------------------------------------------------------------------------------------------
CFW 3.60 M33 (2007년 9월 10일 발표)
- 신형 PSP(PSP-2000)에 설치할 수 있는 최초의 커펌 (단, 구형 PSP는 설치 불가)
신형 PSP가 발매된 후 커펌 설치는 불가능한 것처럼 여겨졌지만 결국 M33팀에서 신형 PSP 전용의 커펌 3.60 M33을 발표했습니다. 신형 PSP의 탑재 펌웨어인 3.60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기존과는 다르게 반드시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해야만 설치가 가능했고, 1.50 커널이 완전히 배제되는 등 이전 커펌과는 큰 차이를 보입니다. 사실 커펌 3.60 M33은 신형 PSP에도 커펌 설치가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줄 뿐 이후에 나오는 커펌 3.71 M33를 위한 테스트 버전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구형 PSP는 커펌 3.60의 설치가 불가능합니다.
---------------------------------------------------------------------------------------------------------------------------------------------
CFW 3.71 M33-1 (2007년 9월 23일 발표)
- 정펌 3.71 기능 사용 가능
- VSHmenu의 단축키가 홈버튼에서 셀렉트버튼으로 변경됨
- 신형 PSP에서 모든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변경됨
- 이제 1.50 커널로부터 독립된 3.xx커널의 IPL을 사용함
- 커펌에서 더 이상 1.50 커널을 지원하지 않게 됨 (구형 PSP 사용자는 1.50 커널 애드온을 설치하면 사용 가능)
구형과 신형 모든 PSP에서 커펌을 설치하기 위해 기존 [펌웨어 1.50 + 최신 펌웨어 조합]으로 이루어지던 방식을 버리고 커펌 3.71부터는 1.50 커널을 전혀 사용하지 않게 됩니다. 정펌 3.71에 약간의 파일을 패치한 뒤 손휘의 공식 업데이터를 이용해 설치되며, 이 방법은 현재까지 계속 유지되고 있습니다. 구형 PSP는 1.50 커널 애드온을 추가 설치해서 1.50 커널 사용이 가능했지만 신형 PSP는 하드웨어상 여전히 1.50 커널의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이후로 1.50 커널이 주류를 이루던 홈브류/플러그인들이 3.xx 커널용으로만 발표되거나 변환되어 나오게 되었고, 현재는 1.50 커널을 사용할 일이 손에 꼽을 정도가 되었습니다.
CFW 3.71 M33-2 (2007년 10월 2일 발표)
- USB를 통해 flash 접속시 32256바이트 이상의 파일 쓰기를 할 때 발생하는 오류 수정
- 신형 PSP에서 USB 케이블 연결시 배터리 충전 기능 추가
- ms0:/PSP/GAME/UPDATE/ 폴더의 프로그램은 언제나 3.71 커널로 실행됨
- VSHmenu는 키보드를 사용중일 경우 실행되지 않으며, VSHmenu에 PSP 재부팅 기능 추가됨
- 리커버리 모드에서 더 이상 VSH용 플러그인이 동작하지 않게 됨
CFW 3.71 M33-3 (2007년 11월 8일 발표)
- USB를 통해 flash에 접속할 때의 버그 수정됨.
- No-UMD 모드중 M33 Driver 수정 : 홈버트으로 게임 종료시 문제 수정 / 호환성 문제 수정
- 신형 PSP에서 TV 아웃 사용시 VSHmenu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문제 수정
- Popsloader의 새로운 버전 포함
CFW 3.71 M33-4 (2007년 12월 12일 발표)
- PSN에서 구입한 PSX 게임이 구동되지 않는 문제 수정
- Popstation_md 툴을 통해 변환한 멀티디스크 PSX 게임의 구동 가능
- Popsloader의 문제 수정 : 사운드 관련 버그 수정 / 멀티디스크로 변환된 PSX 게임의 구동 지원
여러 장의 디스크로 이루어진 PSX 게임의 경우 디스크 교체에 애를 먹었는데, 이번 업데이트부터는 PSX 게임의 멀티디스크 변환을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PSX 메뉴를 통해서 쉽게 디스크 교체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이 기능은 PSN에서 구입하는 멀티디스크 게임을 위한 공식 기능인데, Dark_AleX가 이 기능을 디크립트해서 직접 변환한 PSX 게임에서도 사용 가능하게끔 한 것입니다.
---------------------------------------------------------------------------------------------------------------------------------------------
CFW 3.80 M33-1 (2008년 1월 14일 발표)
- 정펌 3.80 기능 사용 가능
- HEN 코어 변경 : 유저모드의 flash에서 signcheck된 파일을 로드할 수 있음
- 리커버리 모드 변경 : flash1 포맷 후 flash1의 필수 폴더를 생성하게 됨
- http://dark-alex.org/를 통한 커펌의 네트워크 업데이트(Network update) 가능
- 다양한 커널 라이브러리를 위해 Nids resolver 탑재
XMB의 네트워크 업데이트 메뉴를 기존의 정펌 업데이트가 아닌 커펌 업데이트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점점 정펌의 편의성을 흡수해가는 모습을 보여주죠. 하지만 펌웨어 3.80부터는 정펌상의 메모리스틱 관련 모듈이 변경되어 국내 사용자의 경우 한글 사용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ISO 파일이라던지 홈브류에서 인식 가능한 콘텐츠 파일 이름이 한글일 경우 이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 문제가 생긴 것이죠. Dark_AleX가 발표한 fatmsmod 패치를 통해 해결 가능하지만 이 경우 반대로 XMB에서 한글 파일을 인식하지 못하는 부작용이 발생하므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못했습니다. 이 문제는 현재까지 완벽히 해결되지 않고 있어 아쉬운 마음이 드네요.
CFW 3.80 M33-2 (2008년 1월 14일 발표)
- scePowerGetClockFrequency / scePowerGetClockFrequencyInt 간의 문제 수정
- 80*80 픽셀의 아이콘을 가진 PS1게임의 경우 세이브데이터가 드라큘라 아이콘으로 대체되지 않도록 수정
CFW 3.80 M33-3 (2008년 1월 16일 발표)
- PSN NP9660 오리지날 게임에서 플러그인 확인 코드가 일으키던 싱크 문제 수정 (0x80010013 에러 수정)
- Nids resolver에 몇 개의 라이브러리 추가
- 커펌 3.80용 Popsloader 플러그인 사용에 필요한 내부 변경점 추가
CFW 3.80 M33-4 (2008년 1월 16일 발표)
- 메모리스틱을 느리게 하는 galaxy.prx 파일을 이전 버전으로 복구
CFW 3.80 M33-5 (2008년 1월 20일 발표)
- 일부 게임에서 CPU 클럭 설정이 동작하지 않는 문제 수정
- sceKernelLoadExec를 사용해 재시작된 게임에서 CPU 클럭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는 문제 수정
- 리커버리 모드에 게임 메뉴의 PIC0.PNG와 PIC1.PNG를 숨길 수 있는 설정 추가
---------------------------------------------------------------------------------------------------------------------------------------------
CFW 3.90 M33-1 (2008년 1월 31일 발표)
- 정펌 3.90 기능 사용 가능
- No-UMD 중 M33 Driver 설정 후 홈버튼을 이용한 게임 종료시 발생하는 버그 수정
- 커펌 설치시 네트워크를 통해 390.PBP 파일의 다운로드 가능
- 커펌 설치시 L트리거+세모버튼으로 배터리의 잔량 확인과정을 건너뛰는 기능 재삽입
CFW 3.90 M33-2 (2008년 2월 13일 발표)
- 플러그인 로딩 코드의 향상 : 파일시스템 마운트 문제 수정 / 로딩 속도 향상 / 플러그인 등록시 공백 문제 수정
- 리커버리 모드의 Fake region 옵션에 기존에 추가되지 않았던 다른 지역 추가
- 신형 PSP에서 타임머신 IPL을 통해 낸드 부팅이 가능하도록 패치됨 (정펌/ 3.90 M33-2 미만에서는 불가능)
구형 PSP는 문제가 없었지만, 신형 PSP의 경우 이번 업데이트부터 타임머신 IPL의 낸드부팅 기능이 지원되었습니다. 지그킥배터리를 일반배터리처럼 사용하면 편한 점이 많은데 이제야 제대로 사용 가능하게 된 것이죠. (신형 PSP에서는 정펌 또는 커펌 3.90 M33-1 이하의 커펌에서 타임머신 IPL의 낸드부팅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CFW 3.90 M33-3 (2008년 3월 30일 발표)
- No-UMD 모드중 M33 Driver의 호환성 향상
---------------------------------------------------------------------------------------------------------------------------------------------
CFW 4.01 M33-1 (2008년 6월 28일 발표)
- 정펌 4.01 기능 사용 가능
- 카메라 사용시 VSHmenu로 인해 카메라 모드 전환이 불가능한 문제 수정
- 리커버리 모드의 언어 변경 기능 추가
- M33 SDK가 업데이트되었고 PSP-packer tool 발표됨
- 4.01 커널 이상용 홈브류의 설치폴더가 'GAME4XX'로 고정되어, 커펌 변경시 교체할 필요가 없음
CFW 4.01 M33-2 (2008년 6월 29일 발표)
- Nids resolver의 scePowerGetCpuClockFrequency 문제 수정 (커펌 3.80 M33-1에서 발생한 문제와 동일)
- 리커버리 모드의 버그 수정
- 스페인어 리커버리 언어 파일(ms0:/seplugins/es_recovery.txt)의 오타 수정
---------------------------------------------------------------------------------------------------------------------------------------------
CFW 5.00 M33-1 (2008년 10월 17일 발표)
- 정펌 5.00 기능 사용 가능
- XMB에서 CPU 스피드 변경후 액정을 끄면 CPU 스피드가 222Mhz로 리셋되는 버그 수정
CFW 5.00 M33-2 (2008년 10월 22일 발표)
- PSX 게임 구동시 Popcorn 버그 수정
- sctrlKernelSetInit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버그 수정
- M33 네트워크 업데이트가 5.00 M33에서 작동하지 않던 버그 수정
- flash0:/vsh/etc/version.txt 파일에서 버전 정보를 불러오는 기능 추가
- 플러그인 설정 파일의 포맷 변경 : conf.bin 파일 삭제 / 각 플러그인 경로 끝에 0 또는 1로 활성화/비활성화 구분
- 리커버리 모드의 Advanced configuration에 특정 모드의 플러그인 전체의 활성/비활성화 옵션 추가
version.txt 파일 수정을 통해 PSN에서 인식하는 펌웨어 버전의 변경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이용해 펌웨어 5.00 이상을 요구하는 PSN 게임의 다운로드 및 구동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플러그인의 형식이 변경되어 이전보다 플러그인의 활성화/비활성화 설정이 용이하게 되었습니다.
CFW 5.00 M33-3 (2008년 10월 23일 발표)
- 5.00 M33-2에서 몇몇 게임과 홈브류가 작동하지 않는 버그 수정
- PSN의 펌웨어 버전 체크 과정이 자동으로 통과됨
CFW 5.00 M33-4 (2008년 12월 5일 발표)
- UMD/ISO의 CPU 스피드가 새로 발매된 게임에서 제대로 고정되지 않는 문제 수정
- UMD/ISO의 CPU 스피드 설정이 PSN에서 다운로드한 게임에도 적용됨
- M33 업데이트 기능 사용시 잘못 접속되는 libupdown.prx 파일의 문제 수정
- ISO 파일 디스크립터가 드라이버에서 제대로 종료되지 않는 문제 수정
- XMB의 VSHmenu에 셧다운(PSP 종료) 메뉴 추가
CFW 5.00 M33-5 (2009년 1월 20일 발표)
- 메모리스틱의 읽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설정을 리커버리 모드에 추가함
CFW 5.00 M33-6 (2009년 1월 20일 발표)
- 메모리스틱이 없거나 성능이 떨어지는 메모리스틱이 들어있을 경우 PSP가 부팅이 안되는 버그 수정함
- 일반 pbp 파일의 구동 (1.00용, no-kxploited)
- 커럽티트 아이콘 숨김 기능
- 부팅시 SCE 로고 스킵 기능 (또한 UMD의 자동 실행도 방지함)
- "Recovery mode" 탑재 : 부팅시 R트리거를 누르면 진입 가능, USB 연결, 특정 경로의 홈브류 실행 기능 등
- 부팅시 지정한 홈브류 자동 실행 (/PSP/SYSTEM/config.txt에서 설정 가능)
Dark_AleX가 PSP에도 커펌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기념비적이자 최초의 커펌입니다. 이 때에 벌써 리커버리 모드나 로고 스킵 등의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능들은 현재까지 쭉 이어지고 있죠. 또한 1.50용 홈브류뿐만 아니라 싱글 폴더로 이루어진 1.00용 홈브류를 바로 구동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었습니다.
---------------------------------------------------------------------------------------------------------------------------------------------
CFW 2.71 SE-A (Special Edition) (2006년 10월 8일 발표)
- /PSP/GAME/ 폴더에서 2.71 커널용 홈브류의 구동 가능
- /PSP/GAME150/ 폴더에서 이전 1.50 커널용 홈브류의 구동 가능
- 리커버리 모드 기능 향상 : Toggle USB / Configuration / Advanced / Run program at... 메뉴로 구성
커펌 POC에서 더욱 발전시킨 커펌으로서 정펌 2.71의 업데이트된 기능과 정펌 1.50의 홈브류 구동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기 위해 1.50+2.71을 섞어 만든 커펌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커펌 3.52 M33까지 유지되며, 이 2.71 SE부터가 진정한 커펌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당시에는 커펌의 안정성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라 커펌 설치 유저와 온리 데브훅 사용 유저로 갈라지기도 했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재미있는 얘기죠. ^^
CFW 2.71 SE-B (Special Edition) (2006년 10월 24일 발표)
- UMD 에뮬레이션 기능 추가 : ISO/CSO 파일을 XMB의 게임 메뉴를 통해 실행 가능함 (단, UMD 슬롯에 UMD가 반드시 들어있어야 함)
커펌이 욕을 먹는 가장 큰 이유인 ISO/CSO 로더가 최초로 탑재된 커펌입니다. Dark_AleX는 항상 게임의 불법 사용을 반대했는데 이렇게 ISO/CSO 구동 기능을 넣은 것은 각자가 구입한 UMD를 더욱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서였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사용하지 않은 사용자가 많아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죠. 이후로도 이 기능은 많은 찬/반 논란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계속 남아 있게 됩니다.
CFW 2.71 SE-B' (Special Edition) (2006년 10월 26일 발표)
- ms0:/ISO/ 폴더가 존재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충돌 문제 수정
- 실험적인 No-UMD 모드 추가 : UMD 슬롯에 UMD가 없어도 ISO/CSO 파일의 구동이 가능
UMD 슬롯에 반드시 UMD가 있어야 했던 이전 ISO 로더 기능을 향상시켜 UMD가 없어도 ISO/CSO의 구동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 후로 No-UMD 모드는 계속 발전해서 그 종류도 다양해지고 호환성도 거의 완벽하게 되었습니다.
CFW 2.71 SE-B'' (Special Edition) (2006년 11월 2일 발표)
- 실제 UMD 구동시 SFO 버전을 통과하는 기능 추가 (UMD의 요구 펌웨어 버전 무시 가능)
- plain modules 활성화시 특정 게임에서 발생하는 0x8002012D 에러 문제 수정
- No-UMD 모드에 관련된 3가지 버그 수정
2.71보다 상위 펌웨어를 요구하는 UMD가 차근차근 발매되면서 커펌 2.71에서는 구동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는데, 이를 임시적으로 해결한 버전입니다. 현재도 게임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UMD/ISO/CSO의 요구 펌웨어 버전을 어느 정도까지는 무력화시킬 수 있죠.
CFW 2.71 SE-C (Special Edition) (2006년 11월 25일 발표)
- ms0:/seplugins/ 폴더에 플러그인을 설치 후 로드 가능 : vsh.txt / game.txt만을 지원
여기서 커펌의 기능이 또 한 단계 진화합니다. 바로 플러그인 추가! 처음에는 플러그인의 종류도 적었고 기능도 별 볼일 없었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발표된 다양한 플러그인을 통해 사용자는 더욱 유용하게 PSP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현재까지도 플러그인은 커펌의 주요 기능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CFW 3.02 OE-A (Open Edition) (2006년 12월 21일 발표)
- 정펌 3.02 기능 사용 가능
- 리커버리 모드의 기능 추가 : Registry hacks 등의 메뉴 추가 및 다양화
- PS1 게임시 플러그인 사용 가능 : pops.txt 파일 사용
- No-UMD 모드의 호환성은 2.71 SE보다 떨어짐
최초로 SE가 아닌 OE란 이름을 달고 나온 커펌으로, 기존 2.71 SE보다 리커버리 모드의 기능이 더욱 확장되어 다양한 기능이 많이 추가되었습니다. 세부 메뉴를 제외한 기본 구조 자체는 현재의 리커버리 모드와 별 차이가 없을 정도이며, 이후 리커버리 모드에 메뉴가 하나 둘씩 추가되어 지금과 같은 모습이 되었습니다. 또한 리드미에는 빠져있지만 PSX 게임에서도 플러그인이 지원되었습니다.
CFW 3.02 OE-B (Open Edition) (2006년 12월 25일 발표)
- 자신이 보유한 PSX 게임의 구동 가능 : popstation이라는 툴로 변환이 필요함
정펌 3.00에 PSX 에뮬레이터가 공식으로 추가되었는데, Dark_AleX가 이를 이용해서 PSN에서 구입하지 않더라도 자신이 보유한 PS1 CD를 직접 변환해서 PSP에서 구동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이로서 PS3가 없어 PSX 게임을 PSN에서 구입하지 못하는 많은 사용자들이 환호한 것은 당연한 일이죠. 발표날짜가 우연히 맞아떨어지면서 Dark_AleX의 크리스마스 선물이라고 할 정도였으니...
---------------------------------------------------------------------------------------------------------------------------------------------
CFW 3.03 OE-A (Open Edition) (2007년 1월 4일 발표)
- 정펌 3.03 기능 사용 가능
- PSX ISO를 PSP용으로 변환시 압축 지원
- PSX 게임 매뉴얼인 document.dat 파일의 디크립트 지원 : PSX 게임의 매뉴얼을 직접 생성 가능함
- Free Region에 관련된 버그 수정
- 코드상의 버그 수정
CFW 3.03 OE-A' (Open Edition) (2007년 1월 6일 발표)
- UMD/ISO의 CPU 클럭 변경 기능 추가 (VSH는 아직 미지원)
- 리커버리 모드의 버그 2가지 수정
- UMD 에뮬레이션의 코드 일부 수정
게임/홈브류 구동시 CPU 클럭의 설정이 333Mhz까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손휘측에서 배터리 문제로 CPU에 222Mhz의 자체 제한을 걸어두었는데, 이를 해제해서 더욱 빠른 속도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한 것이죠. (한참 후에야 겨우 몇몇 UMD 게임에서 자동으로 333Mhz 클럭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CFW 3.03 OE-B (Open Edition) (2007년 1월 10일 발표)
- 480*272 해상도의 AVC 코덱 MP4 파일의 재생 지원
- ISO 게임의 pic0.png 파일이 보이지 않던 문제 수정
- 몇몇 게임에서 CPU 클럭 설정과 관련된 문제 수정
- 게임 모드에서 더 많은 RAM을 확보하도록 프로그램 구조 변경
- document.dat 파일 생성시 1,000장의 그림 파일까지 지원
당시 정펌에서도 지원하지 않던 480*272 풀해상도 비디오의 재생을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Dark_AleX의 능력을 단적으로 엿볼 수 있는 부분으로 지금 생각해도 정말 멋진 업데이트였습니다. 정펌에서는 이후 펌웨어 3.30에 와서야 지원하게 되었는데, Dark_AleX가 뚫어버리는 바람에 울며 겨자먹기로 지원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CFW 3.03 OE-C (Open Edition) (2007년 1월 25일 발표)
- AVC 비디오의 최대 비트레이트가 758Kbps에서 16384Kbps로 향상됨
- 부팅 시간이 3초 정도 단축됨
- XMB의 CPU 클럭 변경 가능
- Wifi가 333Mhz에서도 동작함
- 리커버리 모드에서 USB를 통해 flash0/1 연결 가능
- ISO/CSO 파일도 보통의 메모리스틱 게임처럼 XMB에서 용량 확인 및 삭제 가능함
- 메모리스틱 포맷시 GAME150, GAME303, ISO 등의 폴더가 자동 생성됨
- 내부 HEN 코어 변경
- popstation 변경 : 쓰기 방법 변경, 암호화되지 않은 DATA.PSP 파일 사용 가능
USB를 통해 PSP 내부의 낸드메모리인 flash0/1의 접속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flash0/1 영역에 들어가려면 파일러 등의 홈브류 사용이 일반적이었지만 이 기능을 통해 flash0/1을 이동식 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늘어났습니다. 하지만 편해진만큼 flash0/1을 잘못 건드려 벽돌을 만드는 사람들도 많았죠.
---------------------------------------------------------------------------------------------------------------------------------------------
CFW 3.10 OE-A (Open Edition) (2007년 2월 4일 발표)
- 정펌 3.10 기능 사용 가능
- AC 아답터 연결 없이도 4번째 밝기 사용 가능
- HEN 코어 변경
- 커펌 2.71 SE에서는 작동하지만 이전 커펌 OE에서는 작동하지 않던 플러그인/홈브류가 작동하게 됨
CFW 3.10 OE-B (Open Edition) (2007년 2월 6일 발표)
- 메탈슬러그 앤솔로지의 메탈슬러그6 등 일부 게임에서 발생하는 0x80020148 에러 수정
---------------------------------------------------------------------------------------------------------------------------------------------
CFW 3.30 OE-A (Open Edition) (2007년 4월 15일 발표)
- 정펌 3.30 기능 사용 가능
- 3.10 OE에서 슬립모드 복귀시 불안정하던 버그 수정
- 상위 펌웨어 모듈을 불러올 수 있도록 펌웨어 보안 패치
CFW 3.30 OE-A' (Open Edition) (2007년 4월 20일 발표)
- 3.XX OE에 있었던 램 영역의 lcdc.prx 또는 emc_sm.prx 에 랜덤데이터를 일으키는 버그 수정
- 커펌 3.03 OE-C 이후 없어진 Autoboot 기능 재삽입
---------------------------------------------------------------------------------------------------------------------------------------------
CFW 3.40 OE-A (Open Edition) (2007년 4월 20일 발표)
- 정펌 3.40 기능 사용 가능
- 3.XX OE에 있었던 램 영역의 lcdc.prx 또는 emc_sm.prx 에 랜덤데이터를 일으키는 버그 수정
- 커펌 3.03 OE-C 이후 없어진 Autoboot 기능 재삽입
- 커펌 설치시 DATA.DXAR 파일의 정확성 검사를 통해 문제 발생을 방지함
커펌 3.30 OE-A'와 같은 날 동시에 발표된 커펌 3.40 OE-A입니다. 사실 이 시기의 커펌 OE 시리즈는 큰 변경점이 없어 그리 큰 반응은 없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저 시큰둥...
---------------------------------------------------------------------------------------------------------------------------------------------
CFW 3.51 M33-1 (2007년 7월 14일 발표)
- 정펌 3.51 기능 사용 가능
- 이전 커펌 OE의 모든 기능 사용 가능
Dark_AleX가 더 이상의 커펌 개발을 중지하고 은퇴한다고 선언한 후 많은 사람들이 절망(?)에 빠져있을 때 러시아팀인 M33에 의해 발표된 최초의 커펌입니다. 기능이나 안정성이나 이전 Dark_AleX의 커펌 OE 시리즈 못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며 굉장히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하지만 한참 뒤 M33팀의 메인 코더가 결국 Dark_AleX라고 밝혀지게 되었죠.)
CFW 3.51 M33-2 (2007년 7월 16일 발표)
- 홈브류에서 무선 인터넷 연결이 안되는 버그 수정
CFW 3.51 M33-3 (2007년 7월 18일 발표)
- NO-UMD 모드 선택 기능 추가 : Normal / OE isofs legacy / M33 Driver
M33 Driver라는 No-UMD 모드가 새로 추가되었습니다. 기존 OE 시절의 No-UMD 모드보다 호환성이 좋았기때문에 UMD 필요없이 구동되는 ISO 게임 수가 더욱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CFW 3.51 M33-4 (2007년 7월 18일 발표)
- M33 Driver로 No-UMD 설정시 80020001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 수정
- 1.50 커널 홈브류의 플러그인 지원 : game150.txt 파일 사용
CFW 3.51 M33-5 (2007년 7월 19일 발표)
- No-UMD 모드의 두 가지 중요한 버그 수정
CFW 3.51 M33-6 (2007년 7월 20일 발표)
- 새로운 No-UMD 모드 추가 : Sony np9660 모드 추가
정펌에 포함되어 있는 공식 ISO 로더인 Sony np9660 모듈을 이용한 No-UMD 모드가 처음 추가되었습니다. 현재는 M33 Driver도 호환성이 많이 향상되어 있지만 이 당시에는 M33 Driver 모드보다 np9660 모드가 월등하게 호환성이 좋았습니다.
CFW 3.51 M33-7 (2007년 7월 21일 발표)
- No-UMD 모드중 M33 Driver 기능 향상 : 호환성 향상 / 로딩 속도 향상
- TA-082 이상의 기판에서 발생하는 밝기 버그 자동 수정됨
- 무선랜 버그 수정 방법이 변경됨
- AC 아답터 없이도 1.50 커널상에서 4번째 밝기 사용 가능
- 리커버리 모드에 'Hard Reset on 1.50 homebrew' 옵션 추가
정말 커펌 3.51 M33-1부터 M33-7까지는 놀라운 속도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졌습니다. 하루에 한 번꼴... 게다가 그 기능 추가도 굉장히 유용한 것이어서 이제는 Dark_AleX가 필요없다는 얘기까지 나오게 되었죠. ^^;;;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아마도 Dark_AleX가 몇 개월간 쉬면서 구상했던 기능들을 이 시기에 마구 쏟아낸 결과인 듯 합니다.
---------------------------------------------------------------------------------------------------------------------------------------------
CFW 3.52 M33-1 (2007년 7월 25일 발표)
- 정펌 3.52 기능 사용 가능
- No-UMD 모드중 M33 Driver 사용시 몇몇 게임에서 발생하는 문제 수정
- 게임 모드에서 PSP용 카메라, GPS, sceKernelLoadExecVSH*가 동작하지 않는 버그 수정
- PSN을 통해 정식으로 구입한 PSX 게임의 구동 가능
CFW 3.52 M33-2 (2007년 7월 30일 발표)
- PS1 게임의 매뉴얼 파일을 불러올 수 없었던 버그를 수정하고 게임 ID가 달라도 사용 가능하게 됨
- 아얄쉘 v3.6에서 usbhost/nethost를 이용해 PS1게임을 구동할때의 호환성 문제 수정
- 리커버리 모드 변경 : Format flash1 and restore settings 추가 / CPU Speed에 20MHz과 100 MHz 추가 등
- XMB에서 중국어와 한국어 사용 가능 (폰트는 수동 설치 필요)
- No-UMD 모드중 M33 Driver가 SBK07에 호환되도록 수정
- Popsloader 플러그인 최초 지원
그 동안 PSP의 시스템 언어를 한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한글 패치라는 귀찮은 작업을 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업데이트부터는 한글 폰트만 넣어주면 아무 문제 없이 바로 한글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PSX 게임의 호환성을 위해 Popsloader가 처음 발표되었습니다.
CFW 3.52 M33-3 (2007년 8월 19일 발표)
- CPU Speed에 75/133 Mhz 추가
- 리커버리 모드에서 USB로 flash2/3 연결 가능
- XMB에서 USB 연결시 연결되는 장치를 변경 가능 : 메모리스틱 / flash0 / flash1 / flash2 / flash3 / UMD
- XMB의 VSHmenu 추가
- UMD 비디오 ISO의 재생 지원
- Popsloader 변경 : 펌웨어 3.30 추가 지원
XMB에서 메모리스틱뿐만이 아니라 flash 영역이나 UMD를 USB로 연결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보유한 UMD를 ISO로 덤프할 때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죠. 또 VSHmenu가 처음 등장했으며, 이를 이용해서 비디오 UMD를 ISO로 덤프한 뒤 메모리스틱에 저장해서 재생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이 당시 야구X라는 UMD 비디오의 불법 자료가 많이 돌아다녔습니다.
CFW 3.52 M33-4 (2007년 8월 21일 발표)
- XMB의 USB 연결을 통해 flash 영역에 파일 쓰기를 할 경우 CRC 에러가 발생하는 버그 수정
- 리커버리 모드의 CPU SPEED에 빠져있던 클럭 추가
- Popsloader 변경 : 펌웨어 3.10 / 3.11 추가 지원
---------------------------------------------------------------------------------------------------------------------------------------------
CFW 3.60 M33 (2007년 9월 10일 발표)
- 신형 PSP(PSP-2000)에 설치할 수 있는 최초의 커펌 (단, 구형 PSP는 설치 불가)
신형 PSP가 발매된 후 커펌 설치는 불가능한 것처럼 여겨졌지만 결국 M33팀에서 신형 PSP 전용의 커펌 3.60 M33을 발표했습니다. 신형 PSP의 탑재 펌웨어인 3.60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기존과는 다르게 반드시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해야만 설치가 가능했고, 1.50 커널이 완전히 배제되는 등 이전 커펌과는 큰 차이를 보입니다. 사실 커펌 3.60 M33은 신형 PSP에도 커펌 설치가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줄 뿐 이후에 나오는 커펌 3.71 M33를 위한 테스트 버전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구형 PSP는 커펌 3.60의 설치가 불가능합니다.
---------------------------------------------------------------------------------------------------------------------------------------------
CFW 3.71 M33-1 (2007년 9월 23일 발표)
- 정펌 3.71 기능 사용 가능
- VSHmenu의 단축키가 홈버튼에서 셀렉트버튼으로 변경됨
- 신형 PSP에서 모든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변경됨
- 이제 1.50 커널로부터 독립된 3.xx커널의 IPL을 사용함
- 커펌에서 더 이상 1.50 커널을 지원하지 않게 됨 (구형 PSP 사용자는 1.50 커널 애드온을 설치하면 사용 가능)
구형과 신형 모든 PSP에서 커펌을 설치하기 위해 기존 [펌웨어 1.50 + 최신 펌웨어 조합]으로 이루어지던 방식을 버리고 커펌 3.71부터는 1.50 커널을 전혀 사용하지 않게 됩니다. 정펌 3.71에 약간의 파일을 패치한 뒤 손휘의 공식 업데이터를 이용해 설치되며, 이 방법은 현재까지 계속 유지되고 있습니다. 구형 PSP는 1.50 커널 애드온을 추가 설치해서 1.50 커널 사용이 가능했지만 신형 PSP는 하드웨어상 여전히 1.50 커널의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이후로 1.50 커널이 주류를 이루던 홈브류/플러그인들이 3.xx 커널용으로만 발표되거나 변환되어 나오게 되었고, 현재는 1.50 커널을 사용할 일이 손에 꼽을 정도가 되었습니다.
CFW 3.71 M33-2 (2007년 10월 2일 발표)
- USB를 통해 flash 접속시 32256바이트 이상의 파일 쓰기를 할 때 발생하는 오류 수정
- 신형 PSP에서 USB 케이블 연결시 배터리 충전 기능 추가
- ms0:/PSP/GAME/UPDATE/ 폴더의 프로그램은 언제나 3.71 커널로 실행됨
- VSHmenu는 키보드를 사용중일 경우 실행되지 않으며, VSHmenu에 PSP 재부팅 기능 추가됨
- 리커버리 모드에서 더 이상 VSH용 플러그인이 동작하지 않게 됨
CFW 3.71 M33-3 (2007년 11월 8일 발표)
- USB를 통해 flash에 접속할 때의 버그 수정됨.
- No-UMD 모드중 M33 Driver 수정 : 홈버트으로 게임 종료시 문제 수정 / 호환성 문제 수정
- 신형 PSP에서 TV 아웃 사용시 VSHmenu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문제 수정
- Popsloader의 새로운 버전 포함
CFW 3.71 M33-4 (2007년 12월 12일 발표)
- PSN에서 구입한 PSX 게임이 구동되지 않는 문제 수정
- Popstation_md 툴을 통해 변환한 멀티디스크 PSX 게임의 구동 가능
- Popsloader의 문제 수정 : 사운드 관련 버그 수정 / 멀티디스크로 변환된 PSX 게임의 구동 지원
여러 장의 디스크로 이루어진 PSX 게임의 경우 디스크 교체에 애를 먹었는데, 이번 업데이트부터는 PSX 게임의 멀티디스크 변환을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PSX 메뉴를 통해서 쉽게 디스크 교체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이 기능은 PSN에서 구입하는 멀티디스크 게임을 위한 공식 기능인데, Dark_AleX가 이 기능을 디크립트해서 직접 변환한 PSX 게임에서도 사용 가능하게끔 한 것입니다.
---------------------------------------------------------------------------------------------------------------------------------------------
CFW 3.80 M33-1 (2008년 1월 14일 발표)
- 정펌 3.80 기능 사용 가능
- HEN 코어 변경 : 유저모드의 flash에서 signcheck된 파일을 로드할 수 있음
- 리커버리 모드 변경 : flash1 포맷 후 flash1의 필수 폴더를 생성하게 됨
- http://dark-alex.org/를 통한 커펌의 네트워크 업데이트(Network update) 가능
- 다양한 커널 라이브러리를 위해 Nids resolver 탑재
XMB의 네트워크 업데이트 메뉴를 기존의 정펌 업데이트가 아닌 커펌 업데이트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점점 정펌의 편의성을 흡수해가는 모습을 보여주죠. 하지만 펌웨어 3.80부터는 정펌상의 메모리스틱 관련 모듈이 변경되어 국내 사용자의 경우 한글 사용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ISO 파일이라던지 홈브류에서 인식 가능한 콘텐츠 파일 이름이 한글일 경우 이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 문제가 생긴 것이죠. Dark_AleX가 발표한 fatmsmod 패치를 통해 해결 가능하지만 이 경우 반대로 XMB에서 한글 파일을 인식하지 못하는 부작용이 발생하므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못했습니다. 이 문제는 현재까지 완벽히 해결되지 않고 있어 아쉬운 마음이 드네요.
CFW 3.80 M33-2 (2008년 1월 14일 발표)
- scePowerGetClockFrequency / scePowerGetClockFrequencyInt 간의 문제 수정
- 80*80 픽셀의 아이콘을 가진 PS1게임의 경우 세이브데이터가 드라큘라 아이콘으로 대체되지 않도록 수정
CFW 3.80 M33-3 (2008년 1월 16일 발표)
- PSN NP9660 오리지날 게임에서 플러그인 확인 코드가 일으키던 싱크 문제 수정 (0x80010013 에러 수정)
- Nids resolver에 몇 개의 라이브러리 추가
- 커펌 3.80용 Popsloader 플러그인 사용에 필요한 내부 변경점 추가
CFW 3.80 M33-4 (2008년 1월 16일 발표)
- 메모리스틱을 느리게 하는 galaxy.prx 파일을 이전 버전으로 복구
CFW 3.80 M33-5 (2008년 1월 20일 발표)
- 일부 게임에서 CPU 클럭 설정이 동작하지 않는 문제 수정
- sceKernelLoadExec를 사용해 재시작된 게임에서 CPU 클럭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는 문제 수정
- 리커버리 모드에 게임 메뉴의 PIC0.PNG와 PIC1.PNG를 숨길 수 있는 설정 추가
---------------------------------------------------------------------------------------------------------------------------------------------
CFW 3.90 M33-1 (2008년 1월 31일 발표)
- 정펌 3.90 기능 사용 가능
- No-UMD 중 M33 Driver 설정 후 홈버튼을 이용한 게임 종료시 발생하는 버그 수정
- 커펌 설치시 네트워크를 통해 390.PBP 파일의 다운로드 가능
- 커펌 설치시 L트리거+세모버튼으로 배터리의 잔량 확인과정을 건너뛰는 기능 재삽입
CFW 3.90 M33-2 (2008년 2월 13일 발표)
- 플러그인 로딩 코드의 향상 : 파일시스템 마운트 문제 수정 / 로딩 속도 향상 / 플러그인 등록시 공백 문제 수정
- 리커버리 모드의 Fake region 옵션에 기존에 추가되지 않았던 다른 지역 추가
- 신형 PSP에서 타임머신 IPL을 통해 낸드 부팅이 가능하도록 패치됨 (정펌/ 3.90 M33-2 미만에서는 불가능)
구형 PSP는 문제가 없었지만, 신형 PSP의 경우 이번 업데이트부터 타임머신 IPL의 낸드부팅 기능이 지원되었습니다. 지그킥배터리를 일반배터리처럼 사용하면 편한 점이 많은데 이제야 제대로 사용 가능하게 된 것이죠. (신형 PSP에서는 정펌 또는 커펌 3.90 M33-1 이하의 커펌에서 타임머신 IPL의 낸드부팅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CFW 3.90 M33-3 (2008년 3월 30일 발표)
- No-UMD 모드중 M33 Driver의 호환성 향상
---------------------------------------------------------------------------------------------------------------------------------------------
CFW 4.01 M33-1 (2008년 6월 28일 발표)
- 정펌 4.01 기능 사용 가능
- 카메라 사용시 VSHmenu로 인해 카메라 모드 전환이 불가능한 문제 수정
- 리커버리 모드의 언어 변경 기능 추가
- M33 SDK가 업데이트되었고 PSP-packer tool 발표됨
- 4.01 커널 이상용 홈브류의 설치폴더가 'GAME4XX'로 고정되어, 커펌 변경시 교체할 필요가 없음
CFW 4.01 M33-2 (2008년 6월 29일 발표)
- Nids resolver의 scePowerGetCpuClockFrequency 문제 수정 (커펌 3.80 M33-1에서 발생한 문제와 동일)
- 리커버리 모드의 버그 수정
- 스페인어 리커버리 언어 파일(ms0:/seplugins/es_recovery.txt)의 오타 수정
---------------------------------------------------------------------------------------------------------------------------------------------
CFW 5.00 M33-1 (2008년 10월 17일 발표)
- 정펌 5.00 기능 사용 가능
- XMB에서 CPU 스피드 변경후 액정을 끄면 CPU 스피드가 222Mhz로 리셋되는 버그 수정
CFW 5.00 M33-2 (2008년 10월 22일 발표)
- PSX 게임 구동시 Popcorn 버그 수정
- sctrlKernelSetInit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버그 수정
- M33 네트워크 업데이트가 5.00 M33에서 작동하지 않던 버그 수정
- flash0:/vsh/etc/version.txt 파일에서 버전 정보를 불러오는 기능 추가
- 플러그인 설정 파일의 포맷 변경 : conf.bin 파일 삭제 / 각 플러그인 경로 끝에 0 또는 1로 활성화/비활성화 구분
- 리커버리 모드의 Advanced configuration에 특정 모드의 플러그인 전체의 활성/비활성화 옵션 추가
version.txt 파일 수정을 통해 PSN에서 인식하는 펌웨어 버전의 변경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이용해 펌웨어 5.00 이상을 요구하는 PSN 게임의 다운로드 및 구동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플러그인의 형식이 변경되어 이전보다 플러그인의 활성화/비활성화 설정이 용이하게 되었습니다.
CFW 5.00 M33-3 (2008년 10월 23일 발표)
- 5.00 M33-2에서 몇몇 게임과 홈브류가 작동하지 않는 버그 수정
- PSN의 펌웨어 버전 체크 과정이 자동으로 통과됨
CFW 5.00 M33-4 (2008년 12월 5일 발표)
- UMD/ISO의 CPU 스피드가 새로 발매된 게임에서 제대로 고정되지 않는 문제 수정
- UMD/ISO의 CPU 스피드 설정이 PSN에서 다운로드한 게임에도 적용됨
- M33 업데이트 기능 사용시 잘못 접속되는 libupdown.prx 파일의 문제 수정
- ISO 파일 디스크립터가 드라이버에서 제대로 종료되지 않는 문제 수정
- XMB의 VSHmenu에 셧다운(PSP 종료) 메뉴 추가
CFW 5.00 M33-5 (2009년 1월 20일 발표)
- 메모리스틱의 읽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설정을 리커버리 모드에 추가함
CFW 5.00 M33-6 (2009년 1월 20일 발표)
- 메모리스틱이 없거나 성능이 떨어지는 메모리스틱이 들어있을 경우 PSP가 부팅이 안되는 버그 수정함
커펌 발표 시기를 보면 이전에는 정펌이 새로 발표되자마자 얼마 안 있어 새로운 커펌이 발표되곤 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Dark_AleX도 지쳤는지 큰 변경점이 없는 한 새로운 커펌을 내놓지않겠다고 했으며, 실제로 커펌 5.00 M33-6 발표 후 아직까지 새로운 업데이트나 커펌이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이번 커펌 5.50도 불투명하죠.)
사실 저 위의 변경사항을 보면 알겠지만 더 이상 추가할 기능이 없어보이기도 합니다. 저 역시 앞으로 꼭 추가되었으면 하는 기능은 딱히 떠오르지 않네요. PSP의 커펌은 어디까지나 정펌에 그 기반을 두고 있기때문에 앞으로 정펌이 어떻게 변경되는지가 커펌에도 큰 영향을 주게 됩니다. 한 때 손휘의 정펌을 벗어난 진정한 커스텀 펌웨어를 만들자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현재는 잠잠하네요.
마지막으로 현재까지 발표된 Dark_AleX의 커펌 설치 파일을 모두 받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너무 많아서 모으는데도 한참 걸렸네요.)
'포포츠 백업 + NEW > CFW 공통,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펌의 대표 기능 사용법 정리 (0) | 2010.12.30 |
---|---|
Recovery Flasher v1.6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0) | 2010.12.30 |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3 (0) | 2010.12.30 |
Recovery Flasher v1.5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0) | 2010.12.30 |
Recovery Flasher v1.21 - 반벽돌 복구, 커펌 다운그레이더 (0) | 2010.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3
포포츠 백업 + NEW/CFW 공통,기본
2010. 12. 30. 15:09
이전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2.5를 작성한 뒤로 벌써 1년 이상 시간이 지났고, 또 요즘 들어 관련된 질문이 많은 것 같아 PSP에 커스텀펌웨어를 설치하는 방법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 이 글은 2009년 3월 9일 기준입니다. *
[ 추가사항 ] 2009년 5월 초 ChickHEN의 발표로 인해 커펌 설치 방법이 더 다양해졌습니다. 자신의 PSP 펌웨어 버전이 5.03 이하이고, 커펌 설치가 가능한 기판이라면 ChickHEN을 이용한 커펌 설치 방법을 http://popotz.textcube.com/1156에서 참고해주세요.
이 글은 기본적인 사항만 나열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치법, 사용법, 주의사항 등은 링크된 해당 글의 내용을 반드시 자세히, 꼼꼼하게, 빠짐없이, 세세히, 주의 깊게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정식펌웨어에서 커스텀펌웨어를 처음 설치하는 방법 :::
::: 커스텀펌웨어에서 커스텀펌웨어를 새로 설치하는 방법 :::
위의 내용은 커스텀펌웨어 설치법을 최대한 간단하게 요약해놓은 글이라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을 것 같습니다. 이 경우 블로그 우측의 커스텀펌웨어 카테고리나 판도라의 배터리 카테고리를 참고해주세요.
# 위 실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 이 글은 2009년 3월 9일 기준입니다. *
[ 추가사항 ] 2009년 5월 초 ChickHEN의 발표로 인해 커펌 설치 방법이 더 다양해졌습니다. 자신의 PSP 펌웨어 버전이 5.03 이하이고, 커펌 설치가 가능한 기판이라면 ChickHEN을 이용한 커펌 설치 방법을 http://popotz.textcube.com/1156에서 참고해주세요.
이 글은 기본적인 사항만 나열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치법, 사용법, 주의사항 등은 링크된 해당 글의 내용을 반드시 자세히, 꼼꼼하게, 빠짐없이, 세세히, 주의 깊게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정식펌웨어에서 커스텀펌웨어를 처음 설치하는 방법 :::
구형 PSP (PSP-100X)
현재 PSP가 정식펌웨어 상태라면 특수한 방법을 통해 커스텀펌웨어를 설치해야 합니다. 예전에는 다운그레이더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 방법이므로 판도라의 배터리(지그킥배터리+매직메모리스틱)를 이용하는 방법만 알아보겠습니다.
만약 커펌이 설치되어 있고 지그킥 변환이 가능한 PSP가 따로 있을 경우 http://popotz.textcube.com/963 글을 그대로 따라하면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을 만들 수 있으며 커펌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커펌이 설치된 PSP가 없다면 정펌 상태인 PSP에 커펌을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 외 세세한 사용법 등은 각 해당 글을 읽어보세요.
신형 PSP (PSP-200X)
신형 PSP 역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은 구형 PSP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위의 구형 PSP 내용을 참고하면 됩니다.
단, 제일 나중에 발매되어 TA-088 v3 기판이 탑재된 신형 PSP는 위의 방법으로 커펌 설치가 불가능하며, 아직까지는 커펌을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최신형 PSP (PSP-300X)
최신형 PSP 역시 아직까지는 커펌을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현재 PSP가 정식펌웨어 상태라면 특수한 방법을 통해 커스텀펌웨어를 설치해야 합니다. 예전에는 다운그레이더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 방법이므로 판도라의 배터리(지그킥배터리+매직메모리스틱)를 이용하는 방법만 알아보겠습니다.
판도라의 배터리란?
판도라의 배터리는 특수하게 변환한 배터리(지그킥배터리)와 특수하게 만든 메모리스틱(매직메모리스틱)을 합쳐서 부르는 용어입니다. 이 판도라의 배터리를 이용하면 구형 PSP는 정식펌웨어 버전과 상관없이, 기판과 상관없이 모든 PSP에 커스텀펌웨어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http://popotz.textcube.com/574, http://popotz.textcube.com/1108 글을 참고하세요.
지그킥배터리 만들기
지그킥배터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커펌이 설치된 다른 PSP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또 커펌이 설치되어 있다고 아무 PSP에서나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고 구형 PSP(PSP-100X)나 초기에 발매된 일부의 신형 PSP(PSP-200X)에서만 변환 가능합니다. (조금 더 자세히 말하면 구형 PSP는 모든 기판에서, 신형 PSP는 TA-085 v1 기판에서만 지그킥배터리 변환이 가능합니다.)
* PSP의 기판 확인하기 -> http://popotz.textcube.com/860
* 지그킥 변환 프로그램 모음 -> http://popotz.textcube.com/726
매직메모리스틱 만들기
예전에는 커펌이 설치된 PSP에서만 만들 수 있지만 현재는 PC에 메모리스틱을 연결해서 쉽고 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매직메모리스틱 자체는 커펌된 PSP가 없어도 정펌된 PSP만으로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그킥배터리가 없다면 매직메모리스틱을 만들어도 아무 소용이 없겠죠.
* 커펌된 PSP 없이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메모리스틱 만들기 -> http://popotz.textcube.com/689
* 커펌된 PSP 없이 유니버셜 언브리커 v4 메모리스틱 만들기 -> http://popotz.textcube.com/721
* 커펌된 PSP에서 유니버셜 언브리커 v6 메모리스틱 만들기 -> http://popotz.textcube.com/951
* 커펌된 PSP에서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메모리스틱 만들기 -> http://popotz.textcube.com/1155
판도라의 배터리는 특수하게 변환한 배터리(지그킥배터리)와 특수하게 만든 메모리스틱(매직메모리스틱)을 합쳐서 부르는 용어입니다. 이 판도라의 배터리를 이용하면 구형 PSP는 정식펌웨어 버전과 상관없이, 기판과 상관없이 모든 PSP에 커스텀펌웨어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http://popotz.textcube.com/574, http://popotz.textcube.com/1108 글을 참고하세요.
지그킥배터리 만들기
지그킥배터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커펌이 설치된 다른 PSP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또 커펌이 설치되어 있다고 아무 PSP에서나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고 구형 PSP(PSP-100X)나 초기에 발매된 일부의 신형 PSP(PSP-200X)에서만 변환 가능합니다. (조금 더 자세히 말하면 구형 PSP는 모든 기판에서, 신형 PSP는 TA-085 v1 기판에서만 지그킥배터리 변환이 가능합니다.)
* PSP의 기판 확인하기 -> http://popotz.textcube.com/860
* 지그킥 변환 프로그램 모음 -> http://popotz.textcube.com/726
매직메모리스틱 만들기
예전에는 커펌이 설치된 PSP에서만 만들 수 있지만 현재는 PC에 메모리스틱을 연결해서 쉽고 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매직메모리스틱 자체는 커펌된 PSP가 없어도 정펌된 PSP만으로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그킥배터리가 없다면 매직메모리스틱을 만들어도 아무 소용이 없겠죠.
* 커펌된 PSP 없이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메모리스틱 만들기 -> http://popotz.textcube.com/689
* 커펌된 PSP 없이 유니버셜 언브리커 v4 메모리스틱 만들기 -> http://popotz.textcube.com/721
* 커펌된 PSP에서 유니버셜 언브리커 v6 메모리스틱 만들기 -> http://popotz.textcube.com/951
* 커펌된 PSP에서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메모리스틱 만들기 -> http://popotz.textcube.com/1155
만약 커펌이 설치되어 있고 지그킥 변환이 가능한 PSP가 따로 있을 경우 http://popotz.textcube.com/963 글을 그대로 따라하면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을 만들 수 있으며 커펌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커펌이 설치된 PSP가 없다면 정펌 상태인 PSP에 커펌을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 외 세세한 사용법 등은 각 해당 글을 읽어보세요.
신형 PSP (PSP-200X)
신형 PSP 역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은 구형 PSP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위의 구형 PSP 내용을 참고하면 됩니다.
단, 제일 나중에 발매되어 TA-088 v3 기판이 탑재된 신형 PSP는 위의 방법으로 커펌 설치가 불가능하며, 아직까지는 커펌을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최신형 PSP (PSP-300X)
최신형 PSP 역시 아직까지는 커펌을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 커스텀펌웨어에서 커스텀펌웨어를 새로 설치하는 방법 :::
현재 커펌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커펌 버전이 너무 낮아서 최신 커펌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싶거나 아니면 커펌을 완전히 새로 설치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ark_AleX의 커펌 인스톨러 이용
제일 기본이 되는 방법으로서, Dark_AleX가 새로운 커펌을 발표할 때 배포하는 커펌 인스톨러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커펌 인스톨러 사용시 약간의 제약사항이 있는데, 커펌 3.52 M33-2 이하(커펌 SE, 커펌 OE 등도 포함)에서는 최신 커펌을 바로 설치할 수 없고 반드시 커펌 3.52 M33-3 이상으로 먼저 업데이트를 해주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또 한 가지는, 커펌 인스톨러는 항상 현재 커펌 버전보다 높은 버전의 커펌만 설치할 수 있으며 그보다 낮은 버전의 커펌은 설치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커펌 인스톨러는 누적되어 적용되므로, 만약 현재의 PSP가 커펌 3.52 M33-3 이상이라면 최신 커펌인 커펌 5.00 M33-6을 한 번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판도라의 배터리 이용
위의 '정펌에서 커펌 설치하는 방법'에서 설명한 판도라의 배터리를 이용하면 정펌뿐만 아니라 커펌에서도 쉽게 커펌을 새로 설치하거나 커펌 버전의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또한 만약 커펌 설치 도중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쉽게 복구할 수 있어 위험성은 거의 없다고 봐도 됩니다. 판도라의 배터리를 만드는 방법은 http://popotz.textcube.com/963글을 참고하시고, 그 외 자세한 사항은 판도라의 배터리 카테고리 글들을 읽어보세요.
리커버리 플래셔 이용
Hellcat이라는 개발자가 만든 Recovery Flasher(리커버리 플래셔)라는 홈브류를 사용하면 다양한 커펌 버전을 선택해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의 커펌 버전보다 낮은 버전의 커펌 설치도 가능하며, 오래 전에 나온 초기 커펌(커펌 3.XX OE 등)에서도 귀찮은 과정 없이 바로 최신 커펌의 설치가 가능합니다.
현재 커펌 버전이 3.10 OE인데 최신 커펌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 커펌 5.00 M33인데 커펌 3.71 M33을 다시 설치하고 싶은 경우, PSP가 이상한 것 같아 커펌을 새로 설치하고 싶은 경우 등에는 리커버리 플래셔를 사용하면 됩니다.
단, 커펌 설치시는 언제나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므로 항상 자기 책임하에 사용해주세요.
* 리커버리 플래서 v1.50 설치법/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1071
Dark_AleX의 커펌 인스톨러 이용
제일 기본이 되는 방법으로서, Dark_AleX가 새로운 커펌을 발표할 때 배포하는 커펌 인스톨러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커펌 인스톨러 사용시 약간의 제약사항이 있는데, 커펌 3.52 M33-2 이하(커펌 SE, 커펌 OE 등도 포함)에서는 최신 커펌을 바로 설치할 수 없고 반드시 커펌 3.52 M33-3 이상으로 먼저 업데이트를 해주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또 한 가지는, 커펌 인스톨러는 항상 현재 커펌 버전보다 높은 버전의 커펌만 설치할 수 있으며 그보다 낮은 버전의 커펌은 설치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커펌 인스톨러는 누적되어 적용되므로, 만약 현재의 PSP가 커펌 3.52 M33-3 이상이라면 최신 커펌인 커펌 5.00 M33-6을 한 번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판도라의 배터리 이용
위의 '정펌에서 커펌 설치하는 방법'에서 설명한 판도라의 배터리를 이용하면 정펌뿐만 아니라 커펌에서도 쉽게 커펌을 새로 설치하거나 커펌 버전의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또한 만약 커펌 설치 도중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쉽게 복구할 수 있어 위험성은 거의 없다고 봐도 됩니다. 판도라의 배터리를 만드는 방법은 http://popotz.textcube.com/963글을 참고하시고, 그 외 자세한 사항은 판도라의 배터리 카테고리 글들을 읽어보세요.
리커버리 플래셔 이용
Hellcat이라는 개발자가 만든 Recovery Flasher(리커버리 플래셔)라는 홈브류를 사용하면 다양한 커펌 버전을 선택해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의 커펌 버전보다 낮은 버전의 커펌 설치도 가능하며, 오래 전에 나온 초기 커펌(커펌 3.XX OE 등)에서도 귀찮은 과정 없이 바로 최신 커펌의 설치가 가능합니다.
현재 커펌 버전이 3.10 OE인데 최신 커펌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 커펌 5.00 M33인데 커펌 3.71 M33을 다시 설치하고 싶은 경우, PSP가 이상한 것 같아 커펌을 새로 설치하고 싶은 경우 등에는 리커버리 플래셔를 사용하면 됩니다.
단, 커펌 설치시는 언제나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므로 항상 자기 책임하에 사용해주세요.
* 리커버리 플래서 v1.50 설치법/사용법 -> http://popotz.textcube.com/1071
위의 내용은 커스텀펌웨어 설치법을 최대한 간단하게 요약해놓은 글이라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을 것 같습니다. 이 경우 블로그 우측의 커스텀펌웨어 카테고리나 판도라의 배터리 카테고리를 참고해주세요.
# 위 실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포포츠 백업 + NEW > CFW 공통,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covery Flasher v1.6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0) | 2010.12.30 |
---|---|
PSP 커스텀 펌웨어 변경점 모음 (0) | 2010.12.30 |
Recovery Flasher v1.5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0) | 2010.12.30 |
Recovery Flasher v1.21 - 반벽돌 복구, 커펌 다운그레이더 (0) | 2010.12.30 |
강제 사용자 설정 초기화 방법 (0) | 2010.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Recovery Flasher v1.5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포포츠 백업 + NEW/CFW 공통,기본
2010. 12. 30. 15:09
그다지 글로 쓸만한 새로운 소식이 없어서, 한참 블로그를 쉴 때 빼먹었던 홈브류에 대해 씁니다.
----------------------------------------------------------------------------------------------
Recovery Flasher v1.50은 쉽게 말해 커펌 인스톨러입니다. 물론 리커버리 플래셔 역시 홈브류이므로 이미 커펌이 설치되어 있어야 실행 가능하며, 정펌(펌웨어 1.50 제외)에서는 구동이 불가능합니다.
Dark_AleX가 발표하는 커펌 인스톨러의 경우 커펌 버전별로 인스톨러가 달라지는데 비해서 리커버리 플래셔는 프로그램 하나에서 커펌 3.71 / 3.80 / 3.90 / 4.01 / 5.00 M33을 선택해서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D_A의 커펌 인스톨러의 경우 다운그레이드 설치(커펌 5.00에서 커펌 3.71 설치 등)가 불가능하지만 리커버리 플래셔는 현재의 커펌 버전에 상관없이 거의 대부분의 커펌에서 다른 버전의 커펌 설치가 가능하며, 정식 펌웨어 1.50에서도 커펌 3.52 M33-3을 먼저 설치할 필요없이 최신의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커펌 3.71 M33 이상에서 XMB로 부팅이 안되고 리커버리 모드로만 접속이 가능한 반벽돌이 되었을 경우 리커버리 플래셔를 이용하면 리커버리 모드에서 바로 복구를 하거나 커펌을 새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그 외 지그킥배터리 변환/ 백업 및 복구 기능, 홈브류 구동 등 여러 가지 부가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물론 리커버리 모드에도 들어가지 않는 완전 벽돌인 경우 리커버리 플래셔는 구동할 수 없으며, 또 안전을 위해 커펌 설치나 복구는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하지만, 리커버리 플래셔는 지그킥배터리의 변환이 불가능한 기판일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겠죠. 하지만 언제나 벽돌이 되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으므로 자기 책임하에 사용해주세요.
리커버리 플래셔의 설치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정식 펌웨어 1.50에서의 설치, 커펌에서의 설치, 매직메모리스틱에의 설치입니다.
1. 정식 펌웨어 1.50에서 설치하기
- 위 첨부파일의 'FW1.50' 폴더안에 있는 '%__SCE__rflash', '__SCE__rflash' 2개의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 자신이 설치하려는 커펌 버전에 맞는 정식 펌웨어 파일을 받아 메모리스틱 최상위로 복사합니다.
- 이제 XMB에서 리커버리 플래셔를 구동합니다.
2. 커펌에서 설치하기
- 위 첨부파일의 'RECOVERY'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 자신이 설치하려는 커펌 버전에 맞는 정식 펌웨어 파일을 받아 메모리스틱 최상위로 복사합니다.
- 이제 XMB에서 리커버리 플래셔를 구동합니다.
- 만약 커펌 3.71 M33 이상이라면 리커버리 모드의 'Run program at /PSP...' 메뉴를 통해서도 실행가능합니다. 반벽돌일 경우에는 이 방법으로만 리커버리 플래셔를 실행할 수 있겠죠.
3. 매직메모리스틱(유니버셜 언브리커, DC)에 설치하기
그럼 커펌의 XMB 또는 리커버리 모드에서 리커버리 플래셔를 구동했을 경우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비스 모드에서 실행했을 경우나 구형/신형에서 실행했을 경우 메뉴 구성이 약간 달라질 수 있습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C8cJp20hM.jpg)
리커버리 플래셔를 처음 구동하면 위험이 있으므로 모든 책임은 각자에게 있다는 경고문이 나오게 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EzxbDBHEr.jpg)
리커버리 플래셔의 메인 메뉴 모습입니다. 위에서부터 하나씩 설명하겠습니다.
1. Target FW : X.XX (X to cycle/change)
설치하려는 커펌 버전을 선택합니다. 엑스버튼을 누를때마다 커펌 3.71 M33-4 / 3.80 M3-5 / 3.90 M33-3 / 4.01 M33-2 / 5.00 M33-4로 변경됩니다. 이 메뉴에서 바로 커펌을 설치하는 것은 아니고 설치하려는 커펌 버전만을 결정하는 메뉴입니다. 실제 커펌 설치 시작은 아래 2번 메뉴를 통해 가능합니다.
2. Install M33 CFW (of version selected above)
위에서 선택한 커펌을 실제로 설치하는 메뉴입니다. 이 메뉴 실행시 각 커펌 버전에 맞는 정식 펌웨어 PBP 파일(371.PBP, 380.PBP, 390.PBP, 401.PBP, 500.PBP)이 알맞는 위치에 저장되어 있어야 합니다. 또한 안전을 위해 배터리는 50% 이상 충전되어 있어야 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YeRNNmzGa.jpg)
설치를 실행하면 위처럼 flash1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설정 정보나 리커버리 설정을 유지할지 포맷할지 결정(위에서부터 포맷/유지/설치 취소)합니다. 현재 설치되어 있는 커펌 버전과 설치하려는 커펌 버전이 다른 경우 flash1에서 충돌이 일어날 수 있기때문에 왠만하면 포맷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AwJyZ1T8q.jpg)
이제 설치에 필요한 파일을 확인 후 자동으로 커펌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가 끝난 뒤 아무 버튼이나 누르면 PSP가 종료되고 커펌 설치 과정이 완료됩니다. (PSP 종료가 생각보다 오래 걸리니 참을성있게 기다리세요.)
참고로 5번 메뉴를 통해 미리 스페셜 업데이트 모듈을 추출한 경우 설치 시간이 조금 줄어듭니다.
3. Flash/Restore complete FW from backup
4번 메뉴를 통해 미리 메모리스틱에 백업한 lflash 영역과 IPL을 이용해서 PSP를 복구합니다. idstorage는 건드리지 않기 때문에 같은 백업 자료를 이용해 다른 PSP에서도 복구 가능합니다.
다만, 복구시에는 이에 해당하는 정식 펌웨어의 *.PBP 파일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커펌 5.00에서 백업한 자료를 복구하려면 500.PBP가 따로 필요합니다. (단, 5번 기능을 통해 각 정식 펌웨어의 PBP 파일에서 스페셜 업데이터 모듈을 한 번 추출했다면 필요가 없습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AwJyZ1T8q.jpg)
위처럼 백업 자료의 커펌 버전과 이에 따라 필요한 정식 펌웨어의 PBP 파일을 보여주며, 이 파일이 있을 경우에만 복구가 진행됩니다. 복구가 끝난 뒤 아무 버튼이나 누르면 PSP가 종료되고, 복구 과정이 완료됩니다.
하지만 이 메뉴를 통한 복구는 커펌을 새로 설치하는 것보다 위험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4. Backup Flash content
현재 PSP의 Lflash 영역과 IPL을 ms0:/flash_backup/Backup_XXX' 폴더 안에 개별 파일 형식으로 백업합니다. 3번 메뉴나 6/7/8번 메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 메뉴를 통해 백업 폴더를 만들어야 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K7qBq2xvx.jpg)
이미 이전에 백업한 자료가 존재할 경우에는 위처럼 기존 폴더에 덮어쓸 것인지 새로운 폴더를 만들어 저장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ms0:/flash_backup/ 폴더에 있는 'Backup_XXX' 폴더의 이름은 변경이 가능합니다. 자신이 알아볼 수 있는 폴더 이름으로 변경하면 편리하겠죠. 예를 들어 '3.71M33-4'라던지 '5.00M33-2+theme'라던지 말이죠.
5. Cache special updater modules
위의 3번 메뉴를 통해 이전에 백업한 자료를 이용한 복구할 경우에는 각 백업자료에 해당하는 정식 펌웨어의 *.PBP 파일이 필요하다고 이미 말씀드렸습니다. 하지만 이 메뉴를 통해 각 PBP 파일에서 스페셜 업데이터 모듈을 한 번 추출해두면 더 이상 백업 복구시 PBP 파일이 필요 없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추출한 뒤 메모리스틱 상위에 있는 정식 펌웨어의 PBP 파일을 삭제해서 메모리스틱의 용량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 2번 메뉴를 통해 커펌을 새로 설치할 경우에는 설치 속도가 조금 더 빨라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커펌을 새로 설치할 때에는 메모리스틱 상위에 정식 펌웨어의 PBP 파일이 여전히 필요하므로 삭제하면 안 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TQWomlPHK.jpg)
이 메뉴를 실행하면 위처럼 메모리스틱 상위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PBP 파일로부터 스페셜 업데이트 모듈을 추출합니다. 메모리스틱을 변경하지 않는 한 한 번만 추출해두면 계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6. Restore: XMB theme related files
4번 메뉴에서 백업한 자료에서 테마와 관련된 flash0:/VSH/Resource/ 폴더만을 복구합니다. 단, 커펌 버전이 다를 경우 호환이 되지 않아 벽돌이 될 수도 있으므로 현재 커펌 버전과 백업 자료의 커펌 버전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그냥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7. Restore: Settings
4번 메뉴에서 백업한 자료에서 사용자 설정 정보나 리커버리 설정 등을 담고 있는 flash1:/ 만을 복구합니다. 대부분의 버전에서 호환되지만 커펌 버전이 다를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역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강제 사용자 정보 초기화 기능을 통해 flash1을 포맷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8. Restore : PSN Store activation
4번 메뉴에서 백업한 자료에서 PSN 인증과 관련된 flash2:/act.dat 파일을 복구합니다.
9. Launch another app from /PSP/GAME...
ms0:/PSP/GAME/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홈브류 목록을 불러와 실행합니다.
반벽돌이 되어 어쩔 수 없이 리커버리 모드에서 리커버리 플래셔를 구동한 경우 유용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10. Make NAND dump
현재 PSP의 낸드플래시를 백업파일로 작성합니다. 백업된 낸드덤프는 ms0:/nand-dump.bin 파일로 저장되는데, 기존의 DC나 낸드툴과 호환되는 낸드덤프 파일입니다.
이 낸드백업은 4번 메뉴의 리커버리 플래셔 자체 백업과는 형식과 종류가 다르며, DC 또는 낸드툴 등이 설치된 매직메모리스틱이나 리커버리 플래셔의 어드밴스드 모드에서만 복구 가능하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11. Make the battery a PANDORA/NORMAL one
현재 PSP의 기판이 지그킥배터리 변환을 지원하는 경우에만 간단하게 지그킥배터리 변환/복구가 가능합니다.
현재 지그킥배터리 변환이 가능한 기판은 구형은 모든 기판, 신형일 경우 TA-085 v1 기판뿐이며 그 외의 기판은 이 메뉴의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자신의 자세한 기판을 알고 싶다면 http://popotz.textcube.com/860 참고하세요.
12. EXIT
리커버리 플래셔를 종료합니다.
리커버리 플래셔에는 어드밴스드 모드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일반 모드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몇 가지 추가 메뉴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드입니다.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Recovery Flasher v1.50은 쉽게 말해 커펌 인스톨러입니다. 물론 리커버리 플래셔 역시 홈브류이므로 이미 커펌이 설치되어 있어야 실행 가능하며, 정펌(펌웨어 1.50 제외)에서는 구동이 불가능합니다.
Dark_AleX가 발표하는 커펌 인스톨러의 경우 커펌 버전별로 인스톨러가 달라지는데 비해서 리커버리 플래셔는 프로그램 하나에서 커펌 3.71 / 3.80 / 3.90 / 4.01 / 5.00 M33을 선택해서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D_A의 커펌 인스톨러의 경우 다운그레이드 설치(커펌 5.00에서 커펌 3.71 설치 등)가 불가능하지만 리커버리 플래셔는 현재의 커펌 버전에 상관없이 거의 대부분의 커펌에서 다른 버전의 커펌 설치가 가능하며, 정식 펌웨어 1.50에서도 커펌 3.52 M33-3을 먼저 설치할 필요없이 최신의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커펌 3.71 M33 이상에서 XMB로 부팅이 안되고 리커버리 모드로만 접속이 가능한 반벽돌이 되었을 경우 리커버리 플래셔를 이용하면 리커버리 모드에서 바로 복구를 하거나 커펌을 새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그 외 지그킥배터리 변환/ 백업 및 복구 기능, 홈브류 구동 등 여러 가지 부가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물론 리커버리 모드에도 들어가지 않는 완전 벽돌인 경우 리커버리 플래셔는 구동할 수 없으며, 또 안전을 위해 커펌 설치나 복구는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하지만, 리커버리 플래셔는 지그킥배터리의 변환이 불가능한 기판일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겠죠. 하지만 언제나 벽돌이 되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으므로 자기 책임하에 사용해주세요.
*** 아래의 과정 진행중 발생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Recovery Flasher v1.50 설치법/실행법 열기
리커버리 플래셔의 설치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정식 펌웨어 1.50에서의 설치, 커펌에서의 설치, 매직메모리스틱에의 설치입니다.
1. 정식 펌웨어 1.50에서 설치하기
- 위 첨부파일의 'FW1.50' 폴더안에 있는 '%__SCE__rflash', '__SCE__rflash' 2개의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 자신이 설치하려는 커펌 버전에 맞는 정식 펌웨어 파일을 받아 메모리스틱 최상위로 복사합니다.
- 이제 XMB에서 리커버리 플래셔를 구동합니다.
2. 커펌에서 설치하기
- 위 첨부파일의 'RECOVERY'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 자신이 설치하려는 커펌 버전에 맞는 정식 펌웨어 파일을 받아 메모리스틱 최상위로 복사합니다.
- 이제 XMB에서 리커버리 플래셔를 구동합니다.
- 만약 커펌 3.71 M33 이상이라면 리커버리 모드의 'Run program at /PSP...' 메뉴를 통해서도 실행가능합니다. 반벽돌일 경우에는 이 방법으로만 리커버리 플래셔를 실행할 수 있겠죠.
3. 매직메모리스틱(유니버셜 언브리커, DC)에 설치하기
매직메모리스틱 종류가 많은 만큼 설치법도 여러 가지입니다. 또 서비스 모드에서 리커버리 플래셔를 구동했을 경우에는 커펌 설치 기능 외에 다른 몇 가지 부가 기능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1) ELF Menu 또는 낸드툴에 설치하기
- 위 첨부파일의 /Pandora/rflash.elf 파일을 ms0:/ELF/ 폴더로 복사합니다.
- 또한 첨부파일의 /RECOVERY/EBOOT.PBP 파일도 ms0:/ELF/ 폴더로 복사합니다.
- 자신이 설치하려는 커펌 버전에 맞는 정식 펌웨어 파일을 받아 역시 ms0:/ELF/ 폴더로 복사합니다.
- 이제 ELF Menu나 낸드툴의 ELF 메뉴를 통해 rflash.elf 파일을 실행하면 리커버리 플래셔가 구동됩니다.
2) 유니버셜 언브리커 v1 ~ v5(DC v1 ~ DC v5)에 설치하기
- DC v1 ~ v5가 설치된 매직메모리스틱을 준비합니다.
- 첨부파일의 /Pandora/rflash.elf 파일명을 'resurrection.prx'로 변경하고 ms0:/kd/ 폴더에 덮어씁니다.
- 또한 첨부파일의 /RECOVERY/EBOOT.PBP 파일도 ms0:/kd/ 폴더로 복사합니다.
- 자신이 설치하려는 커펌 버전에 맞는 정식 펌웨어 파일을 받아 역시 ms0:/kd/ 폴더로 복사합니다.
- 이제 보통대로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해 DC v1 ~ DC v5를 실행하면 기존의 유니버셜 언브리커 메뉴 대신 리커버리 플래셔가 구동됩니다.
3) 유비버셜 언브리커 v7 (DC v7)에 설치하기
- 메모리스틱에 유니버셜 언브리커 v7을 설치합니다.
- ms0:/TM/DC7/kd/ 폴더에 있는 'resurrection.prx' 파일의 이름을 'ddc.prx'로 변경합니다.
- 첨부파일의 /Pandora/resurrection.prx 파일을 ms0:/TM/DC7/kd/ 폴더에 덮어씁니다.
- 첨부파일의 'RECOVERY'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 자신이 설치하려는 커펌 버전에 맞는 정식 펌웨어 파일을 메모리스틱 최상위로 복사합니다.
- 이제 보통대로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해 DC v7을 실행하면 원래의 메뉴 대신 리커버리 플래셔가 구동됩니다. 리커버리 플래셔에서 'Go to original DDC menu' 메뉴를 선택하면 원래의 DC v7 메뉴가 실행됩니다.
1) ELF Menu 또는 낸드툴에 설치하기
- 위 첨부파일의 /Pandora/rflash.elf 파일을 ms0:/ELF/ 폴더로 복사합니다.
- 또한 첨부파일의 /RECOVERY/EBOOT.PBP 파일도 ms0:/ELF/ 폴더로 복사합니다.
- 자신이 설치하려는 커펌 버전에 맞는 정식 펌웨어 파일을 받아 역시 ms0:/ELF/ 폴더로 복사합니다.
- 이제 ELF Menu나 낸드툴의 ELF 메뉴를 통해 rflash.elf 파일을 실행하면 리커버리 플래셔가 구동됩니다.
2) 유니버셜 언브리커 v1 ~ v5(DC v1 ~ DC v5)에 설치하기
- DC v1 ~ v5가 설치된 매직메모리스틱을 준비합니다.
- 첨부파일의 /Pandora/rflash.elf 파일명을 'resurrection.prx'로 변경하고 ms0:/kd/ 폴더에 덮어씁니다.
- 또한 첨부파일의 /RECOVERY/EBOOT.PBP 파일도 ms0:/kd/ 폴더로 복사합니다.
- 자신이 설치하려는 커펌 버전에 맞는 정식 펌웨어 파일을 받아 역시 ms0:/kd/ 폴더로 복사합니다.
- 이제 보통대로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해 DC v1 ~ DC v5를 실행하면 기존의 유니버셜 언브리커 메뉴 대신 리커버리 플래셔가 구동됩니다.
3) 유비버셜 언브리커 v7 (DC v7)에 설치하기
- 메모리스틱에 유니버셜 언브리커 v7을 설치합니다.
- ms0:/TM/DC7/kd/ 폴더에 있는 'resurrection.prx' 파일의 이름을 'ddc.prx'로 변경합니다.
- 첨부파일의 /Pandora/resurrection.prx 파일을 ms0:/TM/DC7/kd/ 폴더에 덮어씁니다.
- 첨부파일의 'RECOVERY'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 자신이 설치하려는 커펌 버전에 맞는 정식 펌웨어 파일을 메모리스틱 최상위로 복사합니다.
- 이제 보통대로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해 DC v7을 실행하면 원래의 메뉴 대신 리커버리 플래셔가 구동됩니다. 리커버리 플래셔에서 'Go to original DDC menu' 메뉴를 선택하면 원래의 DC v7 메뉴가 실행됩니다.
그럼 커펌의 XMB 또는 리커버리 모드에서 리커버리 플래셔를 구동했을 경우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비스 모드에서 실행했을 경우나 구형/신형에서 실행했을 경우 메뉴 구성이 약간 달라질 수 있습니다.
Recovery Flasher v1.50 사용법 열기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C8cJp20hM.jpg)
리커버리 플래셔를 처음 구동하면 위험이 있으므로 모든 책임은 각자에게 있다는 경고문이 나오게 됩니다.
- 동의하지 않는다. -> 프로그램이 종료됩니다.
- 동의한다. 또 리커버리 플래셔를 매번 실행할 때마다 이 화면을 보여달라.
- 동의한다. 다음에 리커버리 플래셔를 실행할 때에는 이 화면을 보여주지 말아달라.
이므로 원하는 항목을 엑스버튼으로 선택합니다.- 동의한다. 또 리커버리 플래셔를 매번 실행할 때마다 이 화면을 보여달라.
- 동의한다. 다음에 리커버리 플래셔를 실행할 때에는 이 화면을 보여주지 말아달라.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EzxbDBHEr.jpg)
리커버리 플래셔의 메인 메뉴 모습입니다. 위에서부터 하나씩 설명하겠습니다.
1. Target FW : X.XX (X to cycle/change)
설치하려는 커펌 버전을 선택합니다. 엑스버튼을 누를때마다 커펌 3.71 M33-4 / 3.80 M3-5 / 3.90 M33-3 / 4.01 M33-2 / 5.00 M33-4로 변경됩니다. 이 메뉴에서 바로 커펌을 설치하는 것은 아니고 설치하려는 커펌 버전만을 결정하는 메뉴입니다. 실제 커펌 설치 시작은 아래 2번 메뉴를 통해 가능합니다.
2. Install M33 CFW (of version selected above)
위에서 선택한 커펌을 실제로 설치하는 메뉴입니다. 이 메뉴 실행시 각 커펌 버전에 맞는 정식 펌웨어 PBP 파일(371.PBP, 380.PBP, 390.PBP, 401.PBP, 500.PBP)이 알맞는 위치에 저장되어 있어야 합니다. 또한 안전을 위해 배터리는 50% 이상 충전되어 있어야 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YeRNNmzGa.jpg)
설치를 실행하면 위처럼 flash1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설정 정보나 리커버리 설정을 유지할지 포맷할지 결정(위에서부터 포맷/유지/설치 취소)합니다. 현재 설치되어 있는 커펌 버전과 설치하려는 커펌 버전이 다른 경우 flash1에서 충돌이 일어날 수 있기때문에 왠만하면 포맷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AwJyZ1T8q.jpg)
이제 설치에 필요한 파일을 확인 후 자동으로 커펌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가 끝난 뒤 아무 버튼이나 누르면 PSP가 종료되고 커펌 설치 과정이 완료됩니다. (PSP 종료가 생각보다 오래 걸리니 참을성있게 기다리세요.)
참고로 5번 메뉴를 통해 미리 스페셜 업데이트 모듈을 추출한 경우 설치 시간이 조금 줄어듭니다.
3. Flash/Restore complete FW from backup
4번 메뉴를 통해 미리 메모리스틱에 백업한 lflash 영역과 IPL을 이용해서 PSP를 복구합니다. idstorage는 건드리지 않기 때문에 같은 백업 자료를 이용해 다른 PSP에서도 복구 가능합니다.
다만, 복구시에는 이에 해당하는 정식 펌웨어의 *.PBP 파일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커펌 5.00에서 백업한 자료를 복구하려면 500.PBP가 따로 필요합니다. (단, 5번 기능을 통해 각 정식 펌웨어의 PBP 파일에서 스페셜 업데이터 모듈을 한 번 추출했다면 필요가 없습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AwJyZ1T8q.jpg)
위처럼 백업 자료의 커펌 버전과 이에 따라 필요한 정식 펌웨어의 PBP 파일을 보여주며, 이 파일이 있을 경우에만 복구가 진행됩니다. 복구가 끝난 뒤 아무 버튼이나 누르면 PSP가 종료되고, 복구 과정이 완료됩니다.
하지만 이 메뉴를 통한 복구는 커펌을 새로 설치하는 것보다 위험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4. Backup Flash content
현재 PSP의 Lflash 영역과 IPL을 ms0:/flash_backup/Backup_XXX' 폴더 안에 개별 파일 형식으로 백업합니다. 3번 메뉴나 6/7/8번 메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 메뉴를 통해 백업 폴더를 만들어야 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K7qBq2xvx.jpg)
이미 이전에 백업한 자료가 존재할 경우에는 위처럼 기존 폴더에 덮어쓸 것인지 새로운 폴더를 만들어 저장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ms0:/flash_backup/ 폴더에 있는 'Backup_XXX' 폴더의 이름은 변경이 가능합니다. 자신이 알아볼 수 있는 폴더 이름으로 변경하면 편리하겠죠. 예를 들어 '3.71M33-4'라던지 '5.00M33-2+theme'라던지 말이죠.
5. Cache special updater modules
위의 3번 메뉴를 통해 이전에 백업한 자료를 이용한 복구할 경우에는 각 백업자료에 해당하는 정식 펌웨어의 *.PBP 파일이 필요하다고 이미 말씀드렸습니다. 하지만 이 메뉴를 통해 각 PBP 파일에서 스페셜 업데이터 모듈을 한 번 추출해두면 더 이상 백업 복구시 PBP 파일이 필요 없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추출한 뒤 메모리스틱 상위에 있는 정식 펌웨어의 PBP 파일을 삭제해서 메모리스틱의 용량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 2번 메뉴를 통해 커펌을 새로 설치할 경우에는 설치 속도가 조금 더 빨라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커펌을 새로 설치할 때에는 메모리스틱 상위에 정식 펌웨어의 PBP 파일이 여전히 필요하므로 삭제하면 안 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TQWomlPHK.jpg)
이 메뉴를 실행하면 위처럼 메모리스틱 상위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PBP 파일로부터 스페셜 업데이트 모듈을 추출합니다. 메모리스틱을 변경하지 않는 한 한 번만 추출해두면 계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6. Restore: XMB theme related files
4번 메뉴에서 백업한 자료에서 테마와 관련된 flash0:/VSH/Resource/ 폴더만을 복구합니다. 단, 커펌 버전이 다를 경우 호환이 되지 않아 벽돌이 될 수도 있으므로 현재 커펌 버전과 백업 자료의 커펌 버전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그냥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7. Restore: Settings
4번 메뉴에서 백업한 자료에서 사용자 설정 정보나 리커버리 설정 등을 담고 있는 flash1:/ 만을 복구합니다. 대부분의 버전에서 호환되지만 커펌 버전이 다를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역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강제 사용자 정보 초기화 기능을 통해 flash1을 포맷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8. Restore : PSN Store activation
4번 메뉴에서 백업한 자료에서 PSN 인증과 관련된 flash2:/act.dat 파일을 복구합니다.
9. Launch another app from /PSP/GAME...
ms0:/PSP/GAME/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홈브류 목록을 불러와 실행합니다.
반벽돌이 되어 어쩔 수 없이 리커버리 모드에서 리커버리 플래셔를 구동한 경우 유용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10. Make NAND dump
현재 PSP의 낸드플래시를 백업파일로 작성합니다. 백업된 낸드덤프는 ms0:/nand-dump.bin 파일로 저장되는데, 기존의 DC나 낸드툴과 호환되는 낸드덤프 파일입니다.
이 낸드백업은 4번 메뉴의 리커버리 플래셔 자체 백업과는 형식과 종류가 다르며, DC 또는 낸드툴 등이 설치된 매직메모리스틱이나 리커버리 플래셔의 어드밴스드 모드에서만 복구 가능하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11. Make the battery a PANDORA/NORMAL one
현재 PSP의 기판이 지그킥배터리 변환을 지원하는 경우에만 간단하게 지그킥배터리 변환/복구가 가능합니다.
현재 지그킥배터리 변환이 가능한 기판은 구형은 모든 기판, 신형일 경우 TA-085 v1 기판뿐이며 그 외의 기판은 이 메뉴의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자신의 자세한 기판을 알고 싶다면 http://popotz.textcube.com/860 참고하세요.
12. EXIT
리커버리 플래셔를 종료합니다.
리커버리 플래셔에는 어드밴스드 모드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일반 모드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몇 가지 추가 메뉴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드입니다.
Recovery Flasher v1.50 어드밴스드 모드
리커버리 플래셔가 구동되고 Loading 메세지가 나올 때 재빨리 L트리거 + R트리거 + 셀렉트버튼을 동시에 누릅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FGv2ESfh1.jpg)
그러면 잠시 후 위와 같은 어드밴스드 모드가 실행됩니다. 각 메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는 분들만 사용하라는 경고 메세지가 나오는데, 지식이 많이 있고 지그킥배터리 등을 가지고 있다면 'Yes!' 메뉴를 엑스버튼으로 선택해 어드밴스드 모드를 실행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WHl4e2S6I.jpg)
어드밴스드 모드의 메인 메뉴입니다. 원래의 메인 메뉴와 달라진 점은 2가지 정도입니다.
1. Install clean ORIGINAL FW (DANGEROUS!!!)
PSP에 커펌이 아닌 정식 펌웨어 3.71/3.80/3.90/4.01/5.00을 설치합니다.
제일 위의 Target FW 메뉴를 통해 설치하려는 펌웨어 버전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설치시 메모리스틱 상위에 정식펌웨어의 PBP 파일(371.PBP, 380.PBP, 390.PBP, 401.PBP, 500.PBP)이 필요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Tg3tqQldQ.jpg)
설치를 선택하면 다시 한 번 경고문구가 나오게 됩니다. 정식 펌웨어 설치시 더 이상 홈브류 구동이 불가능하며, 다시 커펌을 설치하려면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2. NAND Dump Options...
원래의 'Make NAND Dump' 메뉴가 어드밴스드 모드에서는 'NAND Dump Options...' 메뉴로 변경됩니다.
보통 모드에서는 낸드덤프 파일(ms0:/nand-dump.bin)의 생성만 가능했지만 어드밴스드 모드에서는 낸드덤프 파일의 생성/복구가 모두 가능합니다.
이 낸드백업은 4번 메뉴의 리커버리 플래셔 자체 백업과는 형식과 종류가 다르며, DC 또는 낸드툴 등이 설치된 매직메모리스틱이나 리커버리 플래셔의 어드밴스드 모드에서만 복구 가능하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그 외의 메뉴는 어드밴스드 모드나 일반 모드나 동일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FGv2ESfh1.jpg)
그러면 잠시 후 위와 같은 어드밴스드 모드가 실행됩니다. 각 메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는 분들만 사용하라는 경고 메세지가 나오는데, 지식이 많이 있고 지그킥배터리 등을 가지고 있다면 'Yes!' 메뉴를 엑스버튼으로 선택해 어드밴스드 모드를 실행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WHl4e2S6I.jpg)
어드밴스드 모드의 메인 메뉴입니다. 원래의 메인 메뉴와 달라진 점은 2가지 정도입니다.
1. Install clean ORIGINAL FW (DANGEROUS!!!)
PSP에 커펌이 아닌 정식 펌웨어 3.71/3.80/3.90/4.01/5.00을 설치합니다.
제일 위의 Target FW 메뉴를 통해 설치하려는 펌웨어 버전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설치시 메모리스틱 상위에 정식펌웨어의 PBP 파일(371.PBP, 380.PBP, 390.PBP, 401.PBP, 500.PBP)이 필요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Tg3tqQldQ.jpg)
설치를 선택하면 다시 한 번 경고문구가 나오게 됩니다. 정식 펌웨어 설치시 더 이상 홈브류 구동이 불가능하며, 다시 커펌을 설치하려면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2. NAND Dump Options...
원래의 'Make NAND Dump' 메뉴가 어드밴스드 모드에서는 'NAND Dump Options...' 메뉴로 변경됩니다.
보통 모드에서는 낸드덤프 파일(ms0:/nand-dump.bin)의 생성만 가능했지만 어드밴스드 모드에서는 낸드덤프 파일의 생성/복구가 모두 가능합니다.
이 낸드백업은 4번 메뉴의 리커버리 플래셔 자체 백업과는 형식과 종류가 다르며, DC 또는 낸드툴 등이 설치된 매직메모리스틱이나 리커버리 플래셔의 어드밴스드 모드에서만 복구 가능하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R70pFQYBw.jpg)
Dump NAND to file : PSP의 LFlash, IPL, idstorage 영역을 ms0:/nand-dump.bin 파일로 덤프합니다.
Restore LFlash (FW partitions) from dump : 위 메뉴를 통해 백업한 낸드덤프 파일에서 LFlash 영역만을 복구합니다. 단, 현재 PSP의 커펌 버전과 복구하려는 낸드덤프 파일의 커펌 버전이 다를 경우 부팅이 안되는 벽돌이 되므로 바로 아래의 IPL 복구 메뉴를 통해 IPL까지 복구를 해주어야 합니다.
Restore IPL from dump : 백업한 낸드덤프 파일에서 IPL 영역만으로 복구합니다. 역시 현재 설치된 커펌 버전과 낸드덤프 파일의 커펌 버전이 다를 경우 벽돌이 되므로 LFlash 영역의 복구도 반드시 같이 해주어야 합니다.
Restore complete NAND image form dump : 낸드덤프 파일 전체를 모두 복구합니다. 이 경우 PSP의 고유값이 저장되어 있는 idstorage 영역까지 복구되므로 다른 PSP에서 백업한 낸드덤프 파일은 절대 복구에 사용하면 안 됩니다.
Restore LFlash (FW partitions) from dump : 위 메뉴를 통해 백업한 낸드덤프 파일에서 LFlash 영역만을 복구합니다. 단, 현재 PSP의 커펌 버전과 복구하려는 낸드덤프 파일의 커펌 버전이 다를 경우 부팅이 안되는 벽돌이 되므로 바로 아래의 IPL 복구 메뉴를 통해 IPL까지 복구를 해주어야 합니다.
Restore IPL from dump : 백업한 낸드덤프 파일에서 IPL 영역만으로 복구합니다. 역시 현재 설치된 커펌 버전과 낸드덤프 파일의 커펌 버전이 다를 경우 벽돌이 되므로 LFlash 영역의 복구도 반드시 같이 해주어야 합니다.
Restore complete NAND image form dump : 낸드덤프 파일 전체를 모두 복구합니다. 이 경우 PSP의 고유값이 저장되어 있는 idstorage 영역까지 복구되므로 다른 PSP에서 백업한 낸드덤프 파일은 절대 복구에 사용하면 안 됩니다.
그 외의 메뉴는 어드밴스드 모드나 일반 모드나 동일합니다.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포포츠 백업 + NEW > CFW 공통,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P 커스텀 펌웨어 변경점 모음 (0) | 2010.12.30 |
---|---|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3 (0) | 2010.12.30 |
Recovery Flasher v1.21 - 반벽돌 복구, 커펌 다운그레이더 (0) | 2010.12.30 |
강제 사용자 설정 초기화 방법 (0) | 2010.12.30 |
Flash0 숨김 폴더 보기 및 남은용량 확보 (0) | 2010.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Recovery Flasher v1.21 - 반벽돌 복구, 커펌 다운그레이더
포포츠 백업 + NEW/CFW 공통,기본
2010. 12. 30. 15:08
3.xx 커널용 판도라 인스톨러의 개발자 Hellcat이 Recovery Flasher라는 홈브류를 발표했습니다. [출처가기]
이전 커펌 3.52까지는 리커버리 모드의 Run program at... 기능을 통해 쉽게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하거나 커펌 재설치가 가능했습니다. 그래서 부팅이 안되도 리커버리 모드만 들어갈 수 있으면 복구가 쉽게 가능했죠.
하지만 커펌 3.71 M33 이후 구형/신형 공통 커펌이 되고, 리커버리 모드가 3.xx 커널용이 되면서 이 기능은 더 이상 사용이 불가능했습니다. 그래서 반벽돌이 되도 복구가 쉽지 않았으며, 커펌을 한 번 올리면 내리는 것도 쉽지 않았죠.
(물론 판도라 관련 프로그램이 나오면서 현재는 반벽돌뿐만 아니라 벽돌까지도 복구가 가능하게 되었지만, 아직까지도 판도라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게다가 배터리 변환이 안되는 기판까지 등장했으니...)
하지만 이번에 나온 Recovery Flasher는 지그킥배터리나 매직 메모리스틱 등은 일체 필요없이, 커펌 자체의 기능만으로 반벽돌(부팅은 안되고 리커버리 모드에만 접속 가능한 상태)의 복구나 상위 버전의 커펌에서 커펌 3.71로 다운그레이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추가사항 ] Recovery Flasher가 v1.20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 추가사항 ] v1.21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이번 버전은 펌웨어 파일(371.PBP, 401.PBP)을 기존처럼 /RECOVERY/ 폴더가 아닌 메모리스틱 상위에 넣어도 동작하도록 변경된 것 외에 다른 변경점은 없습니다.
이 홈브류의 특징을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면...(업데이트)
* Download : 공식 펌웨어 3.71
* Download : 공식 펌웨어 4.01
[ 설치법 ] - 리커버리 모드 / XMB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1. 위의 Recovery Flasher를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RECOVERY'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1. 커펌 3.71 M33-4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3.7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37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PSP/GAME/RECOVERY/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2-2. 커펌 4.01 M33-2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4.0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40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PSP/GAME/RECOVERY/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3. 설치 끝~
[ 사용법 ] - 리커버리 모드 / XMB에서 실행한 경우
[ 설치법 / 사용법 ] - ELF MENU / NAND TOOL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1. 위의 Recovery Flasher를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 'PANDORA' 폴더에 있는 'rflash.elf' 파일을 ELF MENU나 NANDTOOL이 설치되어 있는 메모리스틱의 ms0:/ELF/ 폴더로 복사합니다.
2. 첨부파일의 'RECOVERY' 폴더에 있는 'EBOOT.PBP' 파일도 메모리스틱의 ms0:/ELF/ 폴더로 복사합니다.
3-1. 커펌 3.71 M33-4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3.7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37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ELF/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3-2. 커펌 4.01 M33-2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4.0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40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ELF/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4.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해 ELF MENU나 NANDTOOL을 실행하고 해당 ELF를 선택해 실행하면 Recovery Flasher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5. 사용법은 위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단, 이 경우 백업과 복구 기능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설치법 / 사용법 ] - 유니버셜 언브리커 v1~v4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1. 위의 Recovery Flasher를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 'PANDORA' 폴더에 있는 'rflash.elf' 파일을 ressurection.elf'로 이름을 변경한 뒤 ms0:/KD/ 폴더에 덮어씁니다.
2. 첨부파일의 'RECOVERY' 폴더에 있는 'EBOOT.PBP' 파일도 메모리스틱의 ms0:/KD/ 폴더로 복사합니다.
3-1. 커펌 3.71 M33-4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3.7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37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KD/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3-2. 커펌 4.01 M33-2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4.0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40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KD/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4.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해 부팅하면 기존의 유니버셜 언브리커 메뉴 대신에 Recovery Flasher가 실행됩니다.
5. 사용법은 위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단, 이 경우 백업과 복구 기능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유니버셜 언브리커 v5에서는 ms0:/kd/ 폴더 대신에 ms0:/TM/DC5/KD/ 폴더를 사용해야 하며, 유니버셜 언브리커 v6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아래 동영상은 실제로 커펌 4.01 M33-2에서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커펌 3.71 M33-1로 내려가는 모습입니다.
--------------------------------------------------------------------------------------------------
이제야 모든 커펌에서 판도라 관련 툴없이도 반벽돌 복구와 커펌의 다운그레이드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초기 커펌 ~ 커펌 3.52 M33-4 까지는 기존의 방법으로 -> http://popotz.textcube.com/426
커펌 3.71 M33-1 이후부터는 위의 Recovery Flasher를 통해 가능하게 된 것이죠.
물론 리커버리 모드조차 들어가지 않는 벽돌이라면 기존처럼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 반벽돌 복구 글도 변경해야겠네요. 징징...
# '커펌 3.71로 어떻게 돌아가죠?'라는 질문이 하도 많아 타임머신 + 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 설치글을 올렸었는데... 조금만 더 빨리나오지... 또 징징..
# 그래도 위의 프로그램보다는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하는 방법이 더 안전하고 좋습니다. 커펌 설치 중에 전원이 꺼지거나 하면 벽돌이 되므로 충분히 주의하시고, 자기 책임하에 사용해주세요.
# 위 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2008/05/28 - [판도라의 배터리] - 타임머신+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설치
2008/05/12 - [뉴스 / 루머] - 강제 사용자 설정 초기화 방법
2008/01/28 - [커스텀펌웨어/커펌 공통] - 커펌 반벽돌 복구법
2007/12/30 - [홈브류 - 일반] - Config Cleaner 2.0 - 커펌 3.71용 플래시1 포맷터
2007/08/01 - [커스텀펌웨어/커펌 공통] - 커펌의 1.50 복구 / 재설치 방법 정리
이전 커펌 3.52까지는 리커버리 모드의 Run program at... 기능을 통해 쉽게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하거나 커펌 재설치가 가능했습니다. 그래서 부팅이 안되도 리커버리 모드만 들어갈 수 있으면 복구가 쉽게 가능했죠.
하지만 커펌 3.71 M33 이후 구형/신형 공통 커펌이 되고, 리커버리 모드가 3.xx 커널용이 되면서 이 기능은 더 이상 사용이 불가능했습니다. 그래서 반벽돌이 되도 복구가 쉽지 않았으며, 커펌을 한 번 올리면 내리는 것도 쉽지 않았죠.
(물론 판도라 관련 프로그램이 나오면서 현재는 반벽돌뿐만 아니라 벽돌까지도 복구가 가능하게 되었지만, 아직까지도 판도라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게다가 배터리 변환이 안되는 기판까지 등장했으니...)
하지만 이번에 나온 Recovery Flasher는 지그킥배터리나 매직 메모리스틱 등은 일체 필요없이, 커펌 자체의 기능만으로 반벽돌(부팅은 안되고 리커버리 모드에만 접속 가능한 상태)의 복구나 상위 버전의 커펌에서 커펌 3.71로 다운그레이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추가사항 ] Recovery Flasher가 v1.20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 커펌 3.71과 마찬가지로 커펌 4.01 M33-2도 설치할 수 있게 됨.
* 커펌 3.71 M33-1 대신에 커펌 3.71 M33-4가 바로 설치됨.
* 매직메모리스틱에서 사용되는 ELF 형식이 새로 추가됨.
* ms0:/PSP/GAME/ 폴더에 있는 홈브류를 실행할 수 있는 간단한 파일 브라우저 추가됨.
* 배터리 충전율이 낮아도 설치를 진행할 수 있는 옵션 추가됨.
* 공식펌웨어 파일(.PBP)의 버전을 확인하는 기능 추가됨.
상당히 유용한 기능들이 추가되었군요.* 커펌 3.71 M33-1 대신에 커펌 3.71 M33-4가 바로 설치됨.
* 매직메모리스틱에서 사용되는 ELF 형식이 새로 추가됨.
* ms0:/PSP/GAME/ 폴더에 있는 홈브류를 실행할 수 있는 간단한 파일 브라우저 추가됨.
* 배터리 충전율이 낮아도 설치를 진행할 수 있는 옵션 추가됨.
* 공식펌웨어 파일(.PBP)의 버전을 확인하는 기능 추가됨.
[ 추가사항 ] v1.21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이번 버전은 펌웨어 파일(371.PBP, 401.PBP)을 기존처럼 /RECOVERY/ 폴더가 아닌 메모리스틱 상위에 넣어도 동작하도록 변경된 것 외에 다른 변경점은 없습니다.
이 홈브류의 특징을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면...(업데이트)
- 지그킥배터리나 매직 메모리스틱(유니버셜 언브리커 등)이 일체 필요없음.
- 반벽돌의 복구나 커펌의 다운그레이드를 위해 커펌 3.71 M33-4 또는 커펌 4.01 M33-2의 재설치 가능.
- 커펌 3.52 M33-3 미만의 커펌에서도 XMB를 통해 바로 커펌 3.71 / 4.01 설치 가능. (원래 커펌 3.71 M33 이상을 설치하려면 반드시 커펌 3.52 M33-3 이상을 먼저 설치해야만 가능했죠.)
- 커펌 3.71 이상에서는 XMB와 리커버리 모드에서 모두 구동 가능, 그 이하의 커펌에서는 XMB에서만 가능.
- 타임머신을 통해 불러온 커펌 3.40 OE나 커펌 3.60 M33에서도 구동 가능.
- 유니버셜 언브리커 v6의 'Test M33' 메뉴를 이용한 커펌 4.01 M33에서 구동 가능.
- 손휘의 펌웨어 업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음.
- 커펌과 관련된 파일들의 백업 작성 가능. (펌웨어, 설정, PSN 인증 파일 등, 낸드 덤프와는 다름.)
- 커펌의 다양한 부분들 복구 가능 (XMB 테마, 설정, PSN 인증 파일 등)
- 반벽돌의 복구나 커펌의 다운그레이드를 위해 커펌 3.71 M33-4 또는 커펌 4.01 M33-2의 재설치 가능.
- 커펌 3.52 M33-3 미만의 커펌에서도 XMB를 통해 바로 커펌 3.71 / 4.01 설치 가능. (원래 커펌 3.71 M33 이상을 설치하려면 반드시 커펌 3.52 M33-3 이상을 먼저 설치해야만 가능했죠.)
- 커펌 3.71 이상에서는 XMB와 리커버리 모드에서 모두 구동 가능, 그 이하의 커펌에서는 XMB에서만 가능.
- 타임머신을 통해 불러온 커펌 3.40 OE나 커펌 3.60 M33에서도 구동 가능.
- 유니버셜 언브리커 v6의 'Test M33' 메뉴를 이용한 커펌 4.01 M33에서 구동 가능.
- 손휘의 펌웨어 업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음.
- 커펌과 관련된 파일들의 백업 작성 가능. (펌웨어, 설정, PSN 인증 파일 등, 낸드 덤프와는 다름.)
- 커펌의 다양한 부분들 복구 가능 (XMB 테마, 설정, PSN 인증 파일 등)
* Download : 공식 펌웨어 3.71
* Download : 공식 펌웨어 4.01
[ 설치법 ] - 리커버리 모드 / XMB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1. 위의 Recovery Flasher를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RECOVERY'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2-1. 커펌 3.71 M33-4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3.7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37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PSP/GAME/RECOVERY/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2-2. 커펌 4.01 M33-2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4.0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40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PSP/GAME/RECOVERY/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3. 설치 끝~
[ 사용법 ] - 리커버리 모드 / XMB에서 실행한 경우
사용법 열기
커펌 3.71 이상이라면 XMB에서 바로 실행하거나 리커버리 모드의 3번째 메뉴인 Run program at... 메뉴를 이용해 Recovery Flasher를 실행합니다. (커펌 3.52 M33-4 미만이나 타임머신을 이용한 가상펌웨어라면 XMB에서만 실행가능합니다.)
구동하면 동의를 구하는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동의한다면 두번째 또는 세번째 'I agree...' 메뉴를 엑스버튼으로 선택해서 메인 메뉴로 들어갑니다.
------------------------------------------------------------------------------------------------
이제 커펌 3.71 M33-4를 설치 또는 재설치하고 싶다면 'Flash new 3.71 M33-4' 메뉴를 선택합니다.
또는 커펌 4.01 M33-2를 설치 또는 재설치하고 싶다면 'Flash new 4.01 M33-2' 메뉴를 선택합니다.
물론 만약을 위해 배터리는 충분히 충전하고, AC 아답터까지 연결한 상태에서 진행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3가지 메뉴가 나오는데, 취향따라 선택합니다. (첫 번째 메뉴 추천!!)
그러면 자동으로 커펌 3.71 / 4.01의 설치가 진행됩니다. 잠시 후 설치가 완료되었다는 메세지가 나오면 아무 버튼이나 눌러 PSP를 종료합니다. (종료하는데 시간이 꽤 오래 걸립니다. 전원 LED가 완전히 꺼질때까지 기다리세요.)
다시 PSP를 켜면 설정을 리셋한 경우 초기화화면이, 설정을 유지한 경우 바로 XMB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
만약 PSN 인증 파일이나 사용자 설정, 현재 커펌의 관련 파일을 먼저 백업하고 싶다면 'Backup Flash content' 메뉴를 이용해 백업을 합니다. 메모리스틱에 'flash_backup'이라는 폴더가 생성되며 그 안에 flash0 / 1 / 2의 개별 파일들이 백업됩니다. 흔히 말하는 낸드 백업(***.bin)과는 다르니 주의하세요.
--------------------------------------------------------------------------------------------------
이번엔 복구 메뉴에 대해서입니다.
'Backup Flash content' 메뉴를 통해 백업을 한 경우에만 복구 메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차라리 이 복구 메뉴는 절대 사용하지 않는 것을 더 추천하고 싶습니다. (사용자 설정이야 다시 해주면 되고, 테마나 PSN 인증 파일도 그냥 직접 넣어주면 되니까요.)
--------------------------------------------------------------------------------------------------
마지막으로 홈브류 실행 메뉴입니다. 'Launch another app from /PSP/GAME' 메뉴를 선택하면 ms0:/PSP/GAME/ 폴더에 설치되어 있는 홈브류를 선택해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유용하다면 유용하고 쓸모없다면 쓸모없을 수도 있는 메뉴입니다. 참고로 모든 홈브류가 실행가능한 것은 아니며, 이 메뉴를 통해 실행 불가능한 홈브류도 있을 수 있습니다.
--------------------------------------------------------------------------------------------------구동하면 동의를 구하는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동의한다면 두번째 또는 세번째 'I agree...' 메뉴를 엑스버튼으로 선택해서 메인 메뉴로 들어갑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disxTxVL1.jpg)
이제 커펌 3.71 M33-4를 설치 또는 재설치하고 싶다면 'Flash new 3.71 M33-4' 메뉴를 선택합니다.
또는 커펌 4.01 M33-2를 설치 또는 재설치하고 싶다면 'Flash new 4.01 M33-2' 메뉴를 선택합니다.
물론 만약을 위해 배터리는 충분히 충전하고, AC 아답터까지 연결한 상태에서 진행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3가지 메뉴가 나오는데, 취향따라 선택합니다. (첫 번째 메뉴 추천!!)
reset (format) settings as well : flash1 포맷을 통해 현재 설정을 리셋한 뒤 커펌을 설치함.
do not reset (format) settings : flash1 포맷을 하지 않고 현재 설정을 유지한 채 커펌을 설치함.
I changed my mind, let me out... : 커펌 설치를 하지 않고 메인 메뉴로 돌아감.
do not reset (format) settings : flash1 포맷을 하지 않고 현재 설정을 유지한 채 커펌을 설치함.
I changed my mind, let me out... : 커펌 설치를 하지 않고 메인 메뉴로 돌아감.
그러면 자동으로 커펌 3.71 / 4.01의 설치가 진행됩니다. 잠시 후 설치가 완료되었다는 메세지가 나오면 아무 버튼이나 눌러 PSP를 종료합니다. (종료하는데 시간이 꽤 오래 걸립니다. 전원 LED가 완전히 꺼질때까지 기다리세요.)
다시 PSP를 켜면 설정을 리셋한 경우 초기화화면이, 설정을 유지한 경우 바로 XMB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
만약 PSN 인증 파일이나 사용자 설정, 현재 커펌의 관련 파일을 먼저 백업하고 싶다면 'Backup Flash content' 메뉴를 이용해 백업을 합니다. 메모리스틱에 'flash_backup'이라는 폴더가 생성되며 그 안에 flash0 / 1 / 2의 개별 파일들이 백업됩니다. 흔히 말하는 낸드 백업(***.bin)과는 다르니 주의하세요.
--------------------------------------------------------------------------------------------------
이번엔 복구 메뉴에 대해서입니다.
'Backup Flash content' 메뉴를 통해 백업을 한 경우에만 복구 메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Restore : XMB theme related files -> 테마와 관련된 파일을 복구 (ms0:/flash_backup/f0/vsh/resource/ 폴더를 복구)
Restore : Settings -> 사용자 설정을 복구 (ms0:/flash_backup/f1/ 폴더를 복구)
Restore : PSN Store activation -> PS Store 인증 파일 복구 (ms0:/flash_backup/f2/act.dat 파일 복구)
여기서 주의할 점은 다른 버전에서 백업한 파일을 커펌 설치 후에 복구에 사용하는 경우 PSP가 반벽돌이 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PSN 관련 파일이나 사용자 설정은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지만, 테마와 관련된 파일 복구의 경우 버전이 다르면 호환이 되지 않기때문에 복구에 사용하면 절대 안됩니다.Restore : Settings -> 사용자 설정을 복구 (ms0:/flash_backup/f1/ 폴더를 복구)
Restore : PSN Store activation -> PS Store 인증 파일 복구 (ms0:/flash_backup/f2/act.dat 파일 복구)
차라리 이 복구 메뉴는 절대 사용하지 않는 것을 더 추천하고 싶습니다. (사용자 설정이야 다시 해주면 되고, 테마나 PSN 인증 파일도 그냥 직접 넣어주면 되니까요.)
--------------------------------------------------------------------------------------------------
마지막으로 홈브류 실행 메뉴입니다. 'Launch another app from /PSP/GAME' 메뉴를 선택하면 ms0:/PSP/GAME/ 폴더에 설치되어 있는 홈브류를 선택해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유용하다면 유용하고 쓸모없다면 쓸모없을 수도 있는 메뉴입니다. 참고로 모든 홈브류가 실행가능한 것은 아니며, 이 메뉴를 통해 실행 불가능한 홈브류도 있을 수 있습니다.
[ 설치법 / 사용법 ] - ELF MENU / NAND TOOL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1. 위의 Recovery Flasher를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 'PANDORA' 폴더에 있는 'rflash.elf' 파일을 ELF MENU나 NANDTOOL이 설치되어 있는 메모리스틱의 ms0:/ELF/ 폴더로 복사합니다.
2. 첨부파일의 'RECOVERY' 폴더에 있는 'EBOOT.PBP' 파일도 메모리스틱의 ms0:/ELF/ 폴더로 복사합니다.
3-1. 커펌 3.71 M33-4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3.7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37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ELF/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3-2. 커펌 4.01 M33-2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4.0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40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ELF/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4.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해 ELF MENU나 NANDTOOL을 실행하고 해당 ELF를 선택해 실행하면 Recovery Flasher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5. 사용법은 위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단, 이 경우 백업과 복구 기능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설치법 / 사용법 ] - 유니버셜 언브리커 v1~v4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1. 위의 Recovery Flasher를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 'PANDORA' 폴더에 있는 'rflash.elf' 파일을 ressurection.elf'로 이름을 변경한 뒤 ms0:/KD/ 폴더에 덮어씁니다.
2. 첨부파일의 'RECOVERY' 폴더에 있는 'EBOOT.PBP' 파일도 메모리스틱의 ms0:/KD/ 폴더로 복사합니다.
3-1. 커펌 3.71 M33-4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3.7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37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KD/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3-2. 커펌 4.01 M33-2를 설치하고 싶다면 공식 펌웨어 4.01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나오는 'EBOOT.PBP' 파일을 '401.PBP'로 이름을 변경해서 ms0:/KD/ 폴더 또는 메모리스틱 상위로 복사합니다. (파일의 확장자에 주의하세요.)
4.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해 부팅하면 기존의 유니버셜 언브리커 메뉴 대신에 Recovery Flasher가 실행됩니다.
5. 사용법은 위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단, 이 경우 백업과 복구 기능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유니버셜 언브리커 v5에서는 ms0:/kd/ 폴더 대신에 ms0:/TM/DC5/KD/ 폴더를 사용해야 하며, 유니버셜 언브리커 v6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아래 동영상은 실제로 커펌 4.01 M33-2에서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커펌 3.71 M33-1로 내려가는 모습입니다.
이제야 모든 커펌에서 판도라 관련 툴없이도 반벽돌 복구와 커펌의 다운그레이드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초기 커펌 ~ 커펌 3.52 M33-4 까지는 기존의 방법으로 -> http://popotz.textcube.com/426
커펌 3.71 M33-1 이후부터는 위의 Recovery Flasher를 통해 가능하게 된 것이죠.
물론 리커버리 모드조차 들어가지 않는 벽돌이라면 기존처럼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 반벽돌 복구 글도 변경해야겠네요. 징징...
# '커펌 3.71로 어떻게 돌아가죠?'라는 질문이 하도 많아 타임머신 + 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 설치글을 올렸었는데... 조금만 더 빨리나오지... 또 징징..
# 그래도 위의 프로그램보다는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하는 방법이 더 안전하고 좋습니다. 커펌 설치 중에 전원이 꺼지거나 하면 벽돌이 되므로 충분히 주의하시고, 자기 책임하에 사용해주세요.
# 위 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보기 *
2008/05/28 - [판도라의 배터리] - 타임머신+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설치
2008/05/12 - [뉴스 / 루머] - 강제 사용자 설정 초기화 방법
2008/01/28 - [커스텀펌웨어/커펌 공통] - 커펌 반벽돌 복구법
2007/12/30 - [홈브류 - 일반] - Config Cleaner 2.0 - 커펌 3.71용 플래시1 포맷터
2007/08/01 - [커스텀펌웨어/커펌 공통] - 커펌의 1.50 복구 / 재설치 방법 정리
'포포츠 백업 + NEW > CFW 공통,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3 (0) | 2010.12.30 |
---|---|
Recovery Flasher v1.5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0) | 2010.12.30 |
강제 사용자 설정 초기화 방법 (0) | 2010.12.30 |
Flash0 숨김 폴더 보기 및 남은용량 확보 (0) | 2010.12.30 |
UMD를 ISO로 덤프하기 (1) | 2010.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강제 사용자 설정 초기화 방법
포포츠 백업 + NEW/CFW 공통,기본
2010. 12. 30. 15:07
여기저기 돌아다니다가 보니 꽤 흥미로운 방법이 소개되어 있네요. (지난 3월에 나온 소식.)
바로 PSP 부팅시 특정한 버튼조합을 누르면 사용자 설정을 초기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출처가기]
Mathieulh의 원문글 내용입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FAlyGimgW.jpg)
즉, PSP를 완전히 종료하고 '네모버튼 + 세모버튼 + 셀렉트버튼 + 스타트버튼' 누른 채로 PSP의 전원을 올리면 SCE 화면이 나온 후 바로 위와 같은 초기 설정 화면이 나와 설정을 다시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XMB - 설정 - 시스템 설정 - 설정의 초기화'와 비슷하게 보이지만, 이와는 다르게 위의 강제 초기화 방법은 flash1 자체를 포맷하고 필요한 폴더만 재생성해주어 공장 초기화의 역할도 합니다. 즉, flash1 formatter나 리커버리 모드의 flash1 포맷과 비슷한(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커펌이 아닌 정펌에서도 flash1 포맷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단, PSP가 부팅조차 안되는 상황(전원을 올리면 검은 화면이 계속되거나 꺼짐)에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이 방법은 여러가지 경우에 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만약 사용자 설정이 잘못되어 부팅 도중에 멈추는 경우 (반벽돌의 일종) 위 방법을 통해 설정 초기화를 해주면 제대로 부팅이 됩니다. (리커버리 모드에서 flash1 포맷을 해주는 방법 대신 사용 가능. 단, 커펌의 설정 파일인 flash1:/config.se 파일도 삭제되므로 커펌 사용자는 리커버리 모드 설정이 초기화됨.)
또한 유니버셜 언브리커로 커펌 설치시 레지스트리 폴더의 테마 문제 등으로 물결 무늬에서 멈추는 PSP도 위 방법을 통해 설정을 초기화해주면 해결됩니다.
#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일반배터리나 AC아답터만으로도 위 기능이 작동합니다.
# 지그킥배터리를 통한 서비스 모드에 이어 이러한 방법까지 발견되네요. PSP에는 숨겨진 기능이 참 많은 듯...
# 다른 포터블기기의 리셋기능처럼 이 방법을 매뉴얼에 적어두었으면 좋았을 것 같네요. 왜 안한거지? A/S 수리비를 좀 더 벌려고? 아니면 이를 악용하는 문제때문에? ㅡㅡ;
# 신형 PSP에서도 작동한다고 합니다. (확인해주신 분들께 감사. ^^) 저는 구형 PSP 커펌 3.90 M33-3과 정펌 3.95에서 동작 확인했습니다.
# 잘못된 점을 알려주시고, 추가 정보를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관련글 보기 *
2008/01/28 - [커스텀펌웨어] - 커펌 반벽돌 복구법
2007/10/09 - [판도라의 배터리] - 유니버셜 언브리커-자주 묻는 질문
바로 PSP 부팅시 특정한 버튼조합을 누르면 사용자 설정을 초기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출처가기]
Mathieulh의 원문글 내용입니다.
It looks like vshmain checks for the following button combination at startup :
시작할 때 아래의 버튼 조합을 누르면 vshmain이 이를 체크하는 것처럼 보인다. :
SQUARE + TRIANGLE + SELECT + START
네모버튼 + 세모버튼 + 셀렉트버튼 + 스타트버튼
When this combination is issued (you need to hold the buttons before the Sony Computer Entertainment screen shows up) it will restore all the settings to default (so you will need to select the language, timezone etc etc again)
이 조합이 발생하면 (SCE 화면이 보일때까지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함.) 모든 설정을 기본으로 복구할 것이다. (그 후 언어나 시간 등을 다시 설정할 필요가 있다.)
This hidden feature works from 1.00 to 3.90 so far (and probably ongoing firmwares)
펌웨어 1.00에서 3.90 이상까지 작동하는 숨겨진 기능이다. (아마 추후에 나올 펌웨어도 작동할 것.)
I believe this must be used in service centers to deal with psps that somehow have settings issues and cannot boot otherwise (without the need to reflash them)
왜인지 설정 문제가 발생해서 다른 방법으로는 부팅되지 않는 PSP를 서비스센터에서 수리할때 이 방법을 사용한다고 나는 믿고 있다. (flash1을 reflash할 필요 없이.)
It is really suprising that this trick wasn't found out that far, looks like no one really looked into vshmain before.
이 트릭이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은 건 정말 놀라운 일이며, 이전에는 아무도 vshmain에 대해서 연구하지 않은 것 같다.
시작할 때 아래의 버튼 조합을 누르면 vshmain이 이를 체크하는 것처럼 보인다. :
SQUARE + TRIANGLE + SELECT + START
네모버튼 + 세모버튼 + 셀렉트버튼 + 스타트버튼
When this combination is issued (you need to hold the buttons before the Sony Computer Entertainment screen shows up) it will restore all the settings to default (so you will need to select the language, timezone etc etc again)
이 조합이 발생하면 (SCE 화면이 보일때까지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함.) 모든 설정을 기본으로 복구할 것이다. (그 후 언어나 시간 등을 다시 설정할 필요가 있다.)
This hidden feature works from 1.00 to 3.90 so far (and probably ongoing firmwares)
펌웨어 1.00에서 3.90 이상까지 작동하는 숨겨진 기능이다. (아마 추후에 나올 펌웨어도 작동할 것.)
I believe this must be used in service centers to deal with psps that somehow have settings issues and cannot boot otherwise (without the need to reflash them)
왜인지 설정 문제가 발생해서 다른 방법으로는 부팅되지 않는 PSP를 서비스센터에서 수리할때 이 방법을 사용한다고 나는 믿고 있다. (flash1을 reflash할 필요 없이.)
It is really suprising that this trick wasn't found out that far, looks like no one really looked into vshmain before.
이 트릭이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은 건 정말 놀라운 일이며, 이전에는 아무도 vshmain에 대해서 연구하지 않은 것 같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FAlyGimgW.jpg)
즉, PSP를 완전히 종료하고 '네모버튼 + 세모버튼 + 셀렉트버튼 + 스타트버튼' 누른 채로 PSP의 전원을 올리면 SCE 화면이 나온 후 바로 위와 같은 초기 설정 화면이 나와 설정을 다시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XMB - 설정 - 시스템 설정 - 설정의 초기화'와 비슷하게 보이지만, 이와는 다르게 위의 강제 초기화 방법은 flash1 자체를 포맷하고 필요한 폴더만 재생성해주어 공장 초기화의 역할도 합니다. 즉, flash1 formatter나 리커버리 모드의 flash1 포맷과 비슷한(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커펌이 아닌 정펌에서도 flash1 포맷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단, PSP가 부팅조차 안되는 상황(전원을 올리면 검은 화면이 계속되거나 꺼짐)에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이 방법은 여러가지 경우에 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만약 사용자 설정이 잘못되어 부팅 도중에 멈추는 경우 (반벽돌의 일종) 위 방법을 통해 설정 초기화를 해주면 제대로 부팅이 됩니다. (리커버리 모드에서 flash1 포맷을 해주는 방법 대신 사용 가능. 단, 커펌의 설정 파일인 flash1:/config.se 파일도 삭제되므로 커펌 사용자는 리커버리 모드 설정이 초기화됨.)
또한 유니버셜 언브리커로 커펌 설치시 레지스트리 폴더의 테마 문제 등으로 물결 무늬에서 멈추는 PSP도 위 방법을 통해 설정을 초기화해주면 해결됩니다.
# 지그킥배터리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일반배터리나 AC아답터만으로도 위 기능이 작동합니다.
# 지그킥배터리를 통한 서비스 모드에 이어 이러한 방법까지 발견되네요. PSP에는 숨겨진 기능이 참 많은 듯...
# 다른 포터블기기의 리셋기능처럼 이 방법을 매뉴얼에 적어두었으면 좋았을 것 같네요. 왜 안한거지? A/S 수리비를 좀 더 벌려고? 아니면 이를 악용하는 문제때문에? ㅡㅡ;
# 신형 PSP에서도 작동한다고 합니다. (확인해주신 분들께 감사. ^^) 저는 구형 PSP 커펌 3.90 M33-3과 정펌 3.95에서 동작 확인했습니다.
# 잘못된 점을 알려주시고, 추가 정보를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관련글 보기 *
2008/01/28 - [커스텀펌웨어] - 커펌 반벽돌 복구법
2007/10/09 - [판도라의 배터리] - 유니버셜 언브리커-자주 묻는 질문
'포포츠 백업 + NEW > CFW 공통,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covery Flasher v1.50 - 커펌 설치, 반벽돌 복구 (0) | 2010.12.30 |
---|---|
Recovery Flasher v1.21 - 반벽돌 복구, 커펌 다운그레이더 (0) | 2010.12.30 |
Flash0 숨김 폴더 보기 및 남은용량 확보 (0) | 2010.12.30 |
UMD를 ISO로 덤프하기 (1) | 2010.12.30 |
커펌 반벽돌 복구법 (0) | 2010.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Flash0 숨김 폴더 보기 및 남은용량 확보
포포츠 백업 + NEW/CFW 공통,기본
2010. 12. 30. 15:06
요즘 조금씩 컨디션이 좋아지는 것 같네요. 하루에 하나 정도는 글을 올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얼마다 더 갈지는 모르겠지만요. ㅜㅜ
---------------------------------------
이번 글은 커펌을 설치한 뒤의 flash0에 대한 내용입니다.
flash0의 몇몇 폴더가 안보인다던지 용량 확보를 하고 싶다던지 하는 질문이 많아서요.
초기 커펌 ~ 커펌 3.52 M33-4까지는 상관없고 커펌 3.71 M33 이상에서 적용되는 내용입니다.
[ flash0 영역의 숨김 폴더 및 파일 보기 ]
커펌 3.71 M33 이후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는데,
전통(?)적인 방법대로 하위 커펌에서 상위 커펌으로 업그레이드해서 설치하는 방법과
유니버셜 언브리커와 지그킥배터리로 펌웨어 상관없이 바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후자는 flash0 영역 연결시 모든 폴더와 파일을 그냥 볼 수 있지만, 전자의 경우 정펌 업데이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몇 개의 폴더와 파일이 숨김 파일로 되어있어 그냥은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아래 방법대로 윈도우 설정을 조금 건드려주어야 하죠.
위의 방법보다 조금 더 편한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우선 PSP와 PC를 USB로 연결하고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 - Advanced - Toggle USB (flash0)을 선택하면
PSP의 flash0 영역이 PC의 이동식 디스크로 인식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QmkNqHdxN.jpg)
그 안을 들여다 보면 dic, font, vsh 폴더만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km 폴더는 구형에 1.50 커널 애드온을 설치한 경우만 있는 폴더입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CKw5KGPTG.jpg)
그러면 아래의 unlocker.bat 파일을 받아 이동식 디스크로 잡힌 flash0 영역에 복사합니다.
(출처 : http://redsquirrel.pspgen.com/Flash0Unlocker/F0Unlocker-Home.htm)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e2Kf5zx7R.jpg)
새로 복사한 unlocker.bat 파일을 더블클릭해서 실행하면 위처럼 도스창이 나오게 됩니다.
아무 키나 눌러주세요. (윈도우 비스타의 경우 관리자 계정에서만 가능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WJ0wUC5qa.jpg)
잠시 후 성공(success)했다는 메세지가 나오며, 다시 아무 키나 누르면 창이 닫히게 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OXxZYlfJg.jpg)
그 후 다시 이동식 디스크로 잡힌 flash0 영역을 보면 위처럼 숨겨진 폴더와 파일의 속성이 해제되어 잘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unlocker.bat 파일은 삭제합니다.
# flash0은 될 수 있으면 건드리지 않는 것이 좋지만 혹시라도 건드려야 할 일이 있다면 최대한 주의해서 작업하세요.
---------------------------------------
[ flash0 영역의 남은 용량 확보하기 ]
신형 PSP는 flash0 영역의 남은 용량이 충분해서 아래 내용을 볼 필요가 없지만, 구형 PSP의 경우 flash0의 남은 용량이 부족할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1.50 커널 애드온을 설치한 경우에는 훨씬 더 부족하겠죠.
만약 flash0 영역의 공간이 부족해서 용량 초과가 되면 PSP는 부팅이 되지 않는 벽돌이 되며, 일반적으로 약 300KB 이상이 남아 있어야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예전에는 사용하지 않는 폰트 파일이나 각종 모듈 파일을 삭제해서 용량을 줄여왔습니다만, 이 과정에서 필수 폰트를 잘못 지우는 등 실수할 확률이 높고, 게임이나 홈브류 등에서 특정한 폰트 파일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현재는 거의 추천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그래서 새롭게 알려진 방법이 바로 dic 폴더의 삭제입니다.
(폰트나 다른 파일은 건드리지 말고, 되도록 1.50 커널 애드온 설치 전에 아래 내용에 따라 미리 용량 확보를 해두세요.)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E0zZPlVKt.jpg)
우선 PSP와 PC를 USB로 연결하고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 - Advanced - Toggle USB (flash0)을 선택하면
PSP의 flash0 영역이 PC의 이동식 디스크로 인식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ExovGhuqQ.jpg)
그 중 dic 폴더 안으로 들어가 보면 위처럼 6개의 *.dic 파일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6개 파일은 PSP 사용시 크게 필요가 없는 파일이므로 삭제해도 무방하며, 삭제할 경우 약 2.21MB의 용량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제 위의 6개 파일을 삭제하거나, 또는 flash0:/dic 폴더 자체를 아예 삭제하세요.
(용량이 아주 작은 더미파일로 교체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냥 삭제해도 문제 없고, 더 간단하죠.)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IYH6SSE5b.jpg)
dic 폴더를 삭제하고 1.50 커널 애드온까지 설치한 모습입니다. 거기에 테마까지 이것 저것 설치했는데도, 남은 용량이 약 1.85MB로 충분한 용량이 남아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저도 몇 개월째 dic 폴더를 삭제한 채로 계속 사용해왔는데, 아직까지 이로 인해 문제가 생긴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
---------------------------------------
# 이제 'flash0에 kd 폴더가 없는데요?'라던가 'flash0 용량이 너무 부족해요' 등등의 질문이 없기를 바라며...
# 글 처음에 컨디션이 좋아진다고는 했지만 PSP에서 이것저것 테스트해야하는 홈브류는 아직도 귀찮아서 글로 쓸 수가 없네요. 조금만 더 기다려주세요~
---------------------------------------
이번 글은 커펌을 설치한 뒤의 flash0에 대한 내용입니다.
flash0의 몇몇 폴더가 안보인다던지 용량 확보를 하고 싶다던지 하는 질문이 많아서요.
초기 커펌 ~ 커펌 3.52 M33-4까지는 상관없고 커펌 3.71 M33 이상에서 적용되는 내용입니다.
[ flash0 영역의 숨김 폴더 및 파일 보기 ]
커펌 3.71 M33 이후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는데,
전통(?)적인 방법대로 하위 커펌에서 상위 커펌으로 업그레이드해서 설치하는 방법과
유니버셜 언브리커와 지그킥배터리로 펌웨어 상관없이 바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후자는 flash0 영역 연결시 모든 폴더와 파일을 그냥 볼 수 있지만, 전자의 경우 정펌 업데이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몇 개의 폴더와 파일이 숨김 파일로 되어있어 그냥은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아래 방법대로 윈도우 설정을 조금 건드려주어야 하죠.
예전 방법
우선 PSP와 PC를 USB로 연결하고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 - Advanced - Toggle USB (flash0)을 선택하면
PSP의 flash0 영역이 PC의 이동식 디스크로 인식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OmnSxk72E.jpg)
그 안을 들여다보면 위처럼 3개 폴더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보여야할 data 폴더와 kd 폴더는 숨겨져 있는 상태죠.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J67kckyIb.jpg)
이제 숨김 파일을 보기 위해서 윈도우의 제어판 - 폴더 옵션으로 들어가 '보기' 탭으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위의 스크린샷대로 '보호된 운영 체제 파일 숨기기(권장)' 항목을 체크 해제하고, 그 아래 '숨김 파일 및 폴더 표시' 항목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확인버튼을 눌러 빠져나옵니다. (윈도우 XP 기준입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E0zZPlVKt.jpg)
다시 이동식디스크로 잡힌 flash0 영역을 보면 위처럼 숨겨져 있던 폴더와 파일이 모두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CkIBb3789.jpg)
참고로 구형 PSP에 1.50 커널 애드온을 설치한 경우에는 위처럼 보이게 됩니다.
'km' 폴더와 vsh 폴더 안에 'podule' 폴더가 추가로 생성되게 되죠. 이 폴더가 없다면 1.50 커널 애드온이 제대로 설치된 것이 아닙니다.
PSP의 flash0 영역이 PC의 이동식 디스크로 인식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OmnSxk72E.jpg)
그 안을 들여다보면 위처럼 3개 폴더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보여야할 data 폴더와 kd 폴더는 숨겨져 있는 상태죠.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J67kckyIb.jpg)
이제 숨김 파일을 보기 위해서 윈도우의 제어판 - 폴더 옵션으로 들어가 '보기' 탭으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위의 스크린샷대로 '보호된 운영 체제 파일 숨기기(권장)' 항목을 체크 해제하고, 그 아래 '숨김 파일 및 폴더 표시' 항목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확인버튼을 눌러 빠져나옵니다. (윈도우 XP 기준입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E0zZPlVKt.jpg)
다시 이동식디스크로 잡힌 flash0 영역을 보면 위처럼 숨겨져 있던 폴더와 파일이 모두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CkIBb3789.jpg)
참고로 구형 PSP에 1.50 커널 애드온을 설치한 경우에는 위처럼 보이게 됩니다.
'km' 폴더와 vsh 폴더 안에 'podule' 폴더가 추가로 생성되게 되죠. 이 폴더가 없다면 1.50 커널 애드온이 제대로 설치된 것이 아닙니다.
위의 방법보다 조금 더 편한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우선 PSP와 PC를 USB로 연결하고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 - Advanced - Toggle USB (flash0)을 선택하면
PSP의 flash0 영역이 PC의 이동식 디스크로 인식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QmkNqHdxN.jpg)
그 안을 들여다 보면 dic, font, vsh 폴더만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km 폴더는 구형에 1.50 커널 애드온을 설치한 경우만 있는 폴더입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CKw5KGPTG.jpg)
그러면 아래의 unlocker.bat 파일을 받아 이동식 디스크로 잡힌 flash0 영역에 복사합니다.
(출처 : http://redsquirrel.pspgen.com/Flash0Unlocker/F0Unlocker-Home.htm)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e2Kf5zx7R.jpg)
새로 복사한 unlocker.bat 파일을 더블클릭해서 실행하면 위처럼 도스창이 나오게 됩니다.
아무 키나 눌러주세요. (윈도우 비스타의 경우 관리자 계정에서만 가능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WJ0wUC5qa.jpg)
잠시 후 성공(success)했다는 메세지가 나오며, 다시 아무 키나 누르면 창이 닫히게 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OXxZYlfJg.jpg)
그 후 다시 이동식 디스크로 잡힌 flash0 영역을 보면 위처럼 숨겨진 폴더와 파일의 속성이 해제되어 잘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unlocker.bat 파일은 삭제합니다.
# flash0은 될 수 있으면 건드리지 않는 것이 좋지만 혹시라도 건드려야 할 일이 있다면 최대한 주의해서 작업하세요.
---------------------------------------
[ flash0 영역의 남은 용량 확보하기 ]
신형 PSP는 flash0 영역의 남은 용량이 충분해서 아래 내용을 볼 필요가 없지만, 구형 PSP의 경우 flash0의 남은 용량이 부족할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1.50 커널 애드온을 설치한 경우에는 훨씬 더 부족하겠죠.
만약 flash0 영역의 공간이 부족해서 용량 초과가 되면 PSP는 부팅이 되지 않는 벽돌이 되며, 일반적으로 약 300KB 이상이 남아 있어야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예전에는 사용하지 않는 폰트 파일이나 각종 모듈 파일을 삭제해서 용량을 줄여왔습니다만, 이 과정에서 필수 폰트를 잘못 지우는 등 실수할 확률이 높고, 게임이나 홈브류 등에서 특정한 폰트 파일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현재는 거의 추천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그래서 새롭게 알려진 방법이 바로 dic 폴더의 삭제입니다.
(폰트나 다른 파일은 건드리지 말고, 되도록 1.50 커널 애드온 설치 전에 아래 내용에 따라 미리 용량 확보를 해두세요.)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E0zZPlVKt.jpg)
우선 PSP와 PC를 USB로 연결하고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 - Advanced - Toggle USB (flash0)을 선택하면
PSP의 flash0 영역이 PC의 이동식 디스크로 인식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ExovGhuqQ.jpg)
그 중 dic 폴더 안으로 들어가 보면 위처럼 6개의 *.dic 파일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6개 파일은 PSP 사용시 크게 필요가 없는 파일이므로 삭제해도 무방하며, 삭제할 경우 약 2.21MB의 용량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제 위의 6개 파일을 삭제하거나, 또는 flash0:/dic 폴더 자체를 아예 삭제하세요.
(용량이 아주 작은 더미파일로 교체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냥 삭제해도 문제 없고, 더 간단하죠.)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IYH6SSE5b.jpg)
dic 폴더를 삭제하고 1.50 커널 애드온까지 설치한 모습입니다. 거기에 테마까지 이것 저것 설치했는데도, 남은 용량이 약 1.85MB로 충분한 용량이 남아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저도 몇 개월째 dic 폴더를 삭제한 채로 계속 사용해왔는데, 아직까지 이로 인해 문제가 생긴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
---------------------------------------
# 이제 'flash0에 kd 폴더가 없는데요?'라던가 'flash0 용량이 너무 부족해요' 등등의 질문이 없기를 바라며...
# 글 처음에 컨디션이 좋아진다고는 했지만 PSP에서 이것저것 테스트해야하는 홈브류는 아직도 귀찮아서 글로 쓸 수가 없네요. 조금만 더 기다려주세요~
'포포츠 백업 + NEW > CFW 공통,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covery Flasher v1.21 - 반벽돌 복구, 커펌 다운그레이더 (0) | 2010.12.30 |
---|---|
강제 사용자 설정 초기화 방법 (0) | 2010.12.30 |
UMD를 ISO로 덤프하기 (1) | 2010.12.30 |
커펌 반벽돌 복구법 (0) | 2010.12.30 |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2.5 (0) | 2010.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UMD를 ISO로 덤프하기
포포츠 백업 + NEW/CFW 공통,기본
2010. 12. 30. 15:06
커펌에 기본 탑재되어 있는 ISO/CSO 구동 기능은 어디까지나 자신이 구입한 UMD를 메모리스틱에서 구동함으로써 로딩속도를 줄이거나 UMD 보호를 위한 목적입니다. 불법으로 다운로드한 게임을 구동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다시 한 번 유념해주세요. (참고글 : 2007/02/27 - [뉴스 / 루머] - 영국 BBC에서 Dark_AleX, Fanjita 인터뷰)
기존에도 UMD를 ISO로 덤프해주는 홈브류가 몇 개 있었지만 새롭게 UMDumper가 업데이트되었기에 기존의 방법을 포함해 정리합니다.
UMD에서 ISO로 덤프하는 방법은 크게 PSP에서 메모리스틱으로 바로 덤프하는 방법과 PC와 연결해 PC의 하드디스크로 바로 가져오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PSP에서 메모리스틱으로 바로 덤프하기
- PC와 연결할 수 없는 곳에서 덤프를 해야하거나 ISO 덤프 후 바로 게임을 즐기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
소개하는 프로그램은 UMDumper v0.1.1입니다. [출처가기]
UMDumper v0.2.0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v0.2.0의 가장 큰 변경점은 ISO뿐만 아니라 CSO로 바로 덤프하는 것이 가능해진 점입니다.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EBOOT.PBP 파일을 포함한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3.xx 커널용입니다.)
그 후 덤프하려는 UMD를 PSP에 삽입하고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UMDumper'를 실행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blaxgGFLj.jpg)
프로그램이 실행된 화면입니다. 프로그램 하단에 디스크 아이디와 게임 이름, 필요한 용량/빈 용량 등의 정보가 나타나므로 덤프 전에 빈 용량이 부족하지는 않은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총 5개의 메뉴가 있는데 각 메뉴는 각각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하며 선택은 엑스버튼입니다.
두 번째 메뉴로 ISO 파일의 이름을 변경하고 (필요한 경우만), 세 번째 메뉴에서 ISO/CSO를 선택한뒤 네 번째 메뉴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덤프가 진행됩니다. 덤프 진행 중 L+R+세모버튼을 누르면 덤프를 취소할 수 있고, 동그라미버튼을 누르면 디버그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덤프가 완료되면 UMD를 제거하고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으로 가서 방금 덤프한 게임을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2. PSP에서 PC의 하드디스크로 덤프하기
- 커펌 M33에 기본 탑재되어 있는 VSH Menu를 이용한 방법으로, PSP를 PC와 USB로 연결한 뒤 하드디스크로 바로 덤프하는 방식. 당장 게임 실행은 하지 않고 그냥 백업만을 위한 용도라거나 메모리스틱의 빈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위의 방법보다 유용.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c1H5NXjpl.jpg)
덤프하려는 UMD를 PSP에 삽입하고, 커펌 3.52 M33-3 이상에서는 홈버튼, 커펌 3.71 M33 이상에서는 셀렉트버튼을 눌러 M33 VSH MENU를 호출합니다. (커펌 3.52 M33-3 이전의 커펌에서는 이 기능이 없기에 사용할 수 없음.)
그리고 세 번째 USB DEVICE 항목을 UMD Disc로 변경하고 다시 홈버튼 또는 셀렉트버튼을 눌러 M33 VSH MENU를 닫습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Zw3ivAyaX.jpg)
이제 설정 메뉴로 가서 USB 연결을 활성화합니다. 물론 PC와는 USB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겠죠.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UelahnEDA.jpg)
잠시 후 PC에서 이동식디스크로 UMD 영역이 잡히게 됩니다. 이동식 디스크의 이름은 현재 삽입되어 있는 UMD의 디스크 아이디이며, 그 안에 UMD9660.ISO 라는 파일이 보이게 됩니다. 이 파일이 바로 UMD의 ISO 파일이므로 이 UMD9660.ISO 파일을 PC의 하드디스크로 복사하면 간단하게 덤프가 완료됩니다. UMD9660.ISO 파일은 적당히 이름을 변경해 사용하세요.
UMD의 덤프가 끝난 뒤에는 반드시 M33 VSH MENU를 다시 열어 USB DEVICE 항목을 Memory Stick으로 변경해 주어야 다음 USB 연결때부터 원래대로 메모리스틱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참고사항] ISO를 CSO로 변환하기, CSO를 ISO로 변환하기
- ISO를 CSO 포맷으로 압축해서 변환하면 용량을 더 줄일 수 있습니다. (각 게임에 따라 줄어드는 양은 모두 다름) 하지만 CSO 포맷 사용시 게임 로딩이 늘어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ISO <-> CSO간의 변환은 고전자료인 CISO Utility v0.7이 아직까지도 제일 쉽고 간단한 것 같습니다. 자료의 다운로드는 http://popotz.textcube.com/253 참고하세요.
# 별 내용도 아닌데 글이 길어져버렸네요. '난 이미 다 알고 있다규~'하면서 돌 던지지만 말아주세요.
# 오늘 전반기 향방작계(6시간) 갔다왔습니다. 작년까지는 학교에서 받았고, 올해부터는 5년차라 동원훈련은 더 이상 안 받는군요. ^^
기존에도 UMD를 ISO로 덤프해주는 홈브류가 몇 개 있었지만 새롭게 UMDumper가 업데이트되었기에 기존의 방법을 포함해 정리합니다.
UMD에서 ISO로 덤프하는 방법은 크게 PSP에서 메모리스틱으로 바로 덤프하는 방법과 PC와 연결해 PC의 하드디스크로 바로 가져오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PSP에서 메모리스틱으로 바로 덤프하기
- PC와 연결할 수 없는 곳에서 덤프를 해야하거나 ISO 덤프 후 바로 게임을 즐기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
UMDumper v0.2.0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출처가기]
v0.2.0의 가장 큰 변경점은 ISO뿐만 아니라 CSO로 바로 덤프하는 것이 가능해진 점입니다.
위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EBOOT.PBP 파일을 포함한 폴더를 ms0:/PSP/GAME/ 폴더로 복사합니다. (3.xx 커널용입니다.)
그 후 덤프하려는 UMD를 PSP에 삽입하고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에서 'UMDumper'를 실행합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blaxgGFLj.jpg)
프로그램이 실행된 화면입니다. 프로그램 하단에 디스크 아이디와 게임 이름, 필요한 용량/빈 용량 등의 정보가 나타나므로 덤프 전에 빈 용량이 부족하지는 않은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총 5개의 메뉴가 있는데 각 메뉴는 각각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하며 선택은 엑스버튼입니다.
- Readme : 프로그램의 리드미 파일을 봅니다.
- Rename target file : 덤프될 ISO 파일의 이름을 변경합니다.
- ISO Mode : ISO로 덤프할 것인지 압축해서 CSO로 변환할 것인지 변경합니다. (9가 최대압축)
- Start Dumping : UMD의 덤프를 시작합니다. 저장되는 위치는 ms0:/ISO/ 폴더입니다.
- Exit UMDumper :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 Rename target file : 덤프될 ISO 파일의 이름을 변경합니다.
- ISO Mode : ISO로 덤프할 것인지 압축해서 CSO로 변환할 것인지 변경합니다. (9가 최대압축)
- Start Dumping : UMD의 덤프를 시작합니다. 저장되는 위치는 ms0:/ISO/ 폴더입니다.
- Exit UMDumper :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두 번째 메뉴로 ISO 파일의 이름을 변경하고 (필요한 경우만), 세 번째 메뉴에서 ISO/CSO를 선택한뒤 네 번째 메뉴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덤프가 진행됩니다. 덤프 진행 중 L+R+세모버튼을 누르면 덤프를 취소할 수 있고, 동그라미버튼을 누르면 디버그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덤프가 완료되면 UMD를 제거하고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으로 가서 방금 덤프한 게임을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2. PSP에서 PC의 하드디스크로 덤프하기
- 커펌 M33에 기본 탑재되어 있는 VSH Menu를 이용한 방법으로, PSP를 PC와 USB로 연결한 뒤 하드디스크로 바로 덤프하는 방식. 당장 게임 실행은 하지 않고 그냥 백업만을 위한 용도라거나 메모리스틱의 빈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위의 방법보다 유용.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c1H5NXjpl.jpg)
덤프하려는 UMD를 PSP에 삽입하고, 커펌 3.52 M33-3 이상에서는 홈버튼, 커펌 3.71 M33 이상에서는 셀렉트버튼을 눌러 M33 VSH MENU를 호출합니다. (커펌 3.52 M33-3 이전의 커펌에서는 이 기능이 없기에 사용할 수 없음.)
그리고 세 번째 USB DEVICE 항목을 UMD Disc로 변경하고 다시 홈버튼 또는 셀렉트버튼을 눌러 M33 VSH MENU를 닫습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Zw3ivAyaX.jpg)
이제 설정 메뉴로 가서 USB 연결을 활성화합니다. 물론 PC와는 USB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겠죠.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UelahnEDA.jpg)
잠시 후 PC에서 이동식디스크로 UMD 영역이 잡히게 됩니다. 이동식 디스크의 이름은 현재 삽입되어 있는 UMD의 디스크 아이디이며, 그 안에 UMD9660.ISO 라는 파일이 보이게 됩니다. 이 파일이 바로 UMD의 ISO 파일이므로 이 UMD9660.ISO 파일을 PC의 하드디스크로 복사하면 간단하게 덤프가 완료됩니다. UMD9660.ISO 파일은 적당히 이름을 변경해 사용하세요.
UMD의 덤프가 끝난 뒤에는 반드시 M33 VSH MENU를 다시 열어 USB DEVICE 항목을 Memory Stick으로 변경해 주어야 다음 USB 연결때부터 원래대로 메모리스틱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참고사항] ISO를 CSO로 변환하기, CSO를 ISO로 변환하기
- ISO를 CSO 포맷으로 압축해서 변환하면 용량을 더 줄일 수 있습니다. (각 게임에 따라 줄어드는 양은 모두 다름) 하지만 CSO 포맷 사용시 게임 로딩이 늘어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ISO <-> CSO간의 변환은 고전자료인 CISO Utility v0.7이 아직까지도 제일 쉽고 간단한 것 같습니다. 자료의 다운로드는 http://popotz.textcube.com/253 참고하세요.
# 별 내용도 아닌데 글이 길어져버렸네요. '난 이미 다 알고 있다규~'하면서 돌 던지지만 말아주세요.
# 오늘 전반기 향방작계(6시간) 갔다왔습니다. 작년까지는 학교에서 받았고, 올해부터는 5년차라 동원훈련은 더 이상 안 받는군요. ^^
'포포츠 백업 + NEW > CFW 공통,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제 사용자 설정 초기화 방법 (0) | 2010.12.30 |
---|---|
Flash0 숨김 폴더 보기 및 남은용량 확보 (0) | 2010.12.30 |
커펌 반벽돌 복구법 (0) | 2010.12.30 |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2.5 (0) | 2010.12.30 |
시스템언어와 문자집합에 대해... (0) | 2010.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커펌 반벽돌 복구법
포포츠 백업 + NEW/CFW 공통,기본
2010. 12. 30. 15:05
원래는 댓글로 달려고 했는데 내용이 길어질 것 같고, 정리하는 차원에서 글을 씁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LV4mQzsNs.jpg)
커펌을 설치해서 사용하다보면 가끔 실수로 인해서 반벽돌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벽돌이란 XMB로 부팅이 아예 안되거나 블루스크린이 무한 반복되어 제대로 사용할 수 없지만, 다행이 리커버리 모드에는 진입 가능한 상태를 말합니다.
반벽돌이 되는 원인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flash0 영역의 파일을 잘못 건드려 XMB로 부팅하는데 필요한 파일을 삭제했거나 flash1 영역에 오류가 생긴 경우입니다. 현재의 커펌 버전과 각 상황에 맞는 복구법을 잘 선택해서 사용하세요.
[ flash1 영역에 오류가 생겨 꼬여버린 경우 ]
제일 먼저 http://popotz.textcube.com/854 글을 참고해서 강제로 사용자 설정을 초기화해보세요.
만약 이 방법이 안될 경우에만 아래 방법을 통해 flash1을 수동으로 포맷해줍니다.
1-1. 구형 PSP 전용 + 커펌 2.71 SE ~ 커펌 3.52 M33 전용
http://popotz.textcube.com/160 참고해서 flash1만 포맷해주면 됩니다.
1-2. 구형/신형 PSP 공용 + 커펌 3.71 M33 이상
http://popotz.textcube.com/688 참고해서 Config Cleaner 2.0 프로그램을 ms0:/PSP/GAME/RECOVERY/ 폴더에 설치후 리커버리 모드의 3번째 메뉴인 'Run program at /PSP/GAME/RECOVERY/EBOOT.PBP'를 실행해서 flash1을 포맷하면 됩니다.
1-3. 구형/신형 PSP 공용 + 커펌 3.80 M33 이상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가서 Advandced - Format flash1 and reset settings 메뉴를 실행하면 flash1 포맷후 자동으로 필수 폴더를 생성해주어 해결됩니다.
[ flash0 영역의 파일을 삭제하거나 잘못 건드린 경우 ]
2-1. 구형 PSP 전용 + 커펌 2.71 SE ~ 커펌 3.52 M33 전용
http://popotz.textcube.com/426 참고해서 flash1 포맷 후 펌웨어 1.50으로 복구하거나 커펌을 재설치하면 됩니다. 단 이 방법으로 복구하고 나면 커펌 3.52 M33까지만 바로 설치 가능합니다.
2-2 구형/신형 PSP 공용 + 커펌 3.71 M33 이상
커펌 3.71 M33 / 커펌 3.80 M33인 경우에는 기존의 파일을 이용한 리커버리 복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Recovery Flasher라는 홈브류를 따로 이용해야 합니다.
http://popotz.textcube.com/948 참고해서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커펌 3.71 M33-1을 재설치합니다.
--------------------------------------------------------------------------------------------------------------
# 사실 flash0 영역을 건드리기 전에 원본 파일을 백업해 놓았다면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원본 파일을 덮어쓰는 것만으로도 간단히 복구가 가능합니다. flash0 영역을 건드릴때는 제발 백업부터 하세요. 백업을 제대로 해두고, 조심스럽게 작업한다면 반벽돌이나 벽돌이 될 일은 거의 없습니다.
# 위의 글은 복구하는 순서를 간단하게 설명한 것에 불과합니다. 잘 모르는 용어나 이해 안되는 부분은 다른 글들을 참고해주세요. 비싼 돈 주고 산 PSP인데 그 정도 노력은 해야겠죠.
# 리커버리 모드도 들어갈 수도 없는 벽돌인 경우에는 위의 방법으로 복구할 수 없습니다. 지그킥배터리를 이미 가지고 있거나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만 복구가 가능합니다.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LV4mQzsNs.jpg)
커펌을 설치해서 사용하다보면 가끔 실수로 인해서 반벽돌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벽돌이란 XMB로 부팅이 아예 안되거나 블루스크린이 무한 반복되어 제대로 사용할 수 없지만, 다행이 리커버리 모드에는 진입 가능한 상태를 말합니다.
반벽돌이 되는 원인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flash0 영역의 파일을 잘못 건드려 XMB로 부팅하는데 필요한 파일을 삭제했거나 flash1 영역에 오류가 생긴 경우입니다. 현재의 커펌 버전과 각 상황에 맞는 복구법을 잘 선택해서 사용하세요.
[ flash1 영역에 오류가 생겨 꼬여버린 경우 ]
제일 먼저 http://popotz.textcube.com/854 글을 참고해서 강제로 사용자 설정을 초기화해보세요.
만약 이 방법이 안될 경우에만 아래 방법을 통해 flash1을 수동으로 포맷해줍니다.
1-1. 구형 PSP 전용 + 커펌 2.71 SE ~ 커펌 3.52 M33 전용
http://popotz.textcube.com/160 참고해서 flash1만 포맷해주면 됩니다.
1-2. 구형/신형 PSP 공용 + 커펌 3.71 M33 이상
http://popotz.textcube.com/688 참고해서 Config Cleaner 2.0 프로그램을 ms0:/PSP/GAME/RECOVERY/ 폴더에 설치후 리커버리 모드의 3번째 메뉴인 'Run program at /PSP/GAME/RECOVERY/EBOOT.PBP'를 실행해서 flash1을 포맷하면 됩니다.
1-3. 구형/신형 PSP 공용 + 커펌 3.80 M33 이상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가서 Advandced - Format flash1 and reset settings 메뉴를 실행하면 flash1 포맷후 자동으로 필수 폴더를 생성해주어 해결됩니다.
[ flash0 영역의 파일을 삭제하거나 잘못 건드린 경우 ]
2-1. 구형 PSP 전용 + 커펌 2.71 SE ~ 커펌 3.52 M33 전용
http://popotz.textcube.com/426 참고해서 flash1 포맷 후 펌웨어 1.50으로 복구하거나 커펌을 재설치하면 됩니다. 단 이 방법으로 복구하고 나면 커펌 3.52 M33까지만 바로 설치 가능합니다.
2-2 구형/신형 PSP 공용 + 커펌 3.71 M33 이상
커펌 3.71 M33 / 커펌 3.80 M33인 경우에는 기존의 파일을 이용한 리커버리 복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Recovery Flasher라는 홈브류를 따로 이용해야 합니다.
http://popotz.textcube.com/948 참고해서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커펌 3.71 M33-1을 재설치합니다.
--------------------------------------------------------------------------------------------------------------
# 사실 flash0 영역을 건드리기 전에 원본 파일을 백업해 놓았다면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원본 파일을 덮어쓰는 것만으로도 간단히 복구가 가능합니다. flash0 영역을 건드릴때는 제발 백업부터 하세요. 백업을 제대로 해두고, 조심스럽게 작업한다면 반벽돌이나 벽돌이 될 일은 거의 없습니다.
# 위의 글은 복구하는 순서를 간단하게 설명한 것에 불과합니다. 잘 모르는 용어나 이해 안되는 부분은 다른 글들을 참고해주세요. 비싼 돈 주고 산 PSP인데 그 정도 노력은 해야겠죠.
# 리커버리 모드도 들어갈 수도 없는 벽돌인 경우에는 위의 방법으로 복구할 수 없습니다. 지그킥배터리를 이미 가지고 있거나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만 복구가 가능합니다.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포포츠 백업 + NEW > CFW 공통,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ash0 숨김 폴더 보기 및 남은용량 확보 (0) | 2010.12.30 |
---|---|
UMD를 ISO로 덤프하기 (1) | 2010.12.30 |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2.5 (0) | 2010.12.30 |
시스템언어와 문자집합에 대해... (0) | 2010.12.30 |
커스텀펌웨어의 개념 (0) | 2010.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2.5
포포츠 백업 + NEW/CFW 공통,기본
2010. 12. 30. 15:04
커펌 설치법 정리 글은 아주 예전에 http://popotz.textcube.com/167에 쓴 적이 있지만 시간이 많이 흘러, 신형 PSP도 발매되고 판도라의 배터리를 시작으로 여러가지 프로그램이 나와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PSP를 처음 구입하신 분들이 커펌을 설치하려면 많이 혼동될 거라 생각됩니다. 그래서 PSP 구입 후 커펌을 어떻게 설치해야 하는지 다시 한 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 이 글은 12월 30일 기준입니다. 커펌 3.71 M33-4 까지 발표된 상황으로 그 이후의 커펌은 각 해당 글을 참고하세요. *
이 글은 기본적인 사항만 나열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치법, 사용법, 주의사항 등은 링크된 해당 글의 내용을 반드시 자세히, 꼼꼼하게, 빠짐없이, 세세히, 주의 깊게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구형 PSP (PSP-100x) 전용 - 현재 구형 PSP가 정펌인 상태에서 처음 커펌을 설치할 경우
구형 PSP (PSP-100x) 전용 - 현재 구형 PSP에 커펌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최신 버전으로 재설치하기
구형 PSP (PSP-100x) / 신형 PSP (PSP-200x) 공통
참고사항
# 제가 봐도 난잡한 글이네요. ㅜㅜ 제 능력은 여기까지!!!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이 글은 12월 30일 기준입니다. 커펌 3.71 M33-4 까지 발표된 상황으로 그 이후의 커펌은 각 해당 글을 참고하세요. *
이 글은 기본적인 사항만 나열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치법, 사용법, 주의사항 등은 링크된 해당 글의 내용을 반드시 자세히, 꼼꼼하게, 빠짐없이, 세세히, 주의 깊게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구형 PSP (PSP-100x) 전용 - 현재 구형 PSP가 정펌인 상태에서 처음 커펌을 설치할 경우
* 커펌 설치를 위한 준비 사항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 *
구형 PSP의 경우, 커펌 설치는 기본적으로 펌웨어 1.50인 상태에서만 가능합니다. 그래서 그 이상의 정식 펌웨어에서는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할 필요가 있죠.
현재 구형 PSP를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잘 읽어보고 그 중 1가지를 선택해 다운그레이드하면 커펌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1. 다운그레이더 이용 (펌웨어 1.51~ 3.50까지만 가능)
이 방법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펌웨어 3.03, 3.50 다운그레이드의 경우 특정한 게임의 UMD가 반드시 필요하므로 이미 잊혀져가는 방법입니다. 게다가 펌웨어 3.50까지만 가능하므로, 현재 최신 펌웨어로 발매되는 PSP에는 사용할 수가 없고 신형 PSP 역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1. 판도라의 배터리 이용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앞으로 나올 펌웨어까지 포함한 모든 펌웨어 가능)
2-2. 유니버셜 언브리커 이용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앞으로 나올 펌웨어까지 포함한 모든 펌웨어 가능)
* 펌웨어 1.50에서 커펌 설치하기 *
위의 방법을 통해 구형 PSP를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했다면 이제 커펌을 바로 설치하면 됩니다.
펌웨어 1.50에서 바로 설치 가능한 최신 커펌은 커펌 3.52 M33-4입니다. 펌웨어 1.50에서 커펌 3.52 M33을 설치하려면 아래의 순서대로 해주면 됩니다.
커펌 3.52 M33-4에서 커펌 3.71 M33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하지만 이는 선택사항입니다. 글 아래에 써놓은 커펌 3.52와 3.71의 차이점에 대한 글을 잘 읽어보고 설치 여부를 결정하세요.
구형 PSP의 경우, 커펌 설치는 기본적으로 펌웨어 1.50인 상태에서만 가능합니다. 그래서 그 이상의 정식 펌웨어에서는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할 필요가 있죠.
현재 구형 PSP를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잘 읽어보고 그 중 1가지를 선택해 다운그레이드하면 커펌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1. 다운그레이더 이용 (펌웨어 1.51~ 3.50까지만 가능)
이 방법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펌웨어 3.03, 3.50 다운그레이드의 경우 특정한 게임의 UMD가 반드시 필요하므로 이미 잊혀져가는 방법입니다. 게다가 펌웨어 3.50까지만 가능하므로, 현재 최신 펌웨어로 발매되는 PSP에는 사용할 수가 없고 신형 PSP 역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1. 판도라의 배터리 이용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앞으로 나올 펌웨어까지 포함한 모든 펌웨어 가능)
아래의 방법중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1가지 선택해 매직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를 만들면 펌웨어 버전에 상관없이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 가능합니다.
* 판도라의 배터리 (펌웨어 1.50인 구형 PSP에서 만들기)
또는 * 3.xx 커널용 울트라 판도라 인스톨러 (커펌 설치된 구형 / 신형 PSP에서 만들기)
또는 * 커펌된 PSP 없이 매직 메모리스틱 만들기 (지그킥배터리는 따로 커펌된 PSP에서 만들어야 함)
판도라의 배터리를 이용하면 펌웨어 버전에 상관없이 모든 구형 PSP를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하드웨어 손상이 없는 벽돌 PSP에 펌웨어 1.50을 설치해 복구할 수도 있습니다. 판도라의 배터리는 매직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매직 메모리스틱은 PC만을 이용해 혼자 만들 수 있지만 지그킥배터리는 반드시 커펌이 설치된 다른 PSP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판도라의 배터리 (펌웨어 1.50인 구형 PSP에서 만들기)
또는 * 3.xx 커널용 울트라 판도라 인스톨러 (커펌 설치된 구형 / 신형 PSP에서 만들기)
또는 * 커펌된 PSP 없이 매직 메모리스틱 만들기 (지그킥배터리는 따로 커펌된 PSP에서 만들어야 함)
2-2. 유니버셜 언브리커 이용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앞으로 나올 펌웨어까지 포함한 모든 펌웨어 가능)
유니버셜 언브리커는 위의 판도라의 배터리와 비슷하지만,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하는 기능은 없고, 단지 커펌 3.71 M33을 바로 설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유니버셜 언브리커 글을 참고하세요.
* 펌웨어 1.50에서 커펌 설치하기 *
위의 방법을 통해 구형 PSP를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했다면 이제 커펌을 바로 설치하면 됩니다.
펌웨어 1.50에서 바로 설치 가능한 최신 커펌은 커펌 3.52 M33-4입니다. 펌웨어 1.50에서 커펌 3.52 M33을 설치하려면 아래의 순서대로 해주면 됩니다.
* 커펌 3.52 M33 설치 --> 커펌 3.52 M33 설치 후 커펌 3.52 M33-4 업데이트
# 커펌 3.52 M33-4의 업데이트까지 완료된 후에 한글폰트(kr0.pgf)만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flash0:/font/ 폴더에 넣어주면 시스템언어, 문자집합을 모두 한글로 설정해 사용하면 됩니다.
# 커펌 3.52 M33-4의 업데이트까지 완료된 후에 한글폰트(kr0.pgf)만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flash0:/font/ 폴더에 넣어주면 시스템언어, 문자집합을 모두 한글로 설정해 사용하면 됩니다.
커펌 3.52 M33-4에서 커펌 3.71 M33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하지만 이는 선택사항입니다. 글 아래에 써놓은 커펌 3.52와 3.71의 차이점에 대한 글을 잘 읽어보고 설치 여부를 결정하세요.
* 커펌 3.52 M33-4에서 커펌 3.71 M33 설치 --> 커펌 3.71 M33 설치 후 커펌 3.71 M33-4 업데이트
단, 구형 PSP에 커펌 3.71 M33을 설치한 경우 1.50 커널용 홈브류 구동을 위해서는 추가로 1.50 커널 애드온을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1.50 커널 홈브류를 사용하지 않으려면 설치 안해도 무방.)
* 구형 PSP 커펌 3.71 M33-4에서 1.50 커널 애드온 v2 설치하기 : http://popotz.textcube.com/552
(1.50 커널 애드온 설치 후에는 한글폰트(kr0.pgf)를 재설치해주어야 합니다.)
단, 구형 PSP에 커펌 3.71 M33을 설치한 경우 1.50 커널용 홈브류 구동을 위해서는 추가로 1.50 커널 애드온을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1.50 커널 홈브류를 사용하지 않으려면 설치 안해도 무방.)
* 구형 PSP 커펌 3.71 M33-4에서 1.50 커널 애드온 v2 설치하기 : http://popotz.textcube.com/552
(1.50 커널 애드온 설치 후에는 한글폰트(kr0.pgf)를 재설치해주어야 합니다.)
구형 PSP (PSP-100x) 전용 - 현재 구형 PSP에 커펌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최신 버전으로 재설치하기
* 현재 커펌을 삭제하고 펌웨어 1.50으로 복구하기 *
현재 커펌이 설치되어 있는 구형 PSP에서 다른 커펌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 아래의 방법을 통해 펌웨어 1.50으로 복구합니다. 단, 커펌 3.71 M33 이상에서는 아래 방법을 사용할 수 없으며, 커펌 3.52 M33-4까지만 아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방법은 flash0과 flash1이 모두 포맷되므로 현재 PSP에 한글패치가 설치되어 있거나 반벽돌인 경우 등 리커버리 모드만 동작한다면 사용 가능한 방법으로 순정상태의 펌웨어 1.50으로 복구됩니다.
* 펌웨어 1.50에서 커펌 설치하기 *
위의 방법을 통해 커펌을 삭제하고 펌웨어 1.50으로 돌아왔다면 이제 설치하고자 하는 커펌을 바로 설치하면 됩니다.
펌웨어 1.50에서 바로 설치 가능한 최신 커펌은 커펌 3.52 M33-4입니다. 펌웨어 1.50에서 커펌 3.52 M33을 설치하려면 아래의 순서대로 해주면 됩니다.
커펌 3.52 M33-4에서 커펌 3.71 M33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하지만 이는 선택사항입니다. 글 아래에 써놓은 커펌 3.52와 3.71의 차이점에 대한 글을 잘 읽어보고 설치 여부를 결정하세요.
현재 커펌이 설치되어 있는 구형 PSP에서 다른 커펌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 아래의 방법을 통해 펌웨어 1.50으로 복구합니다. 단, 커펌 3.71 M33 이상에서는 아래 방법을 사용할 수 없으며, 커펌 3.52 M33-4까지만 아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방법은 flash0과 flash1이 모두 포맷되므로 현재 PSP에 한글패치가 설치되어 있거나 반벽돌인 경우 등 리커버리 모드만 동작한다면 사용 가능한 방법으로 순정상태의 펌웨어 1.50으로 복구됩니다.
* 커펌에서 펌웨어 1.50으로 복구하기
# 위의 방법은 커펌 3.71 M33에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 위의 방법은 커펌 3.71 M33에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 펌웨어 1.50에서 커펌 설치하기 *
위의 방법을 통해 커펌을 삭제하고 펌웨어 1.50으로 돌아왔다면 이제 설치하고자 하는 커펌을 바로 설치하면 됩니다.
펌웨어 1.50에서 바로 설치 가능한 최신 커펌은 커펌 3.52 M33-4입니다. 펌웨어 1.50에서 커펌 3.52 M33을 설치하려면 아래의 순서대로 해주면 됩니다.
*커펌 3.52 M33 설치 --> 커펌 3.52 M33 설치 후 커펌 3.52 M33-4 업데이트
# 커펌 3.52 M33-4의 업데이트까지 완료된 후에 한글폰트(kr0.pgf)만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flash0:/font/ 폴더에 넣어주면 시스템언어, 문자집합을 모두 한글로 설정해 사용하면 됩니다.
# 커펌 3.52 M33-4의 업데이트까지 완료된 후에 한글폰트(kr0.pgf)만 리커버리 모드를 통해 flash0:/font/ 폴더에 넣어주면 시스템언어, 문자집합을 모두 한글로 설정해 사용하면 됩니다.
커펌 3.52 M33-4에서 커펌 3.71 M33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하지만 이는 선택사항입니다. 글 아래에 써놓은 커펌 3.52와 3.71의 차이점에 대한 글을 잘 읽어보고 설치 여부를 결정하세요.
* 커펌 3.52 M33-4에서 커펌 3.71 M33 설치 --> 커펌 3.71 M33 설치 후 커펌 3.71 M33-4 업데이트
단, 구형 PSP에 커펌 3.71 M33을 설치한 경우 1.50 커널용 홈브류 구동을 위해서는 추가로 1.50 커널 애드온을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1.50 커널 홈브류를 사용하지 않으려면 설치 안해도 무방.)
* 구형 PSP 커펌 3.71 M33-4에서 1.50 커널 애드온 v2 설치하기
(1.50 커널 애드온 설치 후에는 한글폰트(kr0.pgf)를 재설치해주어야 합니다.)
단, 구형 PSP에 커펌 3.71 M33을 설치한 경우 1.50 커널용 홈브류 구동을 위해서는 추가로 1.50 커널 애드온을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1.50 커널 홈브류를 사용하지 않으려면 설치 안해도 무방.)
* 구형 PSP 커펌 3.71 M33-4에서 1.50 커널 애드온 v2 설치하기
(1.50 커널 애드온 설치 후에는 한글폰트(kr0.pgf)를 재설치해주어야 합니다.)
구형 PSP (PSP-100x) / 신형 PSP (PSP-200x) 공통
신형 PSP의 경우에는 구형 PSP와는 다르게 1.50 커널이 아예 지원되지 않습니다. 쉽게 말하면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할 수가 없다는 소리입니다. 때문에 커펌 2.71 se부터 커펌 3.52 M33까지는 신형 PSP에서 설치할 수 없고 오로지 유니버셜 언브리커를 이용해서 구형 / 신형 공통의 커펌인 커펌 3.71 M33만 설치할 수 있습니다. 구형 PSP의 경우에도 유니버셜 언브리커를 이용하면 펌웨어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할 필요없이 바로 커펌 3.71 M33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편한 방법을 선택하세요.
* 유니버셜 언브리커 *
위에서도 말했듯이 정식 펌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신형 PSP에 커펌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니버셜 언브리커가 필요합니다. 유니버셜 언브리커는 판도라의 배터리와 비슷하게 특수한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가 필요합니다. (지그킥배터리는 반드시 커펌이 설치된 다른 PSP의 도움이 필요하며 판도라의 배터리용 지그킥배터리가 벌써 있다면 그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앞으로 나올 펌웨어까지 포함한 모든 펌웨어 가능)
* 유니버셜 언브리커 *
위에서도 말했듯이 정식 펌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신형 PSP에 커펌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니버셜 언브리커가 필요합니다. 유니버셜 언브리커는 판도라의 배터리와 비슷하게 특수한 메모리스틱과 지그킥배터리가 필요합니다. (지그킥배터리는 반드시 커펌이 설치된 다른 PSP의 도움이 필요하며 판도라의 배터리용 지그킥배터리가 벌써 있다면 그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앞으로 나올 펌웨어까지 포함한 모든 펌웨어 가능)
v3는 신형 PSP의 메뉴화면 출력을 지원하고, 커펌 3.71 M33이 아니라 버그가 수정된 커펌 3.71 M33-2가 바로 설치됩니다.
* 지그킥배터리 변환하기 (반드시 커펌된 PSP가 필요함)
*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메모리스틱 만들기 / 사용법 (커펌 설치된 PSP 필요없음)
유니버셜 언브리커 v3를 통해 커펌 3.71 M33-2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제일 먼저 커펌 3.71 M33-4로 업데이트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커펌 3.71 M33 설치 후 커펌 3.71 M33-4 업데이트
그리고 구형 PSP의 경우 1.50용 홈브류를 구동하려면 1.50 커널 애드온을 추가로 설치해야 합니다.
* 구형 PSP 커펌 3.71 M33-1 / 2 / 3에서 1.50커널 애드온 v2 설치하기
* 지그킥배터리 변환하기 (반드시 커펌된 PSP가 필요함)
* 유니버셜 언브리커 v3 메모리스틱 만들기 / 사용법 (커펌 설치된 PSP 필요없음)
유니버셜 언브리커 v3를 통해 커펌 3.71 M33-2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제일 먼저 커펌 3.71 M33-4로 업데이트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커펌 3.71 M33 설치 후 커펌 3.71 M33-4 업데이트
그리고 구형 PSP의 경우 1.50용 홈브류를 구동하려면 1.50 커널 애드온을 추가로 설치해야 합니다.
* 구형 PSP 커펌 3.71 M33-1 / 2 / 3에서 1.50커널 애드온 v2 설치하기
참고사항
* 판도라의 배터리, 유니버셜 언브리커 참고 *
판도라의 배터리, 유니버셜 언브리커, 매직 메모리스틱, 지그킥배터리 등 용어가 복잡하고 개념이 안잡힌다면 아래의 글들을 읽어보세요.
* 지그킥배터리? 매직 메모리스틱? : http://popotz.textcube.com/574
* 판도라의 배터리 분류 / 종합 : http://popotz.textcube.com/539
* 유니버셜 언브리커 자주 묻는 질문 : http://popotz.textcube.com/567
또한 판도라의 배터리와 유니버셜 언브리커를 서로 통합하거나 기능을 더욱 확장시켜주는 프로그램도 있습니다. 참고삼아 읽어보세요.
* Extended Pandora Bootmenu v0.84 : http://popotz.textcube.com/519
* 판도라배터리 노멀모드로 사용하기 : http://popotz.textcube.com/499
* PSP MS Multiloader IPL : http://popotz.textcube.com/520
* Ultra Recovery Pandora Mode Extender V1 : http://popotz.textcube.com/603
* NandTool v0.3b : http://popotz.textcube.com/651
* 커펌 3.52 M33과 커펌 3.71 M33의 차이점 *
계속 말했듯이 신형 PSP의 경우에는 선택사항이 없으므로 구형 PSP 사용자만 읽어보시면 됩니다.
커펌 3.52 M33은 이전의 커펌과 동일하게 펌웨어 1.50과 펌웨어 3.52의 조합으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커펌 설치시 1.50 커널도 함께 설치되므로 1.50용 홈브류와 3.xx용 홈브류를 모두 구동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리커버리 모드를 이용해 비교적 안전하게 펌웨어 1.50으로 복구하거나 커펌을 재설치할 수 있습니다.
반면, 커펌 3.71 M33은 구형 / 신형 공통의 커펌으로서, 커펌 3.52 M33-3 또는 커펌 3.52 M33-4인 상태에서 설치(펌웨어 1.50에서는 설치 불가)하거나 유니버셜 언브리커를 통해서만 설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커펌 3.71 M33은 펌웨어 1.50과 관련된 파일은 전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3.xx용 홈브류만 실행가능하며, 1.50용 홈브류는 따로 1.50커널 애드온을 설치해주어야만 구동할 수 있습니다.
커펌 3.71 M33의 리커버리 모드 역시 3.xx 커널로 실행되므로 기존의 펌웨어 1.50으로의 복구 기능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물론 따로 커펌 3.71 M33용으로 펌웨어 1.50 복구 프로그램이 발표되기는 했지만 기판에 따라 매우 불안정하고 복구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즉, 커펌 3.71 M33은 판도라의 배터리나 유니버셜 언브리커가 있어야만 안전하게 펌웨어 1.50으로의 복구나 반벽돌/벽돌의 복구가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다고 커펌 3.71 M33-3이 특별하게 문제가 있거나 지원하지 않는 기능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주의사항만 잘 지키고 불필요한 작업만 하지 않는다면 사용하는데 불편한 점은 없으므로 자신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세요.
판도라의 배터리, 유니버셜 언브리커, 매직 메모리스틱, 지그킥배터리 등 용어가 복잡하고 개념이 안잡힌다면 아래의 글들을 읽어보세요.
* 지그킥배터리? 매직 메모리스틱? : http://popotz.textcube.com/574
* 판도라의 배터리 분류 / 종합 : http://popotz.textcube.com/539
* 유니버셜 언브리커 자주 묻는 질문 : http://popotz.textcube.com/567
또한 판도라의 배터리와 유니버셜 언브리커를 서로 통합하거나 기능을 더욱 확장시켜주는 프로그램도 있습니다. 참고삼아 읽어보세요.
* Extended Pandora Bootmenu v0.84 : http://popotz.textcube.com/519
* 판도라배터리 노멀모드로 사용하기 : http://popotz.textcube.com/499
* PSP MS Multiloader IPL : http://popotz.textcube.com/520
* Ultra Recovery Pandora Mode Extender V1 : http://popotz.textcube.com/603
* NandTool v0.3b : http://popotz.textcube.com/651
* 커펌 3.52 M33과 커펌 3.71 M33의 차이점 *
계속 말했듯이 신형 PSP의 경우에는 선택사항이 없으므로 구형 PSP 사용자만 읽어보시면 됩니다.
커펌 3.52 M33은 이전의 커펌과 동일하게 펌웨어 1.50과 펌웨어 3.52의 조합으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커펌 설치시 1.50 커널도 함께 설치되므로 1.50용 홈브류와 3.xx용 홈브류를 모두 구동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리커버리 모드를 이용해 비교적 안전하게 펌웨어 1.50으로 복구하거나 커펌을 재설치할 수 있습니다.
반면, 커펌 3.71 M33은 구형 / 신형 공통의 커펌으로서, 커펌 3.52 M33-3 또는 커펌 3.52 M33-4인 상태에서 설치(펌웨어 1.50에서는 설치 불가)하거나 유니버셜 언브리커를 통해서만 설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커펌 3.71 M33은 펌웨어 1.50과 관련된 파일은 전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3.xx용 홈브류만 실행가능하며, 1.50용 홈브류는 따로 1.50커널 애드온을 설치해주어야만 구동할 수 있습니다.
커펌 3.71 M33의 리커버리 모드 역시 3.xx 커널로 실행되므로 기존의 펌웨어 1.50으로의 복구 기능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물론 따로 커펌 3.71 M33용으로 펌웨어 1.50 복구 프로그램이 발표되기는 했지만 기판에 따라 매우 불안정하고 복구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즉, 커펌 3.71 M33은 판도라의 배터리나 유니버셜 언브리커가 있어야만 안전하게 펌웨어 1.50으로의 복구나 반벽돌/벽돌의 복구가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다고 커펌 3.71 M33-3이 특별하게 문제가 있거나 지원하지 않는 기능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주의사항만 잘 지키고 불필요한 작업만 하지 않는다면 사용하는데 불편한 점은 없으므로 자신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세요.
# 제가 봐도 난잡한 글이네요. ㅜㅜ 제 능력은 여기까지!!!
# 위 실행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포포츠 백업 + NEW > CFW 공통,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UMD를 ISO로 덤프하기 (1) | 2010.12.30 |
---|---|
커펌 반벽돌 복구법 (0) | 2010.12.30 |
시스템언어와 문자집합에 대해... (0) | 2010.12.30 |
커스텀펌웨어의 개념 (0) | 2010.12.30 |
커스텀펌웨어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0) | 2010.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시스템언어와 문자집합에 대해...
포포츠 백업 + NEW/CFW 공통,기본
2010. 12. 30. 15:03
PSP의 언어 설정에는 두가지 메뉴가 있습니다.
바로 시스템 언어(System Language)와 문자집합(Character Set)이죠.
혼동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 두가지 설정은 전혀 다른 역할을 하게됩니다.
* 시스템 언어(System Language) - XMB의 메뉴이름의 언어를 선택합니다. 게임, 사진, 비디오 등의 메뉴이름을 무슨 언어로 설정할 것인지를 말합니다. 한글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한글패치라고 알고 있는 패치를 해야합니다. 중국쪽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낸드플래시에 가상의 registry폴더를 새로 생성하고 경로를 수정함으로써 시스템언어를 한글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문자집합(Character Set) - MP3, MP4 등의 컨텐츠의 제목이나 인터넷 사용시 보여지는 언어를 선택합니다. 실질적인 PSP의 언어설정이라고 할 수 있죠. 커펌에서는 한글폰트가 더미파일로 교체되었기에 문자집합을 한글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한글폰트만 새로 설치해 주면 해결됩니다.
설치법은 http://popotz.textcube.com/5
즉, 시스템언어는 PSP의 껍데기 언어, 문자집합은 PSP의 내용물 언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개인적으로는 한글패치를 추천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아직까지 패치 제거시 오류가 많고, 다른 낸드플래시 관련 프로그램과 충돌을 일으킬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flash1에 다른 폴더를 생성하는 것도 찜찜하죠. 게다가 시스템언어를 한글로 설정하면 중국어폰트까지 깔아야 하는데 이 중국어폰트 용량이 만만치가 않고 일본어 표현의 경우 일본어폰트 대신 중국어폰트를 사용함으로써 원래의 폰트보다 지저분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저는 이렇게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커펌 설치 - 3MB-ICU 실행 - 한글, 일본어 폰트 설치 - 시스템언어 영어, 문자집합 한글로 설정
# 왜 일본어 폰트까지 설치하냐면 3MB-ICU를 실행하면 일본어폰트도 더미로 교체되기 때문입니다.
# 만약 XMB메뉴를 굳이 한글로 보고 싶으신 분들은 RCO Icon Editor로 topmenu_plugin.rco를 한글로 편집해 사용하기를 추천합니다.
바로 시스템 언어(System Language)와 문자집합(Character Set)이죠.
혼동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 두가지 설정은 전혀 다른 역할을 하게됩니다.
* 시스템 언어(System Language) - XMB의 메뉴이름의 언어를 선택합니다. 게임, 사진, 비디오 등의 메뉴이름을 무슨 언어로 설정할 것인지를 말합니다. 한글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한글패치라고 알고 있는 패치를 해야합니다. 중국쪽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낸드플래시에 가상의 registry폴더를 새로 생성하고 경로를 수정함으로써 시스템언어를 한글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문자집합(Character Set) - MP3, MP4 등의 컨텐츠의 제목이나 인터넷 사용시 보여지는 언어를 선택합니다. 실질적인 PSP의 언어설정이라고 할 수 있죠. 커펌에서는 한글폰트가 더미파일로 교체되었기에 문자집합을 한글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한글폰트만 새로 설치해 주면 해결됩니다.
설치법은 http://popotz.textcube.com/5
즉, 시스템언어는 PSP의 껍데기 언어, 문자집합은 PSP의 내용물 언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개인적으로는 한글패치를 추천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아직까지 패치 제거시 오류가 많고, 다른 낸드플래시 관련 프로그램과 충돌을 일으킬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flash1에 다른 폴더를 생성하는 것도 찜찜하죠. 게다가 시스템언어를 한글로 설정하면 중국어폰트까지 깔아야 하는데 이 중국어폰트 용량이 만만치가 않고 일본어 표현의 경우 일본어폰트 대신 중국어폰트를 사용함으로써 원래의 폰트보다 지저분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저는 이렇게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커펌 설치 - 3MB-ICU 실행 - 한글, 일본어 폰트 설치 - 시스템언어 영어, 문자집합 한글로 설정
# 왜 일본어 폰트까지 설치하냐면 3MB-ICU를 실행하면 일본어폰트도 더미로 교체되기 때문입니다.
# 만약 XMB메뉴를 굳이 한글로 보고 싶으신 분들은 RCO Icon Editor로 topmenu_plugin.rco를 한글로 편집해 사용하기를 추천합니다.
'포포츠 백업 + NEW > CFW 공통,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UMD를 ISO로 덤프하기 (1) | 2010.12.30 |
---|---|
커펌 반벽돌 복구법 (0) | 2010.12.30 |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2.5 (0) | 2010.12.30 |
커스텀펌웨어의 개념 (0) | 2010.12.30 |
커스텀펌웨어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0) | 2010.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커스텀펌웨어의 개념
포포츠 백업 + NEW/CFW 공통,기본
2010. 12. 30. 15:00
메일을 하나 받았는데 그 분은 데브훅과 커펌을 비슷한 프로그램으로 착각하고 계시더군요. ㅜㅜ
그래서 예전 블로그에 올렸던 글을 약간 수정해서 올립니다.
(사실 심심해서요. 일주일에 한두번은 외국쪽에서도 소식들이 잠잠하군요.)
지루한 글이니 커펌을 처음 설치하는 분들만 심심풀이로 읽어주세요.
지식이 미천하고 글솜씨가 한없이 부족하여 많이 엉성하고 횡설수설입니다.
추가할 내용이 있으면 나중에 수정할테니 이쁘게 봐주세요. *^^*
그래서 예전 블로그에 올렸던 글을 약간 수정해서 올립니다.
(사실 심심해서요. 일주일에 한두번은 외국쪽에서도 소식들이 잠잠하군요.)
지루한 글이니 커펌을 처음 설치하는 분들만 심심풀이로 읽어주세요.
커펌의 기본 개념 열기
커펌이란 무엇인가?
PSP로 각종 에뮬이나 로더 등의 홈브류를 돌리기 위해서는 1.50펌웨어가 필수입니다.
그 이상의 펌웨어에서는 손휘사가 보안강화를 통해 돌아가지 못하도록 만들었기 때문이죠.
(몇몇 프로그램은 2.71펌웨어에서도 돌아가지만 여기서는 제외합니다.)
그래서 1.50펌웨어 사용자들은 공식 펌웨어업그레이드는 포기하고 1.50펌웨어에서 머무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MP3의 비주얼 플레이어나 공식PSX에뮬, 인터넷 등의 약간(?)은 끌리는 기능 역시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Dark_AleX라는 개발자가 1.50펌웨어와 공식으로 발표된 최신펌웨어를 서로 섞어 커스텀펌웨어라는 새로운 펌웨어를 만들어내게 됩니다.
최근에 나온 커펌 3.03 OE는 홈브류를 돌릴 수 있는 1.50펌웨어와 최신펌웨어인 3.03펌웨어를 조합해 양쪽의 장점을 모두 흡수한 새로운 펌웨어입니다.
즉, 커펌은 손휘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펌웨어와는 전혀 다른 평행한 길을 걷고 있는 셈이죠.
┏ 1.51 ━ 2.00 ━ 2.01 ━ ...... ━ 3.02 ━ 3.03 : 공식 펌웨어
1.50 ━┫ (여기는 善과 惡의 경계선? ㅋ)
┗ 2.71 SE ━ 3.02 OE ━ 3.03 OE : 커스텀 펌웨어
커펌의 설치가능 버전은?
현재 커펌은 2.71 SE-X, 3.02 OE-X, 3.03 OE-X 종류가 있습니다.
모든 홈브류가 1.50펌웨어에서만 작동되듯이 커펌 역시 1.50펌웨어에서만 설치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공식 펌웨어의 경우 2.00에서 2.50으로, 2.50에서 3.03으로 계속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한 것과 마찬가지로 커펌의 경우에도 2.71SE에서 3.02OE, 3.02OE에서 3.03OE로의 설치가 가능합니다.
커펌 3.03 OE라고 해서 공식 3.03펌웨어에서 설치할 수 있다는 뜻이 아니라는 것을 꼭 명심하세요.
('제가 3.03버전인데 이거 사용할 수 있나요?' 같은 질문은 이제 그만...)
커펌과 데브훅의 다른점은?
커펌과 데브훅은 언뜻 비슷해보이지만 전혀 다른 프로그램입니다.
데브훅은 PSP 자체의 낸드플래시는 전혀 건드리지 않고 메모리스틱에서 가상의 펌웨어 파일을 불러와 상위 펌웨어의 기능을 사용하거나 게임을 즐기는 일종의 프로그램에 지나지 않습니다.
반면 커펌은 PSP 자체에 설치되어 있는 펌웨어는 모두 삭제하고 새로운 펌웨어로 덮어쓰는 마치 PC의 운영체제 업그레이드와 같은 개념입니다.
간단히 비유하자면 데브훅은 중국집과 레스토랑을 계속 왔다갔다 하며 먹는 것이고, 커펌은 자장면과 스테이크를 섞어 만든 퓨전음식점에만 가서 먹는 것.
커펌의 설치는?
커펌을 설치하는 법은 비슷하나, 커펌 발표시 따로 자세히 적혀 있으므로 이 글에서는 생략합니다.
커펌의 구조?
커펌은 PSP의 낸드메모리에 설치되므로 따로 구조라고 할만한 것도 없습니다.
메모리스틱이 없어도 커펌으로 부팅가능하며 기본적인 사용 역시 가능하죠.
하지만 커펌의 모든 기능들을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모리스틱의 구조가 중요해집니다.
우선 확인할 점은 자신의 커펌의 커널설정이 무엇으로 되어있느냐입니다.
리커버리 모드에서 확인 가능하며 되도록 기본값인 3.03커널을 추천합니다.
(이 이후에는 3.03커널설정으로 간주하고 설명하겠습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ZqVViVoXM.jpg)
제 PSP 메모리스틱입니다.
위 그림을 보면 커펌을 사용하기 위한 메모리스틱 구조를 어느정도는 알 수 있을겁니다.
커펌의 기능?
그럼 커펌이 공식펌웨어와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위에서도 말했듯이 1.50펌웨어를 기본으로 하기에 거의 모든 1.50용 홈브류를 구동할 수 있습니다. 이것만으로도 PSP의 활용폭은 엄청나게 넓어지게 되지요.
거기에 데브훅같은 로더의 기능을 기본 포함시켜 ISO/CSO파일을 별다른 프로그램 없이도 구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최신펌웨어에서 추가된 기능들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PSX에뮬의 경우 손휘에서 공식판매하는 게임뿐만 아니라 자신이 직접 변환한 PSX게임도 구동할 수 있도록 해킹된 상태입니다.
그외에 UMD자동실행 방지, 손상된 데이터 숨기기, 손휘로고 스킵, NO-UMD기능 등 리커버리모드에서 여러 편의기능들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플러그인을 통해 계속적인 부가기능의 추가가 이루어지고 있지요.
플러그인이란?
커펌이 정식펌웨어에 비해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부가기능은 데브훅보다 조금 부족합니다.
그래서 개발자는 새로운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도록 플러그인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플러그인이란 PSP를 부팅할때 낸드메모리가 아니라 메모리스틱에서 불러올 수 있도록 추가된 기능들을 말합니다. (이로서 제한된 PSP 낸드메모리 용량에 대한 부담도 조금은 줄어들었죠.)
플러그인을 설치할때 중요한 것은 다음 3개의 텍스트파일입니다.
앞으로의 커펌은?
손휘사가 새로운 펌웨어를 발표한다 하더라도 Dark_AleX가 개발중지하기 전까지는 커펌 역시 그 펌웨어를 기반으로 새로운 버전이 발표될거라고 생각합니다.
즉 현재 커펌을 사용하는 분들은 굳이 손휘사의 공식 펌웨어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죠.
PSP로 각종 에뮬이나 로더 등의 홈브류를 돌리기 위해서는 1.50펌웨어가 필수입니다.
그 이상의 펌웨어에서는 손휘사가 보안강화를 통해 돌아가지 못하도록 만들었기 때문이죠.
(몇몇 프로그램은 2.71펌웨어에서도 돌아가지만 여기서는 제외합니다.)
그래서 1.50펌웨어 사용자들은 공식 펌웨어업그레이드는 포기하고 1.50펌웨어에서 머무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MP3의 비주얼 플레이어나 공식PSX에뮬, 인터넷 등의 약간(?)은 끌리는 기능 역시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Dark_AleX라는 개발자가 1.50펌웨어와 공식으로 발표된 최신펌웨어를 서로 섞어 커스텀펌웨어라는 새로운 펌웨어를 만들어내게 됩니다.
최근에 나온 커펌 3.03 OE는 홈브류를 돌릴 수 있는 1.50펌웨어와 최신펌웨어인 3.03펌웨어를 조합해 양쪽의 장점을 모두 흡수한 새로운 펌웨어입니다.
즉, 커펌은 손휘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펌웨어와는 전혀 다른 평행한 길을 걷고 있는 셈이죠.
┏ 1.51 ━ 2.00 ━ 2.01 ━ ...... ━ 3.02 ━ 3.03 : 공식 펌웨어
1.50 ━┫ (여기는 善과 惡의 경계선? ㅋ)
┗ 2.71 SE ━ 3.02 OE ━ 3.03 OE : 커스텀 펌웨어
커펌의 설치가능 버전은?
현재 커펌은 2.71 SE-X, 3.02 OE-X, 3.03 OE-X 종류가 있습니다.
모든 홈브류가 1.50펌웨어에서만 작동되듯이 커펌 역시 1.50펌웨어에서만 설치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공식 펌웨어의 경우 2.00에서 2.50으로, 2.50에서 3.03으로 계속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한 것과 마찬가지로 커펌의 경우에도 2.71SE에서 3.02OE, 3.02OE에서 3.03OE로의 설치가 가능합니다.
커펌 3.03 OE라고 해서 공식 3.03펌웨어에서 설치할 수 있다는 뜻이 아니라는 것을 꼭 명심하세요.
('제가 3.03버전인데 이거 사용할 수 있나요?' 같은 질문은 이제 그만...)
커펌과 데브훅의 다른점은?
커펌과 데브훅은 언뜻 비슷해보이지만 전혀 다른 프로그램입니다.
데브훅은 PSP 자체의 낸드플래시는 전혀 건드리지 않고 메모리스틱에서 가상의 펌웨어 파일을 불러와 상위 펌웨어의 기능을 사용하거나 게임을 즐기는 일종의 프로그램에 지나지 않습니다.
반면 커펌은 PSP 자체에 설치되어 있는 펌웨어는 모두 삭제하고 새로운 펌웨어로 덮어쓰는 마치 PC의 운영체제 업그레이드와 같은 개념입니다.
간단히 비유하자면 데브훅은 중국집과 레스토랑을 계속 왔다갔다 하며 먹는 것이고, 커펌은 자장면과 스테이크를 섞어 만든 퓨전음식점에만 가서 먹는 것.
커펌의 설치는?
커펌을 설치하는 법은 비슷하나, 커펌 발표시 따로 자세히 적혀 있으므로 이 글에서는 생략합니다.
커펌의 구조?
커펌은 PSP의 낸드메모리에 설치되므로 따로 구조라고 할만한 것도 없습니다.
메모리스틱이 없어도 커펌으로 부팅가능하며 기본적인 사용 역시 가능하죠.
하지만 커펌의 모든 기능들을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모리스틱의 구조가 중요해집니다.
우선 확인할 점은 자신의 커펌의 커널설정이 무엇으로 되어있느냐입니다.
리커버리 모드에서 확인 가능하며 되도록 기본값인 3.03커널을 추천합니다.
(이 이후에는 3.03커널설정으로 간주하고 설명하겠습니다.)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ZqVViVoXM.jpg)
제 PSP 메모리스틱입니다.
위 그림을 보면 커펌을 사용하기 위한 메모리스틱 구조를 어느정도는 알 수 있을겁니다.
커펌의 기능?
그럼 커펌이 공식펌웨어와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위에서도 말했듯이 1.50펌웨어를 기본으로 하기에 거의 모든 1.50용 홈브류를 구동할 수 있습니다. 이것만으로도 PSP의 활용폭은 엄청나게 넓어지게 되지요.
거기에 데브훅같은 로더의 기능을 기본 포함시켜 ISO/CSO파일을 별다른 프로그램 없이도 구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최신펌웨어에서 추가된 기능들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PSX에뮬의 경우 손휘에서 공식판매하는 게임뿐만 아니라 자신이 직접 변환한 PSX게임도 구동할 수 있도록 해킹된 상태입니다.
그외에 UMD자동실행 방지, 손상된 데이터 숨기기, 손휘로고 스킵, NO-UMD기능 등 리커버리모드에서 여러 편의기능들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플러그인을 통해 계속적인 부가기능의 추가가 이루어지고 있지요.
플러그인이란?
커펌이 정식펌웨어에 비해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부가기능은 데브훅보다 조금 부족합니다.
그래서 개발자는 새로운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도록 플러그인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플러그인이란 PSP를 부팅할때 낸드메모리가 아니라 메모리스틱에서 불러올 수 있도록 추가된 기능들을 말합니다. (이로서 제한된 PSP 낸드메모리 용량에 대한 부담도 조금은 줄어들었죠.)
플러그인을 설치할때 중요한 것은 다음 3개의 텍스트파일입니다.
VSH.TXT : PSP의 XMB상태에서 사용할 플러그인들의 경로를 지정합니다.
GAME.TXT : UMD게임 구동시 사용할 플러그인들의 경로를 지정합니다.
POPS.TXT : PSX에뮬레이터 구동시 사용할 플러그인들의 경로를 지정합니다.
일단 위 텍스트파일에 플러그인의 경로를 지정하고 나면 커펌의 리커버리 모드에서 사용 유/무를 설정할 수 있으며 현재는 캡쳐, USBhost, 전원관리, 치트프로그램 등 다양한 플러그인이 개발되고 발표되고 있으니 필요한 플러그인들만 설치해서 사용하면 됩니다.GAME.TXT : UMD게임 구동시 사용할 플러그인들의 경로를 지정합니다.
POPS.TXT : PSX에뮬레이터 구동시 사용할 플러그인들의 경로를 지정합니다.
앞으로의 커펌은?
손휘사가 새로운 펌웨어를 발표한다 하더라도 Dark_AleX가 개발중지하기 전까지는 커펌 역시 그 펌웨어를 기반으로 새로운 버전이 발표될거라고 생각합니다.
즉 현재 커펌을 사용하는 분들은 굳이 손휘사의 공식 펌웨어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죠.
지식이 미천하고 글솜씨가 한없이 부족하여 많이 엉성하고 횡설수설입니다.
추가할 내용이 있으면 나중에 수정할테니 이쁘게 봐주세요. *^^*
'포포츠 백업 + NEW > CFW 공통,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UMD를 ISO로 덤프하기 (1) | 2010.12.30 |
---|---|
커펌 반벽돌 복구법 (0) | 2010.12.30 |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2.5 (0) | 2010.12.30 |
시스템언어와 문자집합에 대해... (0) | 2010.12.30 |
커스텀펌웨어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0) | 2010.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커스텀펌웨어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포포츠 백업 + NEW/CFW 공통,기본
2010. 12. 30. 15:00
다크 알렉스가 만든 커스텀 펌웨어는 공통적으로 리커버리 모드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이는 커스텀 펌웨어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어하고 혹시라도 부팅이 되지 않을 때 복구하기 위함입니다.
이 리커버리 모드는 커펌 설치시 PSP의 낸드메모리에 같이 설치되는 것으로 설령 메모리스틱이 없더라도 리커버리 모드에는 진입할 수 있습니다.
커펌 3.03 OE-C버전을 기준으로 합니다.
우선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하려면 PSP의 전원을 완전히 내린 상태에서 R트리거를 누른 채로 전원 버튼을 올리면 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
Recovery mode
Main menu
Toggle USB
Configuration ->
Run program at /PSP/GAME/RECOVERY/EBOOT.PBP
Advanced ->
CPU speed ->
Plugins ->
Registry hacks ->
Exit
-------------------------------------------------------------------------------------------
하나하나 꼭 알아야 할 기능만 설명하겠습니다. 선택은 X버튼으로 합니다.
1. Toggle USB
USB연결을 활성화합니다. 물론 PSP와 PC는 USB연결선으로 이어져 있어야 합니다.
이 옵션을 활성화 시키면 PSP가 XMB로 부팅되지 않더라도 PSP 내의 메모리스틱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커펌에서 1.50으로 복귀할 때 꼭 필요한 기능입니다.
2. Configuration ->
커펌의 기본적인 설정 항목입니다.
Skip SCE logo
부팅시 손휘사의 로고를 나오지 않게 하여 시간을 단축시킵니다.
Hide corrupt icons
손상된 아이콘들이 나오지 않도록 숨겨줍니다. (예를 들어 XXX%폴더 등)
Game foler homebrew
PSP/GAME폴더를 어떤 펌웨어용으로 사용할 건지 선택합니다. 3.03kernel로 선택한다면 3.03용 홈브류는 GAME폴더에, 1.50용 홈브류는 GAME150폴더에 넣습니다. 1.50kernel로 선택한다면 3.03용 홈브류는 GAME303폴더에 1.50용 홈브류는 GAME폴더에 넣어서 사용하면 됩니다.
실행이 안된다는 분 대부분이 이 설정이 잘못 되었기 때문입니다.
혼동하기 쉬우니 꼭 확인하세요. (아래에서는 이 항목을 커널설정이라고 하겠습니다.)
Autorun program at /PSP/GAME/BOOT/EBOOT.PBP
부팅시 자동으로 실행될 프로그램을 설정합니다. 자신이 자동으로 실행할 프로그램의 EBOOT.PBP파일을 ms0:/PSP/GAME/BOOT라는 폴더를 만든 뒤 그 안에 넣어두면 됩니다. 물론 EBOOT.PBP 파일뿐만 아니라 실행에 필요한 다른 파일들도 같이 넣어주어야 하겠지요.
단, 이 자동실행 프로그램은 1.50용 홈브류만 설정 가능합니다.
Use NO-UMD
UMD슬롯에 아무런 UMD를 넣지 않고도 게임을 실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하지만 아직 불안정하므로 그냥 이 옵션을 비활성화한 뒤에 아무 UMD나 하나 넣어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Fake region
PSP의 발매지역을 선택합니다. 한 번씩 선택할 때마다 국가 지역이 바뀌게 됩니다.
만약 이 항목이 제대로 바뀌지 않는다면 커펌이 잘못 설치된 것으로 순정 1.50에서 다시 한번 설치해 주어야 합니다.
Free UMD Region
UMD의 지역코드를 해제합니다. 게임UMD가 아닌 비디오UMD에는 지역코드가 걸려있어 다른 지역에서 발매된 UMD는 구동할 수 없는데 이를 구동할 수 있게 해주는 옵션입니다.
3. Run program at /PSP/GAME/RECOVERY/EBOOT.PBP
리커버리 모드에서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항목입니다.
XMB로 부팅조차 되지 않아 손 쓸 방법이 없을 때에 이를 통해 1.50에서 2.71까지 자기가 원하는 펌웨어로 PSP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은 우선 자신이 돌아가려는 펌웨어파일을 구합니다. (1.50펌웨어 추천입니다.)
펌웨어 파일을 구했으면 그 펌웨어파일의 이름을 EBOOT.PBP에서 UPDATE.PBP로 바꾸어줍니다.
그리고 커펌OE설치파일에서 RECOVERY폴더를 구하던지 아래 파일을 받습니다.
압축파일을 풀어보면 RECOVERY폴더가 나오는데 그 안에 UPDATE.PBP로 이름을 바꾼 펌웨어 파일을 넣습니다.
그리고 PSP의 리커버리 모드에서 USB 옵션을 활성화 한 뒤에 위에서 만든 RECOVERY폴더를 메모리스틱의 ms0:/PSP/GAME폴더로 복사합니다.
(커널 설정과는 상관없이 무조건 ms0:/PSP/GAME 폴더에 넣어야 합니다.)
그리고 Run program at /PSP/GAME/RECOVERY/EBOOT.PBP 항목을 선택합니다.
그럼 자동으로 다운그레이드가 진행되고 끝난 후 재부팅을 하면 1.50으로 PSP의 복구가 완료됩니다.
참고로 RECOVERY안의 내용물을 커펌 설치시 사용한 303oeflasher폴더의 내용물(EBOOT.PBP, DATA.DXAR)로 대체하면 1.50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닌 커펌의 재설치가 가능합니다.
커펌 -> 1.50 -> 커펌이 아니라 커펌 -> 커펌 재설치가 가능한 것이죠.
이 RECOVERY폴더를 지워도 되냐고 질문을 많이 하는데 평소에는 RECOVERY폴더를 굳이 넣어둘 필요도 없고 괜히 용량만 차지하고 귀찮으므로 삭제해도 됩니다.
복구할 필요가 있을때에만 Toggle USB 기능을 사용하여 넣어주면 됩니다.
4. Advanced ->
Advanced configuration
평소에는 건드릴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몇몇 플러그인 설치시 설정해야 할 때가 있는데 하라는 대로만 설정하면 됩니다.
Toggle USB (flash0)
flash0을 이동식 디스크로 인식하여 PC상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주의 요망)
Toggle USB (flash1)
flash1을 이동식 디스크로 인식하여 PC상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주의 요망)
5. CPU speed ->
Speed in XMB
XMB상에서의 CPU클럭을 변경합니다.
Speed in UMD/ISO
UMD/ISO/CSO 게임 구동시 CPU클럭을 변경합니다.
6. Plugins ->
커펌의 기능확장을 위한 플러그인을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ms0:/seplugins 폴더에 관련 플러그인 파일을 넣어두고 VSH.TXT, GAME.TXT, POPS.TXT등의 파일을 편집하여 플러그인을 등록하면 이 항목에 등록한 플러그인이 보이며 여기서 활성화/비활성화를 설정해주면 됩니다.
각각의 플러그인에 따라 설치법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합니다.
7. Registry hacks ->
Button assign
O버튼과 X버튼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XMB상에서 O버튼을 확인(enter)기능으로 할 건지 X버튼을 확인(enter)기능으로 할건지 자신의 취향대로 설정하면 됩니다.
Activate WMA
WMA 재생을 활성화 합니다.
XMB의 설정 메뉴에서는 활성화가 안 되기 때문에 WMA를 듣고 싶다면 여기서 활성화 시켜주면 됩니다.
Activate Flash Player
위와 마찬가지로 플레시 재생을 활성화 하는 항목입니다.
8. Exit
리커버리 모드를 종료하고 XMB로 부팅합니다.
이는 커스텀 펌웨어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어하고 혹시라도 부팅이 되지 않을 때 복구하기 위함입니다.
이 리커버리 모드는 커펌 설치시 PSP의 낸드메모리에 같이 설치되는 것으로 설령 메모리스틱이 없더라도 리커버리 모드에는 진입할 수 있습니다.
커펌 3.03 OE-C버전을 기준으로 합니다.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열기
우선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하려면 PSP의 전원을 완전히 내린 상태에서 R트리거를 누른 채로 전원 버튼을 올리면 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
Recovery mode
Main menu
Toggle USB
Configuration ->
Run program at /PSP/GAME/RECOVERY/EBOOT.PBP
Advanced ->
CPU speed ->
Plugins ->
Registry hacks ->
Exit
-------------------------------------------------------------------------------------------
하나하나 꼭 알아야 할 기능만 설명하겠습니다. 선택은 X버튼으로 합니다.
1. Toggle USB
USB연결을 활성화합니다. 물론 PSP와 PC는 USB연결선으로 이어져 있어야 합니다.
이 옵션을 활성화 시키면 PSP가 XMB로 부팅되지 않더라도 PSP 내의 메모리스틱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커펌에서 1.50으로 복귀할 때 꼭 필요한 기능입니다.
2. Configuration ->
커펌의 기본적인 설정 항목입니다.
Skip SCE logo
부팅시 손휘사의 로고를 나오지 않게 하여 시간을 단축시킵니다.
Hide corrupt icons
손상된 아이콘들이 나오지 않도록 숨겨줍니다. (예를 들어 XXX%폴더 등)
Game foler homebrew
PSP/GAME폴더를 어떤 펌웨어용으로 사용할 건지 선택합니다. 3.03kernel로 선택한다면 3.03용 홈브류는 GAME폴더에, 1.50용 홈브류는 GAME150폴더에 넣습니다. 1.50kernel로 선택한다면 3.03용 홈브류는 GAME303폴더에 1.50용 홈브류는 GAME폴더에 넣어서 사용하면 됩니다.
실행이 안된다는 분 대부분이 이 설정이 잘못 되었기 때문입니다.
혼동하기 쉬우니 꼭 확인하세요. (아래에서는 이 항목을 커널설정이라고 하겠습니다.)
Autorun program at /PSP/GAME/BOOT/EBOOT.PBP
부팅시 자동으로 실행될 프로그램을 설정합니다. 자신이 자동으로 실행할 프로그램의 EBOOT.PBP파일을 ms0:/PSP/GAME/BOOT라는 폴더를 만든 뒤 그 안에 넣어두면 됩니다. 물론 EBOOT.PBP 파일뿐만 아니라 실행에 필요한 다른 파일들도 같이 넣어주어야 하겠지요.
단, 이 자동실행 프로그램은 1.50용 홈브류만 설정 가능합니다.
Use NO-UMD
UMD슬롯에 아무런 UMD를 넣지 않고도 게임을 실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하지만 아직 불안정하므로 그냥 이 옵션을 비활성화한 뒤에 아무 UMD나 하나 넣어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Fake region
PSP의 발매지역을 선택합니다. 한 번씩 선택할 때마다 국가 지역이 바뀌게 됩니다.
만약 이 항목이 제대로 바뀌지 않는다면 커펌이 잘못 설치된 것으로 순정 1.50에서 다시 한번 설치해 주어야 합니다.
Free UMD Region
UMD의 지역코드를 해제합니다. 게임UMD가 아닌 비디오UMD에는 지역코드가 걸려있어 다른 지역에서 발매된 UMD는 구동할 수 없는데 이를 구동할 수 있게 해주는 옵션입니다.
3. Run program at /PSP/GAME/RECOVERY/EBOOT.PBP
리커버리 모드에서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항목입니다.
XMB로 부팅조차 되지 않아 손 쓸 방법이 없을 때에 이를 통해 1.50에서 2.71까지 자기가 원하는 펌웨어로 PSP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은 우선 자신이 돌아가려는 펌웨어파일을 구합니다. (1.50펌웨어 추천입니다.)
펌웨어 파일을 구했으면 그 펌웨어파일의 이름을 EBOOT.PBP에서 UPDATE.PBP로 바꾸어줍니다.
그리고 커펌OE설치파일에서 RECOVERY폴더를 구하던지 아래 파일을 받습니다.
압축파일을 풀어보면 RECOVERY폴더가 나오는데 그 안에 UPDATE.PBP로 이름을 바꾼 펌웨어 파일을 넣습니다.
그리고 PSP의 리커버리 모드에서 USB 옵션을 활성화 한 뒤에 위에서 만든 RECOVERY폴더를 메모리스틱의 ms0:/PSP/GAME폴더로 복사합니다.
(커널 설정과는 상관없이 무조건 ms0:/PSP/GAME 폴더에 넣어야 합니다.)
그리고 Run program at /PSP/GAME/RECOVERY/EBOOT.PBP 항목을 선택합니다.
그럼 자동으로 다운그레이드가 진행되고 끝난 후 재부팅을 하면 1.50으로 PSP의 복구가 완료됩니다.
참고로 RECOVERY안의 내용물을 커펌 설치시 사용한 303oeflasher폴더의 내용물(EBOOT.PBP, DATA.DXAR)로 대체하면 1.50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닌 커펌의 재설치가 가능합니다.
커펌 -> 1.50 -> 커펌이 아니라 커펌 -> 커펌 재설치가 가능한 것이죠.
이 RECOVERY폴더를 지워도 되냐고 질문을 많이 하는데 평소에는 RECOVERY폴더를 굳이 넣어둘 필요도 없고 괜히 용량만 차지하고 귀찮으므로 삭제해도 됩니다.
복구할 필요가 있을때에만 Toggle USB 기능을 사용하여 넣어주면 됩니다.
4. Advanced ->
Advanced configuration
평소에는 건드릴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몇몇 플러그인 설치시 설정해야 할 때가 있는데 하라는 대로만 설정하면 됩니다.
Toggle USB (flash0)
flash0을 이동식 디스크로 인식하여 PC상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주의 요망)
Toggle USB (flash1)
flash1을 이동식 디스크로 인식하여 PC상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주의 요망)
5. CPU speed ->
Speed in XMB
XMB상에서의 CPU클럭을 변경합니다.
Speed in UMD/ISO
UMD/ISO/CSO 게임 구동시 CPU클럭을 변경합니다.
6. Plugins ->
커펌의 기능확장을 위한 플러그인을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ms0:/seplugins 폴더에 관련 플러그인 파일을 넣어두고 VSH.TXT, GAME.TXT, POPS.TXT등의 파일을 편집하여 플러그인을 등록하면 이 항목에 등록한 플러그인이 보이며 여기서 활성화/비활성화를 설정해주면 됩니다.
각각의 플러그인에 따라 설치법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합니다.
7. Registry hacks ->
Button assign
O버튼과 X버튼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XMB상에서 O버튼을 확인(enter)기능으로 할 건지 X버튼을 확인(enter)기능으로 할건지 자신의 취향대로 설정하면 됩니다.
Activate WMA
WMA 재생을 활성화 합니다.
XMB의 설정 메뉴에서는 활성화가 안 되기 때문에 WMA를 듣고 싶다면 여기서 활성화 시켜주면 됩니다.
Activate Flash Player
위와 마찬가지로 플레시 재생을 활성화 하는 항목입니다.
8. Exit
리커버리 모드를 종료하고 XMB로 부팅합니다.
'포포츠 백업 + NEW > CFW 공통,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UMD를 ISO로 덤프하기 (1) | 2010.12.30 |
---|---|
커펌 반벽돌 복구법 (0) | 2010.12.30 |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2.5 (0) | 2010.12.30 |
시스템언어와 문자집합에 대해... (0) | 2010.12.30 |
커스텀펌웨어의 개념 (0) | 2010.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최근 나오는 PSP-300X는 펌웨어 6.00 미만으로 다운그레이드할 수 없다
포포츠 백업 + NEW/다운그레이더
2010. 12. 30. 14:57
이전 글의 댓글들 정말 감사드립니다. 이제 맘 편히 천국으로 갈 수 있을 것 같... 그게 아니라 아직 그만두려면 시간이 좀 많이 남았어요. ㅜㅜ D-15!!
--------------------------------------------------------------------------------------
wololo 포럼의 한 유저가 Total_Noob가 현재 개발 중이라고 알려진 6.XX TN (HEN) 대신 펌웨어 6.35인 PSP를 펌웨어 5.03으로 다운그레이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내놓는 편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질문글을 올렸습니다. 호환성도 별로 좋지 않는 펌웨어 6.XX를 기반으로 하기 보다는, 이미 관련 프로그램이 많이 나와있는 펌웨어 5.03으로 다운그레이드해서 ChickHen을 이용하자는 얘기죠. 그런데 이와 관련해서 재미있는 정보가 있군요. [출처가기1] [출처가기2]
하드웨어상 최근 발매되는 PSP-300X는 펌웨어 6.00 미만으로 다운그레이드할 수가 없다고 합니다.
ruyor씨의 댓글에 따르면...
여기서 말하는 03g, 04g 등은 펌웨어 내 각 모듈의 이름에 추가로 붙어있는 단어를 말합니다. (예 : pspbtcnf.bin과 pspbtcnf_02g.bin 등등) PSP 각 기종마다 하드웨어에 약간씩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통해 설치/사용하는 모듈을 구분하는 것이죠. 'g'는 generation의 줄임말로 02g는 2세대, 03g는 3세대를 의미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PSP-100X는 그냥 기본 모듈을 사용하며, PSP-200X는 끝에 _02g가 붙은 모듈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유독 PSP-300X만 _03g 모듈을 사용하는 것과 _04g 모듈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뉘어진다는 것이죠.
그리고 03g 모듈을 사용하는 PSP-300X는 펌웨어 5.00까지 다운그레이드 가능하지만, 04g 모듈을 사용하는 PSP-300X는 펌웨어 5.XX로는 다운그레이드할 수 없고, 따라서 펌웨어 5.03 전용의 ChickHEN을 사용할 수도 없겠지요.
이 문제는 하드웨어적으로 특정 버전의 펌웨어는 설치되지 못하게 막아놓은 것이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예전 PSP-200X가 처음 발매되었을 당시에도 펌웨어 1.50으로는 다운그레이드할 수 없어, 결국 M33팀(Dark_AleX)은 그 동안 커펌에서 사용하던 기존의 1.50 커널을 완전히 포기하고, 3.xx 커널을 사용하는 새로운 커펌 3.60 M33을 발표한 일이 있었죠. (관련글 보기)
뭐, Total_Noob측에서 개발 초기를 제외하고는 다운그레이더에 대해 별 말이 없는 것으로 봐서 다운그레이더가 나올 일은 없을 거라 생각됩니다. 그냥 기존대로 펌웨어 6.XX 기반에서 동작하는 6.20 TN (HEN)이나 6.35 TN (HEN)만을 발표한다면 위의 이야기는 별 상관이 없으니 크게 신경쓸 필요는 없겠네요.
다만, 6.XX TN (HEN)을 이용해 PSP를 펌웨어 5.03으로 다운그레이드한 뒤, 이미 나와있는 ChickHEN용 임시 커펌(5.03 GEN이나 CFWEnabler 등)을 사용하고자 하셨던 PSP-300X 사용자분들은 그냥 포기하셔야 할 듯...
* 관련글 보기 *
[루머] PSP는 8세대까지 있다??
신형용 커펌 3.60 M33 발표/설치법
신형PSP용 커펌 3.60 M33 곧 발표 예정??
--------------------------------------------------------------------------------------
wololo 포럼의 한 유저가 Total_Noob가 현재 개발 중이라고 알려진 6.XX TN (HEN) 대신 펌웨어 6.35인 PSP를 펌웨어 5.03으로 다운그레이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내놓는 편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질문글을 올렸습니다. 호환성도 별로 좋지 않는 펌웨어 6.XX를 기반으로 하기 보다는, 이미 관련 프로그램이 많이 나와있는 펌웨어 5.03으로 다운그레이드해서 ChickHen을 이용하자는 얘기죠. 그런데 이와 관련해서 재미있는 정보가 있군요. [출처가기1] [출처가기2]
하드웨어상 최근 발매되는 PSP-300X는 펌웨어 6.00 미만으로 다운그레이드할 수가 없다고 합니다.
ruyor씨의 댓글에 따르면...
PSP-300X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03g 모듈을 사용하는 것(공장 출하 펌웨어가 4.20-5.51)이고, 다른 하나는 04g 모듈을 사용하는 것(공장 출하 펌웨어가 5.70 이상인 것)이다.
PSP go는 05g 모듈을 사용한다.
07g과 09g 모듈은 내가 아는 한 아직 사용되지 않고 있다.
03g 모듈을 사용하는 PSP-300X는 펌웨어 5.00 미만으로는 다운그레이드할 수 없다. (만약 펌웨어 4.20의 덤프 자료가 있다면 4.20까지는 가능.)
그리고 04g 모듈을 사용하는 PSP-300X는 펌웨어 6.00 미만으로는 다운그레이드할 수 없다. (만약 펌웨어 5.70의 덤프 자료가 있다면 5.70까지는 가능.)
PSP go는 05g 모듈을 사용한다.
07g과 09g 모듈은 내가 아는 한 아직 사용되지 않고 있다.
03g 모듈을 사용하는 PSP-300X는 펌웨어 5.00 미만으로는 다운그레이드할 수 없다. (만약 펌웨어 4.20의 덤프 자료가 있다면 4.20까지는 가능.)
그리고 04g 모듈을 사용하는 PSP-300X는 펌웨어 6.00 미만으로는 다운그레이드할 수 없다. (만약 펌웨어 5.70의 덤프 자료가 있다면 5.70까지는 가능.)
여기서 말하는 03g, 04g 등은 펌웨어 내 각 모듈의 이름에 추가로 붙어있는 단어를 말합니다. (예 : pspbtcnf.bin과 pspbtcnf_02g.bin 등등) PSP 각 기종마다 하드웨어에 약간씩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통해 설치/사용하는 모듈을 구분하는 것이죠. 'g'는 generation의 줄임말로 02g는 2세대, 03g는 3세대를 의미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PSP-100X는 그냥 기본 모듈을 사용하며, PSP-200X는 끝에 _02g가 붙은 모듈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유독 PSP-300X만 _03g 모듈을 사용하는 것과 _04g 모듈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뉘어진다는 것이죠.
그리고 03g 모듈을 사용하는 PSP-300X는 펌웨어 5.00까지 다운그레이드 가능하지만, 04g 모듈을 사용하는 PSP-300X는 펌웨어 5.XX로는 다운그레이드할 수 없고, 따라서 펌웨어 5.03 전용의 ChickHEN을 사용할 수도 없겠지요.
이 문제는 하드웨어적으로 특정 버전의 펌웨어는 설치되지 못하게 막아놓은 것이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예전 PSP-200X가 처음 발매되었을 당시에도 펌웨어 1.50으로는 다운그레이드할 수 없어, 결국 M33팀(Dark_AleX)은 그 동안 커펌에서 사용하던 기존의 1.50 커널을 완전히 포기하고, 3.xx 커널을 사용하는 새로운 커펌 3.60 M33을 발표한 일이 있었죠. (관련글 보기)
뭐, Total_Noob측에서 개발 초기를 제외하고는 다운그레이더에 대해 별 말이 없는 것으로 봐서 다운그레이더가 나올 일은 없을 거라 생각됩니다. 그냥 기존대로 펌웨어 6.XX 기반에서 동작하는 6.20 TN (HEN)이나 6.35 TN (HEN)만을 발표한다면 위의 이야기는 별 상관이 없으니 크게 신경쓸 필요는 없겠네요.
다만, 6.XX TN (HEN)을 이용해 PSP를 펌웨어 5.03으로 다운그레이드한 뒤, 이미 나와있는 ChickHEN용 임시 커펌(5.03 GEN이나 CFWEnabler 등)을 사용하고자 하셨던 PSP-300X 사용자분들은 그냥 포기하셔야 할 듯...
* 관련글 보기 *
[루머] PSP는 8세대까지 있다??
신형용 커펌 3.60 M33 발표/설치법
신형PSP용 커펌 3.60 M33 곧 발표 예정??
'포포츠 백업 + NEW > 다운그레이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4 (0) | 2010.12.30 |
---|---|
3.50 다운그레이더 - 정발 루미네스 지원 (0) | 2010.12.30 |
3.50 다운그레이더 - 일판 루미네스 지원 (0) | 2010.12.30 |
다운그레이드의 도덕성 - Fanjita (0) | 2010.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4
포포츠 백업 + NEW/다운그레이더
2010. 12. 30. 14:57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Aq01QAH99.jpg)
주기적으로 작성하고 있는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네번째 글입니다.
사실 그 동안 ChickHEN의 발표와 그에 대응하는 커펌이 나오면서 이전 글을 업데이트할 필요를 느끼고는 있었는데, 예전 방식대로 글을 쓰면 복잡해서 알아보기도 힘들고, 끝도 없이 길어질 것 같아서 어떤 식으로 써야할지 도무지 감이 안잡히더군요. 그래서 표로 한 번 정리해봤는데, 더 복잡한 것도 같고 그렇네요.
* 이 글은 2009년 7월 7일 기준입니다. *
--------------------------------------------------------------------------------
# 정식펌웨어(이하 정펌)에서 커스텀펌웨어(이하 커펌)를 처음 설치하는 방법 #
1단계 : PSP의 기종 확인하기
- 자신의 PSP가 PSP-100X 시리즈인지, 200X 시리즈인지, 300X 시리즈인지 먼저 확인합니다. 설마 구분을 못하시는 분은 없겠죠? 이후에는 PSP-100X을 구형 PSP, PSP-200X를 신형 PSP, PSP-300X를 최신형 PSP라고 하겠습니다.
2단계 : PSP의 기판 확인하기
- PSP에 탑재되어 있는 메인보드는 그 종류가 나뉘어져 있는데, PSP-200X의 경우 이 기판 종류가 상당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그러니 PSP-200X의 경우 PSP-200X의 박스코드로 기판 확인하기 글을 참고해서 최소한 자신의 PSP가 TA-088 v3 기판인지 아닌지 정도는 알아두어야 합니다.
- 하지만 만약 홈브류가 구동 가능한 상태(커펌 또는 ChickHEN 이용)라면 PSPident라는 홈브류를 통해 PSP의 기판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3단계 : PSP의 현재 펌웨어 버전 확인하기
- XMB(PSP의 기본 화면)에서 설정 -> 시스템 설정 -> 시스템 정보 메뉴로 들어가면 '시스템소프트웨어' 항목에 현재 PSP에 설치되어 있는 펌웨어 버전이 표시됩니다. '버전 5.XX', ' 버전 4.XX' 등으로만 표시된다면 정펌을 의미하며, 그 외 다른 문자가 추가되어 있다면 이미 커펌이 설치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5.00 M33-6, 5.03 GEN-A 등등)
4단계 : 현재 자신의 PSP에 맞는 커펌 설치법 알아보기
- 자신의 기종 / 기판 / 펌웨어 버전(정펌)을 확인했다면 아래 표를 통해서 현재 PSP에 알맞은 커펌 설치 방법을 선택합니다. 현재 PSP의 펌웨어 버전보다 높은 펌웨어에서의 설치 방법은 PSP를 해당 정식 펌웨어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면 사용 가능하지만, 현재 PSP의 펌웨어 버전보다 낮은 펌웨어에서의 방법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정펌 4.01이라면 정펌 5.03으로 업데이트후 정펌 5.03에서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반대로 정펌 5.50의 경우에는 정펌 5.03의 방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빨간색 : 다운그레이더 이용, 파란색 : ChickHEN 이용, 녹색 : 판도라의 배터리 이용)
구형 PSP (PSP-100X) |
펌웨어 1.50 |
펌웨어 2.00 |
펌웨어 2.71 |
펌웨어 2.80 |
펌웨어 3.03 |
펌웨어 3.50 |
펌웨어 5.03 |
펌웨어 5.50 이상 |
TA-079 / 081 |
A, P |
B, P | B, P | B, P | C, P | D, P | R, P | P |
TA-082 / 086 |
A, P | P | P | B, P | C, P | D, P | R, P | P |
신형 PSP (PSP-200X) |
펌웨어 3.60 - 5.03 미만 |
펌웨어 5.03 |
펌웨어 5.50 |
펌웨어 5.51 이상 |
TA-085 v1 / v2 TA-088 v1 / v2 TA-090 v1 |
P | R, E, G, P | P | P |
TA-088 v3 |
- | E, G | - | - |
최신형 PSP (PSP-300X) |
펌웨어 5.00 - 5.03 미만 |
펌웨어 5.03 |
펌웨어 5.50 |
펌웨어 5.51 이상 |
TA-090 v2 |
- |
E, G | - |
- |
5단계 : 정펌인 PSP에 실제로 커펌 설치하기
# A : 커펌 인스톨러 이용 : 정펌 1.50인 구형 PSP라면 아무런 작업 없이 바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바로 최신 커펌 버전 설치는 불가능하고 반드시 커펌 3.52 M33 설치 -> 커펌 3.52 M33-4 업데이트를 거쳐야 커펌 5.00 M33이나 커펌5.50 GEN 등의 최신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 B : 초기 다운그레이더 : 별다른 준비물 없이 PSP의 펌웨어를 강제로 1.50으로 내려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펌웨어 2.00 / 2.71 / 2.80일 경우에만 가능하며 http://popotz.textcube.com/23에서 자세한 사항을 확인하세요. 정펌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한 뒤에는 위의 #A 방법대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 C : 3.03 GTA 다운그레이더 : GTA : LCS라는 게임을 이용해 PSP의 펌웨어를 강제로 1.50으로 내려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GTA : LCS라는 게임의 UMD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정펌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한 뒤에는 위의 #A 방법대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 D : 3.50 루미네스 다운그레이더 : 루미네스라는 게임을 이용해 PSP의 펌웨어를 강제로 1.50으로 내려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루미네스라는 게임의 UMD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정펌 1.50으로 다운그레이드한 뒤에는 위의 #A 방법대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 R : 리커버리 플래셔 : ChickHEN을 구동한 뒤 '리커버리 플래셔'라는 홈브류를 통해 곧바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단, 이는 영구적인 커펌을 설치하는 것이므로 PSP의 기판이 TA-088 v3인 PSP-200X이나 TA-090 v2인 PSP-300X의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벽돌됨.)
# E : CFWEnabler : ChickHEN을 구동한 뒤 일시적으로 커펌의 기능을 사용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영구적인 것이 아닌 일시적인 것이므로 PSP를 재부팅하면 커펌 상태가 해제되고 다시 정펌 상태로 돌아가게 됩니다. 하지만 커펌 상태에서는 기존 커펌의 기능을 거의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커펌 5.03 GEN for HEN과 비슷함.)
# G : 커펌 5.03 GEN-A for HEN : ChickHEN을 구동한 뒤 일시적으로 커펌의 기능을 사용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영구적인 것이 아닌 일시적인 것이므로 PSP를 재부팅하면 커펌 상태가 해제되고 다시 정펌 상태로 돌아가게 됩니다. 하지만 커펌 상태에서는 기존 커펌의 기능을 거의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CFWEnabler와 비슷함.)
# P : 판도라의 배터리 : 특수 변환된 지그킥배터리와 특수하게 만든 매직메모리스틱을 조합해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하드웨어적인 방식이므로 PSP의 펌웨어 버전이 무엇이든 상관없이 바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게다가 벽돌의 복구도 가능. 하지만 그 종류도 많고 개념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충분히 공부할 필요가 있습니다. 매직 메모리스틱 종류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 커펌 버전이 달라지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커펌된 PSP없이 DC v4 만들기, 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 또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DC v8) 등이 있습니다. 단, 지그킥배터리와 매직메모리스틱을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커펌이 설치된 PSP가 따로 필요하며, 특히 지그킥배터리 변환을 위해서는 PSP의 기판이 이를 지원해야 하는데, 이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사항은 이 그림를 참고해주세요.
--------------------------------------------------------------------------------
# 커스텀식펌웨어(이하 커펌)에서 커스텀펌웨어를 재설치하는 방법 #
정펌이 아니라 이미 기존에 커펌이 설치되어 있는 PSP에서 상위 커펌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거나, 더 낮은 커펌 버전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 또는 커펌이 불안정해서 재설치하고 싶은 경우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 이 아래의 방법들은 기존의 영구적인 커펌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ChickHEN을 통해 CFWEnabler나 커펌 5.03 GEN-A for HEN 등의 임시적인 커펌을 설치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1. 커펌 인스톨러 이용 : 제일 기본이 되는 방법으로서, 새로운 커펌 버전 발표와 동시에 배포되는 설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이에 대한 것은 각 커펌 설치법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니 자신이 설치하고 싶은 커펌 버전의 발표/설치방법 글을 참고하면 됩니다. 단, 알아둘 점이 2가지 정도 있습니다.
- 커펌 3.71 이상의 커펌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커펌 3.52 M33-3 이상이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약 PSP의 커펌 버전이 3.52 M33-3 미만이라면 커펌 3.52 M33 설치 -> 커펌 3.52 M33-4 업데이트를 먼저 해주어야 합니다.
- 커펌 인스톨러는 항상 현재 커펌 버전보다 높은 버전의 커펌만 설치할 수 있으며 그보다 낮은 버전의 커펌은 설치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커펌 3.90 M33이라면 커펌 3.71 M33의 설치는 불가능하고, 그 이상의 버전인 커펌 4.01 M33이나 커펌 5.00 M33 등의 커펌만 설치가 가능합니다.)
- 커펌 인스톨러는 항상 현재 커펌 버전보다 높은 버전의 커펌만 설치할 수 있으며 그보다 낮은 버전의 커펌은 설치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커펌 3.90 M33이라면 커펌 3.71 M33의 설치는 불가능하고, 그 이상의 버전인 커펌 4.01 M33이나 커펌 5.00 M33 등의 커펌만 설치가 가능합니다.)
2. 리커버리 플래셔 이용 : Hellcat이라는 개발자가 만든 리커버리 플래셔(Recovery Flasher)라는 홈브류를 사용하면 다양한 커펌 버전중에서 원하는 커펌을 선택해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커펌 인스톨러와는 다르게 현재 설치되어 있는 커펌 버전보다 낮은 버전의 커펌 설치도 가능하며, 오래 전에 나온 초기 커펌(커펌 3.XX OE 등)에서도 커펌 3.52 M33-3 이상으로 업데이트할 필요없이 바로 최신 커펌의 설치가 가능합니다. 또한 PSP가 반벽돌이거나 불안정한 경우 현재 버전의 커펌을 재설치하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합니다. 예를 들면, 현재 커펌 버전이 3.10 OE인데 최신 커펌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나 커펌 5.00 M33인데 그 보다 낮은 커펌 3.71 M33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 PSP가 이상한 것 같아 현재 커펌을 재설치하고 싶은 경우에는 리커버리 플래셔를 사용하면 됩니다.
3. 판도라의 배터리 : 특수 변환된 지그킥배터리와 특수하게 만든 매직메모리스틱을 조합해서 커펌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하드웨어적인 방식이므로 PSP의 현재 커펌 버전이 무엇이든 상관없이 바로 커펌 설치가 가능합니다. 게다가 벽돌의 복구도 가능. 하지만 그 종류도 많고 개념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충분히 공부할 필요가 있습니다. 매직 메모리스틱 종류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 커펌 버전이 달라지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통합 또는 유니버셜 언브리커 v8 (DC v8) 등이 있습니다. 단, 지그킥배터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PSP의 기판이 이를 지원해야 하는데, 이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사항은 이 그림를 참고해주세요.
--------------------------------------------------------------------------------
# 마지막으로 커펌을 설치한 이후 알아두면 좋은 글들만 몇 개 링크 걸어두겠습니다.
강제 사용자 설정 초기화 방법 / Flash0 숨김 폴더 보기 및 남은용량 확보 / 커펌의 대표 기능 사용법 정리 / 커펌 리커버리 모드 사용법
# 위 설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각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 요즘 여름이라 그런지 다시 슬럼프입니다. 당분간(나흘에서 일주일 정도?) 잠수 좀 타겠습니다. ㅜㅜ
'포포츠 백업 + NEW > 다운그레이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근 나오는 PSP-300X는 펌웨어 6.00 미만으로 다운그레이드할 수 없다 (0) | 2010.12.30 |
---|---|
3.50 다운그레이더 - 정발 루미네스 지원 (0) | 2010.12.30 |
3.50 다운그레이더 - 일판 루미네스 지원 (0) | 2010.12.30 |
다운그레이드의 도덕성 - Fanjita (0) | 2010.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3.50 다운그레이더 - 정발 루미네스 지원
포포츠 백업 + NEW/다운그레이더
2010. 12. 30. 14:56
![](http://ss.textcube.com/blog/1/15525/attach/XEEqtK2g5b.jpg)
Noobz팀이 정발 루미네스를 이용한 펌웨어 3.50 다운그레이더를 발표했습니다. [출처가기]
기본 내용은 이전 다운그레이더와 동일하며 이번에 변경된 점은 정발판 루미네스(ULKS46005)를 이용한 다운그레이더가 추가되었다는 점뿐입니다.
이로써 유럽판(ULES00043), 북미판(ULUS10002), 일본판(ULJS00005, ULJS19005), 정발판(ULKS46005) 등 모든 지역에서 발매된 루미네스 UMD를 통해 펌웨어 3.50의 다운그레이드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아래의 유니버셜 다운그레이더는 그 모두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외 주의사항이나 다운그레이드 방법은 기존과 동일합니다.
3.50 다운그레이드 방법 열기
[다운그레이드하기 전 주의사항] - 실행하기 전에 반드시 읽어보세요.
[다운그레이드 준비물]
[다운그레이드 방법] - TA-079 ~ TA-086까지의 모든 기판 가능
아래 과정을 진행하기에 앞서 메모리스틱은 반드시 포맷합니다.
다운그레이드를 실행하기 앞서 PSP의 모든 언어 설정을 영어로 설정합니다.
(시스템언어, 문자집합은 물론 비디오 설정 등도 만약을 위해 모두 영어로 바꿉니다.)
배경화면을 사용안함으로 설정합니다.
배터리는 충분히 충전해 놓고 실행시 AC아답터도 꼭 연결합니다.
사용법을 완전히 숙지한 뒤에 실행합니다.
다운그레이드를 실행하기 앞서 PSP의 모든 언어 설정을 영어로 설정합니다.
(시스템언어, 문자집합은 물론 비디오 설정 등도 만약을 위해 모두 영어로 바꿉니다.)
배경화면을 사용안함으로 설정합니다.
배터리는 충분히 충전해 놓고 실행시 AC아답터도 꼭 연결합니다.
사용법을 완전히 숙지한 뒤에 실행합니다.
[다운그레이드 준비물]
- 유럽판(ULES00043), 북미판(ULUS10002), 일본판(ULJS00005, ULJS19005), 정발판(ULKS46005)의
공식 Lumines(루미네스) UMD
- 3.50 다운그레이더 : 아래 링크 참조
- 펌웨어 1.50 파일 : 아래 링크 참조
- 펌웨어 3.50 파일 : 아래 링크 참조
공식 Lumines(루미네스) UMD
- 3.50 다운그레이더 : 아래 링크 참조
- 펌웨어 1.50 파일 : 아래 링크 참조
- 펌웨어 3.50 파일 : 아래 링크 참조
[다운그레이드 방법] - TA-079 ~ TA-086까지의 모든 기판 가능
1. 만약 PSP의 펌웨어가 3.50이라면 6번 과정으로 바로 가세요.
2. PSP의 펌웨어가 3.50 미만이라면 아래의 펌웨어 3.50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http://dl.qj.net/PSP-Firmware-3.50-(North-America)-PSP/pg/12/fid/13840/catid/163
3. 다운로드 받은 EBOOT.PBP 파일을 ms0:/PSP/GAME/UPDATE/라는 폴더를 만들어 그 안에 넣습니다.
4. PSP의 XMB에서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펌웨어 3.50 업데이트를 실행합니다.
(배터리는 충분히 충전하고 AC아답터도 연결하세요.)
5. 펌웨어 3.50으로의 업데이트가 끝나면 ms0:/PSP/GAME/UPDATE/ 폴더를 삭제합니다.
6. 아래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MS_ROOT' 폴더를 열어 그 안의 'PSP' 폴더를 메모리스틱 상위에 복사합니다.
7. 펌웨어 1.50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파일의 이름을 EBOOT.PBP에서 UPDATE.PBP로 변경한 뒤에, ms0:/PSP/GAME/UPDATE/ 폴더로 복사합니다.
* 펌웨어 1.50 : http://dl.qj.net/PSP-Firmware-1.50-File-(EBOOT)-North-America-PSP/pg/12/fid/163/catid/163
(절대로 ms0:/PSP/GAME/UPDATE/EBOOT.PBP파일을 덮어써서는 안됩니다.)
8. 루미네스 UMD를 넣고 실행한 뒤 엑스버튼(또는 동그라미버튼)을 눌러 게임을 시작합니다.
9. 화면이 검게 변했다가 곧 밝은 파란색 화면이 나오면서, PSP가 재부팅됩니다.
10. PSP가 재부팅되었다면 XMB의 Settings - System Information 메뉴로 들어가 시스템 버전이 '350HEN'이라고 나오는지 확인합니다. (그냥 3.50이라고만 나온다면 8번 과정을 다시 시도합니다.)
11. '350HEN'이라고 정상적으로 보인다면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PSP™ Update ver X.YZ'를 실행합니다.
12. 만약 자신의 PSP가 TA-082, TA-086 기판이라면 따로 패치할 필요없이 다운그레이드하기에 앞서 자동으로 패치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엑스버튼을 한 번 눌러주면 패치가 됩니다.)
13. 다운그레이더가 실행되면 우선 동의를 묻는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계속 진행하려면 엑스버튼을 누르고 취소하려면 R트리거를 누르면 됩니다.
14. 다운그레이드에 동의한 뒤에는 절대로 AC아답터를 빼거나 PSP를 재부팅시키지 마세요.
15. 다운그레이드가 완료되면 엑스버튼을 누르라는 화면이 나오고 엑스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PSP가 재부팅됩니다.
16. PSP가 재부팅 된 후 만약 설정 오류 화면이 나온다면 엑스버튼(또는 동그라미버튼)을 눌러 복구한 뒤 17번 과정을 실행합니다. PSP가 재부팅 된 뒤에 설정 오류 화면이 안 나온다면 바로 18번 과정으로 갑니다.
17. PSP가 부팅되면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PSP Network Config Backup'를 실행하고 restore를 선택해 실행합니다. 이는 네트워크 설정을 다시 입력하기 위함입니다.
18. 모든 과정이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펌웨어 1.50로 다운그레이드되었습니다. 책임감 있게 사용하세요.
2. PSP의 펌웨어가 3.50 미만이라면 아래의 펌웨어 3.50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http://dl.qj.net/PSP-Firmware-3.50-(North-America)-PSP/pg/12/fid/13840/catid/163
3. 다운로드 받은 EBOOT.PBP 파일을 ms0:/PSP/GAME/UPDATE/라는 폴더를 만들어 그 안에 넣습니다.
4. PSP의 XMB에서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펌웨어 3.50 업데이트를 실행합니다.
(배터리는 충분히 충전하고 AC아답터도 연결하세요.)
5. 펌웨어 3.50으로의 업데이트가 끝나면 ms0:/PSP/GAME/UPDATE/ 폴더를 삭제합니다.
6. 아래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MS_ROOT' 폴더를 열어 그 안의 'PSP' 폴더를 메모리스틱 상위에 복사합니다.
7. 펌웨어 1.50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파일의 이름을 EBOOT.PBP에서 UPDATE.PBP로 변경한 뒤에, ms0:/PSP/GAME/UPDATE/ 폴더로 복사합니다.
* 펌웨어 1.50 : http://dl.qj.net/PSP-Firmware-1.50-File-(EBOOT)-North-America-PSP/pg/12/fid/163/catid/163
(절대로 ms0:/PSP/GAME/UPDATE/EBOOT.PBP파일을 덮어써서는 안됩니다.)
8. 루미네스 UMD를 넣고 실행한 뒤 엑스버튼(또는 동그라미버튼)을 눌러 게임을 시작합니다.
9. 화면이 검게 변했다가 곧 밝은 파란색 화면이 나오면서, PSP가 재부팅됩니다.
10. PSP가 재부팅되었다면 XMB의 Settings - System Information 메뉴로 들어가 시스템 버전이 '350HEN'이라고 나오는지 확인합니다. (그냥 3.50이라고만 나온다면 8번 과정을 다시 시도합니다.)
11. '350HEN'이라고 정상적으로 보인다면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PSP™ Update ver X.YZ'를 실행합니다.
12. 만약 자신의 PSP가 TA-082, TA-086 기판이라면 따로 패치할 필요없이 다운그레이드하기에 앞서 자동으로 패치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엑스버튼을 한 번 눌러주면 패치가 됩니다.)
13. 다운그레이더가 실행되면 우선 동의를 묻는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계속 진행하려면 엑스버튼을 누르고 취소하려면 R트리거를 누르면 됩니다.
14. 다운그레이드에 동의한 뒤에는 절대로 AC아답터를 빼거나 PSP를 재부팅시키지 마세요.
15. 다운그레이드가 완료되면 엑스버튼을 누르라는 화면이 나오고 엑스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PSP가 재부팅됩니다.
16. PSP가 재부팅 된 후 만약 설정 오류 화면이 나온다면 엑스버튼(또는 동그라미버튼)을 눌러 복구한 뒤 17번 과정을 실행합니다. PSP가 재부팅 된 뒤에 설정 오류 화면이 안 나온다면 바로 18번 과정으로 갑니다.
17. PSP가 부팅되면 XMB의 게임 -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PSP Network Config Backup'를 실행하고 restore를 선택해 실행합니다. 이는 네트워크 설정을 다시 입력하기 위함입니다.
18. 모든 과정이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펌웨어 1.50로 다운그레이드되었습니다. 책임감 있게 사용하세요.
단, 손휘측에서 요구 폄웨어를 3.51로 변경한 새로운 버전의 루미네스를 출시하였으므로 자신이 다운그레이드에 사용할 루미네스가 구버전인지 신버전인지 확실히 확인해야 합니다.
# 정발판 루미네스가 지원될지 안될지 몰라 북미판 루미네스 비싸게 주고 구입하신 분들. 안습~
# 다운그레이더를 불법적인 용도 또는 경제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자제해주세요.
'포포츠 백업 + NEW > 다운그레이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근 나오는 PSP-300X는 펌웨어 6.00 미만으로 다운그레이드할 수 없다 (0) | 2010.12.30 |
---|---|
커스텀펌웨어 설치법 정리 ver.4 (0) | 2010.12.30 |
3.50 다운그레이더 - 일판 루미네스 지원 (0) | 2010.12.30 |
다운그레이드의 도덕성 - Fanjita (0) | 2010.12.30 |